다국적 기업의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현지의 다양한 이해관계자 에게 정당성을 확보하는 방안 중 하나로써, 최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 기업의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이 현지 지원자의 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국 가이미지(country of origin image)에 따라 사회적 책임 활동의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한 결과, 국내 구직자에게 있어 다국적 기업 해외자회사의 국내 사회적 책임 활동은 구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중국기업의 경우 이러한 사회적 책임 활동의 긍정적인 영향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호의적이지 않은 신흥국 기반의 다국적 기업들의 현지 진출 시, 현지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현지 구직자의 지원의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기업전략임을 확인함으로써, 학문적 및 실무적 관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제조업 생산직 여성들의 생존권 투쟁’을 주제로 1980년대 한국의 민중미술운동의 영향을 받으며 ‘노동자로서의 여성’이라는 측면을 여성의 시각에서 스스로 표현하고자 한 한국의 여성주의 미술운동의 시발점에 주목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1990년대 이후 노동자로서의 여성의 노동활동을 다룬 영상작품들이 계속하여 한국여성영상작가에 의해 발표되고 있는데, 이는 1980년대 산업체의 여성 노동운동을 뿌리를 두고 전개되기 시작한 한국의 여성주의 문화운동의 한 특징이다. 이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 국가들이 겪었던 경제성장과 민주화의 정착이라는 근대화의 역사를 배경으로 한국 사회의 경제성장구조에서 자신의 ‘노동’의 가치를 인정받고자 한 여성들의 주체의식에서 비롯되며 서구권의 여성주의 문화운동과는 그 역사적 차이점을 갖는다.
This study selected fashion brands claiming to advocate feminism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and female images. For the study’s data, online foreign feminist fashion brands were sifted from March 2017 to January 2018 and 28 clothing brands were selected. The study’s results show that feminist fashion brands aim at the demas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of fashion products to be more inclusive of individual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Additionally, feminist brands entice consump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in online communities and through the value of social coexistence. The essential female image produced by feminist fashion brands deconstructs a socially idealized female image and expresses a sense of self-body positivity. In turn, the concept of self-body positivity is communicated through natural images of independent women with distinct identities based on differences in race, culture, and sexual orientation. Moreover, feminist fashion brands produce social images featuring independent women using active wear to engage in social activities. Casual wear is also used to reflect active women, while mannish looks and power suits express women’s social status and professional abilities. Ultimately, these offer functionally active and rational images, combined with female images featuring long hair and makeup. Yet another type of female image seeks to create a new vision of women as diverse due to their various cultures, countries of origin, races, and individual tastes. These new images express women’s physical differences, distinct identities, and diversity while simultaneously deconstructing pre-existing forms of clothing.
Consumer interest in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has been consistent. While most relevant research emphasizes individual morals and environmental concern as the most crucial determinants to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more recent studies point out that in so doing there has been somewhat a neglectance on the importance of fundamental marketing strategies. More specifically, the crucial role of interior colors in fashion retail stores has been managerially considered something certain yet no empirical results have been found to support such a strong managerial assumption. For instance, colors such as green, blue, and brown are believed to represent natural images and are more appropriate to the eco-friendly marketing and the relevant research has been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ffect of in-store interior design colors (green versus non-green) on consumer perception of green store images. A total of 382 respondents were gathered for an online survey using differing store images as the stimulus and used for testing hypotheses. In the results, respondents exposed to store images using green interior colors reported a higher evaluation of green store image of the store. The effect is found to be significantly moderated by respondent’s environmental concern: to explain, respondents of high environmental concern are less influenced by green color interiors when they evaluate the brand’s eco-friendly image. In sum, the positive influence of green interior colors on green store image i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its stronger effect for consumers of low concern. Managerial and academic discussions are provided.
This study examined images typical to this city and explored ways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using these images. Researchers reviewed literature about fashion cultural products and related previous research, and then conducted a closed-ended survey to analyze universal fashion preferences. For the examination material, such a way was used as information data base and network review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dissertation screen, and published media including separate volumes. The following are considering points in the developing process. First, the study identified design, color, price, practicality and quality as factors tha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using the image of Gangneung. In particular, it determined that the image needs to reflect a modern sensibility while maximizing its representation of local culture. Second, Gangneung’s symbolic image should incorporate the sea, Gyeongpo, and coffee. In other words, the sea, Gyeongpo, and coffee should receive top symbolic priority. Third, from a development perspective, the most appropriate items for displaying the image include t-shirts, keychains, umbrellas, or other accessories, since these items are easily available in terms of price. In sum, this study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reconsidering Gangneung’s currents ymbolic image, suggesting that a new image should be developed. Developing a typical fashion cultural product image will enrich Gangneung’s cultural industry and the distribution of newly designed products will improve the localeconomy.
본 연구는 일 대학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문제해결능력, 간호사 이미지, 리더십 정도를 살펴보고, 간호관리 실습 전후 문제해결능력, 간호사 이미지, 리더십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 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일 지역 소재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4학생 60명으로 자료수집은 2014년 8월 1일 부터 8월 29일 까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일원분산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과 지원동기는 ‘취업용이’가 가장 많았고, 간호사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준 요소는 ‘임상실습시 간호사 모습’이 가장 많았으며 전공만 족도는 ‘보통’ 이상이 83.4%였다. 간호사 이미지는 간호사 친척 유무 및 간호학 전공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리더십은 간호학과 지원동기, 간호학 전공 만족도,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문제해결 능력은 간호사 친척 유무 및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은 3.32점, 간호사 이미지는 3.41점, 리더십은 3.62점이었고, 실습 후 문제해결능력(t=-2.15, p=.03), 간호사 이미지 (t=-2.67, p=.01), 리더십(t=-2.20, p=.03)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학 실습 교육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니탈이미지와 성만족의 유관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제니탈이 미지는 성 만족과 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들(Herbenick, Reece, Schick, Sanders, Dodge & Fortenberry, 2010; Meltzer & McNulty, 2010)을 토대로 성 만족을 제니탈이 미지의 유관요인으로 가정하고 이에 대해 설명하였다. 더불어 한국여성 170명에게 개 방형 설문조사 후 결측치를 제외하고 최종 168명이 기술한 제니탈이미지 237개 문항 을 소개하였다. 이를 통하여 제니탈이미지 요인이 긍정적일수록 성 만족은 높을 것으 로 예측할 수 있다. 이후 제니탈이미지 유형구분 연구 및 성 만족과의 관계연구 수행 에 있어서 제니탈이미지를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과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surveyed the recognition, image, preference, attribute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for Korean food of local Vietnamese to facilitate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Most participants had recognized Korean food. and, they were especially aware of kimchi (김치), bulgogi (불고기) and bibimbab (비빔밥), Additionally, most repondents thought these foods represent Korean traditions and culture very well. The image of local Vietnamese for Korean food was good. Which was reflected in Korean food having “a good reputation” and a high possibility for “globalization” were high.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16 kinds of Korean food and found the highest preferences to be for bulgogi (불고기), followed by galbitang (갈비탕), whereas that for doenjangchigae (된장찌개) was lowest. Some of the top choice attributes of Vietnamese for Korean food were found to be in “because it is ‘colorful’, ‘prepared sincerely’, ‘plated neatly’, ‘fresh’ and ‘comes with a variety of banchans (side dishes). This is a very meaningful result, making this an important reference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e local Vietnamese had high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degree for Korean food, and especially high satisfaction with the colorfulness of Korean food. In addition, the local Vietnamese showed a very high revisit intention for Korean food.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208 Chinese tourists who constitute the largest proportion of foreign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 face to face (FTF) manner with the aim to contribute to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Korean wave dramas on the relationship among image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for Korean cuisine. The main actor characteristics among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Korean wave drama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for Korean cuisine. However, the thematic characteristics among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Korean wave drama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s for Korean cuisine; in addition, the production characteristic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for Korean cuisine. The eco-friendly and health images of Korean cuisin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s for Korean cuisine, and the attitudes toward Korean cuisine significantly affected the purchase intentions for Korean cuisin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ontinuously publicize Korean cuisine through Korean wave dramas to build positive attitudes toward Korean cuisine through enhanced images of Korean cuisine.
This study analyzes the images of models in womenswear advertisements targeting women in their fifties. The goals of this study are: 1) to investigate beauty ideals for middle-aged women by analyzing models’ look age, chronological age, wrinkles, gray hair, hair length, body type, and race; and 2) to explore how ageing is dealt with in advertisements by analyzing the range of bodies shown in advertisements, the color mode of photographs, and the clarity of models’ figures in relation to models’ look ages. A total of 155 printed advertisements from January 2012 to January 2017 from the brands Daks Ladies, Lebeige, Luciano Choi, PAT, and Zishen were selected for analysis. Womenswear brands targeting middle-aged women reinforce cultural ideals of female beauty that emphasize youth and slenderness. They do this by using thin and slender models, who most often appear to be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and have hair longer than their shoulders. Brands with higher price ranges show a preference for Caucasian models, which reveals that a Caucasian identity is associated with sophistication. In addition, the bodies of models who appear to be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were concealed by framing photographs mostly above the knees. Older models’ features were also obscured via the use of black and white photography, strong lighting and contrast, and digital editing that blurred the boundaries between figures and their backgrounds. These decisions for how to represent models could result in negative self-esteem and a denial of the symptoms of ageing among middle-aged women.
오늘날 예술에 있어서 공포의 표현은 인간성의 상실, 환경의 파괴, 인간관계에서의 소통의 부 재 등을 소재로 여러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예술작품에 표현된 공포 이미지에 대한 인간의 감정은 사회적, 외부 환경적, 심리, 유전적 원인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여러 예술 장르 중 영화는 이러한 공포 유발의 원인들을 표현하기 위해 이야기(내용)와 영상이미지(형식)를 함께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표현 방식은 관객의 공포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공포영화에 있어 공포를 유발하는 이미지는 매우 중요한 관객 수용의 요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포영화의 이미지와 표현방법에 대한 관객 인식유형의 연구는 현재까지 많 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 방법론 중 하나인 Q방법론을 사용하여 공포 영화 속 혐오성 이미지에 대한 수용자의 주관적 감정의 상태와 유형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3가지 인식 유형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신체적 가해에 대한 공포 감정을 느끼는 유형이 다. 이 유형은 잔인함 혹은 신체적 가해로 인해 나타나는 불안함을 공포의 감정으로 표출하고 있다. 다음으로 낯섦에 대한 공포는 알려지지 않는 악령이나 초자연적 현상 혹은 여성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고 있는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기형적 혐오성에 대해 공포를 느끼고 있는 유형은 이질적인 것들 인간과 다른 괴물이나 외계 생명체에 대해 공포의 감정을 갖고 있는 유형이다. 이러한 분석으로 도출되는 가설을 바탕으로 추후 계량적 방법론을 통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 된다면 더욱 더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the deciding factors of local identity and local image improvement.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eciding factors of local identity have been set as the following four: historical identity, cultural identity, (nature) scenery identity, and industrial identity. The writer has established a model to represent the 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 local image improvement, namely 'Visito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and framed a hypothesis for empirical verificat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ding factors of local identity which this study addressed are empirically prove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visitor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in which is it likely that the greater the impact of the deciding factors, the higher the visito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would be. Second, the deciding factors of local identity, it appears that the 'historical identity' factor had the largest impact on the visitor satisfaction, and the 'cultural identity' factor had the largest impact on the revisit intentions. Therefore, of the four deciding factors, the 'historical identity' should be considered the highest priority to increase the visitor satisfaction, and the 'cultural identity' should be considered the highest priority to increase the revisit intentions. Third,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 visito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it can be presumed that the greater the visito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revisit intentions would be.
본 연구는 시설원예단지의 경관개선점을 찾아보고 친환경적 조성방법과 생태계 서비스 기능이 최소화로 저감될 수 있는 방안제시를 목표로 했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평가요소에서 네덜란드, 일본 경관은 긍정적인 결과였으나 우리나라 경관은 다소 부정적으로 분석되어 비닐하우스는 일본을 유리온실은 네덜란드 경관으로 개선방향을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미래세대에 지속가능한 농업경관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생태계서비스 기능 중 경관창출을 고려한 친환경 온실단지 조성을 제안을 제안하였으며, 앞으로 추진될 대규모 간척지 개발 사업에도 본 연구가 활용되길 기대하였다.
스마트폰은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소형 컴퓨터라 볼 수 있을 정도로 연산능력이 향상되었고 다양한 센서들을 갖추고 있다. 대다수 스마트폰에는 이미지센서, 근접/조도 센서, 중력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스코프, 마이크로폰(음향)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지문인식 센서, 기압계 센서, 온도/습도 센서, 심장박동 센서, 홍채 인식 센서 등 새로 개발된 센서들이 탑재된 모델들도 있다. 스마트폰은 이처럼 다양한 센서들을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구현하는데 사용한다. 특히 스마트폰에 중요한 센서중 하나는 이미지센서이다. 최신 스마트폰에 내장된 이미지센서/카메라의 화소는 1300만~1600만 화소로 고해상도이다. 또한 촬영부터 편집, 보정 등의 전문 기능들이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식품의 안전성 측정을 위한 바이오센서 및 화학센서 개발에 사용한 사례들이 늘고 있다. 본 발표는 최근 스마트폰 이미지센서/카메라를 이용하여 개발한 다양한 바이오센서 및 화학센서 사례들을 소개한다. 대표적인 식중독균인 살모넬라와 대장균 검출, 식육의 대장균 측정, 포도주의 맛을 감별, 식품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스마트폰 카메라와 자이로스코프가 함께 사용된 사례 등을 소개한다. 이들 사례를 통해 식품용 센서를 개발함에 있어 스마트폰 이미지센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안을 한다.
사과원에 무인자동 해충 발생예찰 장치를 설치하고, 이로부터 획득된 나방류 이미지는 서버컴퓨터로 전송된다. 해충 이미지를 채도(saturation), 농도(intensity), 색상(hue)에 의해 추출하여, 컬러영상과 밝기영상으로 분리한다. 분리된 컬러영상과 밝기영상의 화소값 분포를 노이즈 제거 및 영상분할을 하기 위해 정규화한다. 컬러영상과 밝기영상을 이진화하는 threshold 기법과 vector classification 으로 2개의 영상을 이진화된 영상으로 결합한다. 이진화를 통해 해충과 배경의 경계가 뚜렷하게 구분된다. 다음으로 해당 해충보다 작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분리되었던 해충을 결합하는 형태학적 처리(morphological processing)를 통해 이진화된 영상을 확산한다. 확산된 영상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후처리과정을 거쳐, 해충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image processing 과정을 거친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 나방의 경우 image processing을 거쳐 육안대비 인식율이 각각 96.0, 95.0%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ensibility images when the direction and width of stripes change on semi-tight skirts. The researcher made 12 stimuli consisting of images of skirts with a combination of six stripe directions and two stripe widths. The images were assessed by 126 subjects who were students majoring in apparel. Three sensibility image factors were found: personality, attractiveness, and activity. Images of skirts with different stripe directions were perceived as having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se factors. Stripe widths of 1.5cm and 3cm in upward diagonal, vertical side line, and downward diagonal directions influenced the personality factor. Diagonal stripes with a width of 1.5cm positively influenced attractiveness and activity. Stripes in a vertical direction increased attractiveness when the stripe width was 1.5cm rather than 3cm. Although the interaction of stripe direction and width significantly influenced perceptions of attractiveness and activity in images of semi-tight skirts, they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personality.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stripe dire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factors. This analysis indicated that each factor has its own independent influence. Stripe width had major independent effects, showing significance in attractiveness and activity. However, personality did not indicate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women select suitable clothing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preferences and body shapes by influencing how images are depicted because women will be able to use the images to estimate their body images when the skirts are put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