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관수조건에 따른 지피식물의 생육특성을 파악하고 수분 스트레스 후 생육 회복력을 평가하 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지피식물로 많이 사용되는 초본류 4종을 대상으로 피복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 는 적정 식재간격을 도출하였으며, 또한 관수처리 유형에 따른 생육 및 피복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식물마다 피복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적정 식재간격에 차이가 있었다. 돌단풍은 30~35cm, 송엽국은 30~40cm간격, 꽃잔디는 40cm이상, 돌나물은 20cm미만의 식재간격이 효과적이다. 관수처리에 따른 생육특성을 분석한 결과 관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초장이 길지만 처리기간 동안 생육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피복률은 관수처리와 식물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송엽국과 돌단풍은 무관수 20일 후 관수가 이루어지면 피복률도 회복되었으며, 꽃잔디는 관수가 이루어지고 나서 시간이 경과된 후에 피복률을 회복하였다. 피복이 전체적으로 이루어진 이후에는 토양 수분부족에 의한 피복률의 변화가 거의 없었 으나 피복 초기에 수분이 공급되지 않으면 피복에 어려움이 있다. 꽃잔디, 송엽국, 돌단풍은 일정기간 무관수가 지속되더라도 다시 관수가 이루어지면 회복이 될 수 있다. 즉 식물관리에 있어서 종 마다 차이 는 있으나 관수관리가 중요하며, 일정기간 무관수 후 관수가 이루어지면 생육이 회복될 수 있다.
        4,000원
        2.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화로 인한 열섬현상은 매년 심각해지고 있으며 도시 내의 온도증가로 인한 피해 또한 증가되고 있다. 최근 도시녹지 조성을 통한 온도저감이 도시열섬현상의 해결방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공원녹지의 지형적 특징에 따른 주변 온도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위성영상을 통해 서울시의 지표면 온도를 구축하였으며 서울시 내의 공원녹지와 녹지 주변에 대한 온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사한 주변 환경을 가진 공원녹지들을 추출하 고 각 녹지의 지형 요소에 따른 주변 온도저감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녹지의 고도범위, 부피, 경사도가 증가함에 따라 주변 온도저감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공원조성 시 지형적 요소 고려 뿐만 아니라 도시계획 차원에서의 바람길 조성 정책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000원
        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공간 유형별 특징을 구분하고 각 유형별 적용가능한 녹화시설을 도출하기 위해 도시의 대표적인 공간을 선정하고 형태적 특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용도지역별 형태적 특징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지역을 선정하고 각 지역을 형태적 특성에 따라 구분하였다. 구분된 도시공간 유형별로 주거, 상업, 공업, 공공시설, 교통, 공원 시설에 대한 구조 분석을 실시 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하여 각 공간별로 녹화시설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도시 공간을 형태적 특징에 따라 도시외곽, 일반도시, 도심, 도심코어로 구분하였으며, 도 시외곽지역과 일반도시지역은 용도에 따라 주거, 상업, 공업으로 구분되고 도심지역은 주거와 상업으로 구분되고 도심코어지역은 혼합용도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각 공간별로 시설요소를 분석 한 결과 건축물의 형태와 밀도에 따라 공간에 대한 형태적 특징을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공간별 로 녹화시설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공간적 특성인 밀도에 따라 녹화시설의 적용 가능성과 효율성이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변화되고 있는 도시의 형태와 다양해지고 있는 녹화시설의 기술에 맞는 도시공간별 녹화기준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rban road characteristics on temperature changes in urban areas using surface thermal temperature. METHODS : This study measured the surface thermal temperature of each road component from urban roads, analyzed the effect of the road component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on temperature, and estimated the regression models. RESULTS : As a result, the mean temperature was 27.3 ℃ on the roadway, 25.5 ℃ on the vegetated median, and 22.9 ℃ on the sidewalks. The roadside temperature was 26.14 ℃ with surrounding buildings and 23.82 ℃ near green spaces. The temperature with street trees was lower (24.45 ℃) than without (28.38 ℃) while it was 23.96 ℃ with vegetated median and 25.64 ℃ without. The temperatures were lower (24.70 ℃) on the permeable surface than on the impermeable surface (28.38 ℃). Model estimates show that the temperature decreases by 0.007 ℃ with an increase of 1 m² green (permeable space) space and the temperature with buildings tends to be 1.729 ℃ higher than that with green space. As green space increases by 1 m², the temperature tends to decrease by 0.017 ℃ on the roadway and by 0.012 ℃ on the sidewalk. Shade effect models show that street trees with shade affect temperature reduction by -3.884 ℃ on roadways and -3.314 ℃ on sidewalks.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differing effects of road characteristics on temperature. The roadway is more sensitive than the sidewalk to temperature changes and roadside vegetation, ambient green space, and pavement permeability contribute to temperature reduction.
        4,000원
        5.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재생에서 녹지율과 오픈스페이스 비율 등 생태환경요소가 도시재생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영향이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분석으로 지표를 추출하여 경험적 분석(Empirical Analysis)를 통해 생태환경지표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도시재생 선도지역 및 일부 활성화 지역을 대상으로 각 현황별 하위 항목을 지표로 선정하고, 각 항목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가지고 도시재생의 중요한 평가 지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생태환경적 요인인 녹지율과 오픈스페이스 비율, 주택보급률, 기초생활수급자비율간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표 간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녹지율과 기초생활수급자 간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향후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물리적인 요소뿐만 아 니라 공원 및 녹지 등의 생태환경적인 요소도 포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지금까지 도시 재생 연구는 건물, 산업, 문화 지표 등을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향후에는 생태환경 적인 요소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경험적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녹지율과 오픈스페이스 비율에 대한 정의와 통계 데이터 부족 등으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지 못 한 연구의 한계가 남으므로 이와 관련된 통계구축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유추된다.
        4,000원
        7.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aegu City has the most number of heat waves every year in the last 10 years among 7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As the slang, such as ‘Daefrica(Daegu + Africa)’ shown, Daegu City is recognized as a high temperature region in the summ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urban green space as a mediator for heat wave mitigation for Daegu citizens. First, about 93.3%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what the heat was. The most frequent cause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eat waves was the increase in energy use (34.9%), ‘indiscriminate development’ (24.9%), ‘automobile and traffic increase’ (17.9%), ‘greenery reduction’ (12.6% ) were the most common cause. Second, 87.1% of respondents had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mitigation effect on the effect of urban green space as a medium to mitigate the heat. In addition, 26.7%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are very effective in mitigating the effect of the heat of urban greenery, and 95.1% of them responded more than ‘normal’.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iorities of short and long-term heat-related policies, the short term was the highest (37.5%) in responding to ‘electricity tariff realization’ because of the high dependence on air conditioners. In contrast to the short-term perspective, the long-term policy for mitigating the heat wave was overwhelmingly supported by ‘expansion of urban green areas’ (50.7%). This is a result of confirming Daegu citizens’ consciousness which is highly evaluating the effect of urban green space as a medium for mitigating the heat. Fourth,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urban green space type’ for mitigation of the heat wave were examined. The type of urban green space belonging to the phenomena maintenance area (quadrant Ⅰ), which both had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was classified as ‘neighborhood park’. In addition, it was surveyed as ‘Ssamji(mini) Park’ as the type of urban greenery in the concentrated improvement area (quadrant Ⅱ) where the importance is high but the performance is low. We believe that the value of urban green areas for mitigating the heat waves has been fully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of Daegu citizens.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Daegu city heat and urban greening policy.
        4,000원
        8.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문학산은 인천광역시 남구의 문학동, 관교동, 학익동과 연수구의 선학동, 연수동, 청학동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이다. 문학산은 미추홀 왕국의 발상지로서 유서 깊은 역사의 장소이다. 이러한 중요한 역사적 상징이자 생태계 교란의 완충지가 될 수 있는 도시내 녹지공간인 문학산을 보존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15년 4월에서 9월 동안 총 5회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채집방법으로는 Sweeping, Beating, Sieving 등을 실시하였다. 채집한 개체들은 100% Ethanol에 넣어 보관, 실험실에서 현미경을 통해 생물의 동정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총 14과 30속 36종이 확인되었다. 문학산에 서식하는 거미류 중 종 구성이 풍부한 과의 우점순위는 꼬마거미과 9종(25.0%), 접시거미과 5종(13.9%), 깡충거미과 4종(11.1%)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활형에 따른 종 구성은 정주성 19종(52.8%), 배회성 17종(47.2%)로 정주성 거미가 좀 더 우세하게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중간 포식자인 거미의 분류, 생태학적인 조사를 통하여 도시내 녹지공간의 보존과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인근 도시내 녹지공간의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9.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오늘날 급속한 도시화로 인하여 도시환경이 악화되어 감에 따라 이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도시 녹지공간의 곤충다양성을 확인하여 생태계 현황을 밝히고 보전 대책 수립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익산시 원광대학교 녹지공간의 곤충류를 대상으로 2010년 9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0종, 한국적색목록 1종, 기후변화생물지표종 2종과 특정종 70종을 포함하여 총 9목 78과 209종의 주요 곤충자원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분류군별 종 다양성은 딱정벌레목이 23과 76종(36.36%)으로 가장 높고, 노린재목 138과 53종(25.36%), 파리목 8과 24종(11.48%), 벌목 7과 16종(7.6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시기별 종 다양성은 2010년 9월에 52과 105종으로 가장 높고, 2011년 5월(37과 87종), 2011년 7월(50과 86종), 2011년 6월(40과 80종), 2011년 8월(43과 73종) 등의 순으로 다양도가 높았으며, 2011년 9월(38과 60종), 2010년 10월(36과 52종), 2011년 4월(19과 29종)이 상대적으로 종 다양성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조사지점별 종 다양성은 S4(75과 186종, 88.99%)에서 가장 다양한 종의 서식을 확인하였고, S1(41과 70종, 33.49%), S2(41과 63종, 30.14%), S3(36과 59종, 28.22%)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종다양도지수(H')와 종풍부도지수(RI)는 S4(H'=3.344, RI=9.257)가 가장 높고, 종균등도지수(EI)는 S1(0.935)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S3(H'=2.428, RI=4.307, EI=0.832)은 모든 지수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처럼 곤충들은 녹지공간의 식물과 식생구조와 연관되어 출현하고 있어 도시 녹지공간이 자연환경과 비슷한 환경이 유지되도록 하는 관리가 필요하다.
        5,100원
        1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인천시 공개공지의 조성과 이용실태 그리고 식재 현황을 분석하여 도심 녹지로서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1994∼2002년 조성된 대형상업건물 10개소, 교통관련 건물 3개소, 공공기관 건물 2개소의 공개공지였으며, 우리나라와 유사한 공개공지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일본 오사카시와 가와사키시 공개공지의 식재지 구조를 인천시 연구대상지와 비교하였다. 인천시는 아직까지 공개공지를 도심 녹지로 보는 시각이 부족하였고 공개공지는 법적 의무만을 충족시키는 수준에서 조성되고 있었다. 공개공지의 도심녹지 기능 강화를 위해서는 첫째. 공개공지 식재지율을 어린이공원 수준인 40%로 늘려 소공원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공개공지의 수목 식재기반. 수종선정, 식재방법 등에 대한 사항을 인허가시 녹지관련 부서와 협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공개공지의 식재 기준으로 삼고 있는 '대지안의 조경 식재기준'을 현재 보다 상향 조정하여 녹지 질과 녹량을 증진시켜 환경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공개공지를 시민들이 쉽게 알아보고 이용할 수 있는 안내 사인의 설치 의무화가 요구된다. 다섯째, 공개공지가 본래 목적 이외의 다른 용도로 전용되지 못하게 법적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4,000원
        12.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강화도 지역의 산지형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분석을 통한 관리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총면적 11,331ha에 대한 현존식생 분석 결과 식물군집은 19개 유형으로 분리할 수 있었는데 이중 상수리나무군집,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등 2차림이 전체의 92.32%(10,461ha)를 차지하고 있었다. 아까시나무림 등 인공식재림은 전체의 5.40%(612ha)로서 수도권지역 다른 도시들 보다 적은 면적을 나타내었다. 총 57개 조사구에 대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분석 결과 총 7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는데 그것은 리기다소나무(군집 A), 상수리나무(군집 B),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C), 상수리나무-소나무 (군집 D),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상수리나무(군집 E), 졸참나무-신갈나무(군집 F), 느티나무-고로쇠나무 (군집 G)이었다. 강화도 지역은 온대 중부지방에서의 일반적인 천이진행단계인 소나무림에서 상수리나무림을 거쳐 신갈나무림, 졸참나무림, 서어나무림으로 생태적 천이가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토양 pH는 평균 4.17의 강산성 토양으로서 토양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가 산림식생 관리계획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13.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조성된 5개 신도시 공동주택단지의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녹지의 형태와 식재기법, 효과 등을 분석하여 완충녹지 조성시 배식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 완충녹지의 형태는 마운딩형, 사면형, 펴연형이었으며 식재된 수종으로는 교목은 상록수 10종, 낙엽수 20종의 총 30종이었고 관목은 총 13종 이었으며 도시공원 등의 관상용수종과 차이가 없었고 식재는 단층적으로 한 상태였다. 완충녹지에 의해 소음완화 효과는 인정되었으나 7개 조사유형중 4유형에서는 공동주택단지의 소음 기준치(65dB) 이하의 완충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소음완화효과는 마운드형이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대상지는 식재밀도, 녹지용적계수는 완충녹지의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자연림과 비교했을 때 식재밀도가 매우 적었고 녹지용적계수도 기준 녹지에 비해 션격히 낮은 값을 나타내어 개선이 요구되었다. 완충녹지는 높이를 2m 이상으로 한 마운딩형으로 조성지역 인근 자연림의 식생구조를 모델로 하는 복층적 식재기법을 이요하여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500원
        14.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create urban landscapes that take human emotion into consideration, the present study verified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artificial waterscape facilities on users, as these facilities significantly impact their psychological comfort.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SD scales and POMS of 60 male and 60 female participants after they watched a video of four waterscape facilities. Participants deemed the video clip of a fountain waterscape to be artificial and linked it with changeable images that increased their vigor. The video clip of waterfall stimulated various impressions (e.g., vital, liked, active, etc.) and changed participant’ mood states by increasing their vigor and decreasing fatigue. The video clip of the pond yielded familiar impressions, produced less free images, and decreased tension among participants. Finally, the video clip of the stream stimulated quiet and comfortable images as well as reduced negative feelings of anger, confusion, and depression among participants. Furthermore, males experienced more positive effects than females, regardless of the type of waterscape facility.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the four different waterscape facilities influenced participants’ mood states. Additionally, the psychological effects differed by gender. The data suggest that landscape planners need to carefully consider their choice of waterscape facility when designing green spaces to ensure that the space is psychologically comforting to users.
        15.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  This study suggests plan of green space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 of research apprehending the characteristic through sorting types of city thermal environment targeting summer which thermal pollution is the most serious. Considering anthropogenic heat, development level of wind road, therm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types of thermal environment process, it is appeared 36 types, and 10 types is relevant of this research subject. Type Ⅰ-1, size of building is large, artificial covering area is wide, and thermal load of anthropogenic heat is high, typeⅡ-1, development condition of wind road is incomplete as Ⅱlevel, entering cold air is difficult and thermal management and improvement is needed area. Type Ⅲ-1, scale is large and it is area of origin of cold air, development level of wind road is mostly favorable, type Ⅲ-2 is revealed as smaller scale than Ⅲ-1, and small area of origin of cold air. Type Ⅳ, anthropogenic heat is 81~150 W/㎡, average, but development function of wind road is very favorable. Type Ⅴ, large area of thermal load and the origin of cold air are distributed as similar ratio, and level of development function of wind road is revealed as Ⅱ level. According to standard of type classification of therm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suggesting plan of green space management and biotops area ratio, type Ⅰ-1 is buffer green space and waterway creation, goal biotops area ratio 35%, type Ⅱ-1 afforestation in site and goal biotops area ratio 40%, type Ⅲ-1, preservation plan to display the current function continuously is requested. Type Ⅳ suggests afforestation of stream current, and typeⅤ suggests quantitative increase of green space and goal biotops area ratio 45%.
        16.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combination of technique and art, environmental facilities have the function to improve the image of urban green space. Among these facilities, some can be designed and arranged reasonably. But to the facilities of sewage, electricity and sanitation and so on, are usually ignored and become the blemish in the green spa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tatus, taking the design of well cover of sewage as an example, the landscape approaches are discussed from form, material, color and artistic technique and so on.
        17.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een roof policies has helped to advance urban greening by creating green spaces on previously unused rooftops. However, there are no requirements covering matters such as greening methods, operation and maintenance obligations and many problems for sustainability and functioning of green roof and green space have been pointed out.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clarify the contents and criteria of green roof policies currently implemented in Korea, Japan and other countries, compare them with the evaluation criteria for sustainable and public benefit rating systems and propose comprehensive indices for evaluating the multidimensional functions of green roof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open space.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obligation, grant, reimbursement, density bonus and tax credit are frequently used as green roof policies and 41 criteria including percentage of greening area, percentage of trees or shrubs, reduction of heat island effect, open space, landscape, and promotion of biodiversity are identified as criteria applicable to evaluating the multidimensional functions of green roof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open space,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