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환경규제와 해외직접투자(FDI) 간의 관계를 재검토하고, 국가 간 거리(cross-national distance)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는 오염피난처가설(PHH)과 포터가설(PH) 사이 에서 상반된 결과를 보여왔는데, 이는 국가 간 거리 요인을 간과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2001~2018년 한국의 해외직접투자 자료를 활용하여 제도적․문화적․지리적․경제적 거 리를 포함한 패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환경규제는 FDI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포터가 설을 지지하였다. 집계분석에서는 제도적 거리가 부정적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산업별 분석에서는 이질적 패턴이 확인되었다. 제조업에서는 문화적 거리가 환경규제의 긍정적 효과를 강화하였고, 서 비스업에서는 지리적․경제적 거리가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ESG 시대의 맥 락에서 환경규제–FDI 관계를 보다 정교하게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기여를 제공한다. 실무적으로 는 기업이 환경규제를 혁신의 기회로 인식하고 산업별 거리 요인을 고려한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시사하며, 정책적으로는 제조업에는 문화적 학습과 기술이전 촉진, 서비스업에는 제도적 장벽 완화 와 규제 예측 가능성 제고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항공사의 환경교육이 환경관심 및 환경의식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환경교육이 환경관심과 환경 의식적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항공사의 친환경경 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자는 항공사 객실승무원 으로 하였다. SNS의 서베이폼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335부의 유효 표본으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정에 의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환경교육은 환경관심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환경교육은 환경의식적행동의 구매행동, 처분행동, 사용행동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 중에서 구매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관심은 환경의식적행동의 구매행동, 처분행동, 사용행동 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중에서 구매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항공사는 환경교육을 시간, 체험, 실무에 적용되는 내용으로 강 화하면 환경관심을 제고시키고, 환경의식적행동인 구매행동, 처분행동, 사용행동을 실천하게 되어 항공사의 지속가능한 환경경영을 위한 토대가 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환경교육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의 규명을 통하여 항공사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마케팅 방안을 도출하는 연구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국에서 일조시간이 가장 짧은 제주 동부지역의 저온기에 토마토 수경재배 온실의 광량, 습공기 및 근권 온도 특성을 분석하여 저온기의 저일조 조건에서 안정적인 과채류 생산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제주 시 구좌읍 김녕리 PO 필름 단동형 복합환경제어 온실에서 2022년 10월 30일-2023년 1월 31일, 2024년 11월-2025년 1월까지 2회 실시하였다. 온실 내부에 100W·m-2 이상의 광량 이 도달하는 시간은 2022-2023년의 경우 11월(9시, 114W)> 12월(10시, 110W)> 1월(11시, 104W) 순으로 1월에 11시로 가장 늦었으며, 2024-2025년의 경우 11월(10시, 107W), 12월(10시, 90W), 1월(10시, 104W)이 유사하였다. 일평균 누적광량은 850J·cm-2·day-1 수준 이상으로 측정된 날수가 2022년 11월, 12월과 2023년 1월에 각각 12, 6, 9일이었고, 2024년에는 각각 12, 9, 13일로 심각한 저일조 환경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2023년과 2025년 1월의 VPD 범위는 각 각 5.4-8.8mbar, 5.7-9.8mba로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었으 며 증산율은 VPD가 2.5배 낮아짐에 따라 Tr 값이 2배 감소하 였다. 배지 온도는 2023년 1월에 일출 후 시간당 0.2- 0.6℃씩 증가하여 16℃로 가장 높았다. 온실 내·외부 CO2 농 도차(Ci-Co)는 CO2 시비를 하지 않았을 경우 맑은날은 - 84μmol·mol-1(10시), 흐린 날도 0.2μmol·mol-1(14시) 수준 을 보였다.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저온기의 저일조 환경에 서 광량 부족으로 인한 낮은 근권 온도와 CO2 농도가 작물의 광합성과 생장에 제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이를 극 복하기 위한 기술적 대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hytoplankton play a vital role as primary producers in freshwater ecosystems, contributing to the nutrient cycle, energy flow, and ecological stability. To accurately assess phytoplankton divers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this study compared traditional microscopy and environmental DNA (eDNA) metabarcoding in six small lakes located in the Han, Geum, and Nakdong River basins in Korea. eDNA analysis identified 268 species from 161 genera, approximately 2.4 times higher than microscopy, which detected 113 species from 68 genera. The eDNA data were dominated by picocyanobacteria such as Synechococcus and Cyanobium, while microscopy primarily revealed larger taxa, including Stephanodiscus and Scenedesmu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based on Bray-Curtis similarity showed clear separation between the two methods, with average similarity values of 0.0326 (1st survey) and 0.0221 (2nd survey) at the species level. Only 6.8% of the 429 total species were commonly detected by both methods, while overlap at the genus level was 18.8%. Spatial heterogeneity in phytoplankton communities based on eDNA was also evident depending on the sampling location, with the centre of the surface showing the highest species richness and overlap, suggesting its suitability for biodiversity monitoring.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high resolution and sensitivity of eDNA metabarcoding in capturing phytoplankton diversity and highlight its complementary role in existing biomonitoring programmes. Further improvements in the quantitative reliability of eDNA-based assessments will require efforts such as copy number normalisation, methodological standardisation, and refinement of reference databases.
우리나라에 축산물을 수출한 국가들이 2022년과 2023년 에 제출한 2019-2022년 국가별 잔류물질검사프로그램(NRP) 자료를 바탕으로 축산물 유형별, 국가별로 잔류허용기준 을 위반한 동물용의약품과 환경오염물질의 현황을 분석하 였다. 가장 많이 위반된 잔류물질은 네오마이신 2 4 1건, 페 니실린G 183건, 겐타마이신 151건, 세프티오퍼 113건, 니카 바진 103건 등이였고 축산물별로는 소고기, 돼지고기, 가 금육, 우유, 계란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잔류 위반이 가 장 많았던 소고기에서는 페니실린G, 세프티오퍼, 플루니신 , 네오마이신, 벤질페니실린, 멜록시캄, 플로르페니콜, 질 파테롤 등 전염병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와 해열제 및 성장 촉진에 사용되는 동물용의약품이 주로 검출되었지만 , 돼지고기에서는 성장촉진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락토파민 과 항생제인 독시사이클린, 클로람페니콜, 벤질페니실린, 난드롤론, 티오라실, 스트렙토마이신 및 임신 촉진에 사용 되는 호르몬이 가장 흔하게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 금육에서는 콕시듐증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인 니카바진 이 가장 많이 위반되었으며, 스트렙토마이신, 아미노글리 코사이드 항생제, 벤질페니실린, 독시사이클린 및 기타 항 생제가 그 뒤를 이었다. 동물용의약품의 잔류 위반은 많 은 국가에서 보고되고 있으나, 다이옥신과 PCB와 같은 환 경오염 물질의 잔류는 주로 유럽 국가에서 보고되었다. 국 가별 잔류물질의 차이는 각국에서 사육되는 가축과 사육 관리 방식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소고기의 잔류 수준이 높은 것은 소는 다른 동물에 비해 질병 발생 시 개체별로 치료되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 결과는 수입 축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국가별, 축산물별로 중점 적으로 검사가 필요한 물질을 제시함으로써 매년 실시하 는 수입 축산물 잔류물질검사를 보다 과학적이고 효율적 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Loneliness, a well-established risk factor for mental health, has been strongly associated with low subjective well-being (SWB). However, less is known about potential boundary conditions that may ameliorate this ‘dark side’ of loneliness. Social connections are critical for SWB based on innate evolutionary traits; a lack of belonging was directly harmful to human survival in the past.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loneliness would exert a more pronounced influence on SWB when an individual’s need for others (i.e., a social resource) is perceived as high while simultaneously existing in a harsh environment. With a particular focus on urban residents in Seoul, who are presumed to be more vulnerable to loneliness, we examined whether feeling lonely matters less to SWB under 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As expected, a pilot study indicated that loneliness was less harmful to the SWB of individuals who perceived their surroundings as relatively secure and favorable. We then replicated the results in an experimental study by exposing people to cues of either a harsh (e.g., via scarcity cues) or a favorable environment.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후변화 불안감이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 및 실천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후변화 불안감 은 청소년의 태도 및 실천 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후변화 관여도는 이들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즉, 불안감이 클수록 기후문제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높아지며, 이 는 실천적 행동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기후불안을 교육 적·정책적으로 긍정적 행동 유도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Environmental DNA (eDNA) has emerged as a promising tool for aquatic biodiversity monitoring, yet its collection in lentic ecosystems remains technically constrained by filtration capacity and field logistics. In this study, we applied a novel eDNA concentration system, QuickConcTM, to evaluate freshwater mussel diversity in lakes, and compared its performance with the conventional GF/F filtration method.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reservoirs at surface, mid, bottom, and waterside layers, and processed using both filtration techniques. Metabarcoding of mitochondrial 16S rDNA revealed that QuickConcTM captured a higher average number of amplicon sequence variants (ASVs) and exhibited greater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indices (Shannon and Simpson),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QuickConcTM samples showed a greater capacity to detect rare taxa and to recover higher ASV richness in certain cases, suggesting its potential to enhance biodiversity resolution. Species composition remained consistent across methods, with Cristaria plicata and Sinanodonta lauta being dominant in both cases. However, slight spatial variations in species assemblages were observed between center and waterside sampling points, highlighting the influence of habitat heterogeneity on eDNA distribution. Overall,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QuickConcTM system offers a practical and efficient alternative to traditional filtration methods for eDNA-based freshwater mussel monitoring, particularly in environments with high suspended solids. The findings underline the need for adaptive sampling strategies that consider both method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s when designing eDNA surveys in lentic ecosystems.
Lakes and reservoirs represent key freshwater ecosystems that host diverse aquatic organisms and perform essential functions such as water cycling, nutrient retention, and ecosystem service provision. Due to their semi-closed hydrological structure and limited inflow-outflow dynamics, lakes exhibit complex biological communities shaped by regional climate, topography, and land use. However, these ecosystems are increasingly exposed to multifactorial stressors-including climate change, urbanization, nutrient enrichment, and invasive species-that are causing significant structural and functional shifts in aquatic biodiversity. This review provides an integrative overview of (1) the structur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ke ecosystems and the primary drivers of biodiversity alteration, (2) the ecological functions and bioindicator potential of key organism groups including phytoplankton, zooplankton, aquatic macrophytes,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and (3) the emerging role of environmental DNA (eDNA) metabarcoding in lake biodiversity monitoring. We highlight both the technical principles and challenges of eDNA analysis and discuss its potential to complement traditional survey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ecosystem health assessments. Positioned at the forefront of the 2025 special issue of Ecology and Environment, this article establishes a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 for a national-scale freshwater biodiversity monitoring framework in Korean lakes.
본 연구는 ESG 환경 공시 제도가 기후변화 대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법적 강제성 부족, 제3자 검증 미흡, 정보 비교 가능성 및 일관성 부족, 그리고 이로 인한 그린워싱 문제 등 여러 한계를 가진다고 지적한다. EU ESRS, 미국 SEC, ISSB 등 주요 공시 제도를 국제환경법적 관점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 ESRS가 이중 중대성을 통해 가장 포괄적인 환경 책임을 요구하지만, 전반적인 투명성 및 신뢰성 확보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문제 해결을 위해 공시의 법적 강제성 강화, 제3자 검증 의무화, 글로벌 표준화 및 국가 간 협력 증진, 중소기업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궁극적으로 ESG 공시 제도의 실효성 증대가 기업의 실질적인 환경 개선 노력과 기후변화협약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