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녹색두부용으로 개발된 청두 1호의 녹색도를 증진시키고, 밥밑용으로 개발된 청자 3호의 소비촉진을 위하여 두부용으로 이용 가능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녹색두부의 녹색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미나리, 부추, 솔잎, 시금치와 쑥을 첨가하여 두부를 제조한 결과 모든 두부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과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이 유의하게 낮아졌다. 첨가물 중녹색도의 증진 정도가 가장 좋은 시금치를 녹색두부 제조에 이용하였다. 청두 1호와 청자 3호에 시금치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는 무첨가 두부에 비해 L과 a값이 낮았으며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와 조섬유 함량이 높았다. 시금치를 첨가한 두부의 물성검사 결과 무첨가구에 비하여 청두 1호는 경도, 검성, 응집성과 씹힘성이 유의하게 변하였고, 청자 3호는 탄력성에 차이를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두부 색에 대한 기호도는 청두 1호로 만든 녹색두부가 청자 3호 보다 높았으나, 시금치 첨가가 식미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녹자엽 콩을 이용한 녹색두부의 녹색도를 증진시키고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추후 이를 고려한 첨가량 설정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000원
        3.
        201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잠재적인 생균제제 Lactobacillus plantarum P1201에 의한 유색 소립콩 분말 두유의 젖산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총 페놀릭스와 이소플라본 함량 및 항산화 활성(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 환원력) 변화를 연구하였다. 콩 분말 두유의 발효 중 pH는 감소하였으나, 산도, 생균수 및 β-glucosidase 활성은 증가하였다. 총 이소플라본 함량은 풍산나물콩이 다른 유색 소립콩보다 함량이 높았다. 발효과정에서 배당체 이소플라본인 daidzin과 genistin 함량은 감소하였고 이에 상응하여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인 daidzein과 genistein 함량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특히, 발효 60시간 후 발효된 풍산나물콩 분말 두유의 daidzein과 genistein 함량은 87.37 μg/g and 51.29 μg/g으로 다른 시료들보다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페놀릭스 함량은 다른이 다른 유색 소립콩보다 함량이 높았다. 총 페놀릭스 함량은 색 소립콩 분말 두유의 젖산발효 중 0.44-2.92 mg/g(0 h)에서 1.79-3.03 mg/g(60 h)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끝으로, 발효된 콩 분말 두유는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 환원력은 각각 28.7-40.6에서 90-95.3%, 25.1-42.3에서 51.4-82.8% 및 0.73-1.54에서 0.98-1.79(OD593nm)로 증가하였다. 발효된 콩 분말 두유는 유색 소립콩의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다.
        4.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colored soybean variety ‘Jungmo3005’ was developed as a breeding parent. ‘Cheongjakong’ and ‘Geomjeongkong3’ were crossed in 2000. F1 and F2 populations were grown for 2 years and selected by pedigree method from F3 to F5. The preliminary yield trial (PYT) and advanced yield trial (AYT) were conducted from 2006 to 2007, and regional yield trial (RYT) in 9 regions was conducted from 2008 to 2010. ‘Jungmo3005’ is determinate, white flower, green cotyledon, green spherical seed and yellow hilum. Flowering date and maturing date were July 30 and Oct. 7, respectively. Other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Jungmo3005’ were similar to ‘Cheongdu1’, but it was more tolerant to lodging and shattering than ‘Cheongdu1’ at RYT field and indoor test. Although ‘Jungmo3005’ showed symptom of mosaic disease in inoculation test at greenhouse, it had high level of resistance to soybean mosaic virus and bacterial pustule diseases at field. The yield of tofu of ‘Jungmo3005’ was more than that of ‘Cheongdu1’. The mean yield of ‘Jungmo3005’ in RYT was 256kg/10a which was 97% of the yield of ‘Cheongdu1’. ‘Jungmo3005’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as a breeding parent to cross with other varieties and lines for creating colored soybean cultivars with tolerance to lodging, shattering and bacterial pustule.
        5.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tioxidant activity and multidrug resistance reversing activity in several Korean colored soybean (Glycine max Merr.) cultivars.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olored soybean cultivars was evaluated by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DPPH (1, 1-diphenyl-2-picrylhydrazyl) and ABTS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methods. By means of TBARS, cultivar "Jeonnam #1" showed the highest activity until 7 days, and followed by "Black #1", "Jinyul" and "Black #3", showing lower activity than that of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Methanol extracts of all cultivars proved tha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s dose-dependent. Methanol extract from cultivar "Jeonnam #1" showed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ollowed by cultivars "Black #1". MDR (multi-drug resistance reversing) activity, however, showed the highest effect in "Black #3" and the lowest "Black #1" cultiva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ed colors of soybea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antioxidant activity and MDR activity.
        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lored soybean for cooking with rice have been used traditionally in Korea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ther countries. Although many soybean cultivars have been developed for cooking with rice since the launch of the first cultivar Geomgeongkong1 in 1994, the breeding history of soybeans for cooking with rice is not quite long comparing to that of soybean paste/ bean curd and soy-sprout. In addition to developed cultivar, various landrace soybeans have still used for cooking with rice to Korea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lect useful breeding materials and to evaluate the diversity of Korean landrace germplasms, especially black and/or green color seed coat soybeans. About five hundred eighty Korean colored soybean landraces were investigated for agricultural traits in experimental field and for DNA diversity using five SSR markers which showed high polymorphism between Korean soybean cultivars in a previous study. PowerCore (v. 1.0) software (http://genebank.rda.go.kr/PowerCore/) was used to analyze diversity of our landraces and to construct core set. In conclusion, we could obtain core set of forty-five germplasms by PowerCore analysis. Satt002 in analysed five SSR markers had twenty-two alleles and well represented diversity of black and/or green color germplasms.
        7.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검정콩 종피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색소별 함량을 비파괴적으로 신속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NIRS(근적외선 분광분석기)를 이용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재료는 검정콩 유전자원 300 계통을 사용하였으며, HPLC에서 분석된 종피의 안토시아닌 함량치를 NIRS 스펙트럼에 적용시킨 후 검량식을 작성하였다. NIRS의 검량식을 몇 가지 방법에 의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1차미분된 스펙트럼을 MPLS(Modified Partial Least Squares)를 이용한 회귀식에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다. HPLC를 이용한 유전자원들의 성분 함량과 NIRS에서 도출된 검량식과의 상관계수는 C3G, D3G 및 Pt3G가 각각 0.952, 0.936과 0.833을 나타내었다. 이들 검량식은 validation file에서도 C3G와 D3G는 0.897, 0.849의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이는 NIRS를 이용하여 검정콩의 안토시아닌 함량을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8.
        200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has been believed that supplementation of human diets with soybean products markedly reduces human cancer mortality rates. Specifically the black colored soybean has been considered as having a medicinal effect since ancient times in Korea. Six genotypes of black colored soybean and a normal variety were investigated for their biological effect. While the isoflavone content of black colored soybean was higher than the normal soybean, saponin content of the seeds was not different among varieties. In the case of antioxidant activity, black colored soybean showed over 3 times increase in the active effect than the control variety. When feeding soybean extract, a general change of alcohol resolving effect, such as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blood and liver of rats.
        9.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variation of soybean seed proteins, 11S and 7S globulins, and their amino acid compositions among different colored soybean varieties, 'Danbaegkong' (yellow), 'Pureunkong' (green) 'Jinyulkong' (brown), and 'Geoumjeongkong l' (black). Soybean seed proteins showed a wide range in molecular size, but the electrophoresis patterns of total seed protein subunits showed a similarity among different colored soybean varieties. Amino acid compositions of total seed proteins were similar for all soybean varieties tested. However, soybean varieties showed low composition rates in sulfur containing amino acids. The composition rates of cysteine and methionine in the 11S globulins were higher than those of total seed proteins and 7S globulins. Glutamic acid and glycine were higher in the 11S and 7S globulins than those of total seed proteins. However, the levels of methionine and phenylalanine are high in the 11S globulins, but those of valine and lysin are slightly lower than the 7S globulins. By using HPLC, we tried to analyse the soybean seed proteins. The 11S globulin was composed of 10 major peaks whereas the 7S globulin was composed of 4 major peaks. The composition rates of 11S related proteins have a tendency to increasing during the maturing whereas those of 7S related proteins have a tendency to decreasing. Composition rates of each peaks among different colored soybean varieties suggested that soybean seed proteins are varied, although they showed similarity in the electrophoresis patterns, and understanding of this characteristics is important for the utilization of soybeans.
        10.
        199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각 지역에서 수집한 유색대두 계통에 관한 당함량변이와 그의 주요 특성과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색 대두 수집계통의 당함량의 변이는 최저 8.3%에서 최고 12.1%의 범위로서 평균 10.1%를 나타내었다. 2. 국내 지방수집 유색대두 1087계통에서 성숙군 분포는 O군 (--115일) 0.5%, 1군(116--123일) 1%, II군(124--131일) 5.7%, III군(132--139일) 16%, Ⅵ군(140-147일) 19%, V군(148--155일) 22%, Ⅵ군(156--163일) 14% 그리고 군(164--일) 19%로 나타났고, 대부분 III, IV, V, Ⅵ, Ⅶ군에 속하는 중ㆍ만생계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생종일수록 당함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그리고 각각의 지역에 있어서 성숙일수가 긴 성숙군 계통들의 당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종피색에 따른 당함량의 차이는 볼 수 없었고, 피분유무에 따른 당함량의 차이는 피분이 있는 계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유색대두 종실의 자엽색에 따른 당함량의 변이는 노란 자엽계통보다 녹색 자엽 계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전체 수결 계통에서 당함량은 단백질함량과는 부의 상관(-029** )을, 지방함량과는 정의 상관(0.21** )을, 고리고 성숙기간과는 정의 상관(0.36** )을 나타내었고, 각 성숙군내에서도 조숙계통을 제외한 각 성숙군 내 계통들에서 당함량은 단백질 함량 및 지방함량과 유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당함량과 알카리 붕괴도 간에도 유의적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11.
        198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80년 포장에 공시했던 38개 유색 대두종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그리고 관능검사치와 Texturometer Parmeter의 수치 및 종실의 화학성분 함량상호간 상관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식미성분은 종실중보다 품종별 특성에 영향을 받으며, 종실중 품종 상호작용 효과에 따라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2. 38개 공시 수집종중 전체적인 식미 수용도가 높은 10개종을 선발할 수 있었다. 3. 관능검사치, Texturometer측정치 및 종실성분간에는 형질에 따라 유의한 정 또는 부의 상관계수가 인정되었다. 4. 전체적인 유색 대두의 Overall-Acceptance를 Texturometer 요인들의 다중회귀로 산출한 결과, Cohesiveness와 Gumminess의 회귀계수가 컸으며, 소ㆍ중립은 Cohesiveness가, 대ㆍ특대립은 Gumminess가 컸다. Sensory 요인 중에서 Overall-Acceptance에 가장 높은 회귀계수를 보이는 것은 식후감이었다. 또 Y축(Acceptance Degree)은 대립 > 특대립 > 중립 > 소립의 순으로 높았다. 5. Overall-Acceptance에 대한 기여도는 소립ㆍ중립ㆍ특대립의 경우에는 Cohesiveness가 가장 컸으나 대립에서는 Hardness였으며, 관능검사치 가운데서는 일반적으로는 물렁이지 않고 씹히는 맛이 있는 특성들의 기여도가 컸다.
        12.
        198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정한 재배조건에서 생산된 38종의 유색 대두종실을 공시하여 종실의 화학적 조성과 Texturometer를 이용한 취반에 따른 물리적 변이를 분석 조사한 결과 다음의 경향을 알 수 있었다. 1. 대부분의 유색 대두는 황태에 대한 기존의 재래종 대두 분석결과보다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낮고 상대적으로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으나 종실중의 차이에 따른 종실성분의 변이는 일정하지 않았다. 2. 100립중이 25-30g인 대립군의 유색 대두종은 단백질, 지방 및 탄수화물의 함량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변이계수를 나타내었다. 3. 유색 대두의 Texturometer curve에서는 Hardnes, Cohesiveness, Elasticity만 반응을 보였고, Hardness는 종실중에 의하여, 기타의 Parameter들은 종실중 자체에 의하여 달라서 동일한 특성이나 종실중 내에서도 품종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4. Hardeness와 Elasticity는 낮은 C. V치를, Cohesiveness와 Gumminess 및 Chewiness는 40% 이상의 높은 C.V.치를 나타내었다. 5. Hardness, Elasticity, Chewiness는 상호간에 정상관을 보이는 반면 이들과 Cohesiveness, Gumminess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6. Hardness와 Elasticity는 탄수화물 함량과 정상관을 단백질 함량과는 역상관을 보였으며 Cohesiveness는 이들과 정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13.
        198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국에서 수집된 혼식용 유색대두 32품종에 대하여 조사된 21개 형질로서 분류적 거리와 Q 상관에 의하여 품종간의 유사정도를 계산하고 이들에 의하여 Single link clustering 방법에 의하여 dendrogram을 그리고 Q 상관에 의하여 10개의 품종군을 분류하였다. 각 품종군의 군내 Q상관은 군간 Q상관보다 높았으며, 각 품종군의 각 형질평균으로 보아 각 군이 특징있게 구분되었다.
        14.
        198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집된 재래의 유색대두종을 일률적인 재배조건하에서 종실특성 변이와 종실종군별 생육진전 및 수량형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유색대두 수집종들은 100립중을 기준으로 하여 20gr 이하의 소립중, 20-25gr의 중립중, 25-30gr의 대립종 및 30gr 이상의 특대립종 등 4개군으로 나눌 수 있었다. 2. 종실크기에 관련된 요인중 종실장과 종실폭의 변이는 종실후보다 크게 나타났다. 3. 종실중과 경중 및 주당협수 등의 형질들은 변이계수에서 생육일수나 결과일수 등의 형질보다 큰 경향이었다. 4. 생육일수와 성숙일수 및 개화시기는 립중군별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5. 개화기와 성숙일수는 경장 및 경중과 정의 상관관계를, 경장과 경중은 수량형질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주당협수는 100립중과 부의 상관을, 또한 수량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