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feeding behavior and growth performance of 31 Hanwoo steers (10 months old; 278 ± 36.13 kg) within a precision livestock farming system using Roughage Intake Control (RIC) units for real-time data collection. Feeding behavior traits were derived from RIC database data using R software, with subsequent analysis conducted using SAS softwa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eers visited the feed stations every 31.12 ± 11.99 minutes, averaging 11 ± 3.37 visits/day. Each feeding session lasted an average of 5.90 ± 1.55 minutes, resulting in a feed intake rate of 77.98 ± 22.53 g/min. Mean daily feed intake was 4.76 ± 1.36 kg, and body weight increased consistently, reaching an average of 412 ± 43.44 kg, with an average daily gain (ADG) of 1.26 ± 0.38 k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daily feed intake and visit duration (r² = 0.621; p < 0.01) and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daily feed intake and feed intake duration (r² = −0.445; p < 0.05), indicating behavioral adapt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feeding behavior traits concerning growth performance,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individual animal behavior and its implications for productivity while emphasizing the role of advanced technologies in optimizing feed utilization in confined livestock systems.
        4,0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d relative growth rates (RGRs) of Neopyropia yezoensis and Neopyropia dentata in response to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20, 22, 24, 26 and 28°C) and light intensity (40 and 80 μmol m-2·s-1) during early growth stages (1 and 10 mm). After 2 weeks of cultivation under a combination of high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the limit growth condition was 22°C for N. yezoensis and 26°C for N. dentata. N. yezoensis with 1 mm blade crimpled seriously at 22 to 26°C than its 10 mm blade. Both sizes were completely dead at temperature over 26°C. On the other hand, N. dentata was able to grow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s. It grew higher with 10 mm blade than with 1 mm blade. N. dentata showed a normal color and displayed a flat surface without any decay at 28°C. The growth of N. dentata was limited and crimpled at 26 and 28°C 40 μmol photons m-2·s-1 conditions, although its normal growth and morphology were observed under other conditions. In the case of light intensity, it was confirmed that 80 μmol photons m-2·s-1 was more appropriate for grow of both species than 40 μmol m-2·s-1.
        4,000원
        3.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육초기 저온 저일조 조건이 토마토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비가림 하우스에서 정식 후 17일에 측창 개폐와 차광막을 이용하여 26일간 저온, 저온차광 처리하였다. 처리기간 동안의 토마토 GDD를 산출한 결과 저온 처리로 인해 GDD가 5.5% 감소하였다. 차광 처리에 의한 평균 일사량을 분석한 결과 대조구 대비 차광처리가 25.3% 수준이었으며, 일 최고광량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대조구, 차광처리가 각각 634, 156W·m -2였다. 처리 결과 저온차광에 의하여 엽수, 엽면적, 생체중, 건물중, SPAD를 분석한 결과 차광에 처리에 의하여 생육이 저하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초장은 웃자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량을 분석한 결과 첫 수확일은 정식 후 63일로 동일 하였으나 무처리구, 저온처리, 저온 강차광 순으로 각각 177, 99, 53g/plant 로 최대 3.3배까지 차이를 보였으며, 최종 수확일인 정식 후 87 일의 누적수량은 각각 1734, 1131, 854g/plant로 생육 초기 저온, 저온차광 처리에 의하여 수량이 각각 34.8, 50.7%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처리와 수확기에 따른 토마토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당도와 산도는 처리 및 수확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처리에 따른 광합성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반응 곡선을 작성하고 광합성 기구의 생화학적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최대 광합성 속도와 J, TPU, Rd는 온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차광에 의하여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Vcmax의 경우 저온과 차광에 따라서 값이 감 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보아 정식 후 생육초기 저 온 저일조는 토마토의 초기생육과 광합성능력을 감소시키며, 생육이 진행되면서 생육에 대한 차이가 없어지거나 줄어들고 품질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지만 누적 수량이 감소하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생육초기 저온 및 저온저일조 등 이상기상 발생시 보온 및 보광이 필요하다.
        4,000원
        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aterlogging strongly affects maize (Zea mays L.) growth. It is necessary to find the screening method of waterlogging tolerant maize lin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s at V3 stage of maize, when is very sensitive to waterlogging. Six Korean maize inbred lines were subjected to waterlogging at V3 stage for 30 days. The 30 days waterlogging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plant height, number of expanded leaves, and SPAD value, compared with the control plants. SPAD valu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ix inbred lines, KS140 was the highest. The dry matter accumulation of aerial and root par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30 days waterlogging. KS140 was the weightiest among inbred lines. The dry matter of adventitious root showed same trend. Waterlogging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o ear length and thickness, grains filling length, grain number per ear, and maize grain. Plant height, SPAD value, and number of fully-expanded leave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maize grain yield, but number of senescent leaves, dry matter of adventitious root and TR ratio did not, suggesting that the former three traits may be good indicator for evaluating 30-day waterlogging tolerance of maize inbred lines. KS164 was the highest yield by increasing of grains filling length and grain number per ear of among waterlogging inbred lines. According to the results, evaluation of maize waterlogging should be consider both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and resilience in the later growth stages.
        4,000원
        5.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식 후 토양의 수분 함량에 따른 배추의 생장과 토양 수분에 따른 배추의 생리 반응 모델 개발을 위한 유효 매개변수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처리는 5개 수준으로 각각 0, 200, 300, 400 및 500mL/d/ plant로 매일 1회 관수하여 토양 수분 함량 차이로 구분하였다. 토양수분과 기공전도도를 정식 후 10일부터 6일 간격으로 총 5회 측정하였으며(단, 0과 200mL/d/plant 처리구는 총 3회 측정), 광합성기구 활성을 알아보고자 정식 후 25일에 충분히 관수된 처리구(500mL/d/plant)와 결핍 처리구(0mL/d/plant)에서 이산화탄소 포화 곡선을 작성하였고, 정식 후 38일에 생장을 조사하였다(단, 관수 량 처리구 0과 200mL/d/plant는 위조되어 정식 후 29일에 생장 조사함). 토양수분과 배추의 기공전도도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r2=0.999), 직선의 정의 상관관계로 y = 6097.4x − 4.2984였다. 충분히 관수된 배추의 이산화 탄소 포화곡선은 정상적인 포화 곡선을 보였으나, 토양 수분이 극도로 결핍된 배추는 체내로 이산화탄소가 확산 되어 들어가지 않으며, 광합성 속도도 약 6.5μmol·m-2·s-1 미만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충분히 관수된 처리구 (500mL/d/plant)에 비하여 토양 수분 결핍구(0mL/d/plant 처리)에서는 약 6.8배 이상 건물생산량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토양의 수분 함량에 따라 엽면적 지수가 로그함수적(y = 16.573 + 3.398 ln x)으로 증가하였고, 결정 계수 r2=0.913로 높은 상관 관계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정식 초기의 토양 수분 함량이 결핍되면 배추의 생장이 지연 되며, 광합성 속도와 기공전도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토양수분 함량과 배추 생장 반응 모델을 기공전도도와 엽면적 지수를 변수로 활용하면 정확도가 우수한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을 활용하여 ‘캠벨얼리’ 포도의 품질향상 증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전엽 3∼5엽기에 화방에 대한 지베렐린(GA3) 5 mg·L-1 엽면처리는 ‘캠벨얼리’ 포도의 과경, 과방중, 가용성당함량, 과피의 착색을 증진시켰다. 전엽 3∼4엽기의 화방에 대한 GA3 5 mg·L-1과 ABA 20 mg·L-1 혼용처리는 과립 비대와 과축 신장을 저해하지 않았으며 포도 과피의 안토시아닌 축적에 효과적이었다. ‘캠벨얼리’ 포도의 전엽 3∼4엽기에 화방에 대한 thidiazuron 2.5 mg·L-1과 GA3 5 mg·L-1 혼용처리는 가용성고형물 함량 증진과 산함량 감소를 촉진하여 과실 품질이 증대되었다.
        4,000원
        9.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옥수수 교잡종 111종의 습해저항성과 생육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인공기상동에서 3엽기에 인공강우 조건(1일차 80 mm, 이후 50 mm, 온도 21±3oC) 에서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조사항목은 생육특성으로서 지상부, 뿌리, 엽신의 건물중을 조사하였으며 식물체의 중심고, 간직경을 측정 하였다. 교잡종 중에서 62번이 간장이 가장 길었으며 96번이 가장 짧았다. 무게중심고는 96번이 가장 컸으며 88번이 가장 짧았다. 건물중은 59번이 가장 무거웠으며 25번이 가장 낮았다. 간직경은 91번이 가장 두꺼웠으며 24번이 가장 가늘었다. 엽신건물중은 42번이 가장 컸고 25번이 가장 낮았다. 뿌리 건물중은 16번이 가장 높았고 24번이 가장 낮았다. 엽신건물중은 85번이 가장 높았고 25번이 가장 낮았다. 각 항목별 상관을 구한결과 간직경, 초장, 뿌리건물중은 엽신건물중과 정상관을 나타냈고 간직경과 초장은 뿌리건물중과 정상관을 보였으나 초장과 무게중심고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무게중심고와 간직경 또는 간직경은 뿌리건물중과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4,000원
        10.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사일리지용 옥수수 교잡종을 인공기상실에서 온도조건 시험 1) 21±3oC와 시험2) 24±3oC에서 포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인공강우 첫째 날은 100 mm를 관수하였고 둘째 날 이후부터는 50 m씩 관수하였으며 시험 1에서는 3엽기부터 시험 2)는 5엽기부터 관수를 시작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습해저항성을 포장상태가 아닌 포트재배조건에서 미리 평가하여 선발을 용이하게 하고 선발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 1)에서는 관수처리 5일차에 형광의 변화가 급격하여 옥수수 자원간에 범위가 매우 크게 나타나 분류에 매우 유리하였다. 시험 2)의 5엽기 관수처리조건에서는 옥수수 자원간에 형광값의 범위가 작았다. 관수 처리 후 건조 시일의 경과에 따라 형광값의 상승효과가 나타나 토양이 건조시에는 내습성 자원선발에는 다소 불리하였다. 3엽기 관수처리는 건조를 하여도 형광값의 상승이 적어 회복이 어려웠다. 5엽기 관수처리는 관수처리에 따른 형광값의 변화가 늦어 건조 후 회복속도가 매우낮았다. 옥수수 습해 처리에 따른 내습성 계통 선발은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생육 초기에 간단한 형광 측정에 의한 내습성구분이 가능하였다.
        4,000원
        15.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ow temperature and low radiation conditions on the yield and quality of hot pepper at an early growth stage in Korea. In plastic greenhouses, low temperature, low temperature with covered shading treatments were set 17 to 42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pepper growing degree days decreased by 5.5% due to the low temperature during the treatment period. Radiation decreased by 74.7% due to the covered shading. After commencing treatments, pepper plant growth decreased with low temperature and low radiation. Analysis of the yield showed that the first harvest was delayed by low radiation. The cumulative yields of 119 days after transplanting were 1,956, 2,171, and 2,018 g/m2 for control, low temperature, and low temperature with low radiation respectively. Capsaicin and dihydrocapsaicin concentrations in pepper fruit decreased with low temperature and low radiation. To investigate the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reatment, the carbon dioxide reaction curve was analyzed using the biochemical model of photosynthesis.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photosynthetic rate, Vcmax (maximum carboxylation rate), J (electric transportation rate), and TPU (triose phosphate utilization) decreased at low temperatures; the maximum photosynthetic rate, J, and gm (dark respiration rate) were reduced by shad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w temperature and low radiation can retard early growth, yield, and quality, but these can also be recovered 119 days after planting. Based on the results, the yield and quality of pepper can recover from abiotic stresses with proper cultivation.
        16.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ight traits in a solar light-collector device and its effects on lettuce growth at an early growth stage. The three hyper parameters used were the reflector diameter (2 cm and 4 cm), coating inside the reflector (chrome-coated, non-coated) and distance from the light fiber (15 cm and 20 cm). The results showed that light efficiency, which is the ratio of light intensity inside the fiber to the solar intensity, improved by 41.1 % when using a 2 cm diameter chrome-coated reflector at a distance of 15 cm from the light fiber; whereas it only improved by 20.6% when a non-coated reflector was used. As the reflector size was increased to 4 cm, the light efficiency for the coated and non-coated reflectors increased by 28.5 % and 26.4 %, respectively, henc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When the light fiber was placed at a distance of 20 cm, the increase in light efficiency with coating treatment was 8 % higher than without coating treatment. We also compared the efficiency of light-fiber treatment with that of LED treatment in our lettuce nursery, and observed that the plants exhibited better growth with light-fiber treatment. We observed an average increase of 1.7 cm in leaf height, 7 cm2/plant increase in leaf area, and 32 mm increase in root length upon light-fiber treatment as opposed to those observed with LED treat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ollector light-fiber is economically feasible and it improves lettuce growth compared with the LED treatment.
        17.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hanced light transmission on plant growth, photosynthetic ability, and disease tolerance to leaf blight, anthracnose i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Araliacease family) during the early growth stage (April to June). The photosynthetic ratio, stomatal conductance, and stem diameter of plants grown under a shade net with 15% light transmission rate showed an increasing trend compared to the control plants (5% light transmission rate) although the growth of the aerial parts were not influenced significantly. Plant height, stem length, and leaf length of treated pla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plants. Root parameters, such as root length, diameter, and weight of treated plant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Yield performance (187.4 ㎏• 10 a−1) of treated plants was 55.5%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150.4 ㎏• 10 a−1). Additionally, disease severity scores of treated plant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plants, revealing higher survival rates. To retain high yield potential and enhance the level of disease tolerance in ginseng, we suggest the increase of light transmission rate during the early growth stag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