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속성인 성별과 전공에 따라 패션 인플루언서의 특성과 팔로우 및 관계유지 사이의 관계성을 살펴보고 소비자의 성별에 따라 패션 인플루언서를 팔로우함에 있어 동성편중을 분석하는 것이다. 패션 인플루언서의 특성은 전문성, 호감성, 유사성, 친밀성으로 구분하였으며 특성이 지속적인 관계유지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SNS를 활발히 사용하는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통계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카이제곱 분석, t-test, 회귀분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남성은 인플루언서의 성별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여성은 여성 인플루언서를 유의미하게 팔로우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데 성별과 전공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전문성과 호 감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여성과 패션 비전공자는 친밀성 또한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관계유지를 위해 전문적인 지식 전달과 함께 소비자에게 호감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More than 5 billion people will use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by the end of 2024 and global influencer marketers reached USD 24 billion in early 2024. A regulation is thus needed to protect domestic consumers from the negative effects of global influencer marketing, such as deception, hidden advertising, and information uncertainty. Can the current legal framework effectively protect domestic consumers from misleading or deceptive and illegal advertising conducted by influencers through social media platforms from outside of their jurisdiction This essay first examines social influencing and explains how social influencers operate across national borders. It then discusses domestic legislation governing social influencers in China, Japan and South Korea and discusses why these domestic frameworks provide scant protection for consumers against false advertising and misinformation originating in another country. Finally, this essay proposes an international solution to a problem that will only increase size and severity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