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storage periods of lactic acid bacteria (LAB)-fermented low moisture fresh rice straw silage. The low moisture fresh rice straw sample was inculcated with LAB and stored for different storage periods such as 45, 90, and 365 days, respectively. The low moisture fresh rice straw (LMFRS) silage inoculated with LAB exhibited reduction in pH throughout the fermentatio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The lactic acid content was increased at the late fermentation period (90 and 365 days, respectively) in LAB inoculated LMFRS silag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In contrast, the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concentrations were slightly reduced in the LAB inoculated LMFRS silage sample at 90 and 365 days fermentation, respectively. Meanwhile, the non-inoculated LMFRS silage showed higher amounts of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at an extended fermentation with low bacterial population as compared with the LAB inoculated LMFRS silage. However, lactic acid concentration was slightly high in the non-inoculated LMFRS silage at early 45 days fermentation. Additionally, the nutrient profile such as crude protein (CP), acid detergent fibre (ADF), neutral detergent fibre (NDF), and total digestibility nutrients (TD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ntrol and LAB inculcated samples during all fermentation. Though, the microbial population was greater in the LAB inoculated LMFRS silag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However, the massive population was noted in the LAB inoculated LMFRS silage during all fermentation. It indicates that the inoculated LAB is the main reason for increasing fermentation quality in the sample through pH reduction by organic acids production.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the LAB inoculums are the effective strain that could be a suitable for LMFRS silage fermentation at prolonged days.
        4,000원
        3.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Carnitine is an antioxidant for the transport of fatty acids in mitochondria and breakdown of lipids for metabolic energy. Some studies have suggested that carnitine improves sperm motility in mamma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carnitine on the characteristics in fresh semen of miniature pigs. The collected fresh semen was stored in modena B medium with L-carnitine (0, 1.0, 2.0, and 4.0 mg/ml) for 10 days at 18℃. The semen quality of viability, acrosome reaction and mitochondria integrity was analyzed on 0, 3, 7, and 10 day of semen storage. The percentages of live and dying sperm were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 group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carnitine during the storage period. In acrosome reaction analysis, when the sperm stored for 7 day, the percentages of live sperm with acrosome reaction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in 1 (9.0±0.9%), 2 (7.6±0.2%) or 4mg/ml (7.9±0.8%) L-carnitine-treated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 (0 mg/ml L-carnitine) (11.12±0.2%).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 in percentages of live sperm with acrosome reaction for 3 and 10 days of storage with each concentrations of L-carnitine. When sperm was stored for 3 and 10 days, the percentages of live sperm with mitochondria integr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2 mg/ml of L-carnitine-treated group than control group (p<0.05). In conclusion, the L-carnitine has a positive effect on acrosome reaction and mitochondria integrity in liquid state of fresh semen in miniature pigs.
        4,000원
        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환경친화적인 농산물 살균소독 세척방법으로 소성칼슘 및 열처리에 의한 신선편이 브로콜리 저장 중 품질 및 미생물적인 안전성 향상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브로콜리를 절단한 뒤 수돗물, 50μL·L-1 염소수 및 1.5g·L-1 소성칼슘 용액과 45℃의 수돗물 열처리, 열처리와 살균소독제를 혼합한 45℃의 1.5g·L-1 소성칼슘 용액에서 각각 2분 세척하였다. 그리고 신선편이 브로콜리를 50μm PE 필름에 포장하여 5℃에서 9일 저장하면서 기체조성, 전기전도도, 미생물수, 색 및 관능적인 품질을 조사하였다. 포장내부의 기체조성은 열처리에서 O2 농도가 낮고, CO2 농도는 높았으나 비열처리구에서는 살균소독 방법 간에 차이가 없었다. 소성칼슘 및 염소수 살균소독처리는 수돗물 처리보다 신선편이 브로콜리의 미생물 감소에 효과적이었고 열처리는 저장 3일까지는 효과가 있었으나 6일 이후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기전도도는 소성칼슘 + 열처리에서 높게 나타났고, 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명도가 낮아지고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나 살균소독 처리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선편이 브로콜리 저장 중 미생물수는 소성칼슘 단독처리가 염소수와 비슷한 수준으로 저장 9일 동안 일반세균수 제어효과를 나타냈고, 대장균군도 수돗물 처리보다 저장기간 내내 적게 나타났다. 또한 브로콜리 절단면의 변색 억제에는 열처리가 효과적이었으나 이취는 높게 나타났으며, 비열처리구에서 소성칼슘 용액처리는 염소수와 같이 수돗물보다 외관이 우수하고, 이취가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소성칼슘 처리는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서 신선편이 브로콜리의 염소 살균소독 세척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5.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장방법에 따른 저장 중 신선편이 더덕의 전체적인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질량분석기를 기반으로 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의 패턴변화를 판별함수로 분석함으로써 품질변화를 판단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향기성분이 변화하면서 휘발성 성분이 증가하고 저장 초기에는 DF1값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저장 6일 째에는 DF2의 값에도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E 필름으로 포장한 경우 저장 2일째부터 DF1의 음의 방향으로 급격히 이동되어 급격한 향기 성분의 패턴 변화가 일어났으며, PP 필름으로 저장한 경우에는 저장 4일에서 6일째에, 진공포장의 경우에는 저장 6일째에서 11일 째에 향기 패턴의 급격한 변화를 보였다. PP 필름으로 포장한 경우와 진공포장의 경우 저장 14일째까지 DF1에 의한 kinetics를 이용하여 품질 예측 가능에 이용할 수 있었다.
        4,000원
        6.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esh oyster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were gamma-irradiated at 0, 1, 2, and 3 kGy. The effects on various quality attributes were determined during storage at . Color changes were more prominent in the cap region than the stem part. At the start of storage increase of Hunter's L-value (lightness) was observed in the caps of 2 and 3 kGy-irradiated samples. The L-value was higher in the all irradiated samples during storage. The trend was different in the case of stem region, where L-value decreased upon irradiation, but remained high throughout storage. The -value declined, whereas the b-value increased following irradiation. Irradiation showed a dose-dependent effect on the firmness, which was clearer during storage, but the samples irradiated at 1 kGy maintained an overall better texture than other irradiated samples. The weight loss was also higher in the all irradiated samples during storage. The samples irradiated at 1 kGy showed good physical appearance without any fungal attack at the end of storage; however color change in cap region was quite apparent. The ultra-structural drastic effect of irradiation was understandable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nose analysis demonstrated a clear change in the volatile profiles of all irradiated samples. Although the effect of irradia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was quite clear but the all irradiated samples were free from fungal attack that was observed in the case of control sample.
        4,000원
        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changes in quality and microbial population of intact and fresh-cut button mushrooms (Agaricus bisporus). Freshly collected mushroom was cut into approximately 0.5 cm thick slices and washed in tap water or 100 ㎕L-1 chlorine solution (pH 7) for 60 seconds. Intact mushrooms were washed in the same condition as cut samples. Both intact and fresh-cut samples were then dried, packaged in 50㎛ poly ethylene bags, and stored at 5 ℃ for up to 9 days. Quality and microbial safety parameters such as gas composition, color, off-odor, visual quality, electrical conductivity, E. coli / coliform count, and total aerobic population were evaluated during storage. All sample packages exhibited a rapid depletion of O2 (to ~0 kPa) and accumulation of CO2 (10.3 to 12.6 kPa)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No significant color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ap water and chlorine. However, chlorine treatment was effective in reducing off-odor development of intact and fresh-cut samples at the end of storage. The chlorine application also reduced aerobic bacterial populations. Both Intact and cut mushrooms had ≤ 5 log CFU/g of total aerobic plate counts until the end of storage. Fresh-cut samples regardless of chlorine sanitation had higher overall visual quality score than intact samples. Results indicated that fresh-cut mushrooms treated with chlorine maintained quality and shelf-life throughout the 9 day storage period.
        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선 퉁퉁마디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MAP에 적절한 포장재와 저장온도를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저장중 생체중 감소는 10℃ 이하의 저온과 무공필름에서는 2% 이하로 유지되었으나 25℃의 유공필름처리는 4% 이상의 감소를 보이면서 품질저하가 발생하였다. 저장중 포장재내 대기조성은 필름 투과율에 비례하였는데 이산화탄소는 1~2%, 산소는 15%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25℃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저장 중 포장재내 에틸렌 농도는 7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2℃에서 가장 높아 저온 장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측되었다. 저장 최종일에 이취와 부패율은 5℃에서 가장 낮았으며, 포장재별로는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저장온도중 가장 낮았던 5℃에서는 50μm 두께의 ceramic 필름이 가장 낮은 이취와 부패율을 보였다. 외관상 품질로 본 저장수명 역시 5℃에서 50μm ceramic 필름으로 포장하였을 때 28일 이상으로 가장 길었다.
        4,000원
        11.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돌나물의 수확후 저장온도가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저장온도에 따른 생체중, 색상차, 엽록소 함량, 수분함량, 외관상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생체중은 저장온도에 따라 8.7-25.3%의 감소를 보였으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생체중 감소율도 높았다. 계통에 따른 생체중 감소는 포항지방종이 가장 컷으며, 완주 지방종의 변화가 비교적 적었다. 외관상 품질은 20℃에서 4일경, 10℃에서 6일경, 5℃에서 8일경부터 하위 잎에 변색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부패하기 시작하였다 SPAD 값으로 비교한 엽록소 함량은 20℃와 10℃에서는 4일과 6일 후부터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나, 5℃에서는 변화가 적었다. 잎의 색도 변화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과 녹색-적색을 나타내는 a값은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저장일 수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저장 후 10일째에 변색이나 부패한 돌나물의 비율은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이는 수확시의 수분함량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1). 계통간에는 완주 지방종이 비교적 저장성이 높았으며, 군산, 완도, 포항 순으로 부패율이 높았다. 따라서 돌나물을 스치로폼 접시에 랩포장 할 경우, 5℃에서는 수확 후 8일까지 상품성을 유지한 상태로 저장이 가능하였다.
        4,000원
        12.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슬리의 재배시기별 MA 저장성을 비교하였는데, 먼저 수확 당시 파슬리의 품질을 보면 엽록소 함량은 여름재배, 비타민 C 함량은 가을재배에서 그리고 경도는 겨울재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각 가을, 겨울 여름에 재배한 파슬리를 0.04mm세라믹 필름으로 포장하여 00℃에서 저장한 결과 겨울재배 처리구가 84일간 저장이 가능하였고 다음으로 가을재배가 77일, 여름재배는 56일로 가장 짝은 저장기간을 보였다. 생체중 감소는 여름재배 처리구에서 가장 컸다. 포장내 이산화탄소와 에틸렌 농도는 가을과 겨울에 재배한 처리구는 낮았고 서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여름재배 처리구는 수확 당시 높은 포장열과 이로 인한 저장 중 높은 호흡으로 이보다 2~3배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여름재배 처리구가 가을과 겨울에 재배한 처리구에 비해 경도, 엽록소, 비타민 C함량 등의 품질이 단기간 내에 현저히 감소를 초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면 수확시기별로 겨울에 수확한 파슬리의 저장성이 가장 우수하였고 파슬리 MA저장시 장기저장을 위해서는 수확직후 포장열 제거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3.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효율적인 RS 조제기술을 규명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는 RS의 저장부위에 따른 발효품질 및 사료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는데, 곤포한 1개월 후에 3개의 RS(bale No. 1, bale No. II 및 bale No. III로부터 부위별 (상층부, 중앙부 및 하층부)로 채취하였다. 건물 함량은 상층부에서 bale No. I, bale No. II 및 bale No. III이 각각 64.5, 87.6 및 로 bale No. II가
        4,000원
        18.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Japanese mint의 생체저장에 있어 저장온도와 필름종류의 영향을 비교하여 적정 저장조건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생체중 감소로 볼 때 Japanese mint는 다소 두꺼운 40μm 이상의 필름이 효과적이었다. 저장 중 필름내 가스농도는 필름이 두꺼운 CE 80(ceramic 80μm 필름)이 CE 40(ceramic 80μm 필름)보다 높았으며 저장온도별로는 3℃이하에서는 저온장해가 발생하여 온도별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1℃에서 가장 높은 가스농도를 보였다. 저장 중 엽록소 함량감소는 5%이상의 수분손실과 0.5ppm이상의 에틸렌에 의해 촉진되었으나, 4%이상의 이산화탄소농도에서는 그 감소는 억제되었다. 저장수명은 3℃저장에서 30일로 다른 저장온도의 두배였다. 가장 저장수명이 길었던 3℃에서 저장 최종일에 외관상품질은 CE 40에서 가장 좋았으며 저온장해 정도를 나타내는 이온용출량도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Japanese runt 저장시 적정 저장온도는 3℃이며, MA저장시 포장재로는 ceramic 40μm 필름이 적절하였다.
        4,000원
        19.
        201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fresh-cut lettuce after a washing treatment with aqueous thyme extracts of differing concentration. Four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hyme extract were employed: 0.001% (w/v, TEA), 0.005% (w/v, TEB), 0.01% (w/v, TEC), 0.05% (w/v, TED), while distilled water was used as a control. Measurements of O2 concentration, CO2 concentration, total aerobic bacteria, CIE L*, a*, b*, browning index, total phenolic contents and enzymatic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on day 0, 1, 3, 5, and 7 at 10 . The O2 concentration in TEB were higher than those in other samples during storage, and the CO2 concentration in TEB and TE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other samples on day 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aerobic bacteria counts between treatments (p<0.05). The samples treated with TEB and TEC showed higher L* (lightness) values, but lower browning indexes, total phenolic compound levels, and enzymatic activities (polyphenol oxidase, peroxidase) than other samples during storage. Specifically, on day 7, the browning index of Cont reached 0.25, while those in the TEB and TEC were about 0.15. The L* in Cont decreased from 69.50 to 58.92, while TEB and TEC were values of 65.61 and 63.20, respectively. These results reveal that 0.005-0.01% thyme extract was effective as a washing treatment inhibited the browning of fresh-cut lettuce and is thus expected to be a useful natural extract for maintaining the quality of fresh-cut lettuce.
        20.
        201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ious commercial sanitizers on microbial characteristics in fresh-cut iceberg lettuce during storage. For screening sanitizer, lettuce was cut and dipped in chlorine water (0.2 ml·L-1), solution of organic acids such as ascorbic acid, citric acid, acetic acid, mixture of ascorbic acid and acetic acid (1-6%), and solutions of commercial sanitizers such as Formula 4TM (1,3,4%), Fresh produce washTM (1,3,4%), CleancolTM (1%), ChitocholTM (1%) and Natural CaTM (0.1%) for 3 min, respectively. Washing lettuce with selected sanitizers resulted in reduction of aerobic bacteria of more than 2 log CFU/g. Initial pH of lettuce was related with the pH of sanitizers. pH ranged from 4.7 to 6.1 in Formula 4 (4%, pH 1.7) and Natural Ca (0.1%, pH 12.0), respectively. Chlorine water showed consistent and significant inhibition effect in all of microorganisms except total coliform. Over 3% of Formula 4 and Fresh produce wash were found to have high bactericidal activity among sanitizers. The sanitizers of chlorine water, Fresh produce wash, Chitochol and Natural Ca were effective in reducing yeast and mould populations. As coliform and E. coli, Formula 4 (4%) showed the highest bactericidal activity. The bactericidal effect of commercial sanitizers during storage varied with the kinds and concentrations of tested sanitizers. Although inhibition effect was not showed during stor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mercial sanitizers could be an alternative to chlorine for washing fresh-cut produc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