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31

        1.
        2025.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utilize the AcciMap accident investigation metho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auses and mechanisms of chemical and laboratory accidents, ultimately proposing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accident prevention. Despite the establishment of safety management frameworks through the “Laboratory Safety Environment Creation Act” in South Korea, laboratory accidents continue to occur frequently due to the inherent variety and unpredictability of hazards in research environments, highlighting the need for mandatory root cause analysis. Accordingly,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ccident investigation method AcciMap and the software tool VOSviewer.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ailored management strategies for chemical and laboratory accidents. For chemical accidents, strengthening safety systems and conducting regular maintenance are critical. For laboratory accidents, implementing safety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researchers’ safety awareness and providing appropriate equipment for experimental environments are essential. Moreover, the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mandating root cause analysis for laboratory accidents to systematically identify accident causes and develop effective preventive measures. Finally, leveraging the accident reporting system outlined in the Laboratory Safety Act is essential to ensure prompt, transparent responses and structured management in the event of accidents.
        4,000원
        2.
        202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스팔트는 아스팔텐(Asphaltene)과 레진(Resin), 포화분(Saturates), 방향족화합물(Aromatics)로 구성되어 있고, 레 진, 포화분, 방향족화합물의 혼합물을 말텐(Malten)이라 하며, 아스팔텐이 말텐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 콜로이 드 상태의 혼합물이다. 아스팔트를 조성하고 있는 조성물의 조성비, 온도 변화에 따라 결합 상태 및 내부 구조가 변 화하고, 아스팔트의 물성과 상태 등에 영향을 주어, 아스팔트 혼합물이 고온에서 소성변형(Rutting), 저온에서의 균열 (Crack)등의 파손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SBS(Styrene-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와 같은 폴리머를 혼합하여 아스팔트의 점탄성을 향상시키고, 오일류와 같은 첨가제를 활 용하여 저온에서 탄성과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고온과 저온의 성능을 용도에 맞게 개선한 아스팔트를 개질 아스팔트(Polymer Modified Asphalt)라고 하며, 도로의 품질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개질아스팔트 포장의 수요가 점 차 증가하는 추세로 아스팔트혼합물의 성능 향상을 위해 오일류를 활용한 폴리머 아스팔트의 물성 변화에 대한 연구 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3.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상용 폴리염화비닐을 개질하여 두 종류의 PVC 기반 이온교환용 고분자를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이후 개질된 두 이온교환 고분자를 활용한 전기방사 공정과 열 압착 공정을 거쳐 2차원 계면(2D-PVC-BPM)과 3차원 접합부 (3D-PVC-BPM)를 갖는 바이폴라막(BPM)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3D-PVC-BPM은 2D-PVC-BPM에 비해 우수한 물 분해 효율 및 안정성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300 mA cm-2의 고전류 밀도에서 3D-PVC-BPM은 2D-PVC-BPM가 나타낸 전위보다 4.4 V 낮은 8.05 V의 막 전위를 나타냈다. 더욱이, PVC 주쇄가 가진 내화학성 덕분에 3D-PVC-BPM은 가혹한 조건에서도 높은 화 학적 안정성을 보였고, 이는 4 M H2SO4 및 4 M NaOH 용액에 28일간 침지한 후 관측된 질량 손실이 각각 2.8%와 2.1%에 그친 것을 통해 입증되었다. 끝으로, 3차원 접합부가 3D-PVC-BPM에 맞물림(interlocking) 효과와 넓은 계면면적을 제공해준 덕분에 3D-PVC-BPM의 인장 강도는 36 MPa를 초과했고 신장률 또한 약 50%에 이르는 등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냈다.
        4,300원
        4.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시아ž태평양 지역의 석유 제품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해상에서 화학물질을 운반하는 탱커선의 운항이 늘어나면서 누출 사고 에 대한 우려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탱커선에 적재되는 화학물질 중 하나인 LPG는 비수용성이고, 폭발 하한계가 낮아 쉽게 폭발할 수 있기 때문에 해상에서 LPG 가스가 누출될 경우, 선박에서의 1차 사고뿐 아니라 인근 연안 지역으로 확산되어 2차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 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해양대학교가 위치한 연안 지역 인근 해상을 운항 중인 화학물질 운반선에서 LPG 가스가 누출되는 상 황을 가정하고, CFD 시뮬레이션을 통해 학교까지 누출된 가스의 확산 범위를 예측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선박 위치에 따라 북쪽, 동쪽, 남동쪽 해상을 운항 중인 화학물질 운반선에서 누출된 가스는 각각 8초, 15초, 12초 만에 연안 지역에 도달하여, 전체 면적의 1/4, 1/6, 1/5 만큼 확산되었다. 또한, 선박에 적재된 가스가 모두 누출된 이후에도 연안지역 내 가스 농도는 각각 15초, 33초, 36초 동안 인화성 범위를 유지하였다. 가스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을 분석한 결과, 누출구 크기가 풍속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사례 연구의 해석기법을 활용해, 연안 항로를 운항 중인 선박에서 누출된 유해 가스가 인근 연안 지역에 확산되는 범위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 으로 기존 대응 지침을 보완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200원
        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San Pedro Department to determine the impact of different soil management practices on sesame productivity. Different tillage methods (conventional deep tillage, minimum tillage, and no-tillage), crop rotations (monoculture, double, and triple rotation), various combinations of green manure, and appropriate doses of chemical fertilizers were studi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no-tillage method combined with crop rotation (corn-cotton-sesame) and fertilization had the highest productivity of 1,548 kg/ha. In contrast, the conventional deep tillage method without fertilization showed the lowest productivity with 614 kg/ha. Incorporation of summer green manures (Mucuna pruriens) in minimum tillage methods with fertilization significantly improved productivity (1,010 kg/ha) in comparison with the same tillage method and fertilization but without Mucuna (720 kg/ha), which highlights the synergistic effects of combining green manures with chemical fertilizers. The treatment of winter green manures consisting of black oat + white lupine and black oat + radish ha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the productivity of sesame with 904 and 900 kg/ha,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non-use of winter green manure and the use of chia, which had productivities of 695 and 298 kg/ha, respectively. The best chemical fertilization doses of nitrogen (urea 45% N), phosphorus (46% P2O5), and potassium (60% K2O) were determined through tests with increasing doses of each nutrient, maintaining 40 kg/ha as the base for the other two. The highest productivity was obtained with N, P, and K levels of 70 kg/ha each, resulting in productivities of 1,421, 1,522, and 1,486 kg/ha. However, the maximum profit compared to the input is obtained with doses of 50 kg/ha for N and 60 kg/ha for P and K, giving a productivity of 1,390, 1,510, and 1,421 kg/ha, respectively.
        4,500원
        6.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열유도상분리법으로 제조한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중공사막의 오염성과 화학적 세척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오염수는 소 혈청 단백질(bovine serum albumin, BSA)과 카올린(kaolin)을 이용해 제조하였으며, 차아 염소산나트륨(NaOCl), 구연산(citric acid), 황산(H2SO4)으로 화학적 세척을 진행한 후 뒤 표면 전하 분석기,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그리고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법(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X)을 통해 세 척 효율을 평가하였다. PVDF 분리막은 높은 내화학성과 열적 안정성을 가지는 분리막으로 화학적 세척을 진행한 결과 가장 좋은 효율은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세척한 것으로 그 결과 투과도는 793.2 L/(m2.h.bar)로 초기 투과량인 945.3 L/(m2.h.bar) 값과 비교하였을 때 약 84% 회복률을 보여주었다. 이는 수처리 공정에서의 막 오염 방지 및 세척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4,300원
        7.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reatment processes of drinking water, the use of disinfectants is essential for eliminating microorganisms and pathogenic viruses. Chlorine dioxide (ClO2)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disinfectants. To ensure its effective applica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and reactivity of ClO2 in drinking water treatment environments.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ects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light type, fluorescence intensity, and water quality on its stability. We also examined its reactivity with activated carbon and other inorganic compounds such as coagulants and hypochlorous acid. Findings revealed that ClO2 stability was influenced by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Typically, ClO2 is highly volatile. However, the rate of its volatility is independent of its concentration. As temperature and fluorescent light intensity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ClO2 showed a rapid decline. Additionally, the presence of activated carbon significantly reduced ClO2 levels. In contrast, the reactivity of ClO2 with coagulants and hypochlorous acid was negligible. These findings provide essential insights for optimizing the use of ClO2 in drinking water treatment facilities.
        4,000원
        8.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cessing of medicinal plants and mushrooms plays a crucial role in oriental medicin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potenc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processed under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120 to 180 °C) and times (10 to 20 minutes). Processed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including total phenol content,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y, NO assay, ROS scavenging capacity, and chemical composition changes. Antioxidant potency was highest with processing at 180 °C for 10 min and at 210 °C for 10 min. This enhanced activity is likely attributed to changes in compound functional groups due to heat processing, which in turn influences antioxidant activity. In contrast to antioxidant potency, chemical components, including ganoderic acid D, ganodermanonitriol, and ergosterol, showed decreasing trend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time.
        4,000원
        9.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국내에서 제조 및 유통되고 있는 209종의 수록 화학염색한지의 색상과 색 특성을 조사하고, 2개사로 부터 오방색과 오방간색과 유사한 화학염색한지의 색 견뢰도를 평가하였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국내 화학염색한지는 먼셀의 10색상이 모두 있었으며, R과 YR 계열 색상이 각각 17 %로 가장 많았고, 이어 Y (15 %), RP (13 %), PB (11 %), GY (10 %), P (5 %), G (5 %), B (3 %), BG (3 %) 계열의 순으로 청색계열의 색상이 가장 적었다. R, YR, G, B, RP 계열의 화학염색한지는 각 계열의 거의 모든 색상의 한지가 제조되고 있었으나, BG, PB, P계열 화학염색한지 의 색상범위는 다른 색상의 화학염색한지 보다 좁았다. 2개사의 오방색과 오방간색 화학염색한지에 대하여 72시간 자외선 조사처리에 의한 색 견뢰도를 평가하였다. 72시간 자외선 조사에 의해 색상이 변한 것은 B사의 자색 화학염색한지의 색상이 9.9RP에서 1.1R로 변한 것 외에는 없었다. 오방색과 오방간색의 화학염색한지에 대해 72시간 자외선 조사 후의 색차는 황색(btY) >> 벽색(btB), 유황색(mY) > 녹색(myG), 홍색(vpR), 자색(dpR) > 적색(srO) > 청색(sB) > 흑색(Bk), 백색(미염색한지 : Wh)의 순이었다. 오방색과 오방간색으로 화학염색한 한지안에서의 색 견뢰도는 황색이 가장 좋지 않으며, 흑색과 백색이 우수하였다.
        4,500원
        10.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로자는 작업중 발생하는 유해위험을 가장 먼저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주체이다. 기업 이 ESG 경영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자의 역할과 참여가 중요하 다. 특히 근로자의 작업중지는 급박한 위험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최후의 보루로서 산업현장에서 작동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학설비의 정비 및 보수작업 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근로자의 작업중지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작업중지 제도를 활성 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22년까지 18년간 발생 하였던 150건의 중대산업사고 중 정비ㆍ보수작업 중 발생한 총 54건의 사고를 분석하였 다. 정비ㆍ보수작업의 시작부터 사고라는 결과가 발생하기까지 사고요인인 사건(Event)과 조건(Condition)들을 논리적인 순서로 나타내고, 사고에 영향을 준 조건(Condition)들을 추론하여 직접원인(Direct Cause)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직접원인은 여러 명의 전문가 그룹(Focus Group)을 구성하여 직접원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위하여 계층화 분석법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분석을 통하여 최종 핵심 위험요인을 결정하였다. 최종 적으로 결정된 핵심위험요인은 최근(2023년) 발생한 사고사례에 적용하여 핵심위험요인 의 인지한 근로자가 작업중지를 실행하였다면, 사고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발굴된 핵심위험요인들은 사업주 책임경영의 일환으로써 화 학설비의 정비ㆍ보수작업 시 근로자의 작업중지 결정이 활성화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600원
        11.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eeder pipes of the primary cooling system in a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 (PHWR) are composed of carbon steel SA 106 GR.B. On the surface of this structural material, corrosion oxide layers including radionuclides are formed due to the presence of active species from water decomposition products caused by radiation, as well as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pressure environment. These oxide layers decreas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of the primary cooling system and pose a risk of radiation exposure to workers and the environment during maintenance and decommissioning, making effective decontamination essential. In this study, we simulated the formation of the corrosion oxide layer on the surface of carbon steel SA 106 GR.B, characterized the formed corrosion oxide layer, and investigated the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rrosion oxide layer using oxalic acid (OA), a commercial chemical decontamination agent. The corrosion oxide layer formed has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4 μm and consists of hematite ( Fe2O3) and magnetite ( Fe3O4). The carbon steel coupons with formed oxide layers were dissolved in 10 mM and 20 mM OA solutions, resulting in iron ion concentrations of 220 ppm and 276 ppm in the OA respectively. In 10 mM and 20 mM OA, the corrosion depths of the coupons were 8.93 μm and 10.22 μm, with corrosion rates of 0.39 mg/cm2·h and 0.45 mg/cm2·h, respectively. Thus, this demonstrates that higher OA concentrations lead to increased dissolution and corrosion of steel.
        4,000원
        12.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박직원법은 위험화물 취급에 대한 최소자격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과거에는 케미컬 탱커 직무교육 이수를 위해 필수적으로 승무 경력이 요구되었으나, 2023년 동 법 개정 이후, 승무 경력이 없어도 교육 이수가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교육의 성과는 개정 전에 비 해 낮아질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케미컬 탱커 직무교육에서 승무 경력 유무에 따른 교육 만족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이수 자격에서 승무 경력이 삭제된 이후 타 선종에서 케미컬 탱커로 이직자의 비율이 늘고, 승무 경력 유무에 따른 교육 만족도는 승무 경력자가 교육 운영, 교육설계, 교육효과, 강사 능력, 현업 적용 모든 측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현업 적용에서 가장 큰 만족도 차이를 보이고 교육설계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선상 직무교육의 인정, 시뮬레이터를 활용 한 교육 방법 및 승무 경력자와 무경력자의 토의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케미컬 탱커 직무교육 과정에서 승무 경력의 유무가 교육효과 에 미치는 실제 영향을 보여 주며, 향후 교육과정의 개선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4,000원
        13.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으로부터 해양으로 유입되는 퇴적물은 유역분지의 지질, 지리, 지형, 기후 등의 영향을 반영하며, 육상 유역분 지에서 퇴적물 생성 과정에서 수반되는 화학적 풍화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남해안 낙동강 하구 인근 해저 표층 퇴적물의 지화학 조성을 이용하여 화 학적 풍화의 강도와 퇴적물의 기원지에 분포하는 암석의 조성을 추정하였다. 연구 시료의 화학적 풍화 강도는 중간에 낮은 정도(평균 Chemical Index of Alteration=68)이며 A-CN-K 도표에서 추정한 풍화의 추세는 퇴적물의 기원지 성분 이 평균적인 상부 대륙지각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낙동강 유역분지에 분포하는 중생대 화강암류와 경상누 층군 퇴적암이 혼합된 성분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연구 대상인 퇴적물이 낙동강 하구로부터 유입되는 퇴 적물의 성분을 대표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표층 퇴적물의 희토류원소는 분화된 경희토류-중희토류의 비와 음의 Eu 이상 을 나타내어 상부 대륙지각과 매우 유사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전 세계 강 하구 퇴적물 자료 및 국내의 큰 강 자료와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지질 및 지형의 잠재적인 영향을 고려할 수 있다.
        4,000원
        14.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음식물류폐기물의 퇴비화는 경제적인 자원화 방법이지만, 염분함량이 높아 토양에 투입될 경우 염류집적으로 인한 작물 생육 피해가 우려된다. 바이오차는 양이온교환능력이 높은 물질로 염분피해가 우려되는 토양에 적용 시 Na+이온을 흡착하여 작물생육 피해를 줄여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바이오차와 혼합하여 제조한 음식물류폐기물 혼합 펠렛 퇴비(이하, 음폐혼합펠렛퇴비) 사용 시 배추 생육과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무기질비료 절감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처리구는 무비구(NF), 무기질비료 반량(NPK0.5), 무기질비료(NPK), 무기질비료+ 음폐퇴비(FWC), 무기질비료+음폐혼합펠렛퇴비(FWCB)이다. 배추 생육조사 결과, FWCB처리구에서 엽장, 엽폭, 구고 및 구폭 모두 가장 높았다. 수량조사 결과 8,300 kg 10a-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NPK처리구에 비해 무기질비료를 50% 사용하였으나 수량은 13.6% 높게 나타났다. 토양화학 성 결과 FWCB에서 EC는 0.59 ds m-1, 교환성 Na은 0.35 cmolc kg-1으로 다른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적정범위 이내였다. 본 연구결과, 음폐혼합펠릿퇴비의 사용은 작물의 양분 및 유기물공급 뿐만 아니라 바이오차로 인한 양이온 고정 효과로 작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며, 비료성분의 공급원으로써 배추의 생육 및 생산성을 증진할 수 있는 기술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5.
        202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도로포장 유지보수 과정으로부터 노화된 폐 아스팔트가 발생하며, 순환 아스팔트로서 재활용하기 위해 아스팔트 오일을 첨가제 등과 함께 혼합하여 노화된 아스팔트의 성상 회복 및 유동성을 개선하여 도로포 장 재료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아스팔트 오일의 사용은 저온영역의 성능 개선에도 영향을 미쳐 개질아스팔트 제작에도 활용하고 있으며, 개질 아스팔트는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SBR(Styrene Butadiene Rubber)등 고무계열의 폴리머와 오일 등을 원 아스팔트에 혼합하여 아스팔트 바인더의 공용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폴리머는 아스팔트의 고온 영역의 물성, 오일은 저온영역의 물성을 개선하는데 사용된다. 이 중 폴 리머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아스팔트에 사용하는 오일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 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오일의 사용으로 인한 아스팔트의 물성 변화에 관한 실험적인 검토가 필요 하다고 판단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