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꽃장식의 전문성을 체계화하기 위해 수행 되어졌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미지 형용사가 질감 성, 색감성, 시대성, 장식성의 4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어 진다. 요인별 꽃에 대한 분석을 보면, 질감성에 있어서 는 질감성이 가장 높은 꽃은 흰색 칼라꽃이 2.00으로 나 타났으며, 로코스퍼럼은 −1.90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색감성에 있어서는 색감성이 가장 높은 것은 노랑색 장미가 1.70로 나타났으며, 안개꽃은 −2.40으로 색감성이 가장 낮았다. 시대성에 있어서는 시대성이 가장 높은 꽃은 천일홍이 2.00이었으며, 로코스퍼럼은 −3.00으 로 시대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식성에 있 어서는 장식성이 가장 높은 종류는 아가판서스가 2.50로 나타났으며, 헬리코니아가 −2.0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 다. 각 요인별 상관관계를 보면, 색감성과 시대성이 상 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색감성과 시대성이 꽃장식을 할 경우 가장 중요하다고 해석되었다.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요도는 색감성이 가장 높고 다 음으로 질감성과 장식성, 시대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것은 소비자들이 꽃장식을 할 때, 색감성과 질감성에 치우치다보면 시대성에 대한 중요도가 간과되기 쉬워 진다고 생각되었다.
        4,000원
        2.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훼장식이 돌잔치 고객의 만족도와 장소 재방문 의도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 문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남녀나 기혼자와 미혼자 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연령은 20대와 30대가 주류를 이루었고, 학력은 대졸자가 가장 많았다. 요인분석 결과 7개의 중요 변수 즉, 화훼장식을 위한 디자인의 스타 일과 구성, 디자인의 조화와 색감, 접근성, 시설, 서비스와 가격, 만족도, 그리고 재방문 의도로 이론적 모형이 구성되었다. 모형화한 연구가설의 검증 결과에 대한 타 당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SPSS 14.0K를 이용하여 탐 색요인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모형의 모든 인과 관계의 경로계수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해서는 구조 분석 방법을, 타당성 평가를 위해서는 AMOS 7.0의 측정 모 형을, 그리고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기술적 통계, 빈도 분석, 크론바하 알파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과 요인 분 석법을 이용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 매개변수인 만 족도에 가장 큰 항목을 차지하는 항목은 화훼장식의 스타일과 구성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화훼장식의 조 화와 색감이었다. 그리고 서비스와 가격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접근성과 시설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 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돌잔치의 기획 및 연출을 위 해서는 화훼장식이 가장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의미하는 한편, 이 중요 변수를 잘 활용하면 고객의 만족도가 증 가하게 되고 만족도가 증가하게 되면 재방문 의도가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4,000원
        3.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d the psychological effect of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cut-flowers decoration in the conference place by the presenting eight colors of decorations (white, pink, blue, orange, red, green, purple, and yellow) to the participants, 103 numbers of genders.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condition was carried out and compared with an attention recovery scale, profile of mood states (POMS) and semantic differential (SD method). In addition, paired t-test, One way ANA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for the general awareness of cut-flower decoration, the most priority is its color tone and 57.3% of participants which is the highest portion answered that the amount of annual investment for cut-flower decoration is 20,000~99,000 W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son for three psychological indexes, the attention recovery sca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rea with cut-flower decoration than the area without it. In POMS, it showed the negative emotions, such as, tension-anxiety, depression, confusion was low while the positive emotion like vigo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rea with cut-flower decoration than the area without it.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could feel the pleasant, natural and clam significantly more in the conference place with cut-flower decoration than the area without it. The order of color preference of cut-flower was Green > White > Pink > Blue > Yellow > Purple > Orange > R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 Also,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for the color sensibility of its tone of the cut-flower decoration in conference place with SD method, the participants could feel ‘comfortable’ and ‘calm’ the most with green, white and blue decoration while ‘strong’, ‘vibrant’, ‘uneasy’ of feeling was shown the most in red and orange decoration and ‘warm’, ‘fancy’ in yellow.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workers can have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s by having cut-flower decoration or using appropriate colors with cut-flower decoration in the uncomfortable area, such as, conference place.
        4.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여고생을 중심으로 화훼장식 원예프로그램이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여고생 1, 2학년을 대상으로 방과 후에 화훼장식 원예치료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 15명과 참가 하지 않은 대조군 15명을 선정하여 프로그램 전과 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09년 3월 2일에서 2009년 6월 8일까지 매주 1회로 총15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정서적 불안정성 척도, 불안 척도, 학업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version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두 집단 간의 평균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화훼장식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정서적 불안정성, 불안, 시험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정서적 불안정성의 하위요인인 공격성, 긴장수준, 열등감 영역 모두에서 원예치료를 실시한 실험군에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원예치료 실시 후, 불안감에 대한 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37)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여고생에게 실시한 화훼장식 프로그램은 여고생의 불안감 해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 스트레스에 대한 검정 결과,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로 수업, 공부, 시험 요인에서 유의확률 0.044, 0.049, 0.03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원예 프로그램 실시 후 학업스트레스가 수업, 공부, 시험 영역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고생을 대상으로 한 화훼장식 원예 프로그램은 여고생의 불안정성과 불안 감소, 학업 스트레스 경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고등학교 여학생들에게 효율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6.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실내공간연출에서 화훼조형물의 설치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으며, 실내공간(병원 및 카페) 화훼조형물 3점, 일반조형물 3점을 전시하여 병원 및 카페의 방문하는 고객 100명을 대상으로 작품 관람 후 설문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화훼조형물과 일반조형물 구분 가능여부에 있어서는 전체 83.0%가 화훼조형물과 일반조형물을 뚜렷이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조형물에 대한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 20.0%만이 화훼조형물에 대해 비교적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조형의 상업적 가치에 있어서는 20-30대에 비해 40대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화훼조형이 상업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도시화 현대화 되어가는 사회에서 인간의 자연귀화나 자연 친화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공간디자인 영역에서 화훼조형의 가치는 상승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업공간인 실내공간에서 화훼조형물을 사용하는 사례가 많지 않고, 화훼조형물의 부유물 유출에 따른 뒤처리의 단점이 지적되어지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단점을 보안한다면, 실내 상업적인 공간에서의 화훼조형물의 공간연출이 확대되어지길 기대한다.
        8.
        2012.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화 되어가는 사회에서 인간의 자연귀화나 자연 친화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간디자인 영역에서 화훼조형물의 가치가 상승 하였다. 하지만 현재 상업공간에서 화훼조형물을 사용하는 사례가 많지 않으며, 화훼조형물 부유물 유출에 따른 뒤처리의 단점이 지적 되었다. 자연적인 소재를 이용하는 화훼조형물이 가지는 특성인 인간의 친밀도, 친환경성을 부각시켜, 상업적인 공간에서 라이프스타일을 중요시하는 현대인들에게 자연소재가 주는 편안함, 따뜻함, 자연귀화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화훼조형물을 이용한 공간연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음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