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를 통해 국내 주요 한약재인 복령의 유해물질에 대한 안전성 확립과 허용기준치 설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 유통 중인 복령 10건(국내산 5건, 중국 산 5건)에 대한 잔류농약(321종), 중금속(7종), 방사능(3종), 회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잔류농약은 국내산 1건에서만 농약 성분인 cypermethrin 0.03mg/kg이 검출되었으나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cypermethrin은 과수 및 원예농업에서 해충 방제의 살 충제로 사용되는 성분이다. 중금속은 Hg를 제외한 Zn, Pb, Ni, Cu, Hg, Cr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됐지만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Cd는 중국산 1건에서 0.011 mg/kg이 검출되었다. 방사능 농도도 모든 시료에서 MDA값 이하로 나타나 불검출 수준이었으며, 회분 함량도 모든 시료에서 기준치인 1.0% 이하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국내에 유통 중인 복령의 유해물질에 대한 위해성은 안전하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버섯류는 중금속 함량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복령은 토양 속에서 생장하는 재배 특성상 유해물질에 항시 노출되어 있으므로 재배, 저장, 유통 등 생산단계 전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체계적인 관리기준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열수와 에탄올 용매에 따른 복령 및 산수유 추출물의 농도별로 항산화 활성, 항염증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진행하였다. 추출물들의 총 polyphenol 함량은 복령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복령 에탄올 추출물, 산수유 열수 추출물,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 순으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능은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산수유 열수 추출물은 모든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복령 열수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다. 복령과 산수유에 함유된 총 polyphenol과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에탄올 추출방법 보다는 열수 추출방법이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복령추출물이 산수유 추출물에 비해 NO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MPP+에 의해 유도된 SH-SY5Y 신경세포에 복령 열수 추출물은 산수유 열수 추출물에 비해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복령과 산수유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항염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기능성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공정에 의해 복령피를 추출하였고, 에탄올 복령피 추출물과 비교하여 항염, 미백, 항산화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추출물의 제형과 약물전달 펩티드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경피투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복령피의 항암, 항염성분으로 알려진 Pachymic acid를 지표성분으로 HPLC 분석 결과 에탄올 복령피 추출물 보다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이 2배 이상 높게 추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령피의 항산화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PPH 소거능과 ABTS 소거능은 복령피 에탄올 추출 물이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보다 더 낮은 농도에서 IC50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RAW 264.7 세포 내 NO(Nitric oxide)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에탄올 복령피 추출물보다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이 동일 농도에서 더 낮은 NO 생성량을 나타냈다. 또한 B16 melanoma 세포에 복령피 추출물을 20 ㎍/mL 농도를 72시간 처리 후 세포 내외 멜라닌 합성을 확인한 결과에서는, 에탄올 복령피 추출물과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 모두 효과가 있었으며 초임계 추출물이 더 낮은 멜라닌 함량을 보였다. NO 생성량 실험에서 활용된 RAW 264.7 세포에서는 800 μg/mL농도에서도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B16 melanoma 세포에서는 50 μg/mL에서도 에탄올 추출물과 초임계 추출물 모두 60 % 미만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을 대상으로 리포좀 제형과 약물전달 펩티드를 활용하여 Franz diffusion cell 실험 결과에서는, 리포좀 제형과 약물 전달 펩티드가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을 경피 투과를 증진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이 다양한 효능의 화장품 소재로서 개발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재배와 토경(매립) 복령의 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 비교를 위해 연구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산소가 45~46%로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39~41%의 탄소, 6.06~6.1% 수소, 0.21~0.22% 질소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험을 실시한 복령 모두에서 황 성분은 발견되지 않았다. 시설 및 토경 재배 복령을 ICP 분석법으로 11종의 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S, Fe, Mg, Zn의 함유량은 1년차, 2년차 모두 토경 재배 복령이 시설 재배 복령보다 많았으며 특히 Fe와 Zn의 함유량은 각각 약 3.1~4.9배, 3.6~3.9배 높았다. 50% 에탄올 복령 추출물의 DPPH와 ABTS radical 소거활성과 FRAP 방법을 실행하여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았다. 복령 추출물 10 mg/ml의 농도에서 시설 및 토경 재배 복령의 DPPH IC50 값은 1년산 시설 재배(8.601mg/mL), 1년산 토경 재배(12.85mg/mL), 2년산 시설 재배(1.23mg/mL), 2년산 토경 재배(1.18 mg/mL)로 나타났으며 ABTS IC50값은 1년산 시설 재배(15.85mg/mL), 1년산 토경 재배(14.59 mg/mL), 2년산 시설 재배(3.9 mg/mL), 2년산 토경 재배(14.92 mg/mL)로 계산되었다. 연구에 사용한 복령의 항산화 활성은 농도 의존적인 증가를 보였고 2년산 시설 재배 복령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FE-SEM을 이용하여 복령 입자의 초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샘플간의 뚜렷한 차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This work aimed to discriminate the geographical origins of Domestic and Chinese Wolfiporia extensa. subjected to of oxygen (45.32 to 48.07%), carbon (38.09 to 40.12%), hydrogen (6.05 to 6.78%), and nitrogen (0.16 to 0.23%). Antioxidant activity was examin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domestic (IC50, 7.25 mg/ml) and Chinese (IC50, 8.35 mg/ml) Poria cocos wolf. However, as determined by the inorganic minera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omestic and Chinese W. extensa. The amount of potassium in domestic and Chinese W. extensa was 47.60 ± 8.78% and 33.14 ± 17.27%,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nalysis of inorganic components by ED-XRF should be useful for origin identification of Poria cocos wolf.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compare ingredi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okryeong, Poria cocos wolf, cultivated in the landfill and facility. Comparisons of the composition of the landfill and facility Bokryeong were conducted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As a resul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our components (oxygen, carbon, hydrogen, nitrogen). In the second year, GC-MS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extracts containing ginseng epidermis, using the samples taken from the Gangwon-do area in the first year and the second year. As a result, 1,3-Dihydroxyacetone dimer, 2-Furancarboxaldehyde, and Acetaldehyde were detected in the landfill Bokryeong. 2-Furancarboxaldehyde and Acetaldehyde contents were higher in facility Bokryeng. In biological activity assay, The anti-inflammatory of the landfill Bokryeng and facility Bokryeng were compared by using Raw 267.4 cell lin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both of them had anti-inflammatory, but no difference was found.
The aim of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 single oral toxicity of a 50% ethanol extract derived from fruiting body of Poria cocus (PCE) using male and female SD rats. Groups consisted of five male and female rats were treated with a single dose of the test substance intragastrically at 0, 5, 50, 300 and 2,000 mg/kg, respectively. Animals were monitored for the mortality and changes in the body weight, clinical signs and gross observation during the 14 days after dosing, upon necropsy. As the results, we could not find any mortal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 weight change was not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in water and food consumption or gross pathological findings at terminal sacrifice among the groups of rat treated with different doses of the test substance.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pproximate lethal dose of ACM in both female and male rats were considered as over 5000 mg/k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basic mycelial culture conditions for Poria cocos growth. According to colony diameter and mycelial density, suitable media for mycelial growth were Malt yeast extract, Potato dextrose agar, Yeast extract agar, and Yeast malt agar.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was between 25 and 35oC, and the optimum pH value was between 4 and 7. Carbon and nitrogen sources were fructose and yeast extract. The optimum C/N ratio was about 10 to 1 with 2% glucose. Other minor components for optimal growth were thiamine-HCl and nicotinamide as vitamins, acetic and lactic acid as organic acids, and MgSO4·7H2O and FeSO4·7H2O as mineral salts.
Poria cocos is an edible and pharmaceutical mushroom with a long history of medicinal use in Korea. For the last 30 years, the domestic cultivated supply of Poria cocos has been unable to meet consumer demand, so Poria cocos is collected in mountainous areas and also imported from China. Thus, to increase the supply of Poria cocos, many artificial cultivation methods have been studied. In this study, Poria cocos is cultivated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using plastic bags and the results compared. When cultivating Poria cocos at different temperatures (20, 25, 30 and 35oC) and using different numbers of plastic bag layers (1, 2), the most efficient cultivation conditions were a temperature of 25-30oC and 2 plastic bag layers. The fastest growth was at 25-30oC, and the Poria cocos exhibited no weight change when cultivated using layers of plastic bags (1, 2).
Poria cocos is a well-known traditional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TCM) that grows around roots of pine trees in China, Korea, Japan, and North America. Poria cocos has been used in Asian countries to treat insomnia as either a single herb or part of an herbal formula. In a previous experiment, pachymic acid (PA), an active constituent of Poria cocos ethanol extract (PCE), increased pentobarbital-induced sleeping behaviors. The aim of this experiment was to evaluate whether or not PCE and PA modulate sleep architectures in rats as well as whether or not their effects are mediated through GABAA-ergic transmission. PCE and PA were orally administered to individual rats 7 days after surgical implantation of a transmitter, and sleep architectures were recorded by Telemetric Cortical encephalogram (EEG) upon oral administration of test drugs. PCE and PA increased total sleep time and non-rapid eye movement (NREM) sleep as well as reduced numbers of sleep/wake cycles recorded by EEG. Furthermore, PCE increased intracellular chloride levels, GAD65/67 protein levels, and α-, β-, and γ-subunits of GABAA receptors in primary cultured hypothalamic neuronal cells. These data suggest that PCE modulates sleep architectures via activation of GABAA-ergic systems. Further, as PA is an active component of PCE, they may have the same pharmacological effects.
Zein/Poria cocos extract nanofibers were prepared based on the electrospinning of aqueous solutions with different Poria cocos extract concentrations (0, 5, 10, and 15 wt.%). The electrospinning parameters, including the polymer contents, voltage, and tip-to-collector distance (TCD), were optimized for the fabrication process. The resulting electrospun materials were all characterized using field-emission scanningelectron microscopy (FE-SEM). The diameters of the electrospun zein nanofibers were found to increase when increasing the zein concentration.
한국에서의 복령연구는 형태학적 관찰 및 특징, 채집기, 재배방법, 복령균의 배양학적 특성연구 (홍과이, 1990), 1994년 농촌진흥청에서 복령의 인공재배법이 개발되면서 드링크제, 제빵제재 등의 식품화연구도 2000년대 초까지 진행되었다. 복령의 에탄올추출물은 폐암, 난소암, 피부암, 중추신경암, 직장암 세포 성장에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등 항암효과 등의 기능성이 입증되었다(권 등, 1998). 하지만 현재까지도 복령의 수요를 천연채집 및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재배시 고품질, 다수확을 위한 인공재배방법을개선해야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경북농업기술원과신농버섯연구소 등에서 지상에서 재배법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또한 최근의 재배사례에서는 부적절한 재배시기를 선택하는 등의 사유로 실패사례를 간혹 볼수 있다. 최근 복령의 주요 수출국인 중국이 수출을제한하여서 지난 4년간 복령가격이 113% 인상되는등 복령의 국내공급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개발된 복령의 지상재배법과 지하재배법의 장점만을 이용한 새로운 방법의 복령인공재배기술의 확립이 요청된다.
복령(Poria cocus)은 소나무의 뿌리에 기생 또는 부생생활을 하는 담자균의 일종으로 기주로는 대만적송, 리기다소나무, 귤나무류등이 보고되어있다. 복령은 심신의 보양, 이뇨증진, 건망증, 신체허약자등에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인공재배기술은 중국에서 1957년 보고되어있다. 한국에서의 복령연구는 형태학적관찰 및 특징, 채집기, 재배방법(1975), 복령균의 배양학적기초연구 (1980), 1994년 농촌진흥청에서 복령의 인공재배법이 개발되면서 드링크제, 제빵제재등 식품화연구도 2000년대 초까지 진행되었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복령의 수요를 천연채집 및 수입에 의존하는등 실제 재배시 고품질, 다수확을 위한 인공재배방법은 개선할 여지가 많다. 최근에는 경북농업기술원, 신농버섯연구소 등에서 지상에서 재배법을 시도하기도하였다. 최근 복령의 주요수입국인 중국의 수출제한 때문에 지난 4년간 복령가격이 113% 인상되는등 복령의 국내공급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지상재배법과 지하재배법의 장점만을 선택한 새로운 방법의 복령인공재배기술의 확립이 요청된다.
In order to fine antioxidant and whitening agent source from nature, the comparisons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ere carried out for various ethanol extract on Pueraria Radix, Poria Cocos, and Coptidis Rhizoma. Comparing for three ethanol extracts, the highest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found at Poria Cocos (81.2%), but, the highest SOD-like ability, at the Coptidis Rhizoma(58%). Xanthine oxidase experiment exhibited 23.3% of hindrance effect in Pueraria Radix, and 79.3% in Poria Cocos. To evaluate at the whitening effec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conduct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detected at 17.9% in the Puerariae Radix, 5.2% in the Poria Cocos and 83.3% in the Coptidis Rhizoma.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ethanol extracts from Pueraria Radix, Poria Cocos, and Coptidis Rhizoma can be used for cosmetic ingredients.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 정도는 복령 재배지 조건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으며, 각 재배지별 토양수분(soilmoisture), 토성 (soiltexture-siltsandclay), 토양 유기물(soilorganic-matter)함량과 pH를 조사한 결과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토성별 균 사생장 및 균핵형성은 미사함량 30~40%수준에서 좋았고 50%이상에서는 급격히 떨어졌으며,모래함량은 30~50%토양 에서,점토함량은 13~16%토양에서 우수하여 토성별 균사생장과 균핵형성 정도를 종합적으로 충족할 수 있는 가능지역은 임야 개간지 토양이 최적지로 인정되었다. 토양 유기물과의 관계는 유기물함량이 임야 개간지에서 0.37~1.88%,휴양 미숙 지 0.99~4.14%,작물 재배지 1.58~3.86%로 조사되었으며,토양 유기물 함량이 낮을수록 균사생장이 양호하였고 균핵 형 성도 좋은 것으로 확인 분석되었다. 각 재배지별로 토양수분은 임야 개간지에서는 8.5~11.2%, 휴양미숙지는 9.7~27.3%, 작물재배지는 16.0~26.8%로 조사되었다. 토양수분에 따른 복령 균사생장은 토양수분이 10%정도에서 가장 좋았고,15% 이상에서는 균사 활착이 떨어지고 유해 미생물에 따른 부패와 토양통기 불량으로 균사 사멸흔적이 인정되었으며, 균핵결 령(菌核結笭) 상태는 상대적으로 균사 활착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냈다. pH와의 관계는 조사지점 모두 pH4.1~5.1사이로 측정되어 이 범위의 산도와 복령균사생장 및 균핵 형성과는 특별한 차이점을 찾을 수가 없었고 복령균사는 약산성에서 활 착이 우수한 것으로 인정되었다. 이상의 복령 재배지 조건 및 토양의 물리 화학성이 균사생장과 균핵형성에 미치는 영향 을 조사한 결과 재배조건으로는 임야 개간지 에서 가장 좋았으며, 그에 따른 토양수분 토성 토양 유기물 등이 복령 인공재 배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복령 대량생산을 위한 재배적 측면에서 적지선정은 반드시 선결되어 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change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rCBF) and blood pressure(BP) in rats, following the intravenous injection of drug. The measurement was continually monitored by laser-doppler flowmeter (Transonic Instrument, USA) and pressure tranducer(Grass, USA) in anesthetized adult Sprague-Dawley rats for about 2 to 2 and a half hours through the data acquisition system composed of MacLab and Macintosh computer.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was as following 1. Poria increased the changes of rCBF in rats, significantly. 2. The rCBF of Pori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pretreated propranolol, but not by pretreated L-NNA. 3. Radix Cynanchi Wilfordii decreased the changes of rCBF in rats, significantly. 4. The rCBF of Radix Cynanchi Wilfordii was not changed by pretreated propranolol and L-NNA. 5. Poria and Radix Cynanchi Wilfordii increased the changes of rCBF in rats, significantly. 6. The rCBF of Poria and Radix Cynanchi Wilfordi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pretreated propranolol, but not by pretreated L-NNA. 7. Poria decreased the changes of BP in rats, significantly. 8. The BP of Pori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pretreated propranolol and L-NNA. 9. Radix Cynanchi Wilfordii did not change the BP in rats. 10. The BP of Poria and Radix Cynanchi Wilfordii did not change by pretreated propranolol but was increased by pretreated L-NNA. According to the result above, Poria and Radix Cynanchi Wilfordii have a different effect on each other, extract together. It is considered that the effect of Poria and Radix Cynanchi Wilfordii increased that of each drugs, the increasing rCBF of Poria and Radix Cynanchi Wilfordii is mediated by adrenergic β-recep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