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시나리오 작가 지망생이나 창작 입문 단계의 학생들 이 파악하고 창작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영화의 이야기 구성 방법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영화의 스토리텔링을 8단계로 구성하고 그 구성의 적절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프롤로그는 인물 소개, 이야기의 배경, 무엇에 관한 이야기인가 등을 소개하는 단계이고, 발단은 주인공에게 일어나는 첫 번째 사건이자 실제로 이야기가 시작되는 단계 이고, 도발적 사건 단계에서는 그 사건으로 인해 주인공 삶의 균형이 파 괴되거나, 새로운 인생을 살게 된다. 전개는 도발적 사건에 대한 주인공 의 대응 단계로 여기서 주인공은 삶의 균형을 회복하거나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목표를 가지게 되고 추구하는데, 이를 방해하는 적대자나 장애물이 등장하고 주인공의 목표를 저지하려 한다. 위기는 주인공의 목 표 추구가 강력한 방해를 받는 단계로 주인공이 계속해서 목표를 추구하 기 위해서는 무언가를 희생하거나 목표 추구 자체를 포기해야 하는 선택 의 기로에 서게 된다. 절정은 위기 단계에서 주인공의 최종 선택을 보여 주는 단계로 주인공은 적대자나 장애물의 방해에 대해 가장 강력하게 대 응한다. 결말은 주인공의 최종 목표 추구에 대한 성공과 실패 등 완전한 결과를 보여주는 단계이고, 에필로그는 이야기가 끝났음에도 해소되지 못한 감정, 남은 궁금증을 정리하는 단계이다.
본 연구는 연결어미 ‘-다가’로 이루어진 구문의 특징을 살펴보고 ‘-다 가’ 구문을 의미적 측면과 통사적 측면으로 기술할 것이다. ‘-다가’의 여 러 가지 의미 기능 중에서 전후의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계기’가 기본 의미임을 밝힐 것이다. ‘-다가’는 연결어미로서 절과 절을 연결시키는 역 할을 한다. ‘-다가’의 의미는 대등적 접속문과 종속적 접속문에서 선 · 후행절의 의미 관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맥락에 따라 결정되 는 이런 의미들은 ‘-다가’의 문맥 의미로 보고 이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 였다. ‘-다가’의 문맥 의미는 종속적 접속문도 선행절과 후행절의 관계에 따라 ‘우연 계기’, ‘원인 계기’, ‘조건 계기’와 ‘부가 계기’의미로 나타나 므로 다양한 구문과 예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인지의미론에 개념 화자의 정신 공간 이론을 바탕으로 기저 공간(base space)에서 새로운 정신공간이 구축되며 ‘계기’가 ‘-다가’의 기본 의미를 논증하였다. 그리고 개념 혼성 이론을 이용하여 문맥 의미를 밝혔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Korean-Chinese bilingual speakers process Korean final ending -ko. Korean-Chinese bilingual speakers from Yanbian participated in the masked priming experiments through a word judgment task. The masked priming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compare the subjects’ response under three different prime-target conditions: Identical Condition, Unrelated Condition, and Test Condition. The participants’ response time in the experiments was statistically analyzed in two different ways: i.e., subject (F1) analyses and item (F2) analyses. The results of both the subject analyses and the item analyses revealed full priming effects, as is usually found in native speakers’ morphological processing.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hinese-Korean bilingual speakers are sensitive to each combining morpheme of morphologically complex words including Korean final ending -ko and their processing of the words are not dependent upon the lexical storage of the full form.
이 연구는 한국어 연결어미 ‘-면서’의 의미기능과 통사적 특성을 고찰하고 ‘-면서’의 형성과정을 문법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면서’는 ‘동시’ 의미와 ‘대립’, ‘진행’의 의미기능을 갖는다. ‘-면서’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며셔’는 ‘동시’의 의미인 ‘-며’에서 출발하여 ‘상태 유지’의 ‘-셔’가 결합하여 ‘진행’의 의미기능을 갖는다. 범언어적 특징으로 ‘동시’의 의미는 화용적 기능으로 추론이 되며 ‘양보’, ‘대립’의 의미로 확대되어 화자의 주관적 신념이나 상태 또는 태도로 문법화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 면서’의 문법화는 ‘동시’의 의미기능을 갖는 ‘-며’에 ‘상태 유지’를 나타내는 ‘-셔’가 결합되어 ‘-며셔’가 되며, 이것은 ‘진행’의 의미기능이 첨가된 것이다. 또한 여기에 ‘동시’의 의미기능을 갖는 ‘-며’에 주제 표지를 나타내는 ‘-ㄴ’이 결합되어 ‘조건’의 의미기능을 갖게 된다. 이 조건의 ‘-면’과 ‘-셔’가 결합하여 선행절의 행위가 이루어질 것을 바탕으로 후행절의 행위에 대해 언급하는 ‘대립’의 의미기능이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digital generation in China and their engagement in social media to co-create values with firms. The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o first develop a social media co-creation value scale. This was followed by motivational analysis of social media engagement to co-create values. A spectrum of utilitarian and hedonic motives related to value co-creation behaviors via social media were then identified. Man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Kim Eun-hye. 2016. “The new feature of prefinal ending ‘-si-’: Inanimate object honorific marker-Focusing on speech comparison of department stores and local marke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4(1). 91~11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new function of Korean honorific prefinal ending ‘-si-’ by field survey as well as to emphasize the need to be discussed this circumstance in Korean educa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si-’ is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subject honorific marker. It had been only used to person, but is now also used for inanimate object. Especially, it could be found in luxury service industries such as hotel, department store, and restaurant. Therefore, this language variation can be connected with social class.
In order to research the new feature of ‘-si-’, Labov(1966)’s methodology which is modified for this study was applied. Then, dialogues between employees and customers from the department store and local market were collected. In addition, this study surveyed to find out Korean native speakers’ awareness about new feature of ‘-si-’. Thu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by finding the new features of ‘-si-’ through field surveys and questionnaires as well as making realistic mention about ‘-si-’ in Korean linguistics.
Evolution of resistance to entomopathogenic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Bt), can potentially reduce the efficacy of insecticidal proteins from Bt to insect pests in fields. Bt resistance is involved in modification of the toxin binding to its specific midgut membrane receptors, such as cadherin, aminopeptidase N, alkaline phosphatase, and ABC transporters.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is one of major lepidopteran insect pest in Korea and showed highly susceptible to Cry1Ca. We investigated the Cry1Ca toxicity with respect to its binding affinity to a Bt receptor, cadherin compared with Cry1Ac. RNA interference (RNAi) of a cadherin of S. exigua (SeCad1)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Cry1Ca to the toxic level of Cry1Ac. Binding affinity of Cry1Ca to brush border membrane vesicle (BBMV) of S. exigua midgut was significantly lost after SeCad1 RNAi. Binding affinity of Cry1Ac to BBMV was much low compared to that of Cry1Ca and less sensitive to SeCad1 RNAi. Direct binding assay of Cry toxins to SeCad1 was assessed using a recombinant cadherin repeat 10-11 (rCR10-11) of SeCad1. The addition to rCR10-11 to Cry1Ca significantly enhanced the toxicity under SeCad1 RNAi. However, the synergistic effect of rCR10-11 on toxicity of Cry1Ac was not much significant with poor binding affinity of Cry1Ac compared to Cry1C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fferential toxicity of Cry toxins against S. exigua is caused by the different affinities to the Bt receptor, cadher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ocus-on-form approach on learning connective ending '-느라고'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put enhancement and consciousness raising tasks were applied and compared as an effective way of this grammar instruction among various techniques of focus-on-form approach.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intermediate-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eaching activities were provided undertaken based on two different methods. According to th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the two methods, but the upper-level students had higher achievements than the lower-level students.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input enhancement and consciousness raising tasks, it was found that the focus-on-form approach can be recommended as a way to teach grammar effectively, especially it is effective for upper-level learners.
By using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conversation analysis, this study combines a grounded study of interactional linguistics focusing on L2 speakers' interactional competence in the use of Korean sentence-ending suffix -ketun.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hich examined the use of -ketun in L1 Korean speakers’ conversation, this study analyzes data taken from different levels of Korean language classroom interactions, with close attention to the learner's usage of the target suffix in formulating a dispreferred response.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 that the L2 advanced students' use of -ketun is much closer to that for L1 speakers in constituting a dispreferred response while claiming epistemic primacy. On the other hand, extremely low frequency in the use of -ketun is a distinctive linguistic-pragmatic features that characterizes use of -ketun by L2 speakers at lower levels of competence. The advanced students' diversification may be an indicator of their more adaptive, context-sensitive conduct, suggesting an increased interactional competence. Close scrutiny of the use of -ketun in this study aids to reveal whether and to what extent its interactional use by L2 speakers of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approaches that of L1 speakers.
From a conversation-analytic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Korean sentence-ending suffix (SES) -ketun is used in naturally occurnng sp아<en Korean 이 scourse. Focusing on the question of how the practice of informing implemented by the ketun-utterance provides a basis for the sequentially implemented action of account-giving (Kim & Suh 2뼈), it a n따yzes (i) the nature of the information marked by -ketun in terms of how it is grounded, (ii) the sequential contexts where the informing sequence that -ketun generates is embedded, and (iii) features of the ketun -marked account with reference to the practices of formulating non-negotiable upshot, evo싸 ng positionally relevant identities, unpackaging information geared to enlightening the address얹. and stance-shifting. These practices are analyzed as being constitutive of the action-organizational features of the ketun-marked account, whose upshot is proposed to be that of evo써 ng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gap or disparity in knowledge asseπed by the speal<er to exist between the partlclpants.
Kim, Kyu-hyun. 2004. A Conversation Analysis of Korean Sentence-Ending Modal Suffixes -ney, -kwun(a), and -ta: Noticing as a Social Action.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2(1). Drawing upon H. S. Lee's (1993) cognitively-oriented research on the functions of three sentence-ending modal suffixes in Korean that are used to express newly perceived information, -ney, -kwun(a), and -ta, this study analyzes the distinct meanings of these suffixes from a conversation-analytic perspective (Sacks et al. 1974). The suffix -ney is used in the context in which the speaker notices a referent/event and makes an assessment on the spot in such a way that the speaker's stance displayed through the action is formulated as something that is to be immediately oriented to and contingently taken up by the hearer. In contrast, the suffix -kwun(a) is used when the speaker is mainly oriented to displaying a stance congruent with the prior talk. The action it organizes is often limited to acknowledging a point of the prior talk or having the hearer acknowledge the speaker's observation, often with a salient topic-curtailing and sequence-terminating import. The suffix -ta tends to orient the hearer to the next stage of the speaker's action (e.g., suggestion, warning, offer, etc.) to whose directive force the hearer is variably implicated as a beneficiary/facilitator. The interactional account offered in this paper is shown to complement Lee's cognitive account, with emphasis placed on examining the ways in which these suffixes are used as resources for organizing distinct types of social action.
This article has an aim to describe a variety of inflections in Korean in accordance with verbs in Chinese, used as predicates in verb predicative sentences and, as the result, to help Korean / Chinese learners as a second Language acquire each other language. Among 205 chosen Chinese sentences, 12 verbs appeared about more than three times repeatedly. Their equivalent expressions in Korean show 2-7 inflections, which are divided into largely ending forms or not-ending forms. The former conforms to “extremely honoring forms(Hapsyo-che)” or “honoring forms(Haeyo-che),” in proportion to listeners’ age;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has “connective inflections” and “modifier forms.”In Chinese, a word can be used as various word classes according to word order, although its form is identical. On the other hand, Korean features various case markers and inflections. This typological difference between Chinese and Korean makes slightly difficult for Korean-Chinese learners or Chinese-Korean learners to acquire each other langu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ive them an opportunity to be acquainted with this typological difference, when they learn each other language.
본 글은 기독교 시각에서 엘리엇의 『네 사중주』를 고찰했다. 특히 인 간의 삶을 ‘시작’과 ‘끝’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한 것으로서 엘리엇은 『네 사중주』에서 이 문제를 표현하고 있다. 기독교 시각에서 보면 ‘시작’은 곧 우리의 인생이 끝을 향해서 가지만 이 끝 또한 또 다른 시작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엘리엇은 “나의 시작에 나의 끝이 있다” 혹은 “나의 끝은 나의 시작에 있다” 등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여기서 “나의 끝에 나의 시작이 있다”는 논리는 기독교적으로 ‘영생’을 함축한다고 볼 수 있다. 아쉽게도 인간은 이와 같은 논리를 외면하기 때문에 변함에 노출되기 쉽고 또한 변하는 것에 집착을 보이게 된다. 엘리엇 역시 이 모습을 『네 사중주』에서 그대로 제시하고 있다.
【벼리】본고는 한국어 연결어미 ‘-길래’의 효과적인 교수 방안을 찾 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에 앞서 형태 초점 교수법에 대해 간단히 살 피고, ‘-길래’의 형태, 통사적 특성을 정리한 후 문법 의식 고양과제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그간 ‘-길래’는 ‘-기에’의 잘못된 형태로 보거나, ‘-기에’의 구어적인 표현으로 보는 입장이 많았다. ‘-길래’는 구어에서 많이 사용하고, ‘-기 에’는 문어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은 사실이나 그 의미나 통사적인 특 성 등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각각을 독립된 연결어미로 보는 것이 합 당하다고 본다. 또한 ‘-길래’는 의미나 통사적으로 ‘-기에’와 차이가 있 으므로 구별하여 교수할 필요가 있다. 현재 대부분 기관 교재에서 ‘원 인과 이유’로만 제시하고 있어 학습자들이 그 담화, 화용적 특성을 습 득하기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길래’는 ‘화자의 행위에 대 한 외부적인 근거’를 말할 때 사용하는데 이러한 ‘-길래’의 의미를 학 습자들이 이해하고 습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그간 한국어 교육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길래’를 FonF의 방법으로 고찰해 본 데 의의가 있다. FonF의 기법 중 GCR 과제는 학습자가 놓칠지도 모르는 문법 형태에 주의를 기울 이게 해 주고, 동시에 유의미한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연결어미 ‘-길래’의 교수 방안으로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벼리】한국어 구어는 문어와 다른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진다. 그 중 하나는 종결어미가 아닌 요소들에 의해 종결되는 문장이 많다는 것이 고, 그 중에서도 연결어미로 문장이 끝나는 경우가 자주 나타난다. 한 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하게 되면 이러한 부분에서 어 려움을 느낄 수 있다. 본고에서는 현행 한국어 교육에서 이에 대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 고 있는지를 한국어 회화 교재를 통해 점검해볼 것이다. 그리고 한국 어 모어 화자와 한국인 학습자들의 실제 발화에서 연결어미에 의해 종 결되는 문장의 빈도와 양상을 살핀 후 비교하여,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대해 교육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고의 목적은 일본인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한국어 연결어미 ‘-아/어서’와 ‘-고’에 대한 학습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먼저 한국어 연결어미 ‘-아/어서’와 ‘-고’에 대응하는 일본어 접속조사 ‘-て’의 의미 용법을 한일 대조의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일본어의 ‘-て’의 용법을 분석한 결과, 순서, 나열, 수단․방법, 원인․이유, 역접 등 거의 모든 연결 관계에 걸쳐서 나타났다. 이에 오류의 원인을 과잉일반화와 모국어의 간섭에 주안점을 두고 학습자의 오류양상을 형태상의 시제오류와 의미상의 대치오류로 분류하였다. 시제오류에서는 ‘-ので’의 간섭으로 보고 반복적 활용연습에 초점을 두고 학습방안을 제시하였다. 대치오류에서는 ‘-て’의 과잉일반화로 ‘-아/어서’와 ‘-고’에 대치되는것으로 보고 초급에서 중점으로 다루는 순차성과 수단 방법의 용법으로 범위를 제한하여 교수 학습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