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pite the massive impact of COVID-19 on society, beyond the numbers of confirmed cases and deaths, there remains a lack of large-scale data depicting the effects of the virus on the society of the Republic of Korea. To fill this gap, we collected 1.822 million news articles with more than 1 billion morphemes from January 2020 to June 2022, creating a Korean version of the Coronavirus Corpus. This corpus is introduced in the current study. In addition, to demonstrate how such massive corpus can be utilized, we conducted information theoretical analyses to see how the stance of the press media on topics such as vaccines and social distancing affected the COVID-19 situ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Specifically, we utilized several computational linguistic skills including concordance building and sentiment analysis through both traditional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nd measured the transfer entropy to estimate the impact with information theor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overall impact of the press media on the society was minimal to non-existent.
The study investigated if teaching summarizing skills could improve the summary skills of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involved 38 university freshmen in a required English course and were randomly chosen as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through summarizing rule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engaged in other lessons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The students’ summaries were analyzed as to how effectively the participants paraphrased and integrated the main ideas, the major supporting details, and accurate information from source text into their summaries. The results show that a significant instruction effect was observed in the summary writing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identifying main ideas and major details and paraphrasing and integrating ide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showed a significant chan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mmaries only on the accuracy measure. The results are also supported by the questionnaire o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nstruction.
이 연구는 국가 수준 영어 교육과정에서 지도하도록 의도하고 있는 어휘, 문법, 의사소통기능, 내용 요소 등을 아우르고 있는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본문에 대해 질문 중심 하브루타 형식의 토론을 통해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심화하고, 본문의 내용을 확장한 주제로 과정 중심의 영어 작문을 지도했을 때, 영어 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자아효능감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질문 중심의 하브루타와 과정 중심 쓰기 지도 방법에 이론적 토대를 두고 3단계로 설계된 GROWTH라는 수업 모형을 고안했고, 2017년 3월부터 11월까지, 서울 서부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 두 학급의 학생 54명을 대상으로 수업시간 중 해당 수업모형을 적용했다. 수업모형 적용 전후, 설문을 실시한 결과, 해당 수업 모형은 짝‧모둠 중심의 토의·토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영어 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을 향상시켰으며, 학생들로 하여금 영어 쓰기를 시도하고 연습하는 것의 중요성을 일깨웠음이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중학교 수업 현장에서 과정 중심 수행평가의 일환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영어 쓰기를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probe the DLM-based teaching method for Korean students’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For this study, the corpus was made of Korean reading materials with 307 frequently used sentence patterns extracted. The present research employ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English corpora revealed the following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LM (experimental group) and the CTR (control group)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pretest score in order to identify the students’ level of English productive skills. After the pretest, meaningful translation focused DLM was employed in the instru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in the instruction of the control group. After one semester of teaching, on the posttest, the students in the DLM group outperformed the students in the CTR group. In conclusi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DLM teaching method is effective for English productive skills and can be a good solution to our English education environments in which both teachers and students use Korean as a medium of teaching Eng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critical thinking skills can be fostered through a college English course. Approximately eighty female Korean students taking a basic freshman mandatory reading cours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earcher taught them critical reading skills along with other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nd provided them with Korean local context in the given topic. The students critically read two units of the required textbook and attended presenta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minority cultural backgrounds. The students submitted four online reports about multiculturalism, and they were analyzed using a thematic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even students with relatively low English proficiency could enhance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by practicing critical reading. Also,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local contexts not only compensated for a culturally limited text but also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The findings indicate that teaching critical thinking is feasible in an English language course despite limited environments. Yet,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generalize the findings.
목적 : 국내 재활치료 환경과 사회적 제도의 상황에 맞춘 편마비 환자를 위한 한국형 수동 휠체어 기술 훈 련 프로그램(Korean version of manual Wheelchair Skills Training Program for hemiplegia; K-WSTP)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향후 편마비 환자의 이동성 향상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기존에 알려진 휠체어 기술과 수동 휠체어에 대한 일반적 훈련내용을 수정·보완하여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에 따라 K-WSTP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K-WSTP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실험군으로 휠체 어 사용시 도움이 필요한 편마비 환자 6명, 대조군으로는 휠체어 사용시 독립적인 편마비환자, 작업치료 전공학생, 작업치료사 각 6명씩 총 24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실험 대상자들은 휠체어 훈련프로그램 시행전·후에 휠체어기술검사(Wheelchair Skills Test; WST),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mance Measure; COPM), 한국판수정바델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주관적의견 등을 평가 하였다. 결과 : 실험군은 훈련 후 WST와 K-MBI 점수에서 훈련 전에 비해 유의한 차이(p<.05)로 향상되었다. 또 한, 훈련 후 WST, 수행도, 만족도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을 정도(p>.05)로 향상되었다. 전체 연구대상자에 대한 주관적 평가결과 어려움을 느낀 휠체어 기술은 ‘turns in place’와 ‘maneuvers sideways’(18.2%)를, 실험군은 ‘level transfer’와 ‘relieves weight from buttocks’를 가장 어렵다고 평가하였다. 결론 : 개발된 휠체어 훈련프로그램은 편마비 환자의 휠체어 기술, 독립성, 개인의 수행도, 만족도에 긍정 적인 향상을 보임으로써 향후 편마비 환자의 재활의지를 고취시키고 이동성 보장과 삶의 질 향상에 기 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Despite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ominent role of basic reading sub-skills, such as decoding abilities and reading fluency,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younger and proficient first and second language readers, little is known about the role of these skills in older and less skilled readers in foreign language context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decoding skills and reading fluency relate to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such readers, and to identify the relative strengths between the two. Two hundred twenty tw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ir performance on decoding,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asks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decoding skills and reading fluency were strongly correlated to reading comprehension. Moreover, between the two fundamental reading sub-skills, decoding skills outperformed reading fluency in explaining reading comprehension, making a unique contribution beyond the effects of reading fluen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basic skill like word decoding still deserves instructional attention even at the secondary schools in EFL contexts.
Based on dual coding theory, this study predicted that pictorial typography (PT), a device involving direct visual integration of a written word into a picture of its referent, is more effective for ESL children’s pre-literacy skills, than the non-integrated paring of word and picture on flashcards (FC). The two types of instruction were given to thirty-two Korean children aged six and seven, both embedded within the WordWorld (WW) episodes, an animated TV series developed by PBS. Results from the pre- and post-test design were as follows. PT was more beneficial than FC for the two upperlevel skills, vocabulary and reading fluency, while they were equally beneficial for the two lower-level skills, letter recognition and phonemic awareness. The two mediating variables, gender and age, were shown to have partial effects as well. Dual coding theory and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al intervention have been supported by this study.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study skills for English of Korean postgraduate engineering students in an academic community. In raising the issues, this research uses semi-structured interview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Korean engineering students themselves and subject lecturers. The research showed that expanded command of study skills in English integrated with academic practices of the engineering discipline was seen to be required for students in the community. Considering the demands of participation in the global academic community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practice of EAP teaching should encompass integrative forms of literacy along with the particular academic culture and conventions of the engineering discipline.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클라이언트의 운동기술 평가방법으로서 Korean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K-AMPS) 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K-AMPS로 분석한 클라이언트의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상의 효율성을 확인하였고, K-AMPS의 내용타당도 및 과제 간 신뢰도를 스피어만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에서 뇌졸중 클라이언트 2명의 일상생활동작 과제수행은 효율적이었으나 18명은 비효율적이었다. K-AMPS 와 MFT의 상관관계는 두 검사의 총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나, K-AMPS의 총점과 MFT의 일부 하위 검사의 점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K-AMPS의 과제 간 신뢰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 K-AMPS에서 제시되는 결과 리포트의 장점, K-AMPS와 MFT 간의 낮은 상관관계, K-AMPS의 높은 과제 간 신뢰도를 고려할 때 뇌졸중 클라이언트의 운동 기술 평가에 있어서 K-AMPS가 유용할 것이다.
목적 : 본 연구는 정상 영유아들의 국내·외 음식과 연령에 따른 저작 횟수와 저작 시간에서의 차이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30명의 정상 영유아들에게 반유동식과 고체식(무른 것, 단단한 것 및 질긴 것)을 먹도록 하여 저작 횟수와 저작 시간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 첫째, 국내·외 음식 재질과 연령에 따른 저작 횟수에서 진 죽과 사과소스 그리고 밥과 구운 식빵에서 각 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새우깡과 Graham 비스킷에서는 연령과 음식 재질 간에 상호 작용 효과가 있었다. 둘 째, 국·내외 음식 재질과 연령에 따른 저작 시간의 비교에 서는 밥과 구운 식빵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 : 발병기간 6개월 미만, 인지기능 정상인 집단에서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연하곤란척도 점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인지기능, 구강·비구강 섭취 형태에 따라 층화한 결과에서는 발병기간 6 개월 미만의 집단에서 인지기능이 정상이고 구강섭취를 하는 경우에 연하곤란척도 점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p<.05).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 적용 전·후 기능적 연하곤란척도 점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발 병기간, 인지기능, 구강·비구강의 섭취 형태였다. 결론 :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들에게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발병기간 6개월 미만, 인지기능 상태의 정상, 구강섭취하는 대상자에게 효과적임을 나타내고 있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환자 특성 외에 요소들을 통제한 연구가 필요하며 구강인두자극 프로그램과 더불어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요소와의 비교연구가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writing instruction using comic strips on Korean students' English writing skills and learning attitudes. Using both narrative and descriptive writing task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eight weeks with 120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writing activities with comic strips, whereas the control group studied writing using the textbook or free writ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English writing skills more, and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than the control group. Lower-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arked improvement in narrative writing, while upper-level students demonstrated a positive change in their attitudes. Through surveys, interviews, observation, and analysis of students' writing, it wa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rea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tents and type of comic strips, and activity types. Comic strips that dealt with everyday life and were drawn humorously induced more interest, while those demanding cultural understanding diminished the students' motivation. Student participation increased when drawing their own strips and sorting cuts of comic strips into ord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 among Korean phonological processing skills, English vocabulary knowledge, and the learning of new English words in 6th grade children. The children were tested in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and naming speed tasks, as well as English vocabulary and paired-associate learning of Korean-English word pairs. Most task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nglish vocabulary and paired-associate learning. In regression analyses, phonological awareness, short-term memory, and naming speed significantly predicted English vocabulary; and English vocabulary and naming speed predicted paired-associate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phonological awareness, naming speed, and short-term memory are associated with English vocabulary knowledge and learning. These findings support the transfer of phonological processing skills across second languages.
목적: 이 연구는 레슬링 선수를 대상으로 해결중심 단기상담 모델을 활용하여 심리기술훈련을 진행하고 그 효과 를 규명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레슬링 국가대표 남자 선수 5명으로 평균 나이 30세, 운동경력 15.6년이었 다. 심리기술훈련은 집단 프로그램과 개인 상담으로 진행되었다. 집단 프로그램에서는 자기관리, 목표설정, 귀인 요소에 중점을 두고 총 7회기로 진행되었다. 개인 상담의 경우, 해결중심 단기상담 모델에 맞춰 5단계 8회기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은 개인 상담에서 이루어진 심층 면담을 바탕으로 질적자료를 수집하였고 수행전략 검사지 와 자기관리 검사지를 이용해 사전-사후 양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질적자료는 선수 개인이 가진 호소 문제 를 해결해나가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 회기별로 분석하였고 선수별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사전-사후 분 석에서는 일부 선수들에게서 수행전략 요소들과 자기관리 요인들의 평균 점수 변화가 확인되었다. 결론: 이 연구 에서 진행한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은 선수 개인이 호소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수행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능력을 개발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를 통해 선수 개인별 스포츠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구체 화 시키고 종목별로 특화된 심리기술훈련 매뉴얼로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목적: 이 연구는 Weiss, Bolter, 그리고 Kipp (2014)에 의해 개발된 라이프스킬 전이 검사지(Life Skills Transfer Survey; LSTS)를 가지고 한국형 라이프스킬 전이 검사지로 타당한 측정도구인지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3단계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다. 단계 1에서는 원척도 8요인 50문항을 바탕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단계 2 에서는 중·고생 323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LSTS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단계 3에서는 새로운 연구 참여자인 377명의 중·고생 자료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LSTS는 8요인 38문항으로 추출되었다(도움주고받기 7문항, 건강관리하기 5문항, 다름인정 3문항, 만나기와 인사하기 6문항, 목표설정하기 5문항, 친구 갈등해결하기 4문항, 형제 갈등해결하기 4문항, 그리고 감정조절하기 4문항).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들은(CFI=.909, TLI=.900, RMSEA=.051, SRMR=.056) 8요인 38문항으로 구성된 KLSTS의 요인 구성 타당성을 제시했다. 결론: KLSTS는 국내 청소년들의 라이프스킬 전이 정도를 검사하는 타당한 측정도구로 밝혀졌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psychological skills of Korean high school Taekwondo(TKD) athletes. Methods: The subjects were 268 high school Taekwondo athletes (207 males and 61 femal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OVAs, Sheffe post-hoc tests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s 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ere found. However, the difference was shown in skill levels(high vs. low group).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and skill level in psychological skills. Task goal orientation in male influenced on th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will power, imagery, self-efficacy, team harmony, concentration, and goal setting, while ego orientation did only on the goal setting. In female, task orientation influenced on will power, imagery, self-efficacy, team harmony, and goal setting, while ego orientation didn’t influence at all, which reflecting the goal setting is a common achievement motivation factor in male and female. Conclusion: Results supported the previous research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task orientation. In addition, the result also implies that the psychological skills influenced by motivation orientation would differ based up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ort. Future direc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일차적인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의사소통 능력이란 말하기와 듣기, 읽기와 쓰기까지 포함하기에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다. 하지만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 읽기와 쓰기의 연구는 짧고, 구체적인 쓰기 교육에 대한 방안도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유창성의 흐름에 따라 학습자들이 말하기보다 쓰기 실력은 그 아래 단계에 머무는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그 해결책의 하나로 문법지식을 활용한 일기쓰기를 제안하고자한다. 일기는 학습자들의 경험을 토대로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게 해 주면서 말하기를 확대시키는 도구가 되기도 한다. 또한 문법지식을 활용한 일기쓰기 연습을 통해 오류를 최소화하고 다음 단계로 나아갔을 때 정확하고 안정된 표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따라서 직접 학습자들에게 실험을 통해서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대표를 포함한 372명의 선수를 대상으로 훈련과 시합에서 심리요인의 중요도, 심리적 문제의 경험 실태와 해결 방법, 심리요인의 경기력 공헌도와 조절 능력, 심리훈련에 관한 요구와 희망 등 스포츠심리학의 선수 지원과 관련된 여러 주제를 분석하였다. 이들 주제를 묻는 질문지에 대한 양적, 질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 선수들은 심리훈련으로 대표되는 스포츠심리학의 역할을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들은 훈련과 시합에서 심리요인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고 있었지만 심리훈련에 관한 교육 기회나 투자하는 시간은 극히 낮았다. 자신감과 집중력은 시합에서 공험도에 비해 조절 능력이 크게 떨어지는 심리요인으로 밝혀졌다. 선수들은 심리훈련 참여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고 체계적인 훈련을 원하는 선수도 많았다. 이들은 심리상담과 훈련의 경로, 심리훈련의 효과에 대해서 보다 많은 정보를 얻기를 희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심리훈련 내용의 개발, 심리훈련의 설계 등 스포츠심리학의 현장 지원 노력의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