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YOLO(You Only Look Once)-Segmentation 기반 해양생물 탐지 모델의 성능 비교와 수중 이미지의 색상 왜곡 보정을 위한 딥러닝 모델 구축에 중점을 둔다. 탐지 모델 구축에는 Ultralytics에서 공식적으로 배포하는 YOLO의 버전별 객체분할 모델인 YOLOv5-Seg, YOLOv8-Seg, YOLOv9-Seg, YOLOv11-Seg를 활용하였으며, 22종의 해양생물 데이터셋을 사용해 동일한 학습 과정을 거쳤다. 이 를 통해 각 버전의 탐지 성능을 비교한 결과, YOLOv9c-Seg 모델이 정밀도(Precision) 0.908, 재현율(Recall) 0.912, mAP@50 0.943으로 가장 높 은 성능을 기록하며 최적의 모델로 선정되었다. 또한, 수중 환경에서 발생하는 색상 왜곡 문제를 해결하고 탐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CLAHE, White Balance, Image Filter 등의 RGB 요소 변환 기법을 적용한 PhysicalNN 기반 이미지 보정 모델을 구축하였다. 선정된 탐지 모델 과 이미지 보정 모델을 이용해 수중영상 내 탐지된 생물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Monocular Depth Estimation(MDE) 알고리즘과 거리 및 크기 측정을 위한 가이드 스틱을 활용하여 대상 생물의 거리와 크기를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단안 카메라 영상만으로도 3차원 공간의 해 양생물 크기와 이에 따른 체중을 간접적으로 추정하였으며, 향후 해양 생태계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기후변화는 연안지역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영향이 점점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바, 최근 기후변화 적응 및 리스크 평가에 있어 많은 연구들이 취약성과 함께 회복탄력성 개념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연안재해 회복탄력성 측정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측정 모형 개발에 앞서 연안재해 회복탄력성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검토를 통해 취약성과 회복 탄력성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함께 여러 피드백 메커니즘이 포함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작성하였다. 연안재해 회복탄력성 측정 모형은 네 가지 측정값(MRV, LRV, RTSPV, ND)과 연안재해 회복탄력성 복합 지수(CRI)를 포함하고 있으며, 개발된 지수는 국내 연안침식 사례에 적용되었다. 또한 지수 등급에 따른 지역적 분석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네 가지 회복탄력성 측정값을 통해 각 지점이 가지는 연안침식 회복탄력성의 다양한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안 회복탄력성 복합 지수의 매핑 결과 서해안 및 남해안 지역에 비해 동해 안 지역들은 연안침식 회복탄력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회복탄력성 측정 모형은 적응 이후의 이행전략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취약 지역 그룹 간 정책지원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이용 가능하다.
For the disposition of radioactive wastes generated from nuclear power plant, radioisotope inventory must be analyzed to determine an activity concentration of radionuclides. Radionuclides in low- and intermediate-low-level of radioactive wastes, however, can be easily classified to easyto- measure (ETM) and difficult-to-measure (DTM) nuclides. ETM nuclides are gamma emitting nuclides that is relatively easy to measure because they do not need to be destroyed for the preprocessing. On the other hands, DTM nuclides are alpha and beta emitting nuclides that need to be destroyed for the preprocessing and also need chemical separation. Currently, measurement methods for DTM nuclides are developed and in this paper measurement methods of Fe-55, Ni-59, Ni-63, Sr-90 and Tc-99 will be introduced.
Recent studies hav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erotic capital and luxury brands, which is essential to social success. However, limitations of such research have been noted due to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erotic capital. Therefore, in this study, we clarify the components of erotic capital and develop measurement tools to study the expansion of the base of luxury brands. To this end, a survey targeted 200 consumers who had purchased luxury brands within six month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ttraction value of individuals and expected social success increases purchases of luxury products. This study suggests that marketers of luxury brands based on traditional values should reflect the concept of erotic capital for product planning, promotion, and marketing to expand the consumer base.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의 긍정심리자본 개발 및 조직의 리더육성을 위한 긍정리더십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긍정리더십 역량모형을 바탕으로 후속 연 구를 진행하여 타당성이 확보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 절차는 DeVellis의 척도 개발 절차를 적용 하여 예비문항 개발 및 검증, 측정도구 검증 단계를 거쳐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3대 영역, 9개의 긍정리더십역량 구성요인의 측정도구로 사용할 예비문항을 개발하여 검증한 결과 4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측정도구 타당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인적재량 기준에 미치지 못한 문항이 삭제되었고, 유사한 개념끼리 통합되어 3대 영역, 7개의 긍정리더십 역량 요인, 24개 측정 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이후 공인타당성, 측정동일성 검증, 동일방법편의 검증의 과정을 거쳐 최종 확정된 긍정 리더십역량 측정도구는 개인영역은 자기인식, 긍정적 자기관리, 솔선수범 등 9문항, 관계영역은 구성원 존중, 구 성원 이해 등 8문항, 조직영역은 구성원 개발, 구성원 성과관리 등 7문항으로 총 2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변화되는 경영환경속에서 긍정리더십 역량 측정도구를 타당화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HRD 현장에 긍정리더십 역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인적자원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의가 있다.
Decommissioning plan of nuclear facilities require the radiological characteriza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decommissioning process that can ensur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decommissioning workers. By utilizing the rapidly developed ICT technology, we have developed a technology that can acquire, analyze, and deliver information from the decommissioning work area to ensure the safety of decommissioning workers, optimize the decommissioning process, and actively respond to various decommissioning situations. The established a surveillance system that monitors nuclide inventory and radiation dose distribution at dismantling work area in real time and wireless transmits data for evaluation. Developed an evaluation program based on an evaluation model for optimizing the dismantling process by linking real-time measurement information. We developed a technology that can detect the location of dismantling workers in real time using stereovision camera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developed technology can be used for safety evaluation of dismantling workers and process optimization evaluation by linking the radionuclides inventory and dose distribution in dismantling work space of decommissioning nuclear power plant in the future.
As Kori-1 permanently shut down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a large amount of radioactive waste will be generated during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plants. Radioactive concrete waste is contaminated up to depth of 100 mm with radionuclides such as 137Cs and 60Co. The radioactive waste should be accurately classified to reduce the cost of disposing of radioactive waste. Therefore, the specific radioactivity of waste must be precisely evaluated by gamma-ray measurements emitted from the radionuclides. In general, the effectiveness of the radioactivity measurement and process is confirmed using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CRM) composed of water or agar. However, the decommissioning waste differs from this CRM in apparent density and chemical elements, so the specific radioactivity is underestimated or overestimated. Therefore, reference material composed of the same apparent density and chemical elements as the sample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radioactivity measu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crete reference material for the nuclear decommissioning waste. The concrete reference material composed of SiO2, CaO, and Al2O3 were manufactured in compliance with ISO Guide 35. 10 bottles were randomly selected for homogeneity test, and 2 samples for analysis were taken from each bottle. The specific radioactivity was measured using an HPGe detector with an efficiency of 30%. The results of the homogeneity test of 137Cs and 60Co satisfied the requirements of ISO Guide 35. Coincidence summing and selfabsorption effects were corrected using the Monte Carlo efficiency transfer code and Monte Carlo NParticle transport code. The reference values of 137Cs and 60Co in the concrete reference material were evaluated in the range of 1,000–1,100 Bq·kg−1 and extended uncertainty was around 7%.
본 연구는 최근 기업 조직 내 급속도로 유입되고 있으며, 기업 경영 전면에 부각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들의 특성이 반영된 팔로워십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국내 대기업 밀레니얼 세대 팔로워십 역량 모형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진행하여 타당성이 확보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 절차는 DeVellis의 척도 개발 절차를 적용하여 예비문항 개발 및 검증, 측정도구 검증 단계를 거쳐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3대 영역, 14개의 팔로워십 역량 구성요인의 측정도구로 사용할 예비문항을 개발하여 검증한 결과 5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측정도구 타당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인적재량 기준에 미치지 못한 문항이 삭제되었고, 유사한 개념끼리 통합되어 3대 영역, 10개의 팔로워십 역량 요인, 44개 측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공인타당성, 측정동일성 검증, 동일방 법편의 검증의 과정을 거쳐 최종 확정된 밀레니얼 세대 팔로워십 역량 측정도구는 개인영역은 학습민첩성, 자기성찰 등 24문항, 관계영역은 공감, 협력 등 13문항, 조직영역은 조직목표추구, 변화감지 등 8문항으로 총 4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국내 팔로워십 역량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세대의 특성을 반영한 팔로워십 역량 측정도구를 타당화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HRD 현장에 밀레니얼 세대의 팔로워십 역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인적자원을 활용하는데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