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7~2016년까지 한국기업들의 해외진출 자료를 이용하여 해외 진출국 내 한국기업에 의한 산업 집적이 한국기업의 해외자회사 퇴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집적-자회사 퇴출 간 관계를 조절하는 본사 및 집적 차원의 요인들을 규명하였다. Cox의 비례 위험회귀모형의 추정결과에 따르면 한국기업에 의한 산업집적 수준은 자회사 퇴출 위험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사의 국제화 경험은 투자지역 내 한국기업에 의한 산업집적 수준과 한국기업 자회사 퇴출 위험 감소 간 관계를 부(-)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집적지 내 기업 이탈 수준은 투자지역 내 한국기업에 의한 산업집적 수준과 한국기업 자회사 퇴출 위험 감소 간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산업집적의 공간적 패턴과 구조를 분석하여 고집적지(핫스팟)를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지식기반산업을 대상으로 경기도 31개 시·군 및 538개 읍면동 단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이용된 방법은 대표적인 공간통계기법 중 고집적지를 찾는데 탁월하다고 알려진 Getis-Ord’s Gi *와 입지계수(LQ: Location Quotients)의 약점을 보완하고자 제시된 Flegg’s Location Quotients (FLQ)이다. 이 방법들로 찾은 고집적지는 공통적으로 비슷한 지역을 찾아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집적분석을 통해 산업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산업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경기도가 추구하는 지역혁신체계를 추구하기 위한 클러스터 정책을 펼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filler content (wt%), presence of interphase and agglomerates on the effective Young's modulus of polypropylene (PP) based nanocomposites reinforced with exfoliated graphite nanoplatelets (xGnPTM) and carbon nanotubes (CNTs). The Young's modulus of the composites is determined using tensile testing based on ASTM D638. The reinforcement/polymer interphase is characterized in terms of width and mechanical properties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which is also used to investigate the presence and size of agglomerates. It is found that the interphase has an average width of ~30 nm and modulus in the range of 5 to 12 GPa. The Halpin-Tsai micromechanical model is modified to account for the effect of interphase and filler agglomerates and the model predictions for the effective modulus of the composites are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data. The presented results highlight the need of considering various experimentally observed filler characteristics such as agglomerate size and aspect ratio and presence and properties of interphase in the micromechanical models in order to develop better design tools to fabricate multifunctional polymer nanocomposites with engineered properties.
BaTiO3/epoxy composites can be applied as the dielectric materials for embedded capacitors. The effects of the degree of BaTiO3 particle agglomeration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BaTiO3/epoxy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degree of particle agglomeration was controlled by the milling of the agglomerated particles. The size and content of the agglomerated BaTiO3 particle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milling time. The dielectric constants and polarizations of BaTiO3/epoxy composites abrupt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milling time. It was concluded that the dielectric constants and polarizations of BaTiO3/epoxy composites decreased as the degree of particle agglomeration decreased. The degree of agglomeration of BaTiO3 particles turned out to be a very influential factor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BaTiO3/epoxy composites.
The effects of reaction temperature and precursor concentration on the microstructure and magnetic properties of nanoparticles synthesized as final products of iron acetylacetonate in chemical vapor condensation (CVC) were investigated. Pure phase was obtained at temperature above and crystallite size of nanoparticles decreased with lowering precursor concentration. Also, the coercivity decreases with decreasing crystallite size of nanopowder. The lowest coercivity was 7.8 Oe, which was obtained from the nanopowder sample synthesized at precursor concentration of 0.3M. Then, the crystallite size of nanoparticles was 8.8 nm.
각종 전자부품에 이용되는 백금막의 밀착력과 응집화 현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온도저항계수(TCR)의 열화 없이 밀착력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AI, Si의 산화물을 adhesion promoting layer로 이용한 결과 매우 우수한 밀착력과 TCR을 보였다. 질소분위기 600-900˚C의 온도범위에서 행한 열처리를 통해 응집화현상을 관찰한 결과 응집화는 기판거칠기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Si3N4등의 기판거칠기가 작은 adhesion promoting layer를 이용한 시편의 경우 고온인 900˚C에서 응집화 현상이 발생되었다. 표면거칠기가 큰 AI-Si 산화물을 adhesion promoting layer로 이용한 시편의 경우 비교적 저온인 600˚C에서 응집화 현상이 발생했으며 800˚C이상의 열처리의 경우 중앙응집체와 응집체고갈지역이 형성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Purpose - Urban agglomeration construction is one of national strategic plans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China, which has threatened the eco-environmental quality at the same time. This paper selected the urban agglomeration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Yangtze River as the research are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the slack-based measurement (SBM) model considering undesirable outputs is applied to measure the eco-efficiency of this urban agglomerations during 2006-2015.
Results -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verage eco-efficiency of the urban agglomeration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Yangtze River is 0.595. Regional ecological development is unbalanced. The highest eco-efficiency is recorded at Wuhan Metropolitan Area, and the lowest one is at the Changsha-Zhuzhou-Xiangtan City Group. Energy consumption and waste dust emissions are the key factors led to ecological inefficiency. Based on this, potentials for energy saving and waste dust reducing are calculated.
Conclusions - Finally, this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targeted to promote the coordinating development of economy and eco-environment under the construction of urban agglomeration.
Due to a world trend on renewable energy, biomass that is one of renewable energy resources has to be applied at thermochemical process, actively. However, in commercial plant, one of many problems is an agglomeration production at biomass thermochemical process, because it leads to disturb continuous operation on thermochemical process. Thus, in this study, the EFB (empty fruit bunch), one of palm oil industry by-products was used as a biomass fuel, and washed by water and nitric acid solution (0.1wt.%) with different total washing times for resolving this problem at biomass thermochemical process. After washing, ash content was decreased from 5.9wt.% to 1.53wt.% using all of the washing treatments, and the Alkali & Alkaline Earth Metallic (AAEM) was removed over 80wt.% of total AAEM, such as potassium, magnesium, calcium and sodium. Additionally, SEM with XRD was analyz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ed agglomeration, and the agglomeration production ratio was measured: it revealed that the ratio was resulted in decrease over half, in the case of using all of washed EFBs.
석유, 석탄, 원자력, 천연가스 등 화석 연료의 고갈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인식이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다양한 연구가 개발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공급 비중은 2012년 기준으로 폐기물(67.77%), 바이오매스(15.08%), 수력(9.21%), 태양광(2.68%), 풍력(2.18%), 해양(1.11%), 연료전지(0.93%), 지열(0.74%), 태양열(0.30%)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이들 중 폐기물과 바이오매스가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국내의 경우, 폐기물은 가연분 함량이 높아 SRF (Solid Refuse Fuel)로 재생산하여 보조연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미 기존 폐기물 소각로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지역난방 또는 발전을 도모하는 용도로도 활용되어왔다. 그러나 앞선 통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오매스는 국내에서 수급하는데 제한적이므로 신・재생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엔 공급량이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팜 오일 산업이 활성화 되어 있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와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배출되는 해당산업의 부산물을 바이오매스로써 활용하여 부족한 공급량을 충족하고자 EFB (Empty Fruit Bunch)를 이용하였다. 이에 대한 선행연구로부터 열화학반응공정에서의 효율 증가를 위해서는 EFB에 다량함유되어 있는 회분을 제거하여 균질하게 만들어 주는 공정과 바이오매스 가스화 공정에서는 원활한 연속운전을 위해 ‘Agglomeration’ 에 대한 적절한 제어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바이오매스 내 알칼리금속이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EFB를 일반 수돗물과 질산용액을 이용하여 세척하여 총 3가지(raw EFB, washed EFB by tap water, washed EFB by nitric acid solution)로 나누어 공업분석과 ICP분석을 수행하였고, 이에 따라 회분 및 알칼리금속 제거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후, 선행 연구를 통해 도출된 EFB의 가스화 최적조건에 적용하여, 랩 규모(1 kg/hr)의 기포유동층 반응기에서 가스화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합성가스 수율변화, dry gas yield, 냉가스효율 등 가스화 특성변화를 평가하였고, 바닥재를 회수하여 최종적으로 ‘Agglomeration’ 의 저감효과를 정량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