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유통 중인 콜라겐 제품 120건을 대상으로 중금속 4종(납, 카드뮴, 비소, 수은) 함량에 대해 조사하였다. 수 은은 금아말감화법을 이용한 수은분석기로 분석하였고 납, 카드뮴, 비소는 ICP-O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사 결 과 납의 평균 함량은 0.097±0.055 mg/kg이었고 건강기능 식품, 기타가공품, 음료류, 과·채가공품에서 각각 평균 0.108±0.052mg/kg, 0.084±0.053 mg/kg, 0.131±0.047 mg/ kg, 0.149 mg/kg 농도로 검출되었다. 카드뮴의 평균 함량 은 0.026±0.011 mg/kg이었으며 검출된 제품은 모두 건강 기능식품이었다. 비소의 평균 함량은 0.097±0.048 mg/kg 이었고 건강기능식품, 기타가공품, 과·채가공품에서 각각 평균 0.091±0.055 mg/kg, 0.133 mg/kg, 0.086 mg/kg 농도 로 검출되었다. 수은의 평균 함량은 0.0025±0.0016 mg/kg 으로 건강기능식품, 기타가공품, 과·채가공품, 캔디류에서 각각 평균 0.0012 mg/kg, 0.0028±0.0018 mg/kg, 0.0013 mg/kg, 0.0031 mg/kg 농도로 검출되었다. 중금속 기준·규 격이 있는 음료류(납 0.3 mg/kg, 카드뮴 0.1 mg/kg) 및 캔 디류(납 0.2 mg/kg)는 모두 기준 이하로 검출되어 적합하 였다. 기준·규격이 없는 제품도 국내외 식품의 중금속 기 준과 보고된 식품 중금속 함량과 비교하였을 때 비교적 안전한 수준이라고 판단되었다.
        4,000원
        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migrant and residue tests of lead (Pb), cadmium (Cd), nickel (Ni), arsenic (As), and antimony (Sb) in 70 tumbler samples. The migration levels of hazardous metals in all the samples were within the migration limits outlined in the Korea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utensils, containers, and packages. Moreover, in all the tumbler samples, only Ni was detected in 0.5% citric acid solution of a food stimulant. The maximum level of Ni 0.0144 mg/L was 14.4% of the migrant specification (not more than 0.1 mg/L), which was relatively safe. The 0.5% citric acid solution was eluted at 4oC, 70oC, and 100oC for 30 min, and only Ni was detected while testing for migration level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riations; all temperature conditions conformed to the standards. The level of Ni mig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migration temperature. Regarding the residue level outside the paint-coated tumbler samples, the Pb level was found to range from N.D. to 20638.1323 mg/kg. The risk of Ni was further estimated to be at a safe level of 0.00 to 0.01% compared to the %TDI as a result.
        4,000원
        4.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20년 경기도내 대형매장과 베이킹 전문매장 등에서 유통 중인 홈베이킹 조리기구 69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제, 불소수지(FR)제, 가공셀룰로스제, 고무제, 종이제, 금속제, 유리제)을 대상으로 유해금속 9종(납, 카드 뮴, 비소, 아연, 니켈, 안티몬, 게르마늄, 6가크롬, 알루미늄)의 용출량 및 알루미늄의 식품으로의 이행량을 조사하여 홈베이킹 조리기구의 안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홈베이킹에서 사용되는 69건의 조리기구는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의 용출규격 기준에 모두 적합하였다. 금속제의 니켈이 최대 0.009 mg/L 검출 되었으나 기준에 적합하였고 이외 유해금속은 불검출이었다. 규격 기준 이외의 금속에서 주로 용출된 유해금속은 알루미늄으로 7개의 재질에서 모두 용출되었으며, 4% 초산으로 용출된 종이제(1.417 mg/L)와 가공셀룰로스제 (5.069 mg/L)에서 높은 용출량을 보였다. 홈베이킹에서 주로 사용되는 조리조건인 180˚C, 30분 용출실험 결과,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에 따른 용출실험 대비, 종이제의 알루미늄의 용출량이 7.2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이외 납 등 다른 유해금속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180˚C, 30분으로 용출온도가 증가하여도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의 용출규격 기준에는 모두 적합하였다. 알루미늄의 위해도 평가결과, 종이제 > 금속제 > FR제 > 고무제 및 유리제 > PET제 및 가공셀룰로스제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위해도는 0.000-0.045% 수준으로 국민생활 건강에 위해를 끼치지 않는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홈베이킹 조리기구의 용출량 조사결과, 유해금속은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광주지역 커피전문점에서 유통되고 있는 커피류 중 주요 성분인 카페인과 커피콩의 로스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 성분인 benzo[a]pyrene, 그리고 중금속(lead, cadmium) 등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커피음료는 대형(12), 중형(13) 프랜차이즈 그리고 지역 소규모 커피 전문점(75) 등 100개 지점에서 총 114건(Americano 100건, Cold-brew 14건)을 구매하여 시험 검체로 하였고, 검체의 1회 제공량은 175-460 (Americano 220-460, Cold-brew 175-400) mL로 조사되었다. 커피음료의 성분 분석 결과 카페인은 0.25-1.49 mg/mL (72.58-290.18 mg/cup)으로 고카페인 함유 기준인 0.15 mg/mL를 상회하는 수준이었고, 1회 제공량 기준으로 일부 커피음료는 2잔만 섭취하여도 성인 카페인 최대 섭취 권고량인 400 mg/day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벤조피렌(Benzo[a]pyrene)은 ND-55.35 ng/kg (ND-15.22 ng/cup)으로 분석되었다. 현재 커피음료에 대한 벤조피렌 함량 기준은 없으나 다른 식품유형의 기준인 1.0 μg/kg(특수용도식품) 이하 보다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중금속은 납(Pb)과 카드뮴(Cd)이 각각 ND- 29.00 μg/kg (ND-8.4 μg/cup)과 ND-12.0 μg/kg (ND-4.7 μg/ cup)의 분포를 보였으나 대부분이 불검출로 확인되었다. 본 조사를 통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원두 추출 커피음료 중 벤조피렌과 중금속(납, 카드뮴)은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나, 카페인은 함량이 비교적 높게 확인되어 커 피음료 섭취 시 카페인 함량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소비자를 위해 향후 커피음료에 카페인 함량 표시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6.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삼과 산양삼의 부위별 중금속 분포양상을 조사하여 중금속 식이노출 저감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인삼과 산양삼은 지역별 배분을 통해 각각 14개 지역 및 5개 지역에서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각 부위별 중량 및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중금속 분석을 위해 microwave 장치를 이용해 전처리한 후 납, 카드뮴 및 비소는 ICP-MS로 측정하고 알루미늄은 ICP를 이용한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인삼의 겉껍질은 전체의 16.2% 중량비를 차지하였으며, 산양삼의 겉껍질 및 잔뿌리는 각각 전체의 21.8%, 16.8%의 중량비를 차지하였다. 각 부위별 중량비와 중금속 농도를 고려하여 각 부위별 중금속 분포도를 산출하였다. 인삼 및 산양삼의 겉껍질은 전체에 차지하는 중량비에 비해 높은 중금속 함유량을 보이고 있었으며, 인삼의 경우 납의 40.3%, 카드뮴 25.9%, 비소 47.6%, 알루미늄 89.9%가 겉껍질에 잔존하고 있었으며 산양삼의 경우 납 27.2%, 카드뮴 28.2%, 비소 48.3%, 알루미늄 56.8%가 겉껍질에 존재하였다. 알루미늄을 제외하고 산양삼의 잔뿌리내 중금속 분포량은 겉껍질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인삼 및 산양삼의 겉껍질을 벗기고 섭취 한다면 중금속 식이노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7.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1년 1-12월 서울시 가락농수산물시장에서 총 951건의 수산물(어류 34종 468건, 패류 17종 373건, 갑각류 10종 39건 그리고 두족류 등 11종 71건)을 대상으로 중금속 함량[average(minimum∼maximum), Unit:㎎/㎏]을 분석한 결과, Hg 0.025(N.D.∼0.19), Cd 0.288(N.D.∼1.85), pb 0.227(ND∼1.68)이었다. Hg의 경우, 패류[0.003((N.D.∼0.19)]>두족류 등[0.026(N.D.∼0.11)]>갑각류[0.026(N.D.∼0.09)]>어류[0.018(N.D.∼0.19)]순이었고, 가장 높은 함량은 미꾸라지(0.19)와 꼬막(0.19)이었으며, Pb의 경우 패류[0.223(N.D.∼1.38)]>어류[0.213(N.D.∼1.68)]>두족류 등[0.151(N.D.∼0.39)>갑각류[0.144(N.D.∼0.44)]순이었고, 가장 높은 함량은 미꾸라지(1.68)>빙어(1.44)>바지락(1.38)>뱀장어(1.35) 순이었다. 한편, Cd의 경우 패류[0.288(N.D.∼1.85)]중 가장 높은 함량은 꼬막(1.85)이었다.
        4,000원
        8.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alysis of hazardous heavy metals, such as Pb, Cd and As, was conducted from the porcelain dinnerwares. Total 374 samples of those products in the domestic market were purchased for the study. All the samples were extracted by 4% acetic acid solution, followed by the analysis with AAS(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As a result, Pb and As were detected maximum 8.63 ㎍/ml, 2.58 ㎍/ml, respectively. Cd was found in a sample as 0.10 ㎍/ml.
        3,000원
        9.
        201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azardous metals leach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various usage environments for camping cooking utensils distributed in the marke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migration for lead, arsenic, cadmium and nickel defending on the solvent and how to use, although they were all appropriate for criteria. In general, the migrated amount of aluminum was increased in acidic condition, and the migrated amount of arsenic was increased in salty condition. Physical scratches increased the overall release of hazardous metals from the portable pots and pans for camping in all solvents. Especially, in 0.5% citric acid solution, cadmium was migrated by physical scratch in stainless steel and hard aluminum pots and pans. The longer the leaching time, the higher the migration of aluminum in acid condition and arsenic in basic condition. From these results, it is desirable to use the cooking utensil for camping without being exposed to strong acidic or basic solution and scratches in order to reduce the migration of hazardous metals from them.
        10.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w and secondary waste materials from recycling products have been used to produce cements. A total of 10 cements produced from recycling products were analyzed for chemical composition, such as Na2O, MgO, Al2O3, SiO2, SO3, Cl, K2O, CaO, TiO2, Cr2O3, MnO, Fe2O3, CuO, ZnO, and PbO, using the Korean standard leaching test. The total content of toxic substances, such as Pb, Cd, Cu, As, Hg, and Cr(VI), present in each cement was also measured. The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cement leachates were also determined by measuring their pH values using an ion selective electrode and measuring the corrosion rate of a circular steel plate in each leachat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ements was found to be 60-67% CaO, 18-23% SiO2, and 5-6% Al2O3.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eaching tests, the samples did not exceed the prescribed regulatory leaching levels. The total content of toxic substances in each cement did not exceed the voluntary agreement criteria of 20 mg/kg. In the case of the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the cement leachates, the pH of each leachate was greater than 12.5 and the corrosion rate of a circular steel plate in each leachate did not exceed 6.35 mm/yr. The correlation between pH and the corrosion rate of steel in the solid waste leachates was difficult to determine.
        11.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are some problems of lacking the information on the safety of cement products and for determining harmfulness due to differences in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according to organizations. Thus, the harmfulness of heavy metals in cement products has been monitored by one time per month since August 2008 and the results have also been noticed for every month.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seven different heavy metals (Cr(Ⅵ), T-Cr, Cd, Cu, Pb, As, and Hg) in cement products collected from 11 factories of 9 manufacturers are verified for every month and changes in the concentrations are also compared with the cement products of Japan, Germany, USA, and China. The company, HO, in domestic companies represents the highest values in four items and AJ shows the next high values. Thus, regarding these two manufacturers, it is necessary to take an effort for reducing the concentrations of five heavy metals through considering the major and alternative raw materials for producing their cement products. the chrome conversion rates in domestic cement products are about 36.4 % and that exhibits higher rates about 16.0 % and 8.3 %, 2.3 and 4.3 times, than that of Japan and USA,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