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0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에서는 베트남전쟁 60주년을 맞아 그동안 조명받지 못했던 한미 해병대의 연합작전인 배리어상륙작전을 분석하였다. 배리어상륙작전은 선견부대 미운용, 상륙철수 시 혼잡 발생, 게릴라전에 매몰된 연합군이 작전 시 상륙작전의 효용성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점 등의 미흡한 점 이 식별되었다. 그러나 한국 해병대 청룡부대 주도로 전개되었던 배리어 상륙작전이 갖는 전략적 의의와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이안지역 평정작전을 통해 베트남 1번 국도를 완전히 통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하였다. 둘째, 한국군 주도로 상륙작전 계획을 수립하고 성공적으로 작전 을 수행함으로써 한국 해병대의 존재 가치를 입증하고 연합 상륙작전 수 행에 대한 자신감을 함양할 기회가 되었다. 셋째, 배리어상륙작전을 통하 여 한미 해병대 간 군사적 유대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였다. 넷째, 전시 지역 평정작전과 안정화 작전 수행 시 상륙작전이 유용함을 입증하였다. 배리어상륙작전은 6·25전쟁 이후 최초로 한국 해병대 주도로 실시된 연 합 상륙작전으로 상륙작전의 효용성과 융통성 그리고 충격력을 충분히 입증해 준 작전이었다. 또한 상륙작전이 미래 전장 환경에서도 충분히 융통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국군은 다양한 환경하에서 상륙작전을 전개하기 위한 교리개발과 교육훈련이 요구되며, 한국 주도 의 연합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충분한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7,0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OK Navy Landing Ship Fast(LSF-II) is equipped with special equipment that is not compatible with other combat ships due to special missions. So there are almost no maintenance capabilities except for simple repair parts replacement and maintenance parts. The researcher determined that the way to solve these problems was to apply Performance Based Logistics (PBL), and reviewed the cases of PBL applications abroad and domestically. To confirm the current maintenance capability, we visited LSF-II operation unit to identify maintenance capabilities for each mounted equipment, and interviews with operators and maintenance practitioners confirmed the limitations of outsourcing maintenance and the need to apply PBL.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PBL application, the measure of effectiveness and measure of performance were selected based on the opinions of LSF-II operation/maintenance practitioners and PBL experts and the practical experience of this researcher. A survey was conducted on operation/maintenance practitioners and professional personnel.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effect of applying PBL was analyzed using the AHP technique, and an efficient PBL application plan was proposed for LSF-II.
        4,000원
        3.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past 70 years, an intense rivalry has persiste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threat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minent. Facing a shortage of military resources, South Korea has pursued a national defense reform, significantly reducing the number of units and troops while focusing on ground forces. However, North Korea's strategic objective of unifying South Korea through surprise attacks, prompt responses, and combined nuclear and missile assaults remains unchanged. The central issue in this context revolves around determining the appropriate size of the Korean military's standing forces. This study employs the concept of net assessment as a novel method to ascertain the optimal size of the Korean military. Threats, strategic objectives, doctrine, and unit rotations are simultaneously considered from the enemy's perspective. In anticipation of security risks on the Korean Peninsula, an acceptable troop size will be proposed using the net assessment approach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standing force size.
        4,000원
        4.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research, a new Test and Evaluation (T&E) procedure for defense AI systems is proposed to fill the existing gap in established methodologies. This proposed concept incorporates a data-based performance evaluation, allowing for independent assessment of AI model efficacy. It then follows with an on-site T&E using the actual AI system. The performance evaluation approach adopts the project promotion framework from the defense acquisition system, outlining 10 steps for R&D projects and 9 steps for procurement projects. This procedure was crafted after examining AI system testing standards and guidelines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vilian sectors. The validity of each step in the procedure was confirmed using real-world data. This study's findings aim to offer insightful guidance in defense T&E, particularly in developing robust T&E procedures for defense AI systems.
        4,000원
        5.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gency needs to maintain a solid and reliable foundation for recruited inspectors by providing practical training at commercial nuclear power plants. The Comprehensive Inspection Exercise (CIE) is a basic training which consists of a simulation of a Design Information Verification (DIV) Visit, a Physical Inventory Verification (PIV) at a nuclear power plant, including Complementary Access. The basic curriculum includes a pre-course session, auditing exercises, fresh fuel (bundles and assemblies) measurements, spent fuel (bundles and assemblies) measurements, verification of design features, as well as nuclear material flow. ROK has been holding the lightwater reactor (LWR) / heavy-water reactor (CANDU) training course (CIE) from 2010 every year with about 2 weeks curriculum through MSSP (Member State Support Program). LWR and CANDU are operated by KHNP. To efficiently carry out the safeguards, IAEA receives the contribution through the ROK support program and implement R&D for the nuclear material inspection. ROK has been supporting and contributing total 22 tasks to IAEA in-cash and in-kind. Among them, this training provides for a course on safeguards verification activities at CANDU and LWR facilities. This course offers inspectors a unique opportunity to understand diversion scenarios and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instruments specifically used at CANDU and LWR facilities (OFPS and DCVD), as well as spent fuel dry storage transfer verification activities and dry storage dual sealing arrangements. KINAC performs PoC (Point of Contact) on behalf of NSSC and coordinates work between IAEA and KHNP. Additionally, KINAC first discusses with KHNP that can host light-water reactors and heavy-water reactors with KHNP at the beginning of each year. In order to hold a successful training, ROK plans and carries out a lot of process including agenda, accommodation, equipment movement, logistics and so on in consultation with the IAEA and facilities.
        6.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ver the past decades, particle physics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characterizing neutrinos even if neutrinos have extremely small cross-section (~10-44 cm2), allowing them to penetrate any object. More recently, neutrino detection and analysis have indeed become valuable tools in various aspects of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Neutrinos are detected using various methods, including Inverse Beta Decay (IBD), Neutrino-electron scattering, and Coherent Neutrino-Nucleus Scattering (CNNS). For the detection of anti-neutrinos from nuclear reactor, the Inverse Beta Decay (IBD) is commonly considered with scintillators. Notable experiments in Korea, such as RENO and NEOS, have been conducted using the IBD method at the Hanbit Nuclear Power Plant since 2006. Additionally, the NEON experiment, which employs CNNS, which has a significantly larger reaction cross-section than IBD but its low-energy signal detection difficulty, has been ongoing since 2021. Based on the results of NEOS (2015-2020) the signal to noise is ~30 and IBD detection rate is ~2000 counts per day. The IBD event in nuclear power plants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about reactor behavior. IBD count rate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thermal power of the reactor. Furthermore, the neutrino energy spectrum can be used to estimate the fission isotope ratio of the reactor core, showing promise for obtaining reactor core information from antineutrino detection techniques. Neutrino detection in nuclear facilities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about reactor behavior. However, as a surveillance technology neutrino detection faces challenges due to the very low cross-section, requiring efforts to overcome limitations related to detector size and signal acquisition time. In 2008,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included neutrino detection in its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gram for reactor safeguards. In January 2023, the IAEA organized a “Technical Meeting on Nuclear Data Needs for Antineutrino Spectra Applications” to discuss the latest developments and research results in this field. In summary, the use of neutrino detection in the nuclear field, particularly for reactor monitoring and safeguarding, has advanced significantly. Ongoing research and collaboration are expect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neutrinos and their applications in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7.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급변하는 현대전 양상과 글로벌 우주안보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군의 국방 우주력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과제에 대해 고찰해 봄에 있다. 탈냉전시기 미래전 양상은 정보통신 무기체계가 복합체계를 구성하여 ‘네트워크화’ 된 전장 환경 하에서 우주와 사이버, 전자기 위협까지 포함하는 전장공간으로 진화됐다. 이에 본고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유무인 복합체계 활용과 우주영역인식(SDA)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 하에서 합동성에 기반 한국군의 국방 우주력 구축에 필요한 과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했다. 4 차 산업혁명 기술과 융합된 국방 우주력의 이론적 고찰과 탈냉전시기 미 국, 러시아, 중국, 일본, 북한의 우주 군사화 양상을 아더 라이케(Arther Lykke)가 제안한 목표, 방법, 수단 이론 등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한국군은 우주안보 위협에 대비하고 우주영역인식(SDA)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항공우주청 설립, 우주기술 및 군사력 증진, 한미 우주협력 및 우주동맹 확대, 민관군 협력 및 우주관련 예산 확충, 체계적인 인력양성 등의 필요성에 대해 제시했다.
        7,000원
        8.
        2023.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1997, the Republic of Korea (ROK) has been developing pyro-processing (Pyro) technology to reduce the disposal burden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by recycling spent nuclear fuel (SNF). Compared to plutonium and uranium extraction process, Korean Pyro technology has relatively excellent proliferation resistance that cannot separate pure plutonium owing to its intrinsic characteristics. Regarding Pyro technology development of ROK, the Bush administration considered that Pyro is not reprocessing under the Global Nuclear Energy Partnership, whereas the Obama administration considered that Pyro is subject to reprocessing. However, the Bush and Obama administrations did not allow ROK to conduct full Pyro activities using SNF, even though ROK had faithfully complied with international nonproliferation obligations. This is because the US nuclear nonproliferation policy to prevent the spread of sensitive technologies, such as enrichment and reprocessing, has a strong effect on ROK, unlike Japan, on a bilateral level beyond the NPT regime for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4,500원
        9.
        2023.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이 인태전략 발표 이후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역 안보 분야에서 한국이 더 많은 부담을 감당하기를 바라는 미국의 기대를 어떻게 관리하는가의 문제가 현안으로 부상할 것이다. 미국은 공식적으 로 동맹을 바탕으로 한반도를 넘어 인태지역 전체에서 자유와 평화, 그 리고 번영을 위해 협력해야 함을 강조해왔다. 더구나 한국도 자신의 인 태전략을 발표하면서 역내에 기여와 역할을 약속했다. 이제 양국의 관심 은 한국의 역내 군사적 관여에 집중될 것이다. 본 연구는 미국이 역내 군사 적 관여를 요청해올 때 한미동맹의 비대칭적 관계 속에서 미국과의 협상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양면게임이론을 바탕으로 과거 유사 협상 사례를 분석하여 비 준과 윈셋이 협상 전략에 미치는 함의를 끌어내고자 하였다. 비준(국익 기여와 동맹 분담 관점에서 국내 집단 간 논쟁하면서 여론을 수렴하는)은 상대국과의 협 상에서 전략이 될 수 있다. 윈셋(국내에서 양보하거나 혹은 상대의 양보를 끌어 낼 수 있는)도 전략으로 유용할 것이다.
        6,600원
        10.
        202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administrative agreement (AA) was signed between NSSC and UAE FANR in January 2023 under Article 5 of the ROK-UAE Nuclear Cooperation Agreement. The AA aims to enhance regulatory efficiency in safeguards and export control. This study reviewed the export control measures for the items subject to the agreement (ISA) and implementation procedures under ROK-UAE AA by comparing them with other countries cases. First of all, the ROK-UAE AA distinguishes between ISA and the inventory management target items. Technology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requiring consent for retransfer and the oth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that is free to be copied and deleted, and thus less useful for inventory management. Only the former is included in the annual report, which differs from the ROK-Canada or ROK-Japan NCA, which includes all technologies subject to the agreements in the annual report. When ROK notifies export information, it is mandatory to specify whether the technology requires consent for retransfer. Furthermore, some technologies should be controlled as strategic information, even if excluded from the annual report, so efforts to prevent confusion are required. Secondly, the ROK-UAE AA covers all items in INFCIRC/254/rev.9/part1, unlike the ROK-U.S. and ROK-Canada NCA, which listed equipment subject to them. This is significant because it clarifies the criteria for regulation by increasing the consistency between the trigger list items in the domestic law and the ISA. However, the expanded ISA scope could result in some changes in export control procedures. For example, when importing nuclear material (NM) from the US, only uranium was controlled as ISA, and the packages were not considered. In contrast, when exporting fuel assemblies (FA) for UAE, both uranium and zirconium cladding should be treated as ISA. To this end, NEPS was improved to implement the features of the ROK-UAE AA. Consideration of the criteria and methods for imposing obligations under the agreement is essential because this is the first case of Korea concluded AA under exporting NPP and as a supplier of FA. Generally, the obligations for NM are imposed by the country of origin, conversion, and enrichment countries. Canada and EU recognize the fuel fabrication process as a substantial transformation and impose customs origin where the process takes place. Hence, NM fabricated from Canadian equipment is also subject to the same obligations as NM of Canadian origin. From this perspective, it would be appropriate to ensure ROK acts as a supplier and controls when exporting domestically manufactured FA. Moreover, a proper national obligation code system will be required to specify Korea’s control rights.
        11.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59년 일본의 재일조선인 북한송환(북송) 발표 직후인 2월 부터 6월까지 한일 양국의 국회에서는 재일조선인 북송에 대해 어떻게 논의를 전개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즉, 본 연구의 질문은 ‘1959년 초반 한국 국회와 일본 국회는 재일조선인 북송 문제에 대해 어떠한 논의를 했는가?’이다. 이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 국회와 일본 국회의 1959년 회의록을 분석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의 국회는 북한을 주권국가가 아니라고 보며 일본의 재일조선인 북송 계획에 반대 하는 논의를 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국회 내의 의견 차이로 한 국 국회가 재일조선인 북송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이고 본격적인 논의 를 진행하는 것은 어려웠다. 반면 일본의 국회는 한국 정부와의 관계 악 화를 우려해 재일조선인 북송 문제를 한일회담과 구분하여 처리하는 방 안을 논의했다. 또한, 일본 국회는 일본 정부가 북송 문제에 직접 관여하 지 않도록 국제적십자위원회가 재일조선인 북송 문제를 주도하여 해결해 야 한다는 방침을 세우며, 동시에 북송 실행을 위해 북한적십자사와의 회담에서 원만한 해결을 위해 논의를 확장하였다. 그러므로 재일조선인 북송 문제에 대한 1959년 2월부터 6월까지의 한국과 일본의 양국 국회 의 논의를 비교하면, 일본 국회의 논의가 한국의 국회 논의보다 구체적 이고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후 1959년 12월 재일조선인 의 북송은 결국 실행되었다.
        4,800원
        12.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북한의 무인기 위협과 한국의 대응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 다. 이를 위해 무인기와 비대칭위협, 북한의 무인기 위협 현황 및 평가, 한국의 북한 무인기 위협 대응과제를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하였다. 최 근 북한은 비행금지구역을 침범하는 등 무인기에 의한 새로운 형태의 대 남도발을 시도하고 있다. 북한의 무인기 침투의 경우 운용상의 비대칭성 과 대남 테러 가능성으로 인해 비대칭성이 존재한다. 북한의 무인기 개 발은 기존의 정보·감시·정찰의 목적에서 공격용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북한의 무인기 개발배경은 북한의 안보적·상징적·대남위협적 동기 및 효 과에서 나온 것이다. 향후 북한의 무인기 대응을 위해 ①민·관·군 협력 제고, ②합동 드론사령부 창설, ③한미동맹 차원의 협력 제고 등의 과 제를 적극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8,400원
        13.
        2022.11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이스라엘 방위군의 특징과 한국에의 함의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독립이후 이스라엘은 여러 아랍국과 전쟁을 벌여왔다. 아랍국과 의 관계는 정상화했지만, 레바논·시리아와 공식적으로 전쟁을 벌여 왔으 며, 이-팔분쟁은 미해결상태다. 이스라엘은 주변 적대국에 비해 인구규모 의 절대열세, 가용인적·물적 자원의 부족으로 인한 전쟁지속능력의 취약 성, 작전중심의 단거리·협소성 등으로 이러한 안보의 취약성 극복을 위한 국방안보정책 및 군사전략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스라엘 방위군의 주요 특징으로 ①군 운영체제: 통합군 체제로서 능력위주 군간부 양성, ②군사 전략: 선제기습·속전속결·적(敵)영토에서의 전쟁수행, ③정보수집: 100% 독자적 수집자산 보유, ④무기체계 개발: IDF와 방산업체 간 긴밀한 협 력체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스라엘은 ①방위군 합동작전능력 개발과 예 비군의 중요한 임무와 역할, ②이스라엘의 독자적 정보, 감시·정찰, 수집 활동 능력, ③이스라엘의 방위군과 방위산업체의 밀접한 협력관계, ④이 스라엘의 적극적인 군사전략과 창조적이고 강한 정신전력 등과 관련해서 우리에게 적지 않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세계의 화약고로 무력충돌이 일상인 중동 지역갈등의 중심에 있는 이스라엘은 수적 열세에도 밀리지 않고 국가안보·번영을 유지해 나가고 있어 국가안보 및 국방과학기술에 서도 벤치마킹할 만하다. 국가안보와 평화는 그것을 지킬 수 있는 유형· 무형의 전력과 단·중·장기적 전략·비전이 뒷받침될 때 주어지는 것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8,100원
        14.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구성주의 이론가들의 국제규범(norm) 연구에 대한 비판적 문 헌연구를 바탕으로 신기술과 인권 담론에 발현된 규범 클러스터(norm cluster) 양상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핵심 질의는 한국 정부가 유엔인권 이사회 차원에서 제기되고 있는 ‘신기술과 인권’ 의제를 주도하면서도 이 와 개념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자율살상무기금지 규범에는 소극적인 ‘선 택성’의 원인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정 국제규범이 메타 규범·구성규범·실행규범의 다층적 성격을 가진다는 규범 클러스터 연구의 적용을 통해 신기술과 인권 의제가 메타규범에 자율상살무기 금지규범이 실행규범에 해당하며, 이러한 선택적 규범화 전략이 사실 자연스러운 것 일 수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신기술과 인권 관련 국내·외 담론에서 확 인되는 ‘파편성’ 역시 우리 정부의 전략에 영향을 미친바, 이는 본 연구 가 국내 핵심이해관계 당사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인터뷰에서도 확인된 다. 이에 더해, 메타규범 차원에서는 한국의 역할제고에 기여하며 뚜렷한 정책비용을 수반하지 않는 신기술과 인권 담론이 실행규범 차원에서는 안보정책 기조와의 충돌이라는 가시적 비용을 수반한다는 점 역시 고려 되었다고 볼 수 있다.
        8,000원
        15.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ince 2015, the IAEA has been implementing inspections by changing the paradigm from a nuclear facility level perspective to state level approach in order to enhance effectiveness/efficiency, and random inspections have become a major means of paradigm conversion. From this point of view, Safeguards Division analyzed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random inspection conducted in ROK over the past five years by type, facility, and year, and predict the future implementation direction. A total of 106 random inspections have been implemented in ROK over the past five years (2017- 2021). When classified by random inspection type, 20 Short Notice Random Inspections (SNRI), 9 Short Notice Inspections (SNI), 34 Unannounced Inspections (UI), and 43 Random Interim Inspections (RII) were performed, of which RII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with about 40.6%. IAEA conducts customized random inspec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nuclear facility. In the past five years, 34 cases of LWR, 20 cases of Bulk Handling Facility, 22 cases of CANDU, 30 cases of random inspections were implemented at R&D facilities, with the largest proportion of LWR. In connection with th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random inspections by year, 19 cases in 2017, 21 cases in 2018, 20 cases in 2019, 19 cases in 2020, and 27 cases in 2021 were implemented, especially in 2021, an increase of about 40%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 conclusion, the IAEA i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random inspections every year in line with the updated SLA, and this stance is expected to be maintained in the future. This can be seen as proof that randomized tests are showing an increasing trend even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that has occurred since December 2019. and, In the case of LWR, it is expected that the form of random inspe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IAEA’s SLA improvement. Through these analyses, it is expected that the direction of future safeguards policy can be established.
        16.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Kori unit 1, Korea’s first light-water nuclear power plant, was permanently shut down in June 2017. The operator,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KHNP), submitted a final dismantling plan for Kori unit 1 to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NSSC) in May 2021. Pursuant to this procedure, the NSSC is preparing regulations for the decommissioning stage of large nuclear facilities for the first time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 Institute of Nuclear Non-proliferation and Control (KINAC) is also considering applying regulations on safeguards. Moreover,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developed the “International Safeguards Guidelines for Nuclear Facilities under Decommissioning” in 2021. The guidelines describe the detailed application of safeguards measures to be considered when decommissioning nuclear facilities, dismantling essential equipment, and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to the IAEA, as well as the scope of IAEA inspections. In addition, Dr. R. Bari of the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BNL) proposed the Facility Safeguardability Assessment (FSA), a methodology that reflects facility characteristics from the design stage to ensure that designers, national regulators, and the IAEA communicate smoothly regarding safeguards measures. The FSA process derives expected problems with safeguards measures considering new nuclear facilities by analyzing the gap of safeguards measures applied to existing similar nuclear facilities. This study uses the existing FSA methodology to predict problems related to safeguards measures when decommissioning nuclear facilities and to analyze deviations from safeguards measure requirements according to IAEA guidelines. To this end, the reference facility is set as an operating pressurized light water reactor; the issues with the safeguards measures are summarized using the FSA Process; and a draft safeguards concept for nuclear facilities under decommissioning is designed. Furthermore, validity is confirmed through a simple analysis of the diversion path, and implications and lessons are deriv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nticipate new safeguards measures to be applied when decommissioning nuclear facilitie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review problems and considerations in advance.
        17.
        2022.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또 하나의 새로운 게임 체인저로 부상하고 있는 레이저 무 기의 개념·강약점·요구능력, 주요국 레이저 무기개발의 현황과 주요이슈, 그리고 한국의 레이저 무기개발의 현황·의의·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 다. 제4차 산업혁명기술들이 각종 무기체계에 반영되어 전쟁을 전혀 새 로운 모습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레이저 무기와 같은 에너지 무기는 획 기적인 장점이 있어 ‘육군비전 2050’의 8대 게임 체인저 중의 하나다. 국방·군사 신기술인 레이저 무기는 물론 강약점이 있고 미사일 요격·방어 무기가 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개발이 요구되지만 극초음속무기 방어체 계 및 요격수단으로서의 가능성과 관련해서도 주목을 받고 있는 무기이 기도 하다. 새로운 창과 방패의 전략·전력이 함께 요구되고 있다. 향후 한국은 ①레이저 무기의 핵심전력으로의 유지·강화, ②기술격차의 극복과 민관군산학연의 협력, ③미래전 대비 자조적·공조적 노력의 강화에 힘써 나가야 할 것이다.
        8,300원
        18.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변화를 유발하고 있는 미-중 전략경쟁 속에서 미국과는 전통적 안보 관계를, 중국과는 중국의 경제적 부상과 함께 상당한 수준의 경제적 상호의존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한국과 유럽 연합이 경제안보 영역에서 공동 대응을 통해 협력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중 전략 경쟁의 심화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 한 2차 세계대전 이후 형성되어온 자유주의 국제경제질서를 흔들고 있 다. 그동안 세계화로 인한 상호의존의 확대를 통해 세계경제의 성장을 견인해온 글로벌 공급망은 역으로 상호의존성으로 인한 취약성을 무기로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국가 안보의 위협요인으로 등장하며 경제안보 논의의 중심에 서고 있다. 이렇게 경제안보의 범위는 글로벌 공급망 (supply-chain) 불안, 디지털·기술혁신 분야의 무한 경쟁 등 다양한 영 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유럽연합은 개방된 전략적 자율성 개념을 통해 안보와 방위를 넘어서는 무역과 산업, 디지털화, 기후변화, 보건 등의 의 제를 우선순위로 설정하며 포괄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과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다.
        7,700원
        19.
        2022.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극초음속무기 개발의 군사안보적 함의와 한국의 게임체인저 로서의 가치와 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극초음속무기 개발이 안보 지형을 바꾸는 게임체인저의 새로운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러·중·미가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고 북한도 시험발사에 성공한 터이다. 극초음속 무기란 마하 5 이상의 속도를 발휘하는 모든 무기를 통칭되며, ①극초음 속 활공비행체와 ②극초음속순항미사일로 구분된다. 극초음속무기는 ① 고속 고기동성, ②시간 압박성과 모호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한국의 극초음속무기개발을 위한 향후과제는 ①경쟁력 있는 기술향상을 위한 제 반노력, ②민·관·군·산·학·연 공동연구와 장기적 국가지원, ③핵・WMD 대 응체계 보완방안으로서의 추진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게임체인저로 서 가치를 지닌 극초음속무기 개발을 위한 경쟁력 있는 기술향상을 위한 선제적 노력이 요구되는 중요한 시점인바 최선을 다해 개발·대비해 나가 야 할 것이다.
        8,400원
        20.
        2022.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민정 이양 후 1964년 3월부터 계엄령 직전인 5월까지 한국 국내의 한일회담 반대 운동과 관련하여 한국 국회에서 어떠한 논의가 진 행되었는지 고찰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회회의록, 신문기사 등의 1차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다. 본 논문은 핵심질문인 ‘1964년 한일회담 반대 운동과 관련하여 한국 국회 논의는 어떻게 진행되었는가?’에 대해 다음 두 가지의 특징으로 답한다. 첫째, 3-4월 국회에서는 여당과 야당 모두 한일회담 반대 운동을 우려하여 반대시위의 원인과 해결책을 찾으 며 한일회담과 관련된 논의를 하였다. 둘째, 5월 국회의 논의는 한일회 담 반대 운동에 대한 박정희 정권의 대처와 시위 주체의 위법성을 중심 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여당은 5월 20일의 한일회담 반대 운동을 공산주 의와 연결하여 보았고 일부 정치인들이 개입되었다고 판단하였다. 반면, 야당은 한일회담 반대시위를 여전히 평화적 시위라 여겨 박정희 정권의 대응이 과격하다고 주장하였다. 결국, 1964년 3월의 한일회담 반대 운동 확산 후 계엄령 전까지 한국 국회는 한국 국내의 불안정 상황을 해결하 기 위해 여당과 야당이 여러 논의를 시도하였지만 역부족이었다.
        5,7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