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High temperatures induce excessive expansion in pavements, thus causing the closure of contraction joints between expansion joints. This results in the integration of slabs within the expansion joints into a unified slab. Compressive forces are generated owing to the friction that ensues between the unified slab and lower base layer. As the integrated slab expands and exceeds the allowable width of the expansion joint, the end restraint generates an additional compressive force. The escalating force, which reaches a critical threshold, induces buckling, thus compromising stability and causing blow-up incidents, which poses a significant hazard to road users. The unpredictable nature of blow-up incidents render their accurate prediction challenging because the compressive force within the slab must be predicted and the threshold for blow-up occurrence must be determined. METHODS : In this study, a GWNU blow-up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both the compressive force and period of blow-up incidents in jointed concrete pavements. The climate conditions, pavement structure, materials, and expansion joints were considered in this model. In the first stage of the model, the time at which the integrated slab expanded and surpassed the allowable width of the expansion joint was determined, and the compressive force was calculated. Subsequently, the compressive force within the integrated slab, considering both the end restraints and friction, was predicted. A large-scale blow-up test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blow-up force based on changes in the geometric imperfections. The measured blow-up force was adopted as the blow-up occurrence threshold, and the point at which the predicted compressive force within the slab exceeded the blow-up force was identified as the blow-up occurrence time. RESULTS : Using the GWNU blow-up model, the blow-up occurrence on the Seohean Expressway in Korea is predict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lkali-silica reaction (ASR). Analysis is conducted using the expansion joint spacing and width as variables. As the expansion joint spacing increases, blow-up occurs sooner, and as the width increases, only the expansion joint life decreases. When applying an expansion joint spacing of 300 m and a width of 100 mm under an ASR with 99.9% TTPG reliability, the sum of the expansion joint life and blow-up occurrence time is 16 years. CONCLUSIONS : In the case of jointed concrete pavements where ASR occurred, installing an expansion joint spacing of 300 m and a width of 100 mm does not satisfy the design life of 20 years, and the expansion joint width minimally affect the blow-up occurrence time. To prevent blow-up incidents, a spacing of less than 300 m for the expansion joint is recommend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blow-up occurrence time and location can be predic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alled expansion joint, through which blow-up incidents can be prevented via preliminary maintenance.
        4,600원
        2.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성장하는 스마트농업의 중요 요소 중 하나인 자동 관개시스템은 토양수분 센서에서 계측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개시점과 관개량을 판단하기 때문에 토양수분 센서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토양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포장의 가운데에 센서를 설치하는 등 토양수분 센서의 설치 위치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토양수분 계측 위치에 관한 기준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토양수분의 대표 계측지점을 선정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양은 수직적 또는 수평적으로 불균일성을 갖기에 구명이 쉽지 않다. 따라서 포장 전체에 걸쳐 지속해서 편향이 발생하지만 특정 위치에서의 평균 토양수분이 시간에 따라 유지한다는 시간 안정성 개념을 기반으로, 평균 토양수분을 나타내는 대표지점 선정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양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작하였고, TDR (Time Domain Reflectometry) 센서를 이용하여 총 30개 지점을 측정하였다. 2023년 5월부터 8월까지 측정한 날짜·지점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점의 편향을 정량화하여 식별할 수 있는 MRD (Mean Relative Difference, 평균상대차이)와 측정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RD (Relative Difference, 상대차이)의 SDRD (Standard Deviation of Relative Difference,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MRD와 SDRD를 통합한 지표로써 RMSE (Root Mean Square Error, 평균제곱근오차) 를 구하여, 시간 안정성이 가장 높은 지점인 RMSE의 수치가 최소인 지점을 대표지점으로 선정하였다. 토양수분 센서로 측정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점별 RMSE를 산출하고 비교하여, 평균적인 토양수분을 나타내는 대표지점을 선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5.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oday's fast-evolving technological environment, the growth of mobile devices has provided businesses with additional knowledge on how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their targeted audience. As big data generated by mobile users has become a valuable source for improving communication, users’ location data has provided an additional parameter to take into account while trying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marketing campaigns. This paper presents a comparative study of the location-based marketing field and tools. It provides an overview of different exploitation methods of location-based mobile services and data for effective digital marketing campaigns and guidelines for future research.
        6.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aims to suggest how to utilize "standby data" of shared mobility that does not contain personal information and examine whether "standby data" can derive existing shared mobility operation analysis items similarly. METHODS : An existing Personal Mobility (PM) traffic pattern analysis was performed by identifying the user (User ID) and the user's route in a time frame. In this study, the PM traffic pattern analysis focuses on a vehicle (ID of the standby vehicle) and its standby location. We examined whether the items derived from the User ID-based traffic pattern analysis could also be derived from the standby Vehicle ID-based analysis. RESULTS : The analysis showed that all five items (traffic volume by time slot, peak time, average travel time, average travel distance, and average travel speed) of the existing User ID-based PM travel analysis result could be derived similarly using the standby Vehicle ID-based PM traffic analysis. However,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average driving distance is calculated as a straight-line distance. It seems possible to overcome this limitation by correcting the average driving distance through linkage analysis with road network data.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derive the instantaneous maximum speed or acceleration/deceleration. CONCLUSIONS : In an era in which various means of transportation are being introduced, data sharing is not preferred because of legal issues.Consequentl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use of new means of transportation and formulate new policies. To address this, data sharing can be active based on standby data that is not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4,000원
        7.
        202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ecommissioning plan of nuclear facilities require the radiological characteriza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decommissioning process that can ensur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decommissioning workers. By utilizing the rapidly developed ICT technology, we have developed a technology that can acquire, analyze, and deliver information from the decommissioning work area to ensure the safety of decommissioning workers, optimize the decommissioning process, and actively respond to various decommissioning situations. The established a surveillance system that monitors nuclide inventory and radiation dose distribution at dismantling work area in real time and wireless transmits data for evaluation. Developed an evaluation program based on an evaluation model for optimizing the dismantling process by linking real-time measurement information. We developed a technology that can detect the location of dismantling workers in real time using stereovision camera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developed technology can be used for safety evaluation of dismantling workers and process optimization evaluation by linking the radionuclides inventory and dose distribution in dismantling work space of decommissioning nuclear power plant in the future.
        8.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양계사내에서 작업자의 위치를 예측하기 위해 BLE 비콘을 이용한 위치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스마트 단말기로 비콘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핑거프린트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코어맵을 생성하였다. 작업자의 위치 예측은 스코어맵과 양계사내에서 실시간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유사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실험대상 양계사에서 작업자 위치를 예측한 결과 일반 데이터는 위치 예측 시 많은 오차와 낮은 정확도를 보이고, 일반데이터에 필터링을 적용한 알고리즘을 적용 시 위치 예측 정확도가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양계사내에서 BLE 비콘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스코어맵 기반 위치 예측 시스템만 적용했을 때 위치예측 결과보다 필터를 적용한 결과가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양계사내에서 BLE 비콘을 이용한 위치 예측이 강점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4,000원
        9.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위치 기반 AR 게임에서 모바일 기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모바일 기 기에 내장되어 있는 위치 추정 시스템이 얼마나 정확하게 위치정보를 추정하는 지가 증강되는 AR 콘텐츠의 정확도를 결정한다. 하지만 도시 환경에서는 건물, 건축물, 광고판, 표지판 등 지형지물 및 장애물에 의해서 위치 추정을 위해 필요한 신호가 반사, 굴절, 회절, 차단 등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모바일 기기의 위 치 추정 시스템으로부터 추정되는 위치에 오차가 생기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 환경에서 모바일 기기의 위치 오차가 증가하는 현상에 대해서 상용 스트리트 뷰와 문자 태그를 활용하여 심플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위치 보정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위치 보정 방안은 쿼리 이미지와 스트리트 뷰 파노라마 이미지로부터 생성된 문자 태그를 대조하는 것을 통해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한고 매칭 스코어에 따라 쿼리 이미지를 촬영 한 실제 위치와 가까운 스트리트 뷰를 검색하는 것을 통해서 모바일 기기의 위치를 보정한다. 제안하는 위치 보정 방안은 위치 오차가 43.71m인 위치를 위치 오차가 4.09m인 위치로 보정하였으며 낮과 밤에 관계없이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300원
        10.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공원은 시민의 여가 공간으로 시민들이 공원을 방문하는 정도는 공원이 제공하는 사회적 효용을 측정하는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입지적 특성을 바탕으로 시민들이 도시공원을 방문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방문 잠재력 지수를 제안한다. 방문 잠재력 지수는 도시공원 입지의 공간적 효율성과 형평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공간 접근성과 기회 대체성을 결합하고 있다. 도시공원의 공간 접근성은 공원의 서비스 권역 내에 거주하는 인구 분포로 측정했으며, 도시공원의 기회 대체성은 인접 공원의 이용 가능성으로 측정하였다. 도시공원의 공간 접근성과 기회 대체성은 각각 수요와 공급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이를 결합한 방문 잠재력 지수는 공원의 공급 필요성이 큰 입지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사례 분석으로 도시공원 일몰제로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서울시 도시자연공원구역의 방문 잠재력을 실증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서 제안하는 도시공원 방문 잠재력 지수는 도시공원의 입지적 가치를 다각도에서 포착하고 유연한 평가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입지와 신규 후보 입지 모두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600원
        12.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rketers and retailer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grabbing the opportunity to reach the consumer at the right time and place with a smart phone. Depending on Location Based Advertising (LBA) and associated sensors with the IBeacon technology, marketers can determined the consumer’s favorite products through his search history and previous purchase activities furthermore his location in-store. So, marketers and retailers pay more attention to in-store mobile LBA. In this work, the modified LBA in-store framework are constructed. This model proposed that the temporal time, type of information and the variety of receiver of mobile in-store LBA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in retail stores.
        4,000원
        13.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해 건물 구조물의 가속도계 설치 위치 및 개수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인공신경망의 입력 층에는 층에 설치되는 가속도계로부터 얻는 가속도이력데이터가 입력되며, 출력층에는 구조물을 정의하는 각 층의 질량과 강성 값을 출력하도록 신경망을 구성한다. 가속도계의 설치 위치 및 개수를 선정하기 위해 여러 설치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훈련을 통해 인공신경망을 구한다. 훈련에 사용되지 않은 예제를 이용해 예측 성능을 비교하였다. 센서 개수 및 위치에 따른 예측 성능을 비교하여 설치위치 및 개수를 선정한다. 6층과 10층 예제 적용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을 검증하였다.
        4,000원
        1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승람도놀이’의 요소를 접목시켜 물리적 공간과 가상공간을 연계하는 게임을 디자인하였다. 물리적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게임에는 위치기반 AR기술을 적용한다. ‘승람도놀이’의 요소를 적용한 AR 게임 참여자는 몰랐던 공간 스토리를 내비게이팅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공간을 경험할 수 있다. 디자인 측면 에서는 참여 공간의 역사문화적 스토리 경험 및 학습, 다른 참여자와의 인터랙션, 사진 및 정보 공유, 상호 협력 미션이 가능하다. 디자인에 적용될 이야기 노드는 공간에 따라 바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본 게임은 탐험 계획 단계인 온라인 게임과 심화 습득 단계인 오프라인 게임으로 구성된다. 탐험 계획 단계에서는 공간에 대한 이야기, 공간 주변 정보의 일부를 습득할 수 있다. 게임 참여자에게 플레이 공간에 관심을 갖게 유도하여 실제 물리적 공간으로의 여행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을 준다. 심화 습득 단계는 물리적 공간과 가상공간을 접목시킨 위치기반 AR기술을 활용한다. 참여자는 현실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미션 수행으로 심화된 이야기를 체험하고, 더 많은 주변 정보를 획득한다. 본 연구는 참여자에게 역사적, 문화적 스토리를 경험하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자인 되었다. 또한 온 오프라인 공간을 모두 활용하여 AR 게임의 진입 장벽을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자인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공간경험과 이야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4,000원
        1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관광지 및 공공공간에서의 사인 시스템은 대상지에서의 즉각적이고 명확한 정보 안내는 물론 현장에서의 다양한 이용자 계층을 고려한다는 측면에서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 한국전통문화 관광지의 하나인 한국민속촌을 대상으로 정체성, 통일성, 가독성, 내구성, 위치의 적합성 등 5가지 조성원칙에 입각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인시스템에 대한 문헌분석, 한국민속촌 사인시스템의 현황조사와 더불어 실제 이용자 150명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조성원칙이 전반적인 사인 이용 만족도와 어떤 상관성을 갖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정체성, 통일성, 가독성, 내구성, 위치의 적합성 등 사인시스템의 5가지 주요 원칙들과 사인의 이용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한국민속촌의 경우 통일성과 가독성이 사인의 이용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내구성과 위치의 적합성은 사인의 이용만족도와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5개의 주요 요소들간에는 정체성과 통일성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일성과 가독성, 정체성과 위치의 적합성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000원
        16.
        201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years, the use of smartphones is becoming more common with the pace of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utilizing smartphones is proceeding rapidly. Although most LBS technologies are used in combination with a GPS system,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receive GPS signa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Therefore, in this paper we conducted a study on the smartphone users’ indoor position estimation only using the built-in sensor of smartphone without a connection with smart devices, and it showed that the accuracy was increased.
        4,000원
        17.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an increasingly globalized world, consumers are continuously exposed to global products in their domestic markets. As a result, companies are seeking ways to adapt their business in order to target the global consumer segment, which is favorably disposed to global market offerings (Papadopoulos & Martin Martin, 2011). Research on conceptualizing consumers’ positive dispositions towards global products is burgeoning, with a number of researchers focusing on the role of global/local consumer identities (i.e. Tu, Khare, & Zhang, 2012). Global identity implies that a person identifies with the entire human kind and feels as a resident of the entire world (Cannon & Yaprak, 2002), and consequently has a more positive view toward globalization and shows more interest into global events (Guo, 2013). Local identity, on the contrary, derives from the overall awareness of belonging to a community that shares the same national values and cultural norms (Thompson, 2001).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global and local identities positively influence the evaluations and willingness to purchase global and local brands, respectively (Verlegh, 2007; Zhang & Khare, 2009). Despite the growing academic focus on consumers’ location-based identities (i.e. global/local) and their impact on consumer decision making, research on this topic is mainly focusing on tangible products, ignoring how digitalization has transformed the international marketing landscape. Drawing on social identity theory and the existing literature with regards to how global/local identity is influencing consumers’ disposition towards global products, this paper considers the case of global digital products. In particular, we aim to investigate whether global and local consumer identities influence the usage of two of the most famous global Social Network Sites (SNSs), namely Facebook and Instagram. Combining existing literature on global consumer culture and marketing of SNSs, we develop and empirically test a set of hypotheses with two samples of Facebook and Instagram users from Austria and Thailand. The choice of these specific countries allows us to explore whether consumers with global or local identities behave similarly in marketplaces characterized by completely different settings regarding the availability and use of SNSs.
        18.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y increasing awareness of product offers and availability in the consumer’s proximity, Location Based Marketing (LBM) increases relevance of placed advertisements. However, depending on how it is executed, such advertising can also be perceived as intrusive, irritating, or even violating consumer’s privacy. Existing knowledge does not offer clear directions for retailers, who are keen to know of LBM’s effectiveness on sales. In this paper, authors investigate the effects of LBM on application (app) driven revenues of 116 major mobile retailers from around the globe. In particular, we examine the contingency effects of the roles of device as well as privacy needs of the brand audience. Findings reveal that effects of LBM on app-based revenues vary by tactic (inbound vs. outbound), type of device (Tablet vs. Phone), and user type based on brand of app (Android vs. Apple). Overall, this research identifies critical factors for retailers to consider, in order to best monetize their location based efforts. Contributions of the analysi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19.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ocation Based Service is growing rapidly nowadays due to the universalization of the use for smartphone, and therefore the 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has been placed in a very important position. this study suggests an algorithm that can provide the estimate of users' location by using smartphone sensors. And in doing so we will propose a methodology for the creation and update of indoor map though the more accurate position estimation using smartphone sensors such as acceleration sensor, gyroscope sensor, geomagnetic sensor and rotation sensor.
        4,000원
        20.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considers zone-based registration (ZBR) and distance-based registration (DBR). A mobile station performs location registration whenever the MS reaches a new zone or the specified distance. These two schemes seem to be similar but, in DBR, the mobile station (MS) is in the center of the location area right after location registration differently from in ZBR. In this study, we point out some problems of the previous analysis method and propose an improved analysis method of ZBR and DBR. Using the improved analysis method, we show that the previous analysis includes some problems, and that the performances of two registration methods in our study are enhanced more than in the previous study. This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useful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various location registration scheme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