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여수양지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참여디자인을 통하여 기존의 운동장 기능과 함께 친환 경숲, 놀이, 학습이 공존하고 이용자 요구에 부합하는 운동장녹화형 학교숲 설계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참여디자인 과정 및 도구, 운동장녹화형 학교숲의 도입요소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참여디 자인 워크숍 과정을 9단계로 진행하였다. 1단계는 4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2단계~9단계는 학생 21명(1단계 참여)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전교 학생 및 교직원, 학부모를 대상으로 진행 하였다. 2단계에서 그림그리기와 설문을 통해 운동장녹화형 학교숲이 ‘자연공간형’, ‘모험놀이공간형’, ‘커뮤니티공간형’으로 구분되고 유형별 세부공간이 도출되었다. 세 유형은 각각 대안 1, 2, 3의 주제가 되 어 3단계에서 배정된 팀에 의하여 모델화되었다. 대안 1은 생태연못과 생태숲을 중심으로 대안 2는 트리 하우스와 목재 모험놀이시설을 중심으로 대안 3은 잔디광장, 커뮤니티공간, 쉼터 중심으로 디자인되었 다. 4단계에서 전 학생 및 교직원 투표를 통해 대안 2가 최종 구상안으로 선정되었고 6~8단계의 우수사례 지 체험 및 피드백단계와 마지막 추진운영위원회와의 피드백 과정을 통해 최종설계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인 운동장녹화형 학교숲의 최종 설계안은 학교숲의 주요기능인 생태성,자연성, 환경성, 교육성과 운동장의 주요 기능인 체력단련, 놀이, 학교행사, 지역과의 소통 등의 복합문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최종 설계안에 대하여 운동장 녹화형 학교숲 설계안으로서의 우수사례 및 효과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이용후 평가’가 후속연구로 진행될 예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사회성 및 숲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 산림교육 효과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와 체계적인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광주 전남 지역의 중학교 1학년 자유학기제에 참석한 학생들이며 1회 참여자 179명과 반복(5회기) 참여자 112명에 대해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전과 후의 사회성과 숲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산림교육 프로그램은 참여한 중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숲에 대한 흥미는 1회성 산림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보다 반복 참여자의 사후 변화 값이 높았다. 산림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1회성 산림교육 프로그램은 안정성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반복적 프로그램 참여자의 사회성 변화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산림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따른 사회성에서는 만족도 점수와 상관없이 1회성 및 반복적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결과 중학생의 사회성과 숲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는 기초자료로서 산림교육 프로그램에 그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숲체험 활동이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화성시 B동에 위치한 고등학교의 학생 26명으로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실험집단과 학교숲 체험에 참가한 통제집단으로 나누었고, 각 집단은 매주 1회 2시간씩 5회기의 숲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고등학생 들의 정신적 심리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숲에 대한 환경태도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학업스트레스 척도를 이용해 사전과 사후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과 Wilcoxon 부호순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숲체험 활동에 참여한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에는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다. 심리적 안녕감은 학교숲에 참가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증가가 있었고,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유의미한 증가가 있어서 숲체험 활동은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었다. 학업스트레스에 있어서는 학교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감소가 있었고,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유의미한 감소가 있어서 숲체험 활동은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주었다.
다문화 배경 학생들이 늘어남에 따라 이들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들과 요인들을 활용하여 다문화 배경 학생들의 언어습득향상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청주시 OO동에 위치한 다문화예비학교 중학생 남녀 각각 10명을 대상으로 방과 후에 산림치유프로 그램을 운영하였다. 실험기간은 2018년 4월12일부터 2018년 6월26일까지 매주 1회씩 12회기로 1시간 (60분)씩 실시하 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은 숲에 존재하는 다양한 환경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회복시 키는 활동이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고 그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아탄력성은 긍정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 친밀행동능력, 감정조절능력, 자율행동능 력 등 하위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1). 언어능력향상은 기술통계로 알아본 결과 쓰기의 오류, 발음의 오류, 문장의 오류, 시제의 오류, 조사・접속사의 오류 모두에서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중도입국자녀들이나 다문화 배경 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언어습득향상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들과 요인들을 활용하여 방과후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청주시 OO동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으 로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하지 않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만 참여하는 비교집단 만3세~5세 유아 남녀 각각 20명으로 하였다. 실험기간은 2017년 4월 10일부터 2017 년 7월10일까지 매주 1회씩 12회로 1시간(60분)씩 실시하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 실시 전후에 유아를 대상으로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인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친사회적 행동과, 자신감을 나타내는 자아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p<0.05).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한 유아들은, 자연과 더불어 또래들과 함께 지내며 긍정적인 생각을 하여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또한 생태지식뿐만 아니라 상대에 대한 배려와 협동심이 증가하였다. 친사회성의 하위요인인 개인정서조 절능력과 대인관계형성능력, 유아교육기관 적응능력,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효능감이 크게 향상되어 친사회 적행동과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숲체험을 학교 교과과정 중에 실시하였을 때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환경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숲체험이 초등학생의 숲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자료는 전주시내 2개 초등학교 2~3학년 311명을 대상으로 숲체험 전과 후에 설문 조사를 통하여 얻었으며, 이 자료들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숲체험에 참여한 학생들은 숲에 대한 인식, 숲에서의 행동인식, 숲해설의 필요성의 모든 영역에서 숲체험 후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특히 숲에서의 행동인식 영역이 숲에 대한 인식과 숲해설의 필요성에 대한 영역보다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숲에서의 행동인식의 세부항목에서 숲 속 생물에 대한 행동인식과 환경인식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초등학생의 숲체험은 생명존중의 의식을 갖게 하고 자연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등학생에게 생명존중의식 및 환경의식을 향상시키고 자연에 대한 감수성을 길러주기 위해서 숲체험과 같은 자연체험이 필요하므로, 더 많은 초등학생이 학교의 창의적체험활동에서 숲체험을 할 수 있도록 확대 시행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5호에 는 학교숲은 「초․중등교육법」 제2조에 다른 학교와 그 주변 지역에서 국민들에게 쾌적한 생활환경과 아름다운 경관의 제공 및 자연학습교육 등을 위하여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한국의 근대적인 학교는 교내외 에 학교숲이 있었다. 생명의숲·유한킴벌리·산림청의 주도 로 1999년부터 학교숲운동이 펼쳐져 2011년까지 957개교 (전체 학교 수 11,510개교)의 학교숲을 조성하였다. 한국에서 학교녹화를 둘러싼 운동으로는 「학교숲 운동」, 「학교녹화 사업」, 「학교공원화 사업」, 「녹색학교」라는 이름 으로 진행되어졌다. (사) 생명의 숲의 「학교숲 운동」, 서울 시의 「학교공원화 사업」, 경기도의 「학교숲 조성 사업」, 인 천시의 「학교공원화 사업」, 교육부의 「녹색학교(Green School)」, 서울시 교육청의 「친환경 학교 숲 조성 사업」등 이 있다. 일본에서는 (사)국토녹화 추진기구1)의 「학교림 (学校林)운동」, (재)일본생태계협회를 중심으로 진행된「 학교비오톱 운동」, (NPO법인) 학교숲의 「학교숲(学校の 森)운동」등과 유사하다. 일본의 학교림은 근대적인 학교제도의 발족과 함께 걸어 온 긴 역사가 있다. 근대적인 학교가 들어서면서 학교건축 비용의 부담을 안게 된 지역사회가 향후의 학교운영을 고려 하여 기본 재산으로서 확보한 삼림이 학교림의 출발이 된 것이다. 메이지(明治)시대의 학교림은 지역의 교육력을 구 체화한 존재였다. 한편, 문교행정의 측면에서는 1895년에 방일한 미국의 노스롭 히로시(博士)가 식목일 (ArborDay) 을 전하였고, 이것이 문교부차관명으로 일선 학교로 전달되 었다. 학교림을 둘러싼 역사는 재산적 역할과 교육적 역할 을 하고 있으며 임야(산림)행정과 문교행정에서 관리되어 져왔다. 학교림은 학교의 기본 재산 역할과 교육 시설로서 아동·학생의 교육활동에도 많은 역할을 하였다. 1906년에 는 학교림이 2023교에 걸쳐 면적이 약5000ha에 이르면서 빠르게 증가하였다. (사) 국토녹화추진기구에서는 1950년 부터 학교림운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5년마다 전국 학교림 현황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학교림은 1974년도에는 5256 개교 면적28665ha, 2001년도 3312개교, 면적 약2만ha로 감소하고 있다. 2006년 조사에는 3057개교 20105ha로 나 타났으며 그중, 학교림을 실제로 활용하고 있는 학교는 약 25%, 1183교에 머물고 있다. 전일본 학교환경녹화 콩쿠르 는 1974년부터 시작하였고 있다. 학교림의 이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학교와 학교림의 거리인데 1km 이상 인 학교가 73%이다. 학교림의 위치가 교외에 있는 것이 90%가 넘고 있다. 지역별로 학교림의 면적이 차이가 있다. 홋카이도를 비롯하여 농촌과 산촌이 많은 현들이 학교림의 면적이 넓다. 목재수입과 목재소비량의 감소로 인한 삼림·임업을 둘러 싼 상황변화는 학교림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목재가격의 저하로 일본 임업은 위축되어지고 학교림은 학교와 지역사 회에 역할을 해온 재산 가치는 크게 감소되었다. 재산가치 의 저하로 인하여 벌채나 관리가 부실하고 식재→관리→벌 채→재식재 라는 순환 고리가 끊어지고 있으며 신규 식재 활동도 활발하지 않았다. 이와는 별도로 교육적 역할은 다른 움직임이 생겨났다. 지구환경위기로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산림환경 교육의 장으로서 학교교육에 새롭게 평가되고 있다. 학교림 의 경제적 가치로는 토지·입목(立木)의 소유 관계와 경제 수종 (대부분 침엽수 조림지)이였지만 자연인가 아닌가가 문제되었지만, 산림환경교육의 장으로서는 다양한 생물 관 찰이 가능한 활엽수림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국토녹화추진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학교림 조성과 활 용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1)교육적 활용을 최우선으로 한다. (2)교육적 활용에서 도 환경교육 이용이 제일 많다 (3)총합적인 학습의 시간으 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4)학교림의 소유는 국가, 도도부 현(都道府縣), 시읍면, 개인등 다양하며 시대의 요청에 따 라 소유로부터 이용을 우선한다. 최근에는 임야청에서는 「놀이 숲」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데 학교림 또한 이사업에 적절히 이용하고 있다. 국유림에 있어서의 새로운 제도인 「유우(遊)들의 숲j에 대해서, 새로운 학교림으로서의 이용에 적합할 수 있을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2년부터 시작된 「놀이 숲」 사업의 특징은 (1)교육적 활용을 목적으로 한 단체와 협정을 맺고, (2) 그 활동을 위해 서 국유림을 제공하며 (3)토지나 식목에 관한 권리는 상대 에게 일체 이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삼림환경교육 실시 를 희망하는 단체(학교, 시읍면, 교육청, NPO법인)들이 소 유와 관계없이 삼림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놀이 숲」사업 은 2006년 현재 학교림도 8개교가 참가하고 있다. 시대적인 변화로 인하여 학교림은 소유에서 활용으로 의미가 변경되고 있으며 교육과 삼림이 새로운 관계 구축 을 위한 현장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일본의 학교림의 역할 과 가치가 시대에 따라 계속 변하고 있다.
학교숲사업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응답자는 지역주민과 교사 모두 7%와 25%에 불과했으며 학교숲의 효과에 대해서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은 학교숲의 교육적 효과가 가장 크다고 응답하였으며 지역주민들은 ‘학교숲사업’의 교육적 효과(4.35), 환경적 효과(4.40), 지역의 공원역할(4.42), 학교의 이미지 제고(4.16) 등에 대해서 모두 긍정적효과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학교숲의 이용실태에 대한 결과를 확인해보면 대상 초등학교의 학교숲 이용목적으로는전반적으로 ‘걷기, 달리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환경교육 및 자연교육’을 위해 이용한다는 응답은 낮게 나타나지역주민은 초등학교 학교숲을 운동 목적으로 많이 이용함을 알 수 있었다. 학교숲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가까이 있어서이용하기 쉽기 때문(접근성 양호)’이란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마지막으로 대상지별로 지역주민과 교사의 학교숲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교숲 이용의 활성화를위한 추가 조성요소도 파악할 수 있었다.학교숲은 해당 학교만의 관심사가 아니며 중앙정부, 지자체 및 사회단체 등 다양한 지원주체가 통합적으로 지원체계를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현재 1년 단위로 행정에서 주관하여 지원하는 학교숲 조성사업이 단계별 사업추진과 다년간 지원을통한 사후유지관리시스템으로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이다. 또한, 학교숲가꾸기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좀 더 많은 재원확보가 필요하며 학교숲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보다 내실있는 홍보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ith rapid economic growth, the urban environment has created a problem of human physical and mental illnes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urban forests have emerged as a way to mitigate the environmental risks through improving the polluted environment of the c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s the urban forests have expanded, the school forests movement has also been taking an important place recently. The study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school forests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among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ir function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 questions concerning human matters, 10 questions for space recognition, 4 questions for thermal environment, 2 questions for health promotion, and 20 total questions for composition of survey items. The reliability of the school forest function, number of tree planting areas and quantities, the harmony of the planting, and the satisfaction of the school forest were analyzed in the questionnaire conducted by the school members. Although it does not recognize school forests, it has a positive response to the green space that is built outdoors. It is considered that outdoor educ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re sufficient in school forests and green spa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utdoor green space was more satisfactory when compared with the general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references were similar to 'seasonal changes' and' trees of various colors and shapes'. The reliability analysis between each item shows that the coefficient for cronbach ' s α was . 700 to . 83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forest function among school forest members and to utilize them as a basic data in the futur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rban forest program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students. Thirty high school stude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weekly urban forest program, and thirty students to a control group.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higher environmental sensitivity along with lower academic stress. The results suggest that, as urban forest program enhances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students, their academic stress was reduced, and the program may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본 연구는 서울시 중학생 대상 숲 체험 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요구도에 대한 설문 조사와 현장 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이 전반적 만족도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나 현재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이 긍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평소 환경에 대해 관심이 있는 학생일수록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및 장소 만족은 외부 실시와 숲의 느낌의 두 항목이 눈에 띄게 높게 나타났다. Ko(2010)는 학생들이 실내에서의 사진과 영상물에 의한 학습보다 외부에서의 체험을 통한 환경 학습을 선호한다고 하였으며, 숲 체험 장소가 산에 위치한 체험원 또는 공원으로서 학생들이 자연에서 오감 체험을 통한 환경 학습을 하기에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사료된다. 프로그램 진행 만족은 해설 만족과 학생 주도의 프로그램 진행 문항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지도자 1인당 배정 인원은 20명보다 적은 소수로 배정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이해와 만족도를 높이며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보인다. 프로그램의 효과 만족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 기존 연구에서 언급한 심리 안정(Shin et al., 2007; Lee and Lee, 2012), 사교성, 협동심 등 인성 함양(Nam, 2014), 환경 감수성 및 환경 의식 증진 (Kwon, 2001; Choi, 2011; Nam, 2014) 등의 숲 체험의 다양한 효과를 학생들이 실제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잘 된 사례와 개선해야할 사례를 비교 분석한 결과, 경사가 다소 완만하고 무거운 책가방을 메지 않고 숲 체험에 참여하는 것이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보이며, 지도자 1인당 소수의 학생들을 지도하며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충분히 관찰과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만족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판단된다. 프로그램 요구도 결과, 숲 체험 실시 후 많은 학생들이 숲 체험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며 재참여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은 매월 1회 이상 1시간 30분 정도의 진행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구성은 일방적인 환경 지식 전달보다 실습 비율을 높여 학생 주도의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또한, 가족 또는 친구와 참여할 의사도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면 좋을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청소년 시기에 가족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숲 체험은 실내교육위주의 학생들에게 자연학습 및 체험을 할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숲 체험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직접 실습하고 경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불어 일회성보다는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다양한 활동이 구성된다면 프로그램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상태-특성 불안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 되었다. 대상자는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으로 실험군 35명과 대조군 32명으로 나누어, 실험군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프로그램 적용 없이 일상적인 생활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실험은 학교 내의 숲에서 실시하였으며 8회의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측정도구는 취업스트레스 척도(Cornell Medical Index)와 상태-특성불안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취업스트레스 측정 결과 실험군에서 사전과 사후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산림치유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감소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F=42.276, P= .000). 상태불안의 측정 결과 유의한 수준의 감소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F=78.145, P .000), 특성불안의 경우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확인 되었다(F=48.639, p= .000 ). 결과적으로 산림치유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취업스트레스와 상태-특성 불안 수준이 유의 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학교숲에서 수행한 치유프로그램은 취업스트레스와 상태-특성불안의 감소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planting status of school’s flower of 11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Chung-ju and its results were as follows. Totally 3,502 trees were planted in the 11 schools and the number of species of the trees was 103. For tall tree Thuja orientalis was planted most frequently and for shrub Buxus microphylla was done in the largest number of the schools. In addition, the number of trees planted in a school was averagely two times more in the model schools than in the other ones, and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of trees was also over three times more in the model schools. When the number of species of trees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ir types, decidous broad leaved tree was found most frequently overall and the model schools had more various species of decidous tree compared to the other ones. Investigation on designation of school’s flower and tree with the 11 elementary school, revealed similar results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performed with the schools in other areas and the tendency meant that the designation was uniform to some degree. Moreover, as only a few school’s flower and tree were planted or no one was done in some schools, the species of school’s flower and tree needed to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nd school percepts of a school as well as local features and circumstances of a region. In addition,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nfuse love for school and to improve quality of education by increasing the planting rate of school’s flower and tree and by focusing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