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최근 전자기기의 발달로 인해 근거리 작업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안 건강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 에 따라 청광 차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방법 : 유해 광선 차단이 가능한 기능성 콘택트렌즈 소재 개발을 위해 reactive yellow 86을 안료 중합체에, 그리고 propyl gallate를 실리콘 하이드로겔 소재에 첨가제로 각각 사용하여 안 의료용 소프트 콘택트렌즈 제조에 적용하였다. 결과 : propyl gallate의 첨가량에 따라 접촉각이 68.25~42.50˚로 측정되었으며, 습윤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된 컬러 소프트 콘택트렌즈는 산소투과성 및 습윤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자외선 및 청광 차단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 reactive yellow 86 및 propyl gallate가 적용된 컬러 콘택트렌즈의 재료의 경우, 기본적인 안 의료용 하이드로젤 렌즈의 물성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우수한 자외선 및 청광차단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urge in food delivery systems during the coronavirus 2019 pandemic necessitated this study of heavy metal migration from food contact materials (FCMs). A total of 104 samples of FCMs, comprising 51 polypropylene (PP), 21 polyethylene (PE), and 32 polystyrene (PS) samples of six different types of FCMs (containers, covers, table utensils, cups, pouches, and wrappers) used for food delivery distributed in Korea, were collected and investigated for migration of three heavy metals (Pb, Cd, and As)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ICP-MS) to determine whether they complied with Korea’s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Utensils, Containers, and Packages. Acetic acid (4%, v/v) was used as the food simulant, and tests were performed at 100oC (in harsh conditions) for 30 min. Linearity of Pb, Cd, and As showed acceptable results with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value of 0.9999.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of Pb, Cd, and As were 0.001, 0.001, and 0.001 μg/L and 0.002, 0.003, and 0.003 μg/L, respectively. Accuracy and precision results complied with the criteria presented in the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 guideline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b, Cd, and As migration detected in a total of 104 samples was 0.009–0.260 μg/L, which was very low compared with the migration specification set in the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Utensils, Containers, and Packages. The maximum level of Pb corresponded to 0.23% of the migration limit. There were no samples exceeding the limit. Thu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heavy metal contents of FCMs used for delivery food distributed in Korea were safely managed. The data from this study represent an invaluable source for science-based safety management of hazardous heavy metals migrating from FCMs used in the food delivery industry.
        4,000원
        3.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report the micro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Ag-SnO2-Bi2O3 contact materials using a controlled milling process with a subsequent compaction process. Using magnetic pulsed compaction (MPC), the milled Ag-SnO2-Bi2O3 powders have been consolidated into bulk samples. The effects of the compaction conditions on the micro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have been investigated in detail. The nanoscale SnO2 phase and microscale Bi2O3 phase are well-distributed homogeneously in the Ag matrix after the consolidation process. The successful consolidation of Ag-SnO2-Bi2O3 contact materials was achieved by an MPC process with subsequent atmospheric sintering, after which the hardnes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Ag-SnO2-Bi2O3 contact materials were found to be 62–75 HV and 52–63% IACS, respectively, which is related to the interfacial stability between the Ag matrix, the SnO2 phase, and the Bi2O3 phase.
        4,000원
        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청색광을 차단하는 고분자를 합성하였고, 이를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에 적용시켰다. 제조된 콘택트렌 즈의 함수율과 청색광차단 기능을 청색광차단 고분자의 첨가량에 따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 Polyethyleneimine(PEI에 친핵성 치환 반응을 통해 청색광 흡수기능의 반응성 염료 (Procion Yellow MX8G)와 결합시켰고, 이를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에 적용시켰다. 콘택트렌즈의 청색광차단 특성은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 청색광 흡수기능의 반응성 염료가 성공적으로 PEI에 결합되었다. 청색광차단 고분자는 콘택트렌즈에 적 용되었으며, UV-vis spectra 분석을 통해 우수한 청색광차단 기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3일의 세 척과정 후에 청색광 흡수 염료는 더 이상 콘택트렌즈로부터 용출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청색광차단 고분자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제조와 분석을 수행하였다. 하 이드로겔 콘택트렌즈는 450~700 nm 사이의 파장에서 90% 이상의 광투과율과 우수한 함수율을 보여주었다. 특 히, 첨가된 청색광차단 고분자의 양이 증가할수록, 380~450 nm 사이의 청색광 파장에서 차단 세기가 의미 있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청색광차단 콘택트렌즈의 제조는 안의료용 디바이스 개발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5.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렌즈의 재질과 축안정설계가 서로 다른 3종의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이하 토릭SCL)에서 NIBUT (눈물막안정성 테스트)와 함께 축회전 정도 및 교정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안과 질환이나 안과 수술이 없는 19(38 안)명의 대상자에게 서로 다른 3종의 Toric SCL를 착용하게 하였다. 3종의 렌즈로는 이중쐐기형 디자인렌즈(A렌즈), ASD 디자인렌즈(B렌즈), 프리즘밸러스트 디자인렌즈(C렌즈)를 사용하였다. 눈물막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에게 3종의 렌즈를 착용시키고 Oculus Keratograph를 사용하여 NIBUT을 측정하였고, 교정효과는 안경교정 시력과 렌즈착용 시력을 비교 및 카메라가 장착된 슬릿램프를 이용하여 렌즈 착용상태의 회전축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검사는 렌즈 착용 20분 후(단시간착용), 8시간 후(장시간)에 실시하였다. 결과 : 교정시력은 A렌즈가 착용초기에는 중간정도를 보였고, 장시간 착용 후에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NIBUT의 결과 B렌즈는 착용초기 가장 우수하였으나(p<0.050), 장시간 착용 후에는 A렌즈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0). 축안정성은 착용초기 A렌즈가 가장 우수하였다(p<0.050). 그러나, 장시간 후에는 B렌즈가 우수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0). 결론 : 하이드로로겔 소재인 A렌즈는 교정시력은 가장 우수하였으나, 눈물막안정성이 착용초기 보다 착용시간이 흐를수록 낮아지는 경향은 장시간 착용으로 인하여 렌즈의 함수율 유지가 어려워지는 것이 요인으로 사료되며, B렌즈가 렌즈착용 초기에 하이드로겔 및 실리콘하이드로겔 보다 눈물막안정성 및 축안정성이 양호한 것은 표면에 습윤 처리와 축안정화 디자인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또한, 실리콘하이드로겔 소재 프리즘밸러스트 디자인의 C렌즈의 경우 안정된 교정시력을 보여 주었으나 눈물막안정성 및 축안정성의 결과는 가장 불량하였다. 이는 실리콘하이드로 겔의 표면 처리 방법의 보완이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6.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재질이 다른 두 종류의 한달 착용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를 착용 기간에 따라 렌즈 전면의 NITBUT와 자각적 증상을 비교하였다. 방법 : Samfilcon A와 Comfilcon A 렌즈를 32명(평균 23.5±2.92세, 여: 24명, 남: 8명)의 오른쪽 눈과 왼쪽 눈에 각각 착용하고, 대상자에게 3회 방문 (첫째 날 3시간 후, 1일 및 1주일 렌즈 착용 9시간 후)을 요청한 후, 고대비도(100%)와 저대비도(10%) 시력표를 이용한 시력검사와 Keratograph 5M (Oculus, Germany)을 사용하 여 렌즈 전면의 non-invasive tear breakup time (NITBUT)를 측정하였다. 콘택트렌즈와 관련 있는 자각적 증상은 5개 항목(불편함, 건조감, 시력 변화, 눈 감고 싶음, 렌즈 제거하고 싶음)으로 설문지 작성을 하도록 하였다. 결과 : 밝은 조명상태에서 검사한 고대비시력과 저대비시력, 그리고 렌즈 전면의 NITBUT는 Samfilcon A와 Comfilcon A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각각의 렌즈 착용 7일 동안 시력과 NITBUT 변화에서도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콘택트렌즈 착용과 관련된 5개 항목의 자각적 증상의 상대적 발생빈도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 이가 없었고, 렌즈에 대한 선호도에서도 두 렌즈 착용자들의 반응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각각, 40.6%, 37.5%). 결론 : 이 연구는 Samfilcon A와 Comfilcon A사이에서 pre-lens NITBUT와 자각적 증상에 대한 비슷한 임상 결과를 보여준다. 두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는 제조사와 렌즈 재질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렌즈 착용자들 사이에 서 두 렌즈의 차이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4,000원
        7.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폴리락타이드 재질의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에서 식품으로 이행될 우려가 있는 유해 중금속인 납, 카드뮴 및 비소의 이행량을 측정하고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에 유통중인 폴리락타이드 시료 총 211건을 수거하였다. 용출실험은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의 조건 에 따라 식품모사용매인 4% acetic acid로 하였으며 온도 조건으로 70oC와 가혹사용조건인 100oC 모두 적용하여 이 행량을 비교하였다. 납, 카드뮴 및 비소의 이행량은 모두 70oC보다 100oC의 조건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납 의 최대 이행량은 기준·규격과 비교하여 1.0%의 낮은 수 준이었고, 카드뮴은 모두 미량이 검출되었으며, 비소의 최대 이행량은 기준·규격 대비 3.9%의 낮은 수준으로 기준·규격을 초과하는 시료는 없었다. 이행량 결과를 바탕으로 납, 카드뮴 및 비소의 일일추정섭취량을 산출한 후 잠정주간섭취허용량 등과 비교하는 안전성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국내에 유통되는 식품용 폴리락타이드 기구 및 용기·포장을 통한 납, 카드뮴 및 비소의 일일추정섭취량은 2.5 × 10−5~ 2.0 × 10−3μg/kg bw/day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용출조건별로는 70oC, 30분에서 카드뮴의 일일추정섭취량이 가장 낮았고, 100oC, 30분에서의 납 일일추정섭취량이 2.0 × 10−3μg/kg bw/day로 제일 높게 나타났으나, 납의 위해도는 인체안전기준(25 μg/kg bw/week)과 비교시 0.055% 수준으로 매우 낮음을 확인되었다. 이를 통하여 국내 유통 폴리락타이드 재질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에서의 납, 카드뮴 및 비소의 이행량은 매우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 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재질이 다른 하루 교체용 소프트 콘택트렌즈(daily disposable soft contact lens: DDCL)의 자각적 증상, 타각적 증상 및 눈물막을 비교하였다. 방법: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33명(남: 2명, 여: 31명 ; 평균 21.94±1.58세)을 대상으로 재 질이 다른 세 종류(A;Nesofilcon A, B;Omafilcon A, C;Etafilcon A)의 DDCL을 단일맹검법을 사용하여 하 루 8시간 이상 2주 동안 양안에 착용하도록 하고 콘택트렌즈 피팅상태(중심잡기, 래그, 푸쉬업 검사), 자각 적 증상의 빈도와 정도, 타각증상 및 눈물막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세 종류의 콘택트렌즈 모두 피팅 상태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A 렌즈가 다른 렌즈보다 중심이 탈이 적고(p=0.000), 래그(Lag), 푸쉬업(push-up) 움직임이 적었다(p<0.01). 자각적 증상의 빈도(frequency) 와 정도(intensity) 평가에서는 재질에 따른 차이가 없었고, 타각적 증상은 A 렌즈가 다른 렌즈보다 결막충 혈과 염색(staining)이 더 많았고(p<0.05), NIBUT(noninvasive break-up time)와 TBUT(tear break-up time)는 A 렌즈가 다른 렌즈보다 길었다(p=0.000, p=0.008). 결론: 재질이 서로 다른 세 종류의 DDCL 착용 후 재질에 따른 자각적 증상은 차이가 없었고, 눈물막 안 정성과 타각적 증상은 차이가 있었으나 눈물막 안정성, 자각적 증상 및 타각적 증상 사이에 상관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4,200원
        9.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urrently there are two main categories of soft contact lens materials available in the market namely hydrogels and silicone hydrogels. This article provides a summary of the pros and cons of these materials and suggests a new type of material that could be a new direction for material development moving forward. Hydrogel lenses are biocompatible, hydrophilic, comfortable to wear, and have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However, the oxygen transmissibility (Dk/t) of hydrogel lenses is limited by its water content and the lens thickness. A higher percentage of water will provide greater oxygen transmissibility but high water content materials are also more prone to dehydration. Silicone hydrogels (Si-hys) were first introduced in 1999. Silicone was added to hydrogel to increase the oxygen permeability and eye care professionals had hoped that this material can resolve most of the issues related to contact lens wear. Si-hys have offered multiple times increase in Dk/t over hydrogels, but they have not reduced the incidence of microbial keratitis nor contact lens drop-out rate. In addition, si-hys are not perfect for every patient, they are generally stiffer (with higher modulus) and are more likely to induce ocular complications due to its mechanical properties. Si-hy lenses are also associated with lens surface issues and an increased risk of infiltrative events. The addition of silicone does not seem to be without problems. Si-hy is an important step, but not a big leap and definitely not the only choice for our patients. A new material called Hypergel was developed using the concept of bio-inspiration. Scientists have learnt from the eye and applied three bio-inspired features to make the material works like the eye. Firstly, hypergel has 78% of water content and that matches the water content of the cornea. Secondly, it meets the oxygen level the open eye needs to maintain healthy white eyes. Thirdly, it mimics the lipid layer of the tear film to prevent dehydration. Without the addition of silicone, this material can meet the oxygen need of the open eye and can resist dehydration.
        10.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 Recently, the eye disease associated with ultraviolet radiation were reported. In this study, the UV-block hydrophilic soft contact lens using 2-ethylhexyl trans-4-methoxy-cinnamate were manufactured and the optical properties of copolymerized materials were measured. Methods: The basic hydrophilic soft contact lens material with addition of Dhb(2,4-dihydroxy benzophenone) 0.5% ~ 1.0%, Thb(2,4,4-trihydroxy benzophenone) 0.5% ~ 1.0% and Hmb(2-hydroxy-4-methoxy benzophenone) 0.5% ~ 1.0% respectively were polymerized and the hydrophilic soft contact lens were manufactured by cast mould method. The lenses were stored in a 0.9% NaCl normal saline for analysis. Results: In the measurement of DHB samples, the optical transmittance showed the UV-B transmittance of 2.1 ~ 4.3%, UV-A transmittance of 19.0 ~ 27.2% and visible transmittance 88.8 ~ 90.1%. And also, in the case of THB samples, the optical transmittance of UV-B, UV-A and visible transmittance was 2.0 ~ 2.4%, 13.6 ~ 18.8% and 89.5 ~ 90.9%, respectively. Also, in the case of HMB samples, the optical transmittance of UV-B, UV-A and visible transmittance was 4.0 ~ 12.3%, 22.5~37.2% and 87.9 ~ 89.2%, respectivel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2-ethylhexyl trans-4-methoxy-cinnamate with benzophenone materials were suitable for use as a material to UV-block hydrophilic lens.
        11.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od contact packaging material should be stable and non-reactive with the food that it is in contact with, and must promote the safety of food. However, for a number of years, there has been evidence that indefinitely small amounts of chemicals could migrate or leach from food packaging materials into the foods they hold. The chemistry and toxicity of such leachates are well-known and documented; and there is a growing concern over the matter among the general public. In addition, food regulatory agencies are imposing more stringent regulations on the maximum allowable amounts of known leachates into foods in recent years. The majority of toxicity studies have revealed that trace amounts of leachates pose no immediate health problems in humans. However, studies on the effects of long-term exposure or synergistic/cumulative toxicity are still lacking. The present review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hemical nature and toxicity of certain leachates from various types of food contact packaging materials that are in wide use.
        4,000원
        12.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1,4-Butanediol 과 (±)-1,2,4-butanetriol 은 안구 내 사용되는 콘택트렌즈의 습윤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험은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에 1,4-butanediol과 (±)-1,2,4-butanetriol이 미치는 물리적 특성을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함수율과 접촉각을 측정하여 각각 비교하였다. 방 법 : 하이드로젤 렌즈의 주재료인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에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를 첨가한 조합을 기본 배합으로 하여 MMA(methyl methacrylate) 1%, AA(acrylic acid) 5%를 각각 배합하여 공중합한 조합으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기본조합 렌즈의 물성을 측정한 후 1,4-butanediol과 (±)-1,2,4-butanetriol을 1∼10% 첨가하여 공중합한 렌즈를 24시간 수화시킨 후 렌즈의 기본 물성을 측정하였다. 대표적으로 굴절률, 광투과율, 함수율, 접촉각, 인장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결 과 : HEMA, MMA, AA의 기본 조합에 1,4-butanediol과 (±)-1,2,4-butanetriol의 양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측정한 두 조합의 평균 함수율은 37.18~37.67%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굴절률은 1.4319~1.4328의 범위로 나타났다.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은 모든 조합에서 89.6% 이상의 투과율을 나타내었으나 자외선 차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첨가량에 따른 접촉각은 57.59°에서 38.28°로 감소하였으며, 인장강도는 0.2570 kgf에서 0.1677 kgf로 감소하였다. 결 론 : 친수성 물질인 1,4-butanediol과 (±)-1,2,4-butanetriol은 하이드로젤 렌즈의 기본적인 물리적 특성을 충족시키면서도 우수한 습윤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3.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reported the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of Ag- contact materials fabricated by a controlled milling process with subsequent consolidation. The milled powders were consolidated to bulk samples using a magnetic pulsed compaction process. The nano-scale phases were distributed homogeneously in the Ag matrix after the consolidation. The relative density and hardness of the Ag- contact materials were 95~96% and 89~131 Hv, respectively.
        4,000원
        1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기존의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재료와 공중합 하였으며,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고, 내구성이 높은 콘택트렌즈 고분자로서의 활용성을 알아보았다. 방법: 2-Fluorophenethyl isocyanate, 4-fluorophenethyl isocyanate, furfuryl isocyanate를 가교제인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를 사용하여 2-hydroxyethyl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와 공중합 하였으며, 개시제로는 azobisiobutyonitrile를 사용하였다. 또한 제조된 렌즈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함수율, 굴절률, 접촉각, 분광투과율, 인장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생성된 고분자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13.29~31.34%, 굴절률 1.454~1.499, 가시광선 투과율 78.0~91.5%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의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굴절률 은 증가하였으며, 함수율은 감소하였다. Furfuryl isocyanate를 첨가한 공중합체의 경우, UV-B 3.0~84.0%, UV-A 13.0~68.0%의 투과율을 나타내어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내구성이 높은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1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Cf/C-Cu ]composites were fabricated by infiltrating molten Cu into different Cf/C preforms prepared by chemical vapor infiltration, resin impregnation and carbonization. The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 that Cu in the composites filled the pores and showed network-like distribution. Compared with homemade J204 brush material and certain grade pantograph slider from abroad, the composites have higher flexural strength and better electrical conductivity. The friction and wear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are better than that of J204, and closed to that of the abroad material.
        3,000원
        16.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 view point of environment, the advanced electric contact material without environmental load element such as cadmium has to be developed. Extensive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electric contact material as a substitute of Ag-CdO contact materials. In the present study, powder metallurgy including compaction and sintering is introduced to solve the incomplete oxidation problems in manufacturing process of electrical contact material. The contact material, fabricated in this study, was actually set in an electric switchgear of which working voltage is 462V and current is between 25 and 40A, for the purpose of testing its performance. As a result, it exceeded the existing Ag-CdO contact materials in terminal-temperature ascent and main contact resistance
        4,000원
        18.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dditives in plastics are capable of migrating from the packaging materials into the foodstuffs, thereby presenting a source of contamination and a potential health risk to the consumer. The migration from packaging materials into foodstuffs is first of all regulated by examining the amounts of global and specific migrated components. Besides, there is worldwide still a need for practical methods for measuring and monitoring migration from polymers, especially for the testing of migration into fatty foodstuffs. Therefore, these studies were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safety status of domestic plastic packaging materials with respect to migration. Anothe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ethanol as an alternative fatty food simulant substituting for olive oil and n-heptane. The evaporation residues for various domestic plastic samples determined as described in Korean food laws were in the level from 4.3 to 14.5 mg/l, which were much lower than the limit value of 150 mg/l. The global migration values into 95 % ethanol showed to be comparable to those into n-heptane, while the olive oil migration values were comparably higher than those into ethanol or n-heptane and moreover they were not reproducible. The kinetic migration behavior of additives in polyolefin samples into 95% ethanol showed a Fickian diffusion proces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on global migration and kinetic testings demonstrate that the ethanol could be successfully substitute for the olive oil and n-heptane as an alternative fatty food simulant, at least in contact with polyolefins.
        4,000원
        19.
        199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lectrical contact property of the W-20wt%Cu contact materials manufactured by liquid phase sintering of nanocomposite W-Cu powders was investigated and discussed in terms of microstructural development during performance test. Nanocomposite powders were prepared by hydrogen reduction of ball milled W-Cu oxide mixture. They underwent complete densification and microstructural homogenization during liquid phase sintering. As a consequence, the W-Cu contacts produced from nanocomposite powders showed superior contact property of lower arc erosion and stable contact resistance. This might be mostly due to the fact that the arc erosion by evaporation of Cu liquid droplets and surface cracking remarkably became weakened. It is concluded that the improvement of anti-arc erosion of the composite specimen is basically attributed to microstructural homogeneit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