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산양유 생산을 위해 유기사료를 이용하여 유산양의 적정 에너지 및 단백질 공급 수준과 조농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비유중기 Saanen종 유산양 4두( BW)를 이용하여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였다. 대사에너지 공급수준과 단백질 공급수준을 10.59 (T1), 10.14 (T2), 9.45 (T3) 및 8.75 (T4) MJ/kg과 11.90 (T1), 12.73 (T2), 15.19 (T3) 및 16.60% (T4)로 달리하였으며, 조농비율은 49
        4,000원
        22.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산양유 생산을 위해 유가사료를 이용하여 유산양의 적정 에너지 및 단백질 공급 수준과 조농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비유중기 Saanen종 유산양 4두(57.5土10.8 kg BW)를 이용하여 4x4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였다. 대사에너지 공급수준과 단백질 공급수준을 10.59 (T1), 10.14 (T2), 9.45 (T3) 및 8.75 (T4) MJ/kg과 11.90 (T1), 12.73 (T2), 15.19 (T3) 및 16.60% (T4)로 달리하였으며, 조농비율은 49:51 (T1), 59:41 (T2), 74:26 (T3) 및 90:10 (T4)의 네 처리구로 나누었다. 사료 섭취량 및 체중은 모든 처리구 사이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량은 T3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T2 및 T4구와 비교 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유지방 함량과 생산량은 T4구에서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가장 낮았다(p<0.05). 유단백질과 유당 생산량은 T1 (61.29 및 70.95 g/일)과 T3 (60.52 및 75.82 g/일)구에서 T2 (50.49 및 59.64 g/일)와 T4 (52.49 빛 59.82 g/얼)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유산양의 유생산성을 극대화시커기 위해서 에너지 공급수준은 최소 9 MJ/kg 이상과 단백질 공급수준은 최소 15% 이상을 공급해 주어야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3.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resent year there has been research on benefi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for human health. The effect of a fat supplement made from seaweeds meal plus palm olein meal (FS) and replacement of concentrate on milk production, and milk fatty acid (FA) profiles of dairy cows fed grass silage based diets was evaluated. Ten Holstein lactating cows were divided into a two groups. The cows in a group were fed concentrate at 40% on TDN basis (control). The cows in another group (Treatment) were supplemented 0.5㎏/day/cow of FS as a substitute for 2㎏/day/cow of concentrate. The medium chain fatty acids and DHA content of FS were 345 ㎎/g DM and 35 ㎎/g DM, respectively. Total DMI, DM digestibility and milk production as well as milk composit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take of ether extract was higher (P<0.01) in Treatment than control group (1.1 ㎏/day/cow vs. 1.3 ㎏/day/cow). The short and medium chain of FA in the milk did not differ between two groups. The trans11C18:1vaccenic acid, cis9trans11CLA and C18:3 concentrations in the milk were higher (P<0.01) in Treatment than control group(1.88 g/100gFA vs. 1.03 g/100gFA, 0.93 g/100gFA vs. 0.51 g/100gFA and 0.48 g/100gFA vs. 0.48 g/100gFA). However, the C18:2 concentration in the milk was lower (P<0.05) in Treatment than Control group (1.38 g/100gFA vs.1.17 g/100gFA). There were detected 0.13 g/100gFA of DHA in the milk in Treatment group. Results indicated that addition of the FS has the potential of increasing CLA and DHA in cow's milk.
        24.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능력 유우 공란우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체내 수정란 생산을 위한 다배란 처리의 결과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다배란 처리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공란우의 다배란 처리는 발정 주기 일째 POLLTROPIN-V(Vetrepharm, Canada) 400mg NIH-FSH-P를 4일간 12시간 간격으로 감량법에 따라서 주사를 하였다. 호르몬 주사 6, 7회 째 황체 융해 및 발정 유도를 위하여 (
        4,000원
        25.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반추위 보호 choline의 급여가 in vitro 반추위 발효특성과 착유우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구 배치는 기초사료 첨가구(T1), 기초사료 +23 g/일 보호처리를 하지 않은 choline과 부형제 첨가구(T2) 및 기초사료+ 25.56 g/일 보호 choline 첨가구(T3)의 3처리로 하였다. 보호 choline의 첨가가 in vitro 배양액의 pH에 미치는 영향은 3시간을 제외한 전 배양시간에서
        4,000원
        26.
        200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젖소(Holstein종)의 mtDNA D-loop 영역 염기변이 다형성과 경제형질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젖소의 mtDNA D-loop 영역에서 단일염기의 치환에 의해 총 35개의 polymorphic site가 확인되었다. 그중 주요 Polymorphic site의 염기변이 빈도는 106, 169, 16057, 16231 및 16255 지역에서 높은 빈도의 염기치환이 검출되었다. 169 지역은 A가 G로 염기치환이 일어났고 그 빈도는 0.555로 높게 나타났으며 염기치환에 의한 산유량 효과는 1259.6 kg(P<0.05)로 나타났다. 유지방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16118 지역은 A가 G로 치환되는 빈도가 0.02로 검출되었으며, 16135 지역은 T가 C로 치환되는 빈도가 0.02로 검출되었고, 16302 지역은 G가 A로 치환되는 빈도가 0.04로 검출되었다. 이 지역들이 유지방에 미치는 변이 효과는 - 156, - 118.15 및 - 67.77 kg(P<0.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출한 젖소 mtDNA내 D-loop 영역의 염기서열 변이 빈도와 유량, 유지방과의 연관성 분석 결과 등은 젖소집단의 유전적 변이성 추정과 좀 더 다양한 경제형질과의 관련성 분석으로 다양한 유전적 지표인자 발굴에 도움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해 분자유전학적 기법을 이용한 젖소의 육종전략을 확립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는 것은 물론 분자육종학적인 연구에 기초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7.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발효식품이 유해곰팡이에 의한 발암물질(aflatoxin)생성에 미치는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산균 및 유산균 발효유가 Aspergillus parasiticus ATCC 15517의 성장과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발효유를 일정 농도별로 첨가한 YES 배지에서 Asperigillus parasiticus를 배양하여 그 성장과 배양물의 변화를 관찰하고 HPLC에 의하여 aflatoxin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배양말기에 대조군에 비하여 건조 균체량, 배양물의 PH, 그리고 aflatoxin 생성량 등이 낮게 나타났다(p<0.05). Aflatoxin B₁은 48.6~58.1%가 감소되었으며 G₁은 29.8~34.2%가 감소되었다. 이 발효유의 발효에 사용된 유산간균(Lactobacillus casei)과 A. parositicus를 변형 APT 배지에서 혼합배양한 결과 A. parasitious 단독배양의 경우에 비하여 균체량이 배양 5일째까지는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나 배양 말기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배양 말기에 단독배양의 경우보다 pH가 훨씬 감소되고(p<0.05) aflatoxin의 생성량도 감소되었다. 이로부터 발효유는 유해곰팡이인 A. parasiticus의 성장과 aflatoxin 생성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발효에 관여한 미생물의 경쟁뿐만 아니라 유산균의 대사산물에 의한 영향으로 보여진다.
        4,000원
        29.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DGS hydrolysate (H-DDGS) and rumen-protected lysine-choline complex (RPLC) on milk production and blood metabolites in dairy cows. Feeding trials was performed to latin-square design using the 4 mid-lactational cows for 8 weeks, and treated with T1 (H-DDGS 1.1 kg), T2 (H-DDGS 0.73 kg + RPLC 0.15 kg), T3 (H-DDGS 0.37 kg + RPLC 0.30 kg) and T4 (H-DDGS 0.37 kg + RPLC 0.15 kg) according to the content of protein source. Dry matter intake (DMI) of TMR and average weigh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The milk production of T1, T2 and T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3 treatment (p < 0.05), and milk/DMI efficiency tend to increase in the T1. Milk compon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however, the milk protein of T2 increased to 0.15% than T1. Also blood metabolit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But T-CHO level numerically represented a lower trend in the treatments of adding to RPLC compared with T1.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high level (1.1 kg) of H-DDGS is expected to improve the feed utilization without the negative impact on weight gain, feed intake and milk production as the lactation stage of dairy cows proceeds, and 0.15 kg of RPLC under the same feeding conditions of H-DDGS may be useful on fat metabolism.
        3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oybean meal (T1) and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 T2) hydrolyzed by microbial proteolytic enzyme of Protame® on milk production and protein contents in dairy cows. Total of nine Holstein cows (i.e., 1.67 ± 0.47 average parity and 23.7 ± 1.2 kg/d average milk yield) were randomly assigned to control, T1, and T2 (e.g., 3 animals per group) and treated for 4 weeks. Milk yield of 3 different groups was similar in the beginning of the study, however the milk yield of T1 and T2 treatment group had increased by 0.93 kg/d and 1.89 kg/d, respectively. Milk protein level of T2 treatment group was increased by 0.19% (e.g., 0.14 kg/d protein content),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 control and T1 group. In conclusion, blood metabolites were ranged in normal level, but BUN content was reduced from 19.03 mg/dl to 17.70 mg/dl in T2 treatment group. This result suggests that DDGS hydrolysate supplement efficiently increase milk yield and milk protein level as well as feed protein availability in dairy cattle.
        31.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ietary levels of nattokinase (NK) addi-tives on milk production and composition, and blood metabolites in dairy cows. NK additives with high fibrinolytic activity were produced by the strain with similarity to the Bacillus amyloliquefacines. A total 20 mid-lactating Holstein cows (average body weight 652.00 ± 4.38 kg; average 2.25 ± 0.35 parity; average milk yield 24.4 ± 0.38 kg/d)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treatments (5 animals per treatment). Cows were fed TMR supplemented with DDGS 100 g for control, NK additives 100 g and 200 g for T1 and T2 treatment, respectively for 4 weeks. By the increases of NK additives, milk yield increased for T1 (1.35 kg/d) and T2 (0.98 kg/d) at the final period than at the initial period (p < 0.05). But milk protein content decreased for T1 (3.20%) and T2 (3.24%) than for control (3.56%) (p < 0.05). Blood triglyceride, T-CHO and BUN levels in T1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and T2 (p < 0.05). This finding showed that 100g of NK additives could possibly have a positive effect in lactation performance of mid-lactation Holstein cows by increasing milk yield, improving protein metabolism and decreasing cholesterol in blood.
        32.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운영 재배농가에 자운영 안정적 입모확보에 기초자료를 얻고자 자운영 지속재배와 매년파종시 입모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운영 지속재배포장에서 가을철 토양 속 자운영 종자는 이앙전 로타리는 토양표면에서 15 cm깊이까지 고루 분포한 반면, 부분경운 이앙시는 주로 10 cm깊이 이하에서 대부분 분포하였다. 2. 자운영 지속재배시 출아깊이는 부분경운 이앙시 1~3 cm. 로터리경운 이앙시 1~5 cm에서 출아가 되었다. 3. 자운영 지속재배는 표면에서 출아하는 매년파종 자운영보다 월동전 뿌리 길이가 깊어 월동율이 높고 논 정지 작업시 종자가 토양과 고루 혼합이 되어 입모균일도가 10.6~11.7% 가량 높아 입모수 확보가 유리하였다. 4. 자운영 지속재배시 건물생산성은 수분부족 및 저온 등기상환경이 불량 할 경우 매년파종보다 건물생산성은 높았으나 환경조건이 양호할 경우는 크게 차이가 없었다.
        33.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운영답 입모부족시 생초량 증진방법을 구명하고자 실시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월초에 Sethoxydim 유제로 둑새풀을 일찍 방제시 방제가가 84%로 높았으나 처리시기가 늦을 수록 방제효과는 낮았다. 2. 둑새풀 방제후(처리 76일 후) 자운영 입모수는 처리전과 비슷하였고 가을철 재입모수도 처리전에 비해 2.2~2.6 배가 증가 하였으나 무처리는 둑새풀과 경합에 의해 자운영 입모수가 감소하였다. 3. 둑새풀 방제후 자운영 건물중은 자운영 피복도가 20%일때 63%, 50% 피복도일 때 164%가 증가하였고 질소함량으로는 12.3 kg, 16.4 kg/10a으로 표준질소시비량 9 kg/10a 보다 높았다. 4. 둑새풀 방제에 따른 쌀 수량은 기계이앙 및 부분경운 이앙 모두 무방제와 비슷하였다.
        34.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운영 안전입모수 확보를 위한 벼 낙수시기를 기준 자운영 파종적기를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 낙수 전 5일~ 낙수 후 5일 사이에 파종시 자운영 종자가 발아를 할 수 있는 충분한 토양수분이 있어 월동후 평균 입모수 및 월동율은 각각 530~670 개/m2 , 79.1~82.8% 로 높아 낙수 10일 이후 파종 보다 입모수 확보에 유리하였다. 2. 월동후 전생육기간 파종시기별 자운영 건물중도 낙수 전 5일~ 낙수후 5일에서 573~746kg /10a으로 높아 17.0~20.5kg /10a 질소를 생산할 수 있었다. 3. 자운영 종자를 너무 늦은 10월초나 낙수 10일이후에 뿌리면 자운영 종자가 출아를 하는데 온도가 낮고 수분이 부족하여 생육부진으로 월동율이 낮아 자운영 입모수가 부족하였다. 4. 낙수 10일전에 너무 일찍 파종해도 출아를 한 자운영이 습해를 받아 입모가 불량하였다. 5. 종자수량도 낙수 전 5일~ 낙수후 5일에 파종시 24.2~30.8kg /10a으로 높았으나 낙수후 10일 이후 파종은 종자 생산량도 19.4 kg/10a으로 낮았다. 따라서 자운영 안전 입모수 확보, 월동율, 건물생산성을 고려한 자운영 파종적기는 낙수전 5일(9월 20일)~ 낙수후 5일(9월 30일)이었다.
        35.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운영 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 수확시기를 결정하고자 개화 후 25일부터 5일 간격으로 40일까지 수확한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수확 시기별 자운영 종자 수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개화 후 35일이 가장 많았다. 2. 자운영 종자활력은 개화 후 35일 이후 수확한 것이 90%이상 높았으며 포장에서 자운영 지속재배를 위한 적정환원 시기는 개화 후 35일 이후였다. 3. 자운영 수확 후 발아율은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늦게 수확한 것이 발아율이 높았다. 4. 발아율은 10~40 일 침종에서 증가하였으며, 40일 이상 침종시 발아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5, 경실율도 개화 후 수학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자운영 종자 수확을 위한 적정 수확시기는 개화 후 35일이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