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생산자와 시장의 기호성이 우수한 스프레이 장미 품종 ‘Haesal’의 유용한 화색변이 품종을 단기간에 육성하기 위해 삽수와 발근삽목묘에 각각 감마선을 처리한 후 변이 발생 양상과 주요 화색변이의 생육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감마선 처리 시료 형태에 상관없이 선량이 높아질수록 식물체 치사율은 높아졌고 신초의 발생량과 신초 생장량이 감소하였다. 50% 치사선량(LD50, Lethal dose 50)은 삽수는 70Gy부터, 발근삽목묘는 90Gy부터였고 변이 발생률은 삽수와 발근삽목묘에서 각각 2.6%, 3.1% 였으며, 변이형태는 양쪽 모두 완전변이체, 키메라, 그리고 꽃 형태변이였다. 감마선을 처리한 삽수로부터 ‘Haesal’과 거의 유사한 특성을 가진 화색변이 MUL-1과 MUL-2를 각각 70Gy와 50Gy 선량에서 유기하였고 특성을 조사한 결과 꽃 직경과 꽃잎수, 절화수량은 ‘Haesal’에 비해 조금 적었지만 화형과 잎의 특성, 절화장 등은 ‘Haesal’과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감마선을 이용한 육종 차조기 추출물을 통해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RAW 264.7 세포에서 MTT를 통해 세포 생존율을 평가하였으며, LPS로 유도한 RAW 264.7 세포에서 ROS, NO, 염증성 사이토카인, NF-κB, COX-2 등을 ELISA, Luminex 및 PCR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육종 차조기 추출물은 25 ㎍/㎖ 이하에서 세포독성이 없었으며,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서 ROS, NO, 사이토카인(IL-1β, IL-6, TNF-α)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NF-κB, COX-2의 발현을 감소시켜 육종 차조기 추출물은 뛰어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염증 매개체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건강식품 및 치료제의 원료로 개발될 수 있다.
Exposure to several common acting through oxidation stress environmental toxins has been shown to be associated with Parkinson’s disease (PD). One recently identified inherited Parkinson’s disease (PD) gene, DJ-1, may have a role in protection from oxidative stress, thus potentially linking a genetic cause with critical environmental risk factors [1]. In the present study, initially we assess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ilk Worm Powder (SWP) in selected chemical systems and further explored the efficacy of SWP in Drosophila lacking DJ-1 function (This work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the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for Agriculture Science &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title: Elucidation the health improvement effects of boiled silk worm larvae, Project No: PJ0108280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Brucella abortus is a well-known intracellular zoonotic pathogen. Despite significant research to understand the pathogenesis, underlying mechanisms of the bacterial infection are not yet understood. Thus,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 B. abortus infection is problematic in animal and human.
Therefore, several methods involving random mutation have been used to identify the mechanisms and provide a solution for control and prevention of Brucella infection. B. abortus mutants were generated by random insertion of a transposon, Ez-Tn5TM pMODTM-3 <R6Kγori/MCS> into a chromosome. Characteristics of these mutants were investigated using biochemical testing, growth features, determination of biovar, antibiotic resistance and detection of virulence factors, T4SS, PGK, and CGS. In biochemical testing, B. abortus muta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7 groups with different condition of ILATk, SUTC, and ELLM. Different growth features were also observed between wild type and mutants. In addition, both B. abortus wild type and mutants were determined as biovar type 1 by biovar test. Three virulence factors, T4SS, PGK, and CGS were detected by PCR. Therefore, B. abortus mutants were characterized by analysis of phenotyping and it might be useful for further studies of known pathogenesis of B. abortus infection and for identification of diagnostic markers of brucellosis.
본 연구는 느티만가닥버섯 20품종 버섯, 잿빛만가닥 3품종 버섯, 땅지만가닥 1품종 및 돌연변이 느티만가닥버섯 20종류의 유전적 변이를 RAPD 방법에 의해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들은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에서 유래한 것들이다. 느티만가닥버섯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돌연변이체를 만들었다. 본 연구에 이용한 primer들은 40종류였고 이 중 31종류의 primer등이 반응을 나타내었다. RAPD 결과들을 분석한 결과 이 들 품종으로는 7개의 cluster로 나뉘어 졌다. 돌연변이체들은 유전적으로 유의적 차이가 있는 subgroup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본 실험에 사용한 primer들과 포자의 감마선 조사 등을 버섯의 신품종 개발에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Many basidiomycetes, especially mushroom species, thrive on saccharides that they obtain from the decomposition of cellulose, hemi-cellulose and or lignin. Cellulose is degraded by specific enzymes called cellulases. Cellulas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biosphere by recycling cellulose, the most abundant carbohydrate produced by plants. Also cellulases have many potential biotechnologic and industrial applications. Detection of cellulose degrading activity is commonly performed on carboxymethylcellulose CMC medium in combination with a stain that reveals the degraded CMC. In order to efficiently screen the F. velutipes knockout library, obtained through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ATMT), for those important enzymes we compared two different staining methods i.e. Congo Red and Gram’s Iodine (as reported in R. C. Kasana et al 2008). The latter stain showed strongly enhanced detection in time and intensity, facilitating mass screening of our mutant database. Using Gram’s iodine and square petri dishes containing up to 9 colonies at a time we can now rapidly screen multiple mutants in a short period. We are going to find the genes. Inactivated genes of mutants with altered cellulase degradation activity will be identified and cloned for further analysis.
Autographa californica nucleopolyhedrovirus (AcMNPV) has a large doublestrand DNA genome of approximately 134 kbp and harbors 156 open reading frames (ORFs). To elucidate DNA replication cascade of AcMNPV, we developed a novel baculovirus genome that can be maintained in Escherichia coli as a plasmid and can infect susceptible lepidopteran insect cells. This genome, named bAc-MK, contains a mini-F replicon and a kanamycin resistance marker. Using a convenient Tn7 transposon-based system, pPCS-S, 55 single ORF-truncated mutants were generated by random insertion into bAc-MK genome. These single ORF-truncated mutants were independently transfected into Sf9 cells, 16 of them were found affecting viral replication since they defected in producing polyhedra. Furthermore, to verify the pathogenicity of the single ORF-truncated mutants, the remaining 39 mutants were subjected to bioassay to Spodoptera exigua 3rd instar larvae. Among them, ac9-, ac49-, ac103- and ac105-knockout mutants showed higher mortality compared to that of bAc-MK.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se ORFs could be related to pathogenicity of AcMNPV.
The baculovirus Autographa californica nucleopolyhedrovirus (AcMNPV), a large circular double-stranded DNA virus whose genome encodes at least 155 open reading frames (ORFs), is highly pathogenic to a number of lepidopteran insects and widely used to transduce various cells for exogenous gene expression. Although many genes of AcMNPV have been identified, the genome-wide study related to viral replication has not been well announced. In this study, to elucidate DNA replication cascade of AcMNPV, we firstly developed a novel baculovirus genome that can be maintained in Escherichia coli as a plasmid and can infect susceptible lepidopteran insect cells. This genome, named bAc-MK, contains a mini-F replicon and a kanamycin resistance marker. Using a convenient Tn7 transposon-based system, pPCS-S, which contains an ampicillin resistance gene, ORF knock-out mutants were generated by random insertion into bAc-MK genome. These mutants will be suffered DNA microarray to elucidate AcMNPV replication cascade.
색소변이체에서 버섯 바이러스의 게놈인 dsRNA가 확인 되었으며, 크기는 각각 5.8kb, 1.8kb 이었다. 느타리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인 PVP로 RT-PCR을 수행한 결과 500bp 크기의 특이밴드가 관찰되었다. 또한 양송이 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LIVP와 MBVP에서도 특이밴드가 관찰되었으나 양송이 바이러스와는 다른 양상이었다. 원형느타리의 백색변이체 (MGL2205)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유사입자는 구형이었으며, 크기는 14, 20∼45nm이었다. 균사체의 세포단면을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순화액에서 확인된 바이러스유사입자와 비슷한 구형의 입자들이 관찰되었으며, 순화된 바이러스와 동일한 입자인지는 추후 확인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원형느타리 백색변이체(MGL2205)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최적 증식 조건은 15℃, pH 6, 배양기간 3주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 결과는 이와 유사한 재배적 조건에서 재확인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원형느타리 재배농가에서 발생한 백색과 흑회색 변이체는 원형느타리1호에 비해 균사생장속도가 느리고 균총의 모양도 불규칙하였다. 색소변이체로부터 분리한 단포자의 유전표지인자를 분석한 결과 원형느타리1호의 단포자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 색소변이체는 원형느타리1호의 변이체임이 확인되었다. 백색변이체균주를 Mn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배지색소가 형성되었다. 색소변이체로부터 단포자를 분리하여 F1을 육성하여 자실체색의 후대유전양상을 분석한 결과, 백색변이체의 F1은 모두 백색이었으며, 흑회색 변이체의 F1은 대부분 모균주와 같은 흑회색의 자실색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아 색소변이는 후대(F1)로 유전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자실체색은 유색계통이 백색에 대해 우성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백색변이체와 회색의 야생종과의 교배에 의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자실체색은 버섯의 상품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형질 중 하나이며, 또한 버섯균의 유기물 분해력과 병이나 불량환경에 대한 저항성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자실체색이 진한 품종을 육성하는 연구는 버섯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자실체색 돌연변이체는 이러한 육종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으로 유도된 돌연변이체들에서 공통으로 발현되는 방사선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연구하기 위하여, B. lentimorbus WJ5 의 방사선 유도 돌연변이체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를 DNA microarray로 동시에 탐색하였다. DNA microarray는 B. lentimorbus WJ5 genome을 무작위로 절단하여 2,000 단편으로 구성하였으며, 감마선 (60/Co)으로 유도된 7 돌연변이체의 발현을 정량적으로 관찰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