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변화에 맞춰 미래 교육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메타버스에 대한 연구가 교 육계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인 게더타운을 활용 한 중국어-한국어 탄뎀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시켜 대학의 중국어 교육에서의 메타버 스를 활용한 교육적 활용 방법과 효과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중국어 학습자의 흥미도와 몰입감을 높이고 참여를 이끌 수 있는 다양한 수업 방안을 제시하여, 대학의 외국어 교육에서의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대한 도입 가능성을 살펴보고 교육적 활용의 기초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5,800원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earpod, an online teaching cloud-based platform, offers great potential to generate pedagogical tasks and yield better results in teaching communication skills. This study thus examined the effects of Nearpod-based English-speaking classes. To this end, one-on-one speaking tests were conducted twice in a semester, and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ssess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the usefulness of Nearpod in offline classroom. The participants comprised 39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a mandatory English class titled Communication in English. The paired samples t-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overall speaking performance has improved over time. Specifically, compared to the high-level students, the low-level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peaking performance. The questionnaire analysis demonstrated that mos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Nearpod-based English speaking classes because of enhanced interest,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and increased interaction with class content and peers.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further discussed.
        6,300원
        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e to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online educatio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research field to match its growing necessity. In this vein, this research explores one of the challenges facing online teaching of the Arabic language to Korean students at the university level based on the practical experience of online teaching in the academic year of 2020 while focusing on the role of students. The main goal of this research is to give some answers to its main question, which is: How is it possible to activate the role of students in the online classes of the Arabic language? The study suggests some online activities through which the role of students in online classes can be activated. An online survey questionnaire was provided to test the influence of some of those activities and to explore the students’ feedback. Additionall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ome students to gain further understanding of their opinions about thos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positive feedback from the students towards those activities and provided some advantages of using those online activities for adding enjoyment to the students’ assignments. It is also recommended that teachers include more innovative online activities which match their students’ needs.
        5,500원
        4.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학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 한자어 교육 방안을 원격 수업 설계 및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대학에서 원격 수업의 중요성과 비중이 갑작스레 커진 상황에서, 대면 수업에 준하는 수업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일은 중요한 과제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자(漢字) 수업’이라는 변수를 고려하여 실제 대학 강의 현장에서 수업 설계와 운영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원격 수업은 그 특성상 대면 수업이 가지는 현장성·동시성·양방향성·상호교감성을 완벽하게 재현해내기는 어렵다. 하지만 주어진 환경 속에서 대면 수업의 효율을 유지하고 원격 수업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코로나 19 이후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강의 환경을 고려할 때, 본 연구를 하나의 사례로 삼아 후속 논의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5,200원
        5.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bout meta-language used for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in Serbia, where it is not a native language. This study examined meta-language for teaching preferr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of Serbia and explored efficient methods of meta-language use for teaching. First, meta-language and meta-language for teaching were discussed, and meta-language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was defined. After setting up the research question and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Korean language learners at the University of Niš in Serbia to determine their preferred meta-language for teaching. According to the survey, many learners wanted to take classes in ‘Korean-Serbian languages.’ Beginner and intermediate learners of vocabulary, grammar, and conversation preferred ‘Korean-Serbian’ meta-language for teaching, and advanced learners preferred ‘Korean’ meta-language for teaching. Based on such grounds and existing theories, this paper proposed a usage model of meta-language for teaching in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anguage classes in Serbia and presented the necessity for fostering professional Korean language instructors overseas.
        5,200원
        6.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their English conversation classes taught by native English speakers. Its focus is on finding out how well the students understand and how actively they participate in class, what causes difficulty in their understanding or participation in class, and whether their class helps them in terms of affective aspects and English skills.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465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compute basic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Some of the important findings are 1) over 50% of the students understand their classes well; 2) a little over 30%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3) about 30~50% of the students perceive their class help them affectively; and 4) about 50% of the students perceive their class help them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in general. These results are discussed along with other findings related to the causes of the difficulties that the students experienced. Suggestions are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6,100원
        7.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verbal participation and the achievement of desired learning outcomes in English medium instruction (EMI) classes in a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is case study uses mixed research methods including surveys, focus group interviews and peer observations of students and professors of selected EMI classes. This paper has highlighted several factors which influence active verbal participation and the achievement of desired learning outcomes in EMI classes. The research provides a rich understanding of how differences in teaching styles and learning activities significantly affect levels of verbal participation in EMI classe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achieve desired EMI learning outcom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all of the interconnected elements within the education system, including students, professors, the teaching context,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systems at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This research has raised a number of challenges and criticisms concerning EMI courses includ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of subject content via a foreign language.
        6,600원
        8.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eachers' interaction with their students when teaching science in New York (NY) and in Korea. As part of the 2011 Korean International Teacher Fellows (KITF),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NIIED), Korean science teachers observed, for six months, New York's science classes in terms of how teachers interact with their students and how students learn science during science instruction. The participants were 10 science teachers in five middle and high schools that taught Physics, Chemistry, Biology, Earth Science, and Environment Science in NY. The 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NBPTS, 2003) and Instruction as Interaction (Cohen et al., 2003) were used as an instrument to identify each teacher's teaching and classroom interaction. Several characteristics of science classes in NY were revealed, which are different from Korean science classes. First, science teachers in NY dominantly put more focus on their subject of teaching during science interaction while, Korean science teachers not only teach science but also do counseling to students as a homeroom teacher. Second, science teachers in NY acknowledged the students' individuality and have positive experienc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supported by their school and district more than Korean science teachers do. Third, science teachers in NY sometimes showed limited knowledge about the concepts of science and lack of collaboration with other science teachers. This characteristics may prevent the school from strengthening its subject program and keeping equity across the grade levels and courses.
        4,800원
        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대학교육에서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양교육 커리큘럼 안에 무용분야를 효과적으로 포용하고자 하는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연구들은 교 양무용의 효과를 제시한 반면 그 교육 전략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 현황을 토대로 변화하는 문화 속에서 무용 연구가 교양교육에 효과적으로 통 합시킬 수 있는 가능성과 그 지도 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기존 교양무용에 대한 연 구들을 토대로 그 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지도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교양무용교육은 적절한 시설과 전공교육과는 구분되는 일반인들에게 초점 을 맞춘 교육으로 실기 수업과 이론수업을 적절히 혼용하고 각기 다른 지도법을 적용하여 학생 들로 하여금 무용에 대한 일반적인 관심과 더불어 미래 무용공연에 관객으로서 참여할 수 있도 록 유도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5,500원
        1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n this case study, we have focused on the disempowerrnent of a Korean English teacher (KET) in English-only classrooms. Six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classrooms in a Korean high school were observed and analyzed by using interpretive discourse analysis. Out of the six classes, three representative classrl。이ns were both video- and audio - ta많d. The results show that the English-only classes co띠d weaken the KETs’ power via three mechanisms: (a) ca!ling the KETs’ last name for chor외 greetings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b) students’ group solidarity and 야er pressure between classmates, and (c) the students' excessively collaborative approach to 야er assistance. It is argued that the exclusive Engush-oruy instruction disempowers 비e KETs’ status and dismantles their vocational identity. ln order to remedy the current situation, within a scaffolding suppαted by the eclectic use of first language where necessary for effective class management, KETs are empowered and overcome constraints imposed by the limited L2 oral competence of some non-native English teachers.
        7,700원
        12.
        2007.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13.
        200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800원
        14.
        200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900원
        15.
        199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17.
        2023.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실시간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학부 교양 초급 한국 어 수업에서 강의식 수업과 플립 러닝식 수업을 실시하고 각 수업 방 식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수업 효율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ZOOM에서 8주간 각 수업 방식을 적용한 한국어 수업을 진행하고 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강의식 수업보다는 플립 러닝식 수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강의식 수 업에서는 ‘어휘 및 문법’ 영역, 플립 러닝식 수업에서는 ‘듣기, 읽기, 쓰 기, 말하기’ 영역의 수업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실시간 온라인 으로 진행되는 초급 한국어 수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 환 경과 언어 영역의 특성을 고려한 혼합된 수업 방식이 필요할 것이다.
        18.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춘 국어과 수업 실연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수업 실연 평가의 준거는 수업 전문성에 대한 개념과 수업 평가 관련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학습 목표와 교수-학습 과정의 연계성’, ‘교실 상호작용’, ‘교사의 언어· 행동 자질’의 3가지 하위 요인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14가지 준거의 5점 척도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중등 예비 국어 교사 대상의 수업 실연 평가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어교육과 2학년 재학생 11명을 대상으로 현직 국어 교사 4인이 수업 실연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는 다국면 Rasch 모형을 근거로 제작된 Facets Minifac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실연 평가에 나타난 평가자의 엄격성 차이는 –1.34 ~ -.99 logit까지로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평가자간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평가자 내 일관성은 내적합도 기준(0.5~1.5 logit)에 따라 적절한 점수를 부여하고 있음을 보였다. 수업 실연 평가 범주별 타당성에 대한 분석 결과, 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4) 피험자가 느끼는 곤란함은 모든 평가기준에서 동일하였다. 평가자와 평가기준의 편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편향은 도출되지 않아 평가 기준을 해석 및 적용하는 기준이 신뢰할 수 있음을 밝혔다. 평가 도구 5점 척도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2점 척도의 적합도에 다소 문제가 있으나 피험자와 평가자 수가 극히 제한적이었으므로 추후 피험자 수를 확대하여 추가 검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어 수업 실연의 신뢰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수업 실연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함으로써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고 학교 교육의 질적 제고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19.
        2019.01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에서는 적극적·소극적 공손 전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한국어수업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발화를 전사한 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적극적·소극적 공손 전략은 체면과 공손성 이론에 기반하는데 이론은 Brown & Levinson(1987)에 의해 체면위협행위를 피하는 전략으로 발전하였고 이 연구에서는 적극적·소극적 공손 전략에 초점을 두고 한국어수업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와 C수업에서는 관심 기울이기 전략이, B수업에서는 제안·요구·약속하기 전략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세 수업 모두에서 적극적 공손 전략이 소극적 공손 전략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세 수업에서 교사와 학습자 간 에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가 적었다는 것이고 이로써 수업 분위기가 좋았다는 것도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교사와 학습자의 발화를 따로 구분하여 비교하지 않았고, 수준에 따른 차이가 어떠 한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는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적극적·소극적 공손 전략의 실현 양상을 통해 어떤 전략을 보다 많이 사용하였는지에 따라 수업의 분위기, 학습자와 교사의 관계를 추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20.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어 읽기 교육 중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Extensive Reading’(이하, 열린 읽기)을 한국어 수업과정으로 도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 현장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방안의 제시를 위해 일본 내 대학 중 일본어 교육(JSL)을 실시하고 있는 早稲田大学(이하, 와세다 대학)의 열린 읽기 수업을 모델로 삼아 열린 읽기 수업의 한국어 수업 도입 방안을 모색했다. 그 결과, 열린 읽기 수업의 도입을 위해서는 첫째, ‘수업의 다양화’, 둘째, 교사들이 많이 지적한 부분으로 ‘학교의 제도개선 및 지원’, 마지막으로는 ‘교사와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함을 제시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