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1.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domestic seed production potential of Italian ryegrass, it was sown in autumn in the southern region and harvested in the spring of the following year to investigat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seeds and straw.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GreenCall’ variety was sown in Jinju, Gyeongnam in the fall of 2020 with three seeding rates (20, 30 and 40 kg/ha). The experiment was arranged consisted of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ryegrass was sown on October 17, 2020, and the harvest was on May 31, about 60 days from the heading stage. The heading stage of Italian ryegrass was April 28,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reatments. Plant height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40 kg/ha seeding treatment gr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maining treatments. The resistance of lodging, disease, and col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Spike length and number of seeds per spike were highest at 20 kg/ha seeding amoun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maining treatments. The seed yield was the highest at 1,956 kg/ha in the 20 kg/ha seeding rat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30 and 40 kg/ha seeding rates. The dry matter content of seeds and straws was 45.60 and 41.83% on avera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The amount of remaining straw after seed harvesting was found to be 7,689 kg/ha on average on a dry basis, and it was high in the 40 kg/ha sowing are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it is most advantageous to sow at 20 kg/ha when producing Italian ryegrass seeds through autumn sowing in the southern region.
        4,000원
        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014 in the Gangjin area of Jeonnam province for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potential of Kenaf as an alternative feed crop of rice. The weather and soil conditions were favorable and there was no adverse effect on the growth of Kenaf. The amount of seeding was given at 10 kg, 15 kg and 20 kg. As the seeding volume increased, plant height and dry matter yield increased, and stem diameter and number of nodes decreased. The highest growth rate was observed between 75 and 90 days from the date of planting(p<0.05). As the growth progressed, stem rate increased and leaf rate decreased(p<0.05). Increased amount of seeding and growth resulted in decreased CP and TDN and increased ADF and NDF, which resulted in the decreased economic value of Kenaf as a feed crop. The result of increasing the use of organic fertilizer to 20 kg and 30 kg was similar to increasing the amount of seeding. As organic fertilizer usage increased, dry matter yield and growth rate improved(p<0.05).
        4,000원
        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횡성지역내 조사료 자급을 위한 귀리(Avena sativa L.)의 채종재배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2016년 3월부터 7월까지 강원 횡성 시험포장(전작)에서 수행되었다. 공시품종은 춘파귀리인 ‘하이스피 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수준의 파종량과 질소시비량을 통해 출수특성, 생육특성, 수량성 등을 평가하 였다. 이를 바탕으로 횡성 지역 내 채종재배를 위한 귀리의 적정 파종량과 질소시비량을 얻고자 수행되 었다. 파종량 및 질소시비량에 따른 귀리의 출현일수 및 출수일수는 각각 8일, 74일로 모든 시험구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출수기 이후 성숙기까지의 소요일수는 12일로 모든 시험구에서 동일하게 나타났 다. 파종량에 따른 귀리의 초장 및 수장은 파종량 130kg/ha 시험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단위면적당 경 수와 수수는 파종량 160kg/ha 시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수립수, 1수립중, 천립중(千粒重)과 리 터중은 파종량 100kg/ha 시험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파종량에 따른 종실수량은 파종량 100kg/ha 시험 구에서 4.5t/ha로 가장 높은 수량을 나타냈다. 질소시비량에 따른 귀리의 초장, 간장 및 수장은 질소시 비량 50kg N/ha 시험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경수와 수수는 질소시비량 70kg N/ha 시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질소시비량에 따른 1수립수, 1수립중, 천립중(千粒重), 리터중은 질소시비량 70kg N/ha 시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질소시비량에 따른 종실수량은 질소시비량 50kg N/ha 시험구에서 4.5t/ha로 가장 높은 수량을 나타냈다. 채종재배는 종실의 수확이 목적이므로 수확지수와 종실수량을 우선적으로 고려했을때, 횡성지역 내 조사료 자급을 위한 귀리 채종 재배에 있어 적정 파종량은 100kg/ha, 적정 질소시비량은 50kg N/ha가 적합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seeding rat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productivity of the “Kowinearly” cultivar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n paddy fields. Sowing Kowinearly in paddy fields under growing rice at the rates of 20, 30, 40, and 50 kg/ha resulted in seed yields of 1.57, 1.92, 2.06, and 2.09 ton/ha, respectively. Seed yield of Kowinearly was the highest at a seeding rate of 50 kg/ha (p<0.05), at which the cultivar was able to survive in winter and the weed ratio was low. Under these conditions, most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winter survival (85%), weed ratio (10%), stems per square meter (1,006) were superior than those sown at other seeding rates (p<0.05). In addi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50 kg/ha seeding rat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eeding rates.
        2,000원
        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proper seeding rate and nitrogen fertilizer level for the effective seed production of Winter Rye (Secale cereale L.) with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by combining both seeding rates (3, 5, and 7 kg/10a) and different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levels (0, 3, 6, and 9 kg/10a) in northern area of Gyeongbuk province from Oct. 7, 2013 to Jun. 15, 2014. Emergence and overwintering rates were not influenced but lodging degree was influenced by seeding rate and nitrogen fertilizer level. High lodging were observed at the seeding rates and nitrogen fertilizer levels of more than 5 kg/10a and 6 kg/10a, respectively (p < 0.01). Lodging less than 20% were observed at the seeding rate of 3 kg/10a regardless of the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er level, furthermore, no lodging was shown though seeding rate was increased up to 7 kg/10a under the condition without nitrogen fertilizer. No. of leaves per plant, plant height and culm length were increased as affected by the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er level rather than the increase of seeding rate. Spike length was shortened as affected by the increase of seeding rate while it was lengthened by the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er level with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factors. No. of stems and spikes per m2 were influenced by the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er level rather than by seeding rate with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factors. Grain yiel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influenced by the increases of seeding rate (A) and nitrogen fertilizer level (B) with interaction effect (A × B), which resulted in the highest grain yield (310 kg/10a) at the seeding rate of 5 kg/10a and the nitrogen fertilizer level of 3 kg/ 10a. In conclusion, the proper seeding rate and fertilizer application level would be 5 kg/10a and 3 kg/ 10a, respectively to effectively produce the winter rye seeds in northern Gyeongbuk province.
        4,000원
        7.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파종방법과 질소시비 수준이 총체벼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총체 벼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된 “남일벼”를 이용하여 직파는 4월 25일, 이앙은 5월 25일에 하였다. 질소시비량은 총 5개 수준(90, 110, 140, 170 및 200 kg/ha)을 두고 수행되었다. 출현일, 출수일 및 내병성은 처리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녹색도는 질소시비량이 많아짐에 따라 짙어졌다. 초장은 질소시비량이 많아짐에 따라 커졌으며 분얼수도 증가되었고 직파보다 이앙구에서 더 많았다. 건물함량은 질소시비량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생초 및 건물수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늘어났다(p<0.01). 수량은 이앙하는 것이 직파하는 것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1) 직파시는 140 kg/ha, 이앙시에는 170 kg/ha 질소 시비구에서 각각 최고의 수량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파종방법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ADF 및 NDF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되었으나 TDN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총체 벼 재배시 질소시비량이 높을수록 생초 및 건물수량이 증가되지만 수량과 토양환경을 고려하여 적정 질소시비량은 140 kg/ha가 권장되었다.
        4,000원
        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사료용 총체 벼 직파 재배시 파종량이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수행되었다. 총체 벼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종한 녹양벼를 이용하여 4개의 파종량을 두고(30, 60, 90 및 120 kg/ha) 수행하였다. 출현일, 출수기, 녹색도 및 내병성은 파종량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초장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커졌으며(p<0.05) 분얼수는 줄어들었다. 건물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생초 및 건물수량은 파종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ADF 함량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높아졌고 NDF 함량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TDN 함량은 120 kg/ha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고, 잎-줄기-정조 비율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정조비율은 줄어들었으며 잎의 비율은 약간 높아졌고 줄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경제성 분석결과 60 kg/ha 파종구에서 가장 높은 소득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총체 벼 직파재배를 위한 적정 파종량은 60kg/ha 내외가 적당한 것으로 추천된다.
        4,000원
        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eeding rates of Italian ryegrass (IRG)〔Lolium multiflorum L.〕on its nutritive value and productivity in native grasssland of Jeju region from Oct. 2011 to Jul. 2012. IRG was sown at reseeding rates (0 30, 40 and 50 kg/ha) in native grassland. When IRG was sown, there was no draught and lodging damage. Plant height in treatment 30 kg/ha of reseeding IRG was the tallest at all harvest stages (p<0.05). DM yield in treatment of 30 kg/ha of reseeding IRG was 12,790 kg/ha and increased 2.7 folds as compared to contro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The content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significantly decreased in treatment of reseeding, compared to control (p<0.05). In general, the content of NDF in second harvest stage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in first harvest stage. The content of acid detergent fiber (ADF) also showed simliar trend as content of NDF. The content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in treatments of 30 kg/ha and 50 kg/ha of reseeding were approximately 45.2% each. The content of TDN in treatments of 30 kg/ha and 50kg/ha of reseeding increased as compared to 40 kg/ha and control of reseeding (p<0.05). Therefore, it is conclued that reseeding rate of IRG may improve the yield and nutritive values of IRG at 30 kg/ha.
        4,000원
        11.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국내육성 내한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확대 보급을 위한 종자생산 시험으로 국내육성 품종인 화산 101호 및 코그린의 파종량별 종자수량 구성요소별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 9월부터 2007년 6월까지 3년간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 포장에서 수행 되었다. 파종 재식거리는 20 cm 세조파로 파종하였고, 시험구 면적은 (), 파종량 은 5, 10, 20, 30, 40 kg/ha 품종별 5처리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채종시기는
        4,000원
        12.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종과 파종비율을 달리한 혼파초지를 비교 검토하여 건물수량과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혼파방법을 찾고자 관행 혼파초지{conventional mixtures(CM), orchardgrass (Potomad) 50% + tall fescue (Fawn)20% + Kentucky bluegrass(Kenblue) 20% + white clover(Regal) 10%},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Red clover mixtures(RM), orchar
        4,000원
        14.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파종량 차이(4, 6, 8, 10 및 12kg/10a)에 따른 Creeping bentgrass의 식생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 3월 21일 부터 7월 7일까지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은 4kg/10a 파종에서 19.6cm로 파종량이 12kg/10a로 증가됨에 따라 30.4cm로 커졌으나, 10kg/10a과 12kg/10a 파종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근장 및 엽록소 측정치는 파종량 차이에 따라 초장반응과
        4,000원
        15.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eding dates and rates on the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at experimental field of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
        4,000원
        16.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 중산간지에서 목초지를 전용하여 감자 재배지로 활용하고 있는 경작지에서 가을감자 수확 후 3월부터 6월까지 휴경기 동안 연맥 및 사료용 유채의 파종시기 및 혼파비율을 달리 했을 때 생육과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면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맥(Swan)과 사료용 유채(Akella)의 파종시기를 주구로 3월 초순, 3월 중순, 3월 하순 파종구 등 3처리로 하고, 혼파비율을 세구로 연맥 단파구. 사료용유채 단파구, 연맥 75%+사료용유채
        4,000원
        17.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ssia mimosoides var. nomame was grown at five seeding rates (10, 20, 30, 40 and 50 kg/ha) from March 31 to September 21, 1998 at Cheju to determine influence of seeding rate on agronomic characters, and forage yield and quality. Days to flowering increa
        4,000원
        18.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eding methods and rat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sorghum X 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 (L.) Moench, cv. Pioneer 988) grown under application
        4,000원
        19.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봄 연맥(Avena sativa L.)에 대한 파종량및 질소시비수준이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사초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987년 9월부터 11월 까지 약 2개월간에 걸쳐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솔은 파종량이 ha당 120,160 및 200kg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93.4, 71.4 및 70.6%로 낮아졌다(P<0.01) 2. 분벽솔 발생은 파종량의 증가에 대하여 유의적인 감소가인정되어(P<0.0
        4,000원
        20.
        199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파종량과 파종상 처리방법이 겉뿌림한 목초 유식물의 정착과 목초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화성군의 구릉산지에서 2년간에 걸쳐 수행되었다. 얻어진 결과에 따르면 orchardgrass의 정착은 ha 당 30-40kg 파종시보다 20kg 파종시에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ladino clover의 정착은 파종량간에 차이가 없었다. 파종상 처리방법으로서 레이키질과 화인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목초의 정착률을 유의적으로 향상시켰다. Or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