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21.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기간의 태권도 수련프로그램과 태권도수련과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신체구 성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주5회 태권도수련프로그램에 참여한 30명, 태권도수련과 복합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30명, 규칙적인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30 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IBM SPSS 24.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를 산출하였으며, 집단 간 비교를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태권도 수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은 신체구성의 키(p<.001), 기초체 력의 근력(p<.001), 근지구력(p<.01)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태권도수련과 복합운동프로그램에 참여 한 초등학생은 신체구성의 키(p<.001), 체중(p<.05), 기초체력의 근력(p<.001), 민첩성(p<.05), 평형성 (p<.05)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초등학생의 신체발달에 효과가 있었 으며, 태권도수련과 복합운동프로그램은 신체의 성장과 기초체력 요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4,200원
        2.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hemical compositions affecting the phys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textured vegetable protein (TVP). The 14 commercial TVPs were pulverized, followed by analyzing their morphology, chemical composition, water absorption index (WAI) and water solubility index (WSI) (for the pulverized and original TVPs), solubility, swelling power, melting property, and hardness. All TVPs showed the rough surface with irregular cracks and pores and the porous structure with varied pore sizes. WAI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moi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s and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total carbohydrate content. WSI and solubility were directly and reversely influenced by the crude ash and total carbohydrate contents and the crude protein and total starch contents, respectively. The swelling power and melting temperature of TVP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hemical compositions. Melting enthalpies increased with crude ash content, while decreased with the total starch content. The hardness of the rehydrated TVPs was enhanced with their crude ash and total carbohydrate contents, whereas reduced with their crude protein and total starch contents. Overall, the yield and texture of the rehydrated TVP could be modulated with the crude protein and ash contents of TVP.
        4,000원
        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한민국 영공을 수호하게 될 공군사관학교 생도들의 체력은 주어진 임무를 완수하기 위하여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군사관학교 여생도의 학년별 신체조성과 체력의 특성을 확인하고, 전체 여생도의 체지방률 수준에 따른 체력과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군사관학교 전체 여생도 50명(1학년 13명, 2학년 18명, 3학년 9명, 4학년 10명)을 대상으로 신체조성(골격근량,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기초대사량)과 체력(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유연성, 평형성)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학년별 신체조성과 체력의 특성을 파악하고 체지방률 수준에 따른 체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여생도의 학년별 신체조성 중 체지방량, 체지방률에서 1학년이 4학년에 비해 낮았고, 2학년이 3-4학년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으 며, 체질량지수는 2학년이 3-4학년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다. 여생도의 학년별 체력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지방률에 따른 집단 간 체력은 순발력에서 20%미만 집단이 20~25%집단, 25.1~30%집단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평형성은 20%미만인 집단이 25.1~30%집단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여생도들의 학년별 신체조성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체지방률에 따라 순발력과 평형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공군사관학교 여생도는 공중 임무환경과 관련이 있는 순발력과 평형성 능력을 갖추기 위한 체지방의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4,000원
        4.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4주간의 축구영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저학년, 고학년)의 신체조성, 기초 체력, 자기조절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남자 초등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저학 년 40명, 고학년 40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축구영재 프로그램은 주 1회, 24주간 실시되었으며, 측정된 자료의 그룹 내 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 그룹 간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그룹과 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을 위하여 이원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체조성 중 근육량은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지방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기초체력은 모든 변인에서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심폐지구력, 근력, 순발력에 서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감은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그룹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축구영재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남학생의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during 12weeks on physical fitness,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university students. Nineteen male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enrolled of 1st grade at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Subjects were performed combined exercise training - running, physical training using plyometrics and resistance training - of 5days per week, 70min per 1 time, during 12weeks. The measurement items were health related fitness(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motor skill fitness(power, balance), body composition(% body fat, muscle mass) and bone mineral density(T-scor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study and consideration of many pre studies related it,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data analysis of 12 week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health related fitness, post level was revealed more significant increase than pre level at muscle strength(p<.05), muscular endurance(p<.05), cardiovascular endurance(p<.001) and flexibility(p<.05). Second, data analysis of 12 week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motor skill fitness, It was no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the post level of the power and balance). Third, data analysis of 12 week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post level reveal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pre level at muscle mass(p<.05), but It was no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the post level of the % body fat. Fourth, data analysis of 12 week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bone mineral density, post level reveal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pre level at T-score(p<.05). In conclusion, It was revealed that 12 week combined exercise training increased physical fitness, and improved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 hope that more studies will be followed on physical fitness,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on various exercise types, exercise intensity, time and frequency in university students in the future.
        4,200원
        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천지역 일부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올바 른 식습관의 확립과 신체적, 심리적인 건강을 위한 기초자료 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식습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 인으로 건강관련 생활습관, 신체증상, 체성분을 조사․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으로는 남학생 96명(39.2%), 여 학생 149명(60.8%), 거주 형태는 자택 및 친척집 202명(82.4%), 자취 43명(17.6%), 통학 수단은 도보 48명(19.6%), 자전거 1명 (0.4%), 자가용 5명(2.0%), 버스 65명(26.5%), 지하철 126명 (51.4%), 학년은 1학년 60명(24.5%), 2학년 54명(22.0%), 3학년 84명(34.3%), 4학년 47명(19.2%)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관 련 생활습관에서 운동 여부는 ‘하고 있다’ 120명(49.8%), ‘하 고 있지 않다’ 125명(51.0%), 흡연 여부는 ‘하고 있다’ 16명 (6.5%), ‘하고 있지 않다’ 229명(93.5%), 음주 여부는 ‘하고 있 다’ 58명(23.7%), ‘하고 있지 않다’ 187명(76.3%)으로 나타났 다. BMI는 저체중, 정상군, 과체중, 비만이 각각 13명(5.3%), 122명(49.8%), 79명(32.2%), 31명(12.7%)로 나타나, 정상체중 이 가장 많은 반면, 저체중과 비만 학생의 비율이 낮았다. 2. 남녀 대학생들의 건강관련 실천 양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흡연, 음주, 운동 여부, 과일 섭취, BMI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반면(p<0.05), 육류 섭취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p>0.05). 3. 남녀 대학생들의 식습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 으로 ‘아침은 매일 규칙적으로 먹는가’, ‘식사는 언제나 적당 한 양을 먹는가’, ‘1일 2끼 정도의 고기․생선․달걀․콩제품 중의 어느 것인가를 먹고 있는가’, ‘기름을 넣어서 조리한 음 식을 매일 먹는가?’에서 남녀 모두 주 3~5일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녀 대학생 간의 ‘과일을 매일 먹는가’ (p<0.05)에서 통계적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 여학생이 남 학생보다 과일 섭취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남녀 대학생들의 신체증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 ‘쉽게 피로하다’, ‘집중력이 떨어진다’가 높게 나타났으 며, ‘두통이 있다’, ‘감기에 잘 걸린다’, ‘평소에 어지럽다’, ‘쉽게 피로하다’, ‘계단을 오를 때 숨이 가쁘다’, ‘집중력이 떨 어진다’, ‘소화가 잘 안 된다’, ‘변비가 있다’에서 성별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난 반면(p<0.05), ‘얼굴이 창백하다’, ‘소화가 안 된다’, ‘설사 증상이 있다’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5. 남녀 대학생들의 체성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 으로 신장, 체중, BMI, 근육량, 체지방량, 골격근량, 복부지방 률에서 모두 성별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 났다(p<0.05). 6. 남녀 대학생들의 식습관과 신체증상의 상관관계를 분석 한 결과, 남녀 대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신체 증상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기름을 넣어서 조리한 음식을 매 일 먹는 경우 ‘소화가 잘 안 된다’와 ‘집중력이 떨어진다’, ‘두 통이 있다’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우유를 매일 마 시는 경우 ‘소화가 잘 안 된다’ 간에 음의 상관관계, 1일 2끼 정도는 고기, 생선, 달걀, 콩제품 중의 어느 것인가를 먹는 경 우 ‘소화가 잘 안 된다’와 ‘변비가 있다’간에 음의 상관관계 를 나타났다.
        4,000원
        7.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품종 별 원료미와 파보일드미의 물리적 특성 및 영양성분을 비교 조사하였다. 원료미와 파보일드미의 모든 품종에서 평형수분함량은 증가되었고, 평형에 도달되는 시간은 단축되었다. 물결합력은 원료미와 파보일드미의 경우 품종 중 각각 보람찬과 평안이 높았으며 파보일링에 의해 2.3-3.5배 증가되었다. 호화특성 중 호화개시 온도와 최고점도는 파보일링에 의해 각각 높고 낮아졌으며, 치반점도는 원료미보다 높아졌다. 알칼리 붕괴도는 원료미의 경우 호화개시온도와 부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파보일드미의 경우 증자과정에 의한 호화로 높게 평가 되었다. 원료미와 파보일드미의 미량성분은 K 함량이 가장 높고 P >Mg>Ca>Na>Fe > Zn > Mn 순이었으며, 총 함량은 파보일링 후 1.2- 1.7배 향상되었고, 비타민 B1 함량은 원료미의 경우 보람찬이 0.1410 mg/100 g으로 가장 높고 파보일링 후 2.5-6.1배 향상되었다.
        4,000원
        8.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mineral element concentrations of acorns in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serrata seed orchard, so that to estimate the variation of these species based on the chemical composition in different clones from plus trees. The acorns were collected from ten clones of each species grown in the same clonal seed orchard. The nutritional concentration of acorn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lones and species.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for the whole acorn followed in this general sequence: P > K > Na > Mg > Ca > Mn > Fe > Zn > Cu . The mineral concentrations of acorns in clones of Q. acutissima and Q. serrata contained P (494 to 684 and 541 to 672 mg/100 g), K (114 to 569 and 140 to 251 mg/100 g), Na (57 to 121 and 49 to 85 mg/100 g), Mg (29 to 37 and 26 to 42 mg/100 g), Ca (10 to 53 and 26 to 68 mg/100 g), Mn (0.5 to 3.4 and 1.8 to 4.5 mg/100 g), Fe (0.7 to 1.1 and 0.0 to 2.2 mg/100 g), Zn (0.34 to 0.81 and 0.38 to 0.84 mg/100 g), and Cu (0.13 to 0.40 and 0.09 to 0.34 mg/100 g) respectively. Even though acorns of Q. serrata are smaller in size than Q. acutissima, acorns of Q. serrata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concentration of phosphorus, calcium, iron and manganese than Q. acutissima. Based on the mineral composition of the acorn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clones of Q. acutissima and Q. serrata have different ability to accumulate mineral nutrients which could indicate the variation of Quercus species in terms of mineral acquisition and accumulation.
        4,000원
        9.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stablish the positive effects placed on peer groups and improvements of group cohesion by composing social groups in physic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By determining the possibilities for physical education co
        10,200원
        10.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effects that the complex exercise training consisting of aerobic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sit up, push up) that everyone can easily practice regardless of a time and a place in order to manage practically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aged affects the difference on their body composition and the change of physical fitness level. Looking into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of an experimental group, the weight of 2.5kg was reduced after applying complex training for 12 weeks and the body fat mass of 2.65kg was reduced. Also, the abdominal fat of 0.13% was decreased and the muscle mass of 1.56kg was increased. For the change factors of physical fitness, cardiovascular endurance,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balance and flexibility excluding agilit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applying complex exercise training. The improvement of health fitness of the aged under this study was significantly effective to improve specified body functions which had been lowered by aging and insufficient physical activities. So, it is regarded that their health fitness is the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activity competence required for daily life and to lead healthy living by the improved activity competence. Henceforth, it needs to study more the complex composition of several sports, exercise intensity and the frequenc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studies. In addition, it needs to develop the complex exercise training in accordance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a sex of the aged, an age, a physical fitness level, environment, a disease and the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efficacy and safety during training.
        4,000원
        11.
        2008.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work, pellet type sorbents were prepared to control the low level indoor carbon dioxide with various physical compositions. In order to enhance the adsorption capacity, a few additives including alkali hydroxides were added to a commercial zeolitic sorbent by impregnation of alkali cation - Ca2+ through physical mixing and ion exchange. It was found that the binding materials such as dextrin or bentonite facilitating to form the granular sorbents would assist the adsorption capacity of sorbents. The ion exchange was more efficient for impregnation of alkalies, which showed better adsorption of gaseous CO2.
        4,000원
        13.
        1992.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약급 망간염과 폐건전지에서 회수한 망간염 수용액을 전해액으로 사용하고, 0.2% 저탄소 연강을 가용성 양극으로, SUS 304 스테인레스 강을 음극으로 하여 전기분해 법에 의해 생성된 망간 페라이트의 화학조성 및 열적, 자기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MnxFe3-xO4(O<X<3) 산화물은 X=1에서 스핀넬형 망간 페라이트가 생성되었고, 망간함량이 증가할수록 200˚C까지는 중량감소량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망간함량과 가열온도가 증가할수록 보자력이 감소하고 포화자화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약급 염화망간염을 전해액으로하여 생성시킨 망간 페라이트가 황산망간 및 폐건전지에서 회수한 망간염을 전해액으로 사용하여 제조한 망간 페라이트 보다 포화자화값이 높았다. 200˚C, 300˚C로 가열하였을 때, 폐건전지에서 침출한 황산망간염을 전해액으로 하여 생성시킨 망간 페라이트가 시약급 황산망간염을 전해액으로 하여 생성시킨 망간 페라이트 보다 포화자화와 잔류자화값이 높았다. 생성된 입도는 모두 구형이었고, 시약급 황산망간염을 전해액으로 하여 생성시킨 망간 페라이트에서는 0.1μm, 폐건전지에서 침출한 황산망간염을 전해액으로 하여 생성시킨 망간 페라이트에서는 0.5μm 범위의 미립자로 생성되었다.
        4,000원
        14.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신체구성,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들의 신체활동량, 신체적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신체활동 수준 분류는 국제신체활동설문(IPAQ)을 통해 신체활동량을 점수화하여 저활동군, 중활동군, 고활동군으로 분류하였다. 신체활동량 분석 결과, 본 연구의 대상자들 중 53.6%는 중활동군으로 분류되었고, 46.4%는 저활동군으로 분류되었다.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자기효능감 점수는 중활동군이 저활동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점수는 중활동군이 저활동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긍적적 영향을 주고, 스트레스 수준을 경감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5.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8주간의 버피테스트 운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신체구성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함으로써 아동의 건강과 체력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의 다양화에 기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G시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운동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20명씩 구분하였으며, 운동집단에는 8주간, 주당 3회의 버피테스트 운동을 실시하였다. 8주간의 처치 전후에 신체구성과 체력 측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장(p<.001)과 체중(p<.001), 체지방률(p<.01)에서 운동군과 통제군 모두 8주 후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BMI는 유의한 증가를 보인 대조군(p<.001)에 비해 운동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력 측정에서는 20M왕복오래달리기(p<.001),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p<.05), 팔굽혀펴기(p<.01)에서 운동군의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8주간의 버피테스트 운동은 아동의 신체질량지수와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지구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최근 아동의 건강과 체력 저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때에, 버피테스트 운동과 같은 짧은 시간의 운동을 접목시킨 운동 프로그램을 학교 교육에서 제공 한다면 아동의 건강과 체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16.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태권도 트레이닝이 여성 대학생의 신체조성과 기초체력요인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하여 태권도 트레이닝이 여성 대학생에게 주는 효과를 검증하고 지금까지 상대적 으로 미비했던 일반 성인 여성에게 적절한 운동 방법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었다. 연구를 위해 주요 요인을 조작적 정의하였는데 먼저, 신체조성은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및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 기초체력요인은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순발력 및 유연성으 로 설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S대학교에 재학 중인 20대 여성 13명으로 선정하였 으며, 연구대상들은 12주간 태권도 트레이닝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작적 정의된 요인들을 참여전과 참여후에 측정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 출되었다. 첫째, 태권도 트레이닝을 통해 여성 대학생의 신체조성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나지 않았다. 둘째, 태권도 트레이닝을 통해 여성 대학생의 건강관련체력 중 근력, 근지구력 및 민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본 연구는 일반 여성 대학생을 위한 태권도 트레이닝이 신체조성에는 유의한 변화나 효과가 없 지만 전반적인 기초체력요인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따라서 적절한 태권도 프로그램은 여 성 대학생들의 기초체력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17.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추출조건에 따른 지골피의 몇가지 물리적 성질 및 화학성분조성을 조사하였다. 1. 고형분과 총당함량은 물추출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았으나 반면에 탄닌산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다. 2. 지골피 물추출물이 탁도와 갈색도가 에탄올추출물보다 높았으며 색도 중 적도와 황색도는 유사하였다. 3. 용매별 분획추출결과 수율은 물 > n-부탄올 > 에틸에텔 > 초산에 틸 분획순으로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