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

        41.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has increased in the 1990's. One particular fact is that many North Korean defectors are religious persons living in South Korea. Their motivation for accepting religion was that they had received various types of support from Christian missionaries and/or Christians in foreign countries, or in South Korea itself. This is the result of missionary work on their behalf. There were many who joined churches which had helped them when they came to South Korea. A few of them entered theological college or seminary. Among them some had theological education at underground seminaries in China and performed ministry for North Korean defectors. They entered theological schools for more systematic education. Some started theological education by themselves. Some began it because of North Korea mission. Some are practicing ministry for other North Korean defectors, while others have established churches. This is a very positive aspect for/by North Korean defectors themselves, and area of will continue as miss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after the reunification of Korea. North Korean defectors convey their difficulties in theological education, but express their need for it. Having a religious life and studying theology are different matters. Many of them stayed outside of the traditional school system for a long time. This makes them quite challenged when adapting to school life. Many also experience the difficulties of foreign languages, and different educational systems, which exis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students are lonely and need faithful friends. Although they study theology, they need counseling, to help them have balance and succeed in a new and different environment. Moreover, tuition is one of their real problems and often blocks them in their studies or ability to study. Most of them serve churches, as Sunday school teachers or serve on a North Korean Mission committee within the church. There are many churches in South Korea, but only a few provide these students with a meaningful position in the church setting. Although the students may experience trial and error, in their new life, it is necessary for them to be provided for in the ministerial fields. For their future and the future of the two Korea, it is important for them to have practical experiences of ministry in various fields. South Korean churches should face up to the fact that it is important not only send them to theological schools, but to also nurture them and train them to be faithful and Christ driven ministers. Before entering theological schools, North Korean defectors must seriously consider whether they have a conviction to study theology. Second, it is important for them to have a confession of faith that they live with Jesus Christ as their Savior. Third, they should hav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ology. Fourth, they must have healthy view of ecclesiology. Fifth, they should open their heart to serve not only in the North Korean mission field, but also in varied areas of ministry. Sixth, although it seems that North Korean defectors have a good Christian faith, it is not desirable to recommend North Korean defectors to study theology without considering their faith and calling. South Korean churches or other supporters should select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careful conversations and counseling. South Korean churches should nurture North Korean defectors as they grow in their Christian faith. Some of the churches will want to prepare them as future missionaries to their home towns after reunification. They will be in the vanguard of missionaries to North Korea after reunification. Their missionary work probably will be more effective than that of others who will enter the North for the first time.
        5,800원
        42.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지구과학회지』가 발간된 지 20년이 지난 이 시점에 우리 나라 지구 과학 연구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나아갈 방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지구과학회지』에 게재된 106편의 지구 과학 교육 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다. 양적 측면의 분석 결과, 지구 과학 교육 관련 연구가 최근 2년 동안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주제 측면에서 보면, 지구 과학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나, 우주 과학, 지질 과학, 대기 과학, 해양 과학 등의 ,세부 영역별 연구가 동일한 비중으로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연구의 대상 측면에서 보면, 교사보다는 학생 , 특히 고등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연구의 방법 측면에서 보면, 교과서나 교육 과정을 분석하거나 검사 문항 등을 활용한 조사 연구가 가장 많았고, 문헌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구의 내용 측면에서 보면, 교수/학습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반면 평가나 교사 양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4,000원
        43.
        199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n effort to invigorate French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m와‘es a diachronic investigation into French education in Korea. In this study, we will t빼e a look at French education goals and French textbooks, including the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over the year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problems of current French education and suggests some possible solutions. The problems in French education today include a decrease in the number of French leamers, the disparity between educational goals and reality, and the poor quality of the teachers. In response to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solutions: 1) smaller classes consisting of fifteen to twenty students, 2) the adoption of French listening-comprehension test in the college entrance ex없n, 3) the setting of realistic educational goals, and 4)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rench - i.e. French for special purposes - based on leamer’ s need.
        4,300원
        45.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은 미래 학습의 핵심으로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지만, 현행 교육 정책은 여전히 학생을 배제한 채 결정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터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시선으로 우리 고등학교 교육의 현실을 바라보고 미래교육을 예측하며, 학습자가 주도하는 프로젝트가 고교 교육에서 어떻게 적용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학생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담아내고자 본 연구는 학생 주도 프로젝트 실행 기법(Student Agency Driven Action Research, SADAR)을 구안하고 적용하였다. 경기도의 아홉 개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제안하고 만들어가는 교육정책’이라는 주제로 ‘미래교육 제안 프로젝트’를 실시한 결과, 고교교육의 현황 및 전망에 대하여 첫째, 배움의 목적과 학교의 의미, 둘째, 배움의 내용과 과정, 셋째, 배움의 방식과 평가, 그리고 사회적 관계, 넷째, 꿈과 진로, 그리고 미래, 다섯째 학교에서의 삶과 학생의 목소리의 총 다섯 개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향후 교육을 고민하고 미래를 전망할 때 학생들을 보다 적극적인 교육의 주체로 인식하는 노력이 요청된다.
        46.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점을 가정한 상황에서 미래 학교교육의 모습을 시나리오 기법을 통하여 예측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시나리오 기법은 확률론적 수정 경향 (probabilistic modified trends : PMT)’의 경향성 영향 분석(trend impact analysis : TIA)의 방법론의 틀을 준용하면서, 빅데이터 분석 및 전문가 검토 등을 활용하여 미래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미래 학교교육과 관련이 있는 1,139건의 논문과 457건의 칼럼 및 기고문 등을 수집하였고, 각 문서의 형태소를 추출하여 총 740,543개의 형태소를 통해 각 문서를 벡터 공간에 위치시켰으며 문서 간의 거리 측정을 통하여 군집분석 프로파일링 실시 후, 각 분야별 전문가를 섭외하고 협의회를 거쳐 최종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합이 가능한 시나리오는 총 27가지였으며, 이 가운데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세 종류의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세 종류의 시나리오를 종합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미래 학교교육에서 교사는 ‘학습자들의 다원화된 학습경험의 촉진자’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예견된다. 둘째, 미래 학교는 오늘날의 학교와 달리 지역의 ‘학습허브센터’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예견된다. 셋째, 미래의 학교에서 교육 운영체제는 학습자들의 ‘학습역량 이력’이 보다 중요해 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함께 추후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도 함께 제시하였다.
        47.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자의 개인적․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 이야기는 내러티브 교육의 현재와 미 래에 관하여 거창한 담론이 아니라 일상적 삶을 엮은 것이다. 그러면서도 이야기의 전반이 ‘내러티브의 한국화’와 ‘이야기의 글로벌화’에 초점이 맞춰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주제에 진입하기에 앞서서 ‘삶의 나눔과 짜임’이라는 내러티브에 대한 나의 가설적 생각과 믿음에 다가가고자 먼저, 과거로 회귀하여 나 자신의 기억 잔상을 부상시켜 플랫폼으로 구성하여 보았다. 그리고 난 후, 그동안 한국에서 이루어진 브루너 및 내러티브 관련 연구를 내 나름대로 개관하여 그 대강을 정리하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내러티브 교육 연구의 방향은 이론 도입이나 소개에서 벗어나 우리 교육계에서 일어나는 내러티브 교육의 실제로 나가야 한다고 제안하고, 보다 구체적인 세 가지 전략을 제시하였다.
        48.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언어는 사회 및 집단의 주요한 문화유산이자 소통의 도구이며 소속 구성원 간 이해와 연대의식, 소속감 과 애착을 형성하는 토대이다. 따라서 공존과 통합이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부상한 다문화 시대에, 다문화 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언어교육은 매우 중요한 정책 아젠다가 된다.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언어교 육 정책은 사회의 공식 언어를 교육하는 것과 학습자의 제1언어를 유지, 계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계승 어 교육 혹은 이중언어교육으로 구분된다. 공식 언어를 교육함으로써 사회 통합을 도모하는 동시에 제1언 어의 습득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개인이 지닌 교육적 자산을 최대한 활 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06년 다문화 교육이 정책 아젠다로 등장한 이후, 다문화 언어교 육 정책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많은 가시적인 변화와 성과를 달성해 왔다. 이제는 그간 축적 해 온 교육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정책의 전문화 및 세분화를 모색할 시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 구는 바람직한 다문화 언어교육을 위한 국가 정책 차원의 목표와 원리, 접근 방식 등을 제안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학습자의 언어 발달 원리를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일본․독일․캐나다․미국 등, 주요 국가의 다문화 언어교육 정책을 고찰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KSL) 교육과 이중언어교육의 현황을 검토하여, 정책 측면, 프로그램 측면, 운영 측면에서의 약점과 강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문화 언어교육 강화를 위한 방안을 교육 목표, 교육과정, 교수-학습, 운영체 제, 교강사 운영, 학교-가정-사회의 지원 체제별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49.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교사와 관련된 기존 연구의 동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련 연구를 위한 향후 과제를 제안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과 ‘교사’를 주제어로 국내 선행연구를 검색하여, 2003년부터 2013년까지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발표된 학술논문 212편을 내용분석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주제 측면에서는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교사의 개념 및 인식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연구대상의 측면에서는 유아교육 분야에서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연구방법의 측면에서는 양적 연구방법에 의한 연구가 주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으로, 본 연구는 연구주제의 다양화를 위한 학계의 노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기존에 널리 소개된 다문화교육 연구 분야의 주요 개념 및 사례를 한국적 맥락에 맞게 연구해 갈 필요가 있고, 연구대상의 확대를 위해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고등학교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관련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연구방법 간의 균형을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교사의 경험과 실천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50.
        201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innish research-based teacher education leans on the idea that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should be supported as a process continuing throughout the work career. The practical aspects and theoretical basis of teacher's work are seen as comple
        51.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spite of the importance of horticultural education for children, the contents and process of it was seldomly studied as yet. Moreover, the current changes of horticultural education was not considered in 7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the whole contents of horticultural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questionnaire for inquiring the need or necessity of it. Horticultural contents are divided as outdoor gardening of flower, ornamental tree, and vegetable growing and indoor gardening of foliage growing, green interior and floral design. In the subject of "Flower growing", it need more flower varieties for stimulating five different human senses and easy growing plants for actualization of education. "Vegetable growing" need more affective domain of educational goal as nutritional problem of children and give more enjoyment of self growing as harvesting. The importance of "Foliage plant growing" should be emphasized more in the future as the changes of life pattern of children. Various kinds of green interior should be introduced more in the contents of "Foliage plant" and plants which are specially effective for purification should be emphasized. In the questionnaire, management or cognition of horticultural education as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s ver po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very poor also and teachers specially want to incorporated hands-on activity and process based program as humanity education. The educational goal of horticultural education such as 'value and attitude" appeared most important among other goals. Indoor gardening and herbs treated most important categories in future focused curriculum of horticultural education.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