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술가와 그의 일생은 공적 영역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의 일생은 역시 사려 깊개 다루어져야 한다. 이점에 있어 브랜다 매독스의 책 󰡔예이츠의 영혼: W.B. 예이츠의 내밀한 생활󰡕(뉴욕: 하퍼콜린사, 1999년)은 약간의 문제를 야기한다. 이 책은 그러나 예이츠학문에 기여하는 바가 상당히 큰 것 같다. 이 책은 한 예술가의 생활에서 비밀스러운 것을 알고자 하는 일반 독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즐겁게 만들 일에도 집중하는 것 같다. 지난 수십 년 간은 일개인의 사생활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변화가 있었고 어떤 것도 숨기지 않고 들추어낸다. 그렇지만 이 두 사람의 개인사를 이야기하면서 저자 메독스는 자신이 무엇에 대해 저술하고 있는 지, 더구나 이 두 사람의 이미지에 손상이 가는 것이 무엇일까에도 주의했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조지 예이츠의 그림은 우스꽝스럽고, 예이츠의 그림은 더욱 그렇다. 반면에, 이 책의 장점을 지적한다면, 이 책을 천천히 읽으면, 색인이 보여주듯이 얻는 게 많을 것이다. 즉, 예이츠부부가 자동기술 때 등장하는 넋(컨트롤)의 이름이 모두 섬세하게 정리되어 있다. 그리고 예이츠가 관계를 맺었던 모든 여성들이 (이 책이 전기이기 때문에) 주의 깊게 색인으로 정리되어 있다. 그리고 색인에는 많은 시와 극 등 작품들이 정리되어 있는데 예이츠의 생애의 흐름에 따라 맥락으로 사용되고 있다.
        4,000원
        3.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반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달리 특수한 욕구를 가진 아동을 대리양육하는 전문가정위탁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프로그램 개발 절차인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실무자, 위탁부모 대상의 FGI, 전문가 자문회의, 기존 가정위탁 부모교육 프로그램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전문가정위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동기부여, 전문성 제고, 관계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였고 전문가정위탁 제도이해, 위탁아동 발달과 특수욕구, 위탁부모 양육코칭, 가족 및 지역체계 파트너십의 4가지 핵심모듈과 12개의 대 주제가 도출하였으며, 전체 교육 프로그램은 20시간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예비 전문가정위탁 부모 150명을 대상으로 적용해 본 결과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 등에 대한 만족도가 5점 만점에 평균 4.9점(응답율 99%)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위탁아동 심리’와 ‘위탁가정 역할’ 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가정위탁제도의 전국 확산을 위한 표준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5,700원
        4.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ha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y 4.0) are inevitable in all areas of daily life, from government to healthcare and commerce, including the educational field. Education 4.0 brings potential challenges to schools around the globe, such as digital technology, personalized data, and a connected world. Thus, this paper presents a Mexican case study about a classroom enhanced with digital technology to study the challenges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s face to acquire and transmit the skills and competencies that Industry 4.0 requires. As a preliminary result, we found that the probability of students accepting this technology for learning is very high.
        4,000원
        5.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ver the last decade, e-commerce platforms for goods and services have been widely explored by the marketing literature. Coherently, e-commerce is emerging as a relevant distribution channel also in the wine industry. This notwithstanding, wine e-commerce platforms show a slower growth rate whether compared to other goods and services categories – such as electronic and digital products. This is particularly true in Italy where the total volume of e-commerce sales in the food and drink sector are less than 1% of the total online sal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mechanisms explaining consumers’ positive and negative intentions to purchase wine online. This will in fact allow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to wine industry marketers. Hence, this study proposes and empirically tests a conceptual model concerning the antecedents of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wine online. Specifically, the objective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that are specific to the context of the wine buying process. The 5 steps of the purchasing process – need perception, pre-purchase, purchase, post-purchase, intention of repatronage – are analyzed through eleven determinants such as risk aversion, convenience propensity, product information availability, degree of independence in purchasing, shopping enjoyment, channel layout, shipping conditions, loyalty intention, and free-riding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Italian 570 online consumers who habitually purchase wine onlin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ere used for testing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Results show that product information availability and convenience propensity significantly influence the digital channel selection and, consequently, loyalty and patronage intention. Building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wine industry should focus more on digital channels’ layout in order to better stimulate consumers’ loyalty and intention to provide positive feedbacks. Yet, it also emerged how this kind of channel is useful at most when targeting price sensitive consum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thus provid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marketing literature.
        6.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맞벌이 가정을 위한 돌봄교실 운영과 주5일제 수업 정착을 위한 토요방과후학교 활성화 등질 높은 방과후학교 운영이 요구되는 시기에 ‘꿈과 끼를 키우는 다양한 내실있는 체험중심 방과후학교 운영을 통해 학교에서 긍정적 정서와 습관, 가치 있고 의미 있는 활동에의 몰입, 좋아하고 잘하는 분야에서 의 자아실현 등으로 행복한 학교생활을 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실천 활동으로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체험중심의 여건 조성 및 다양한 프로그램의 내실있는 운영, 발표회 등이 행복한 학교생활 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천 전후 설문분석결과 체험중심 다양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내실 있는 운영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가 운영 전보다 높았고 체험중심 다양한 방과후학교 운영으로 학생들의 학교생활이 즐겁고 행복해졌다고 분석되었다. 분석결과에 대한 결론은 체험중심의 다양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여건 조성을 통해 학생의 꿈과 끼를 살릴 수 있는 다양한 방과후학교 교육활동이 추진되어 방과후학교 교육의 효과가 극대화 되었고 내실 있는 운영을 통해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외활동 등의 사교육을 학교 안으로 끌어 들여 공교육을 활성화시키고, 학부모로부터 신뢰받는 교육풍토를 조성하며,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다양한 방과후학교 교육활동이 이루어졌다. 또한 꿈과 끼를 키우는 체험중심 방과후학교 운영을 통한 행복한 학교 만들기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에 게 창의성과 소질을 계발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올바른 인성이 함양되어 행복한 학교생활을 하게 되었다.
        4,900원
        7.
        201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Joint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Jeju 4.3 Task Force on Social Healing Through Justice, proposed here, focuses on potential next steps in view of the strong sense of many that 4.3 reconciliation is "unfinished business." It proposes a creative yet practical way for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Jeju people to engage in collaborative 4.3 social healing. Together as Part of the proposed Joint Task Force, they might more fully implement past recommendations and chart and oversee next steps toward comprehensive and enduring social healing “by doing justice." ’This proposal is based on the National Committee’s now-translated Report and the insights of scholars and the work of many of you here, along with others deeply interested in social justice. Those of us not from Jeju, or South Korea, who appreciate your invitation to participate, humbly and respectfully offer this proposal for your consideration with justice in mind.
        4,000원
        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ngolia has 80% livestock of total agriculture industry, 170,000 farms are engaged, 2,500,000 of cows that were beef and dairy cows are raised. Despite of Mongolian has great application with milk, there are not clear differences between cow and dairy cattle, and the production of milk is also low. But the milk suppliers are varied (horse, sheep, goat, etc), so that the total milk production is 500 thousand ton per year. It's really considerable to improve the breed of owing to many problems with big differences among milk qualities. For carrying out for first year project, artificial insemination project was operated with 3rd grade Holstein semen that were imported from S. Korea, and initiation and field training were also carried out through appropriate AI technique we developed for Mongolia environment. Local information research and MOU conclusion were done with professor D. Altangerel in May , 2009, and development for AI technique and AI equipments were supplied for Mongolia breeding and natural environment in July in 2009. All cows were treated by synchronization for AI. To do this, injection were treated for luteal phase cow, if it wouldn't work, try again after 11 days. After confirmation of estrus, AI and AI training were carried out with sperm injection in the uterus or cervix by rectum-vagina method which is common worldwide, the most effective artificial insemination technique. If cows were return to next estrus cycle, second AI was carried out about approximately 21 days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After 2 months, all cows not showing return estrus should be taken pregnancy test. Every pregnant cow will be cared thoroughly. Total 48 cows administrated by for synchronization and after 48 hours 45 cows (93.8%) showing estrus were detected and then artificial inseminate them within who 8 cows (27.8%) showed return estrus. Therefore, Using for synchronization is effective to use for Mongolia breeding conditions. There are possibility of base for food production after all, including increase of livestock production in Mongolia by improvement of breeding cow with AI and embryo transfer project.
        3,000원
        10.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학연구를 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과학영재아들로 하여금 본연의 과학연구능력을 개발하고 구현하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영재교육의 목표이다. 여기서 과학연구능력이라고 할 때 과학연구의 요소는 무엇인가 살펴볼 필요가 생기며 하나의 과학연구가 존재하기 보다는 다양한 연구밥법이 공존한다는 입장이 더 설득력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능력의 다양한 측면과 특성을 알아보는 탐색연구이며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서 과학과정 능력 중 실험설계능력에 초점을 맞추었다. 물론 연구능력이라고 할 때에는 문제발견, 과학지식, 자아통찰 등 다양한 영역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설계능력을 보기 위해 1990년 Fowler가 개발한 Diet Cola Test를 국내의 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전국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 중 총 705명의 초등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연구대상이 되었으며 과학교육분야에서의 문제중심학습과 창의적 사고력이라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자료를 해석하였다.
        4,000원
        11.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A대학교 음악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유네스코의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페다고지를 기반으로 한 음악 수업을 구안ㆍ적용하고, 참여자들의 정체성 변화를 성찰함으로써 세계시민성 함양의 기제로서 음악 수업이 가지는 의미를 논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A대학교 음악교육과에 개설된 <창의ㆍ융합수업역량개발> 교과목의 목표를 ‘세계시민성 함양’으로 설정하여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을 적용해 총 2개의 수업을 설계ㆍ적용했고, 4명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수업 참여 관찰, 학생 활동지, 심층 면담, 성찰일지 등의 자료를 토대로 학생들의 변화 과정을 다각적으로 관찰ㆍ분석하였다. 질적연구 결과 분석을 통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 다. 첫째, 참여자들은 ‘갈등의 소리’ 창작 활동을 통해 갈등이라는 인류 보편적 문제를 ‘재발견’하고, 상생과 공존을 위한 변화의 주체가 다름 아닌 나 자신일 수 있음을 깨닫게 됨으로써 주체적인 세계시민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화해의 소리’ 공연 활동을 통해 개인이 공공선과 조우하면서 공동체적 삶을 진보시키고자 하는 실천적인 세계시민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음악 활동이 다원적 정체성을 함양하는데 윤활유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음악 교육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
        2019.05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long-term savings motives on fostering household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 to savings mechanisms in rural Vietnam. The paper is organized in five parts: introduction, data description, methodology, empirical results, and conclusion. The quantitative methodology is employed and three simultaneous estimation methods, including instrumental variable model, two-step model, and Heckman model are used to test these impacts as well as the robustness of results. In each model, the paper examines the impacts of independent factors on both household participation and household contribution to savings mechanisms. Two sets of independent variables: long-term savings motives (profit-making investment, accumulation for big expenditure, providing for old age, and cost of educations) and control variables (dependency rate, number of people in household, and household wealth) are in each model. A set of dataset of 2,314 households for analysis is obtained from household survey in rural Vietnam. Robust statistical findings indicate that profitmaking investment emerged to be the strongest motive fostering household participation to savings mechanisms while other long-term savings motives have little or no impact on fostering household participation to savings mechanisms. In addition, education investment encourages household contribution to savings mechanisms in rural Vietnam.
        13.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일상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유아의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이 지속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충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사립유치원 2학급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60명(실험집단30명, 통제집단3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을 12주동안 주 3-5회 유아 1인당 56회 실시 하였다.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의 경험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염현경(1998)의 한국형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검사(KPDSS)를 사용하여 집단 간 사전·사후·추후 검사 결과에 대해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사후 검사의 점수에서 사전 검사의 점수를 뺀 증가분을 t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상황 중 ‘비난·공격적 상황 접함’ 상황과 ‘불안·좌절감 경험’에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 집단 유아의 경우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을 경험한 10주 후에도 통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
        2011.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유아의 유치원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만 5세 유아 38명을 실험집단(19명)과 통제집단(19명)으로 하여 13주 동안 유아 1인당 주 2~3회, 총 31회의 실험처치가 이루어졌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른 유치원 일과운영에 맞추어 활동하였다. 그 결과,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유아의 유치원 적응과 하위요소 중 친사회적 행동, 유치원 환경에서의 긍정적 정서, 유치원 생활에서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문화 가정 한국어 교육 발전을 위해서 이를 담당하는 전문 교원의 육성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이 다문화 가정 한국어 교원의 전문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전제로 하여, 본고에서는 기존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과 다문화 가정 한국어 교원 육성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다문화가정 한국어 교원 육성의 주요 대안으로 온라인-오프라인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다문화 가정 한국어 교원을 육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