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

        2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onggeom-ji is designated wetland protected area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in 2011 because of it’s high biodiversity and historic value. It contains a reservoir, paddy and forest site which has diverse niches for insects. Three transect lines of 50m were designated. Data were collected in May, October, November in 2017 represented as seasons for spring, summer and autumn respectively. Quantitative methods were conducted along each transect line by sweeping and pitfall trap. Based on this study total of 1079 individuals of insect fauna were collected, representing 170 species in 60 families and 8 orders. The highest diversity, richness and evenness index were observed in the forest site in May(4.77, 8.6 and 0.91 respectively) and the highest dominance index was observed in the forest site in November(0.64). The highest similarity index was observed in the reservoir site in May and August(0.519).
        2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상열차분야지도에는 단일한 시간이 아니라 다른 시간들이 한자리에 놓여있다. 천상열차분야지도라는 하나의 도면에는 다층의 관측시기와 제작(석각)시기가 공존한다. 특정한 천문현상의 관측시기와 그것을 제작 기록한 시기가 꼭 일치하는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필자는 천상열차분야 지도의 시기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물리적 시차뿐 아니라 제작자(편집자)의 인식의 문제를 고려해서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분석범위를 線으로 한정하였다. 주위를 두른 365개의 눈금선과 12궁을 나눈 線과, 28宿를 구분한 線과, 적도면을 그린 둥근 원과 그것과 교차해서 그린 황도면을 그린 원에 한정하였다. 내용상으로는 12궁도수와 황도적도교점에 한정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세 개의 시간 층을 발견하였다. 세 개의 시간 층은 전국시기의 전욱력, 한대의 사분력, 당대의 대연력에 해당한다. 역사의 흐름 속에서 보면 전시대의 시간들을 새겨서 보존하는 일의 여부는 후대 사람의 의식에 달려있다. 천상열차분야지도에는 서로 다른 과거의 시간들을 단절하지 않고 한자리에 놓기 위한 의도를 지니고 있었다. 그래서 과거의 원형과 기록을 다 잘라버리고 새로 시작하는 방식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현재에는 더 이상 부합하지 않더라도 오래전 사용되었던 원형을 담아주고 싶었던 방식을 택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천상열차분야지도의 12궁도수에는 전욱력 시절의 천문 원형이 담겨있다. 천상열차분야지도의 황적교차점에는 한 대와 당대의 천문원형이 담겨있다. 비대칭이 되는, 과학의 실측차원에서만 보면 이상한 도형이 산출되었다. 그러나 또 다른 관점으로 해석해보면 문화의 원형을 보존함으로써 미래로 전하고자 하는 원형보존의식이라 할 수 있다.
        6,600원
        2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조사는 채집방법에 따른 곤충군집을 비교하기 위해 공검지 습지보호지역 내에서 쓸어잡기, 함정트랩, 버킷트랩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조사 시기는 5월 15~16일, 8월 3~4일, 11월 6~7일 총 3회 실시하였으며, 조사는 보호지역 중심부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세 방법으로 총 7목 51과 110속 120종 14,717개체가 채집되었다. 채집방법별로 쓸어잡기에서 4목 25과 36속 37종 331개체, 함정트랩에서 3목 12과 18속 19종 30개체, 버킷트랩에서 6목, 38과 76속, 84종, 14,121개체가 조사되었다. 군집 분석결과 다양도 지수는 쓸어잡기가 3.6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풍부도 지수는 버킷트랩이 8.6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사도 지수는 세 방법이 서로 0.2이하로 매우 낮았다.
        24.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 「정지용 가톨리시즘의 역사적 재난에 대한 대응」의 목적은 정지용종교시의 역사적 대응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 논문은 세계 가톨리시즘 문학의 계보에서 정지용의 종교시가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을 계승한 것으로 보는 데서 출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2장에서는 하이데거의 『종교적 삶의 현상학』을 원용하여 정지용 종교시의 ‘고통’과 ‘비애’의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1절에서는 「임종」과 「은혜」의 해석을 통해 인간은 자신의 삶의 본질에 다가갈수록 고통을 느낄 수밖에 없으며, 고통의 극한에서 신을 요청하는 것으로 보았다. 2절에서는 「비극」과 「불사조」의 해석을 통해 종교시의 비애는 구원을 통해 기쁨을 얻게 되는, 역설적 비애인 것으로 보았다. 나아가 3장에서는 종교시의 역사의식의 의미를 논구하였다. 1절에서는 「갈리레아 바다」, 「그의 반」, 「슬픈 우상」 이 현해탄의 역사적 의미를 종교적 상상력으로 극복한 것으로 보았다. 2절에서는 「승리자 김안드레아」, 「다른 한울」, 「또 다른 태양」, 「나무」에 나타난 순교의 역사적 의미를 밝혔다. 결론적으로 정지용의 가톨리시즘은 역사적 재난 가운데서 인간의 내면을 옹호하였음을 밝혔다. 나아가 한국의 가톨리시즘 종교시에 대한 연구를 차후과제로 남겼다.
        5,200원
        25.
        2018.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法華寺十一面觀音菩薩像은 높이 100cm의 입상으로 한그루 의 비자나무(榧)로 된 9세기 檀像풍의 일목조상으로 알려져 있다. 본 상에서 특징적인 것은 얇은 동판을 잘라서 鬢髮과 垂髮이 바람에 나부끼는 것같이 표현된 점인데, 마치 이와 대 응하는 것처럼 바람에 펄럭이며 뒤집힌 천의의 끝단 표현도 훌륭한 조각 기법으로 완성되어 주목된다. 이와 같은 이른바 風動表現에 관해서는 중국 당대 화가 吳道玄의 화풍을 답습 한 결과라고 한 井上正의 견해가 정착되었다. 그런데 본 상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光明皇后연고인 東大 寺아미타당에 안치된 檀像十一面觀音像(현존하지 않음), 혹 은 紫微中臺十一面悔過所의 畵像本尊(현존하지 않음)의 模刻 이라고 하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원래 光明皇后의 십일면관음 신앙은 아미타신앙과 결합한 신앙으로, 8세기에 제작된 東大 寺아미타당상이나 紫微中臺畵像本尊도 황후의 아미타신앙 과 밀접하게 관련하고 있으며 陀羅尼集經에서 말하는 阿彌 陀佛輪印法과 같은 수행법인 同經에 게재된 掐數珠印제11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생각된다. 그렇다고 한다면 法華寺 像에서 보이는 吳道玄풍의 풍동표현이나 未開敷蓮華등을 조 형화 한 광배는, 아마타불의 극락정토에 서있는 십일면관음을 표현하기 위해 고안되었다고 생각되는데, 光明皇后에 얽힌 설 화에 물든 法華寺像도 황후의 십일면관음신앙의 계보를 잇는 상으로 원래는 法華寺아미타정토원 금당에 모셨다고 하는 선행연구는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法華寺像의 풍동표현 이나 광배 장식은 光明皇后의 십일면관음신앙의 성격을 전해 주고 있다고 보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특수한 표현은 紫微中 臺畵像本尊등에서 이미 채용된 표현을 法華寺像이 답습한 결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예전부터 추정된 것처럼 法華寺像 은 여전히 光明皇后연고의 십일면관음상의 모각이었을 개연 성이 높다.
        7,700원
        2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Chinese character “jì (既)” in pre-Qin period. The research focuses on the font change of jì (既) in pre-Qin period. Throughout the discussion, the understanding of jì (既), including of different fonts, such as , , can be known. We can know that the pronunciation of jì (既)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qì (氣), according to the use of related characters, for example, ài (㤅), jì (䊠), xì (餼) and so on. Talking about the meaning, there are seven meanings of jì (既), such as finish eating, end, whole, already, since, jì ér (既而, soon afterwards), jì yǐ (既以, farther), xì (餼, foodstuff). The results will be beneficial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academic writing materials and expand Warring States research in other aspects.
        5,100원
        2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지영의 『도가니』는 구별짓기와 차별의 문제를 고발하고 있다. 그리고 작 품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장애인에게 가해진 학대와 폭력을 현실 비 판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그러나 작품 속에 나오는 장애에 대한 심층적 해석 은 장애인 당사자들의 입장에서 장애의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가능하다. 장애인 들은 신체적 혹은 지적 장애로 인하여 자신들만의 독특한 삶의 경험을 가질 수 밖에 없고, 따라서 사회에서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 특별한 방식을 취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작품 속에 나오는 많은 비장애인들은 장애인에 대한 비합리적 의 사소통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다수의 종교인들 역시 종교 공동체의 명분과 안 위를 최우선의 가치로 설정함으로써 사회문제에 대하여 비합리적 태도를 견지 한다. 부도덕 사회에서 비장애인들의 비합리적인 의사소통 방식 그리고 종교는 장애인의 합리적 의사소통을 가로막는 사회적 장벽으로 작동하고 있다. 『도가 니􋺸는 장애담론을 바탕으로 의사소통에 있어서 보편청중의 역할을 강조하는 동 시에 인간 존엄성의 궁극적 가치를 문학적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욕 망의 극대화를 최우선적 목표로 설정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장애담론은 인간 존엄성 회복을 위한 대항담론으로서의 가치를 지닐 수 있다.
        5,800원
        28.
        2016.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m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undergo tang、song、jin and yuan dynasty, to the Ming and qing dynasties, heated kang is widely used in residential house lay and heating facilities in Beijing and Hebei areas folk house. In this paper, by collating relevant historical facts to follow Beijing and Hebei area is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necessary historical explanation.
        3,000원
        29.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pter One (甲篇) of Yin Yang Wu Xing in “The Compilation of Mawangdui Silk Manuscript” (《長沙馬王堆漢墓集成》), which has been seriously damaged, still needs further adjustments. From line 1 to 16 (Jicheng Vol.1 p250-251) in Zhu Shen Ji Xiong, we delete two silk pieces and move 2 other pieces according to the Fan Yin Wen (反印文) in Chapter Xi (徙), Tian Di (天地) and Nv Fa (女發) (Ji Cheng Vol.1 p244-245). Some pieces have been added. New transcription can be given by those adjustments. We notice that figures in this chapter were pieced and numbered mistakenly. Some line numbers of transcriptions do not match their figures. In addition, some texts that can be read together were separated.
        6,000원
        30.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m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undergo tang、song、 jin and yuan dynasty, to the Ming and qing dynasties, heated kang is widely used in residential house lay and heating facilities in Beijing and Hebei areas folk house. In this paper, by collating relevant historical facts to follow Beijing and Hebei area is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necessary historical explanation.
        3,000원
        31.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understand Xǔ Shèn’s 許慎 contribution to the analysis of the Chinese writing system,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terminology he uses in his Shuōwén jiězì 說文解字 (100 AD). In this paper I shall focus on the term shěng 省. Scholars who have studied the problem of shěng 省 in Shuōwén usually tried to reveal the mistakes either made by Xǔ Shèn or added later to the tex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clud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graphs in traditional liùshū approach, paleography, as well as phonological reconstructions. i Most of these authors may be right in their critical investigation of shěng 省, there are indeed many mistakes in Xǔ Shèn’s graphic analysis, but none of them considered the problem as a whole or tried to understand what was the real reason for Xǔ Shèn to use this term. Shěng 省is a rather complex term with different significations, such as ommission, abbreviation, fusion, etc. I shall first clarify the meanings and uses of shěng in Shuōwén, before trying to understand why Xǔ Shèn needed this special term. We will see that despite many mistaken graphic analysis, already described by Chēn Shìhuī 陳世輝 (1979), Qiú Xīguī 裘錫圭 (1988), and others, shěng 省was an important tool for Xǔ Shèn’s methodological approach to the Chinese writing system that also shows his deep knowledge of the evolution of the script.
        8,000원
        33.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Xin Qi-ji advocated war through all his life, he contacted with those elite society to get the opportunity to win favor and vote his Against of the Jin Dynasty. However, he suffered a lot of attacks and plots of the reconcilable party, since his special identity and their Government's corruption. In his homebound and official career for about sixty years, Jiaxuan leaved much wealth for others. This article analys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Jiaxuan, combined with expressions of his life, and put forward to the opinion about his poem style.
        4,800원
        3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00원
        35.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在《2011年香港中學會考(中國語文)考試報告及試題專輯》指出:「基本文言字詞和句式仍然是閱讀能力的基礎。」即是說在學習文言文的時候,我們應以基礎為本,而文言文中虛詞的學習就是最基本的導入。 《史記》正正蘊含了大量豐富而簡單的虛詞,實在是非常作為教材教導學生;因此本研究以「之」、「乎」、「者」、「也」四個虛詞作為教學研究重點,並透過對筆者任教的一班中四級學生(18人)進行相關的教授、測試及問卷調查,以探討《史記》作為文言虛詞教學的成效。 結果顯示,以《史記》作為文言文教授的材料及工具,能使高中學生更容易掌握虛詞的運用,並且亦能有效提升學生的基礎文言能力。
        36.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楚辭‧天問》向來號稱難解,這有許多方面的原因──全篇多為問句,且句式以簡短的四言為主,使得問意更加隱晦難明;而篇中提及的神話及古史傳說,有些或已湮滅;此外,簡冊編連是否有錯亂、歷代傳抄是否有訛誤,也值得考慮。本文即擬討論〈天問〉中兩處可能屬於傳抄訛誤的問題:一是「該秉季德」的「季」,二是「胡終弊於有扈」的「有扈」。前者傳世文獻皆寫作「冥」,後者則應為「有易」。本文將根據新出楚簡文字的形體,對〈天問〉可能的致誤之由提出解釋。其中,「季」的問題較為複雜,還牽涉到甲骨文中殷先公的稱號,本文亦將一併討論。
        3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금강 지류인 충남 청양군 지천의 어류군집 및 멸종위기종 미호종개와 흰수마자의 서식현황을 파악 하기 위하여 2011년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천 상류(St. 1~St. 4)는 하천형이 Aa-Bb형 또는 Bb형이고 하상구조 는 자갈과 돌의 비율이 높았으며 10~23종의 어류가 서식하였고, 중류(St. 5~St. 7)는 하천형이 Bb형이고 하상 구조는 돌과 큰돌의 비율이 높았으며 16~23종의 어류가 서식하였으며, 하류(St. 8~St. 10)는 하천형이 Bb-Bc형이 고 하상구조는 모래의 비율이 높았으며 20~29종의 어류 가 서식하였다. 전체 출현한 어종은 모두 9과 44종이었고,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37.2%), 아우점종은 돌 고기 Pungtungia herzi (5.8%)와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5.5%)였으며, 그 다음으로 납자루 Acheilognathus lanceolatus (5.3%)와 참갈겨니 Z. koreanus (5.2%), 참마자 Hemibarbus longirostris (4.9%),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3.5%)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 다. 출현종 중 고유종은 16종(36.4%)으로 비교적 높게 나 타났고, 멸종위기종은 미호종개와 흰수마자 2종이, 외래어 종은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1종이 출현하였다. 지점 들 간의 군집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상류(St. 1~St. 4)와 중류(St. 5~St. 7), 하류(St. 8~St. 10)로 나누어지고, 우 점도는 하류로 갈수록 대체로 낮아지는 반면, 다양도와 균등도, 종풍부도 하류로 갈수록 대체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하류에서 출현한 멸종위기종 미호종개와 흰수마 자의 서식현황을 정밀조사한 결과, 두 종 모두 하상이 모 래인 곳에 집단을 형성하여 서식하고 있어 주목되었다.
        4,300원
        38.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세기에 그려진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세한도(歲寒圖)>가 당대와 현대를 가로지르면서 시대적, 문화적 차이를 통해 수용된 다층성을 밝히고자 한다. 김정희는 조선후기의 뛰어나 서화가(書畵家)이자 금석학자(金石學者)이자 실학자(實學者)이다. 그는 1844년, 그의 나이 58세 때에 제주도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그때 김정희를 기억해준 유일한 제자, 역관 ‘李尙迪’을 기리는 마음으로 <세한도>를 그렸다. 이 <세한도>는 네 종류의 글로 오늘날까지 기억되고 있다. 그 첫 번째는 김정희가 이상적을 기리기 위한 발문이다. 두 번째는 이상적이 김정희의 의사와 무관하게 정치적인 이유로 청나라 명사 16인에게 보여주고 받은 찬문찬시이다. 세 번째는 광복 후 김석준, 오세창, 이시영이 더한 찬문찬시이다. 네 번째는 황지우를 비롯한 여러 시인이 남긴 현대시이다. 롤랑 바르트가 제기한 것처럼, 하나의 기호는 2차 의미체계에 의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해낸다. 그런 측면에서 바라볼 때,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는 오늘날 황지우의 <유리끼운 세한도>에 영향을 미쳤다.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를 통해 자신에게 의리를 지킨 이상적을 기억하며 19세기의 ‘의’를 밝혔다면, 황지우는 추사 <세한도>를 20세기에 불러내어 현 시대의 문제와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거대담론이 사라진 것처럼 인식된 현실세계에서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를 다시금 불러 세워, 아직은 사회적 문제, 거대담론의 문제로 행동해야할 때임을 드러냈던 것이다.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는 당대 개별적 작품성뿐만 아니라 시대를 넘나드는 시대사적 의의를 지닌다. 이를 드러낸 현대 시인이 바로 황지우이다.
        6,700원
        3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겸재 정선의 쌍도정도에 표현된 지당에 대한 고찰로서 쌍도정지 그림을 실경의 관점에서 조명하여 문헌 및 고지도 분석과 해석과 현장조사 및 향토사가들의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과 그림 속 실경을 비교하고자 하였다.또한 쌍도정지의 위치 및 입지장소성을 확인함으로써 쌍도방지의 복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쌍도정지는 전통정원 유적의 현장을 비교적 정확히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공간 자체가 매우 유서 깊은공간이었음을 비추어 볼 때, 발굴을 통한 원형복원의 당위성과 기대가 가일층 간절해진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해결하지는못했지만 1)쌍도정도에 표현된 역학적 도해와 2)쌍도정지의 조영자로 본 고산 윤선도 그리고 겸재 정선과의 관련성은추후 학제적 접근으로 풀어나가야 할 전통조경적 과제로 되새겨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계기로 겸재의 쌍도정도에나타난 쌍도정지의 복원은 물론 오늘날 성주군 조선후기 관아정원의 모습 및 전통경관적 산수시스템 등 전통경관의원형복원 및 회복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4,000원
        40.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란된 생태계에서 서식처의 건강성은 개체군의 제한과 군집 회복 요소로 간주되어지고 있다(N.R. BOND and P.S. LAKE, 2003). 어류 군집은 서식처 다양성과 수환경의 물 리, 화학 및 생물학적 특성에 직 · 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는다(Gormann and Karr 1978, Schlosser, 1982, Angermeier and Karr 1984, Arthington et al., 2006). 수심 (depth), 유속(velocity), 유량(discharge) 등은 어류 이동, 분 포 및 서식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물리적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근, 서식처 분석에 관한 연구가 서서 히 증가하고 있으나 물리환경적인 수심, 유속, 유량 등의 세밀한 분석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위와 같은 물리적 환경요인과 서식형태에 따른 어류의 분포를 분석 ·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점 본 조사는 2010년 12월부터 2011년 8월까지 진행된 상 태이며, 서식처 조사는 2011년 6월부터 시행되었다. 공지천 의 지류하천인 거두천, 신촌천, 학곡천, 퇴계천과 공지천 본 류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총 21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Fig. 1). 매달 1회 조사하였으며, 1월 조사는 하천의 결빙으 로 조사를 수행하지 못하였다. 1) 어류 공지천의 지류하천인 신촌천, 거두천, 학곡천, 퇴계천을 포함한 21개 지점에서 족대(4 x 4 mm) 및 투망(5 x 5 mm) 을 사용하여 채집을 실시하였다. 정량적인 분석을 위하여 족대 20분, 투망 7회를 기준으로 조사하였으며, 투망을 이 용한 채집이 불가능한 상류 및 지류지점은 족대를 이용하였 다. 서식처 형태는 풀숲, 여울, 평여울, 소Ⅰ(수심 60 cm 미만), 소Ⅱ(수심 60 cm 이상), 돌 밑으로 구분하였다. 어류 의 동정 및 분류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검색표(정 1977; 최 등 1990; 김과 강 1993; 김 1997; 전 1997)를 이용 하였다. 일부 어류 샘플은 10% formaline에 넣어 고정시켜 보관하였다. 2) 유량 및 유속 유량 측정은 지점별로 측정하였으며, 유속은 어류가 채 집되는 서식처의 유속을 각각 측정하였다. 유량 및 유속 측정은 2100-TDX 유속계, 줄자, 수심계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유량의 산출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 인 면적 · 유속법을 사용하였다. 면적 · 유속법이란 유수의 수면폭, 일정 간격의 수심을 측정하여 유수 단면적을 산출 하는 방법으로써 여러 측선에서 유속을 측정하여 평균유속 을 구하여 계산하는 방법이다. 유수(流水)의 단면적을 A, 평균유속을 V라 하면 유량 Q는 [Q=AV]로 구할 수 있다. 하상 단면을 최대한 반영하여 수면폭, 수심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결과 및 고찰 2010년 12월부터 2011년 8월까지 공지천 지류 및 본류에 서 채집된 어종은 총 8과 26종 31,765개체로 나타났다. 이중 피라미(58.92%)가 가장 우점 하였으며, 버들치(24.59%)가 두 번째로 우점 하였다. 공지천 어류의 서식처 조사 결과에 서 상위 6종으로 확인된 피라미(Zacco platypus),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참붕어(Pseudorasbora parva), 대 륙종개(Orthrias nudus), 모래무지(Pseudogobio esocinus), 밀어(Rhinogobius brunneus)의 서식처 형태와 유속, 수심, 유량의 범위를 알아보았다. 물리적 환경요인과 서식처 형태에 따른 공지천 어류의 분포는 다음과 같았다(Fig. 2, 3, 4, 5, Table. 1). 피라미가 서식하는 구역은 평균 · 수심 48 cm, 유속 0.40 m/sec, 유량 2.62 m3/sec으로 측정되었고, 평여울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버들치는 평균 · 수심 38 cm, 유속 0.30 m/sec, 유량 0.53 m3/sec와 수심 60 cm 미만의 소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참붕어는 평균 수심 32 cm, 유속 0.11 m/sec, 유량 0.71 m3/sec의 환경과 풀숲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대륙종개는 평균 수심 23 cm, 유속 0.42 m/sec, 유량 0.68 m3/sec과 여울에서 가장 많이 서식하였다. 그리고 모래무지는 평균 수심 70 cm, 유속 0.11 m/sec, 유량 0.96 m3/sec으로 측정되 는 환경과 수심이 60 cm 이상인 소의 바닥에서 가장 많이 서식하였다. 밀어는 평균 수심 23 cm, 유속 0.30 m/sec, 유 량 1.56 m3/sec과 돌 밑, 여울에서 가장 많이 서식하였다. 이러한 환경에 따른 어류의 분포는 하천의 서식처를 평가 · 복원하는데 중요한 기초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 사 본 연구는 2011년도 강원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와 춘천 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참고문헌 Angermeir, P.L. and Karr, J.R.(1984) Relationship between woody debris and fish habitat in a small warmwater stream.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113: 716-726. Arthington A.H., Bunn S.E., Poff N.L. and Naiman R.J(2006) The challenges of providing environmental flow rules to sustain river ecosystem, Ecological Applications, 16, 1311-1318. Gorman, O.T. and Karr, J.R. 1978. Habitat structure and stream fish communities. Ecology 59: 507-515. Nelson, J.S.(1994) Fishes of the world. John Wiely & Son, New York, 600pp. N. R. BOND and P.S. LAKE(2003) Characterizing fish-habitat associations in streams as the first step in ecological restoration. Austral Ecology 28, 611-621. Schlosser, I.J. 1982. Trophic structure, reproductive success, and growth rate of fish in a natural and modified headwater stream.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9: 968-978. 김익수, 강언종(1993) 원색 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김익수(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 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pp. 133-520쪽. 전상린(1997) 한국산 꾹저구(망둑어과) 3종의 검색과 분포. 상명대 학교 자연과학논문집 10:205-237. 정문기(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1990) 원색한국육수어도감. 향문사, 27pp.
        3,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