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현재 운전 여부가 운전면허를 취득한 지 만 2년 미만인 자의 운전관련 인지・지각능력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대 초보운전자 26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운전현황 및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for driving (CPAD)를 이용한 운전능력관련 인지・지각능력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량과 독립 t-검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결과 연구대상자들은 CPAD점수가 합격군에 해당되었으나, 스트룹검사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여주 었다. 현재 운전을 하고 있는 집단과 운전을 하지 않는 집단을 비교분석 한 결과, 운전하는 집단은 깊이지각의 반응시간이 가장 높았고, 운전하지 않는 집단은 숫자외우기가 가장 높았다. 또한 깊이지각 검사에서 운전하는 집단의 반응시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반면에 전반적인 운전능력관련 인지・지각능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초보운전자들은 억제 조절능력이 다른 운전관련 능력에 비해 떨어지며, 운전여부에 따라 거리조절에 대한 반응속도의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보운전자를 대상으로 하는 운전능력관련 인지・지각능 력의 평가 및 훈련과정 개발을 제언하는 바이다.
        4,000원
        2.
        202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ansition experience of novice nurses working in a tertiary hospital,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nursing school education and clinical nursing practice.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unstructured, in-depth interview with 14 recently employed nurses from October 2020 to January 2021. The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main theme of the transition experience perceived by new graduate nurses was confirmed as ‘reality shock’.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main themes, five categories, sixteen sub- categories, and sixty-two concepts were derived. The five categories were, ‘Clinical field different from school education setting’, ‘Nursing school education in need of chang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clinical training in schools and hospitals’, ‘Difficulty in establishing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ng’, and ‘struggling to stand alone’. Conclusion: To minimize the reality shock experienced by novice nurses, nursing schools should innovate their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the novice nurses and the clinical environment. In nursing practice, hospitals should grant more time to the nurses for adaptation and diversify mentoring programs comparable to internships for novice nurses.
        4,200원
        3.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tails a researcher’s self-study journey in advancing from a computational thinking (CT) novice to an expert. The researcher went through a four-stage process, with a preliminary literature review preceding the four stages.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computational thinking analysis (CT_AT) tool was developed for use in stage one to analyze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and mathematic (STEAM) modules. Although no discernable patterns were found in analyzing the five science and five engineering-based modules, the analysis revealed which CT practices were missing or weakly exposed. In stage two activities were suggested to promote these missing or weakly exposed practices. Stage three required the researcher to develop his own STEAM module from the viewpoint of exposing students to CT. The fourth stage was to validate the CT_AT through interviews with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These interviews led to changes in the CT_AT tool and, as a result, the researcher produced a guidebook that could be used by teachers in their own CT studies. This guidebook can be used by teachers to develop and become competent in CT skills.
        4,900원
        4.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wo no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conceptualized and developed their practical knowledge about English teaching. They provided their narratives about their teaching six times over the spring semester of 2019. Their narrative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wo researchers examined the transcription to investigate what prior knowledge they had and how they developed their practical knowledge. It was found that their practical knowledge had constantly changed and developed. When they started teaching English, they had their own knowledge on English teaching, which seemed to come from their previous English learning experience and from their study on teaching English. As they applied these knowledge to their own teaching situations, they encountered many problems. The main situations that shaped their practical knowledge were 1) students' level of achievement, 2) level differences among students, 3) teacher status (classroom teacher or English specialist teacher), and 4) colleagues. While coping with those problems, they added new practical knowledge or modified the knowledge they had. The findings provided several implications on pre-service and novice teacher training.
        6,700원
        5.
        2019.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straints on implementing task-based language teaching (TBLT) and strategies that make TBLT feasible with novice second language (L2) learners in college. When the researcher (a bilingual teacher) struggled to implement tasks into traditional English courses with almost 210 novice undergraduates throughout three separate semesters, a number of constraints were identified for the task syllabus, and TBLT was modified and adapted to a localized college-level context.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three 16-week-semesters, and its process was recorded in field notes.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four major constraints on implementing TBLT: 1) irrelevant topics in the coursebooks, 2) novice learners’ writing dependence and limited use of the second language, 3) excessive use of the first language, and 4) an irrelevant examination system. As four strategies to adapt TBLT in a local college context, the following were practiced and suggested: 1) a needs analysis is necessary, 2) instead of task-supported language teaching, a new hybrid form of TBLT and presentation-practice-production might work, 3) teaching English in English is necessary but specifying strategies for selective use of first language (L1) is needed, and 4) relevant tests are necessary. It is hoped that these findings will enrich the actual process from adoption to adaptation of localized TBLT for novice L2 learners in Korean colleges.
        6,600원
        6.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엘리트 골프 선수와 초보자들의 퍼팅 동작에 따른 운동학적 변인을 비교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대학 엘리트 골프 선수 23명과 초보자 19명이 참여하였으며, 퍼팅 시 운동학적 변인을 수집하기 위해 SAM Putt을 이용하였다. 산출된 자료는 Two-way Mixed ANOVA를 통해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은 stu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퍼터 헤드의 회전 각도 결과 follow-through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룹간과 거리간의 주효과를 보였다. Impact, backswing, 그리고 loft angle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룹간의 주효과를 보였다. 백스윙 리듬 및 임팩트 타이밍 결과,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룹간의 주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초보자들은 퍼팅 스트로크 시 손목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고, 퍼팅 스트로크 리듬과 타이밍을 일정 하게 유지하는 것이 퍼팅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7.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using a standardized patient on nursing students’ problem-solving capacity, self-efficacy for therapeutic communications, and 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Methods: We adopt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We examined changes in the students’ problem-solving capacity, self-efficacy for therapeutic communications, and 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simulation-based practice and after clinical practicum. Results: The scores for problem-solving capacity increased from 159.28 before simulation-based practice to 263.02 after it and 161.99 after clinical practicum,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p=.775, p=.339). The scores for self-efficacy for therapeutic communications ros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rom 120.78 before simulation-based practice to 126.30 after it (p= .017), but fell to 120.52 after clinical practicum. The scores for 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increas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rom 54.98 before simulation-based practice to 59.42 after it (p=.008) and 58.50 after clinical practicum (p<.001).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simulation-based practice with a standardized patient offers students hands-on experience of a clinical situation and, thereby, enhances their problem-solving capacity, self-efficacy for therapeutic communications, and 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4,300원
        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spatial scanning patterns of computer monitor across game expertise. To this goal, we compared the scanning pattern of two groups: novice gamer group who has little experience of game playing and heavy game user group who played MMORPG at least for 3 years. Participants executed an icon-like detection task consisting of 25 squares on the full screen. We measured their response times (RTs) for each cell and compared them. The scanning patterns were large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novice group scanned monitor in order of the center, left, upper, lower, and right side of monitor. Where as, the heavy game user group scanned it in order of the center, upper, left, right and lower side.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indicates that game playing modify perceptually the scanning pattern of monitor and we need to desig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of game more in favor of novice perceptual scanning pattern to lower entry barriers of game.
        4,000원
        9.
        2017.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duction experiences of novice teachers are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within the subject field of Teach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EFL).The process of beginning to teach is acknowledged to be complex and often fraught with tensions and anxieties for newly qualified teachers who may experience significant disjunction between the realities of classroom and institutional life and what they have been taught on pre-service training courses. Research has also shown that novice teachers can be helped to make a successful transition from the teacher-training environment to the school through well-designed induction programs which provide structured support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access to resources beyond the school itself. This article seeks to uncover whether these elements of well-designed induction programs are replicated for teachers of English in the Korean school system. Using data gathered in interviews with recently graduated teachers, the article examines the experiences of teaching in the early years and documents teachers’ own perceptions of their induction into teaching. The article discusses the place of the teachers within the social network of the school and, in so doing, hopes to foreground how individuals come to terms with the new and complex roles inherent in ‘being a teacher’ within this framework. This is a perspective particularly necessary for TEFL as a discipline where methods are so often deemed paramount in learning to teach, rather than an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be a teacher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n a particular socio-educational context.
        6,000원
        10.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deals with first traffic violations occurred by novice drivers,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traffic accid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kinds of drivers'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duration till the first traffic violation. METHODS : For the study, Survival Analysis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at are usually used in the medical field, were employed. Surviv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in survival duration by each covariate, whereas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used to identify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survival duration till novice drivers violate traffic regulations for the first time after getting a driver license. RESULTS : The results of Survival Analysis indicate that female, age (less than 21), low-frequency examinee of written exam, and non-crash involved drivers have longer duration till the first violation compared to male, greater than 21 years old, high-frequency examinee of written exam, and crash involved drivers, respectively. For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license class 1 acquisitor was found to increase the survival duration till the first traffic violation was made, while male, age of 21-24, age of 25-34, age of 45-54, and crash involved drivers were more likely to reduce the survival duration. CONCLUSIONS : Absolutely, traffic violation is closely related to traffic accidents and all of the drivers should keep the traffic regulations to enhance highway saf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provide some insights to construct safe road environments by controlling the factors that reduce the traffic violation duration of novice drivers.
        4,500원
        1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가 임상에서 겪는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어려움에 대한 적응 전략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의 임상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0~11개월의 임상경험이 있는 5명의 아동작업치료사들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일대일 면담방법을 주로 이용하였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내용의 수집 및 대상자의 면담 내용 확인은 이메일을 이용하였다. 면담내용은 녹음하였고, 녹음된 내용을 여러 번 듣고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가 겪는 임상 경험에 관하여 14개의 중심의미와 5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신임 아동작업치료사는 아동작업치료에 대한 기대, 능력 부족, 조직생활에 대한 감정, 교육에 대한 열망, 적응 전략을 경험하였다. 아동작업치료에 대한 기대의 중심의미에는 아동작업치료의 선택, 기대, 역할이 포함되었고, 능력 부족의중심의미에는 치료에 대한 불확실성 및 자신감 부족이 있었다. 조직생활에 대한 감정의 중심의미에는 조직체계에 대한 만족과 불만, 대인관계의 어려움, 그리고 직무에 대한 만족과 불만이 포함되었다. 교육에 대한 열망의 중심의미에는 학교 교육, 교육에 대한 지각, 교육방법이 포함되었으며 적응 전략의 중심의미에는 개인생활, 치료와 조직의 적응 전략이 있었다. 결론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들은 임상에서 아동작업치료에 대한 기대, 능력 부족, 조직생활에 대한 감정, 교육에 대한 열망, 적응 전략의 경험을 겪었다. 신임 아동작업치료사들이 아동작업치료사로써의 역할에 부응하고, 소속기관에 적응하며 이탈되지 않도록 기관장이나 선임 치료사들이 협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과과정의 개편 및 기관의 제도적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4,600원
        1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validity of the results from observational methods such as RULA, REBA, OWAS has been one of major concerns due to their subjective characteristics in determining the posture of interest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regarding validity of the results from each checklist. However, most studies provided only fragmentary rather than comprehensive results in nature. This study specifically tried to analyze consistency of novice user based on intra-observer consistency and sensitivity of industrial types during MSDs(Musculoskekltal Disorders) evaluation with major checklists. In this study, twenty two novice subjects were participated to conduct MSDs evaluation for the forty five jobs from three types of industries(automobile, electronics, hospital). The main results for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ction level based on RULA was always higher than that from REBA and OWAS for all three types of industries., 2) The order of consistency from novice users was OWAS(72.7%(kappa=0.57)) RULA(54.3%(kappa=0.41)), REBA(41.0%(kappa=0.34))., 3) The percentage of agreement between 2nd and 3rd trials was higher than those between 1st and 2nd trials and between 1st and 3rd trials irrespective of industrial types during using RULA and REBA., 4) The average score of automobile industry was higher than those of hospital and electronics industries., 5) The types of jobs associated with five body parts(A1(Front), A2(Interior), A3(Rear), A4(Lower), A5(Door)) in automobile industr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MSDs scores for the body parts considered in each checklists.
        4,600원
        13.
        2011.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plores the dynamic construction of expert and novice identities in language-exchange conversations between Korean students learning English and American students learning Korean. Drawing on recent view on identity as performance (Butler, 1990), this study employs video- and audio-recordings of language-exchange interactions to examine the dialogic interaction between three language-exchange pairs. Adopting a conversation analytic perspective, the study examines whether and how participants of language-exchange interactions orient to their assumed roles as peer-teacher and peer-learner during language-exchange through micro-analysis of the interact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participant roles as linguistic expert and novice are not invoked in language-exchange interactions unless they arc treated as relevant in the interaction; rather than foregrounded by the situational arrangements of language-exchange, the expert-novice relationship in language-exchange dialogues is interactionally constituted by the local practices of the participants. Data analysis also shows that the construction of expert and novice identities in language-exchange interaction is a jointly constructed achievement and that participant roles as language expert and novice arc not given but ‘achieved’ as language-exchange participants ratify or reject the identity their partners display in the course of unfolding interaction.
        6,700원
        14.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의 전문성 연구들은 참가자들에게 일상적인 과제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전문가와 초보자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일상적 비행 상황에 익숙해진 조종사들이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비행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조종사의 숙련정도에 따라 정상적 및 비정상적 상황에서의 상황인식 능력이 차이가 나는지 관찰하였고 추가적으로, 전문성이 자극 제시 시간에 따른 수행변화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42명의 조종사들을 전문성의 정도에 따라 초보자와 전문가 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의 수행이 상황의 특수성 및 자극 제시 시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조종실 계기판을 모방한 동영상이 제작되었는데, 동영상에 보여지는 계기판들이 모두 정상으로 움직이는 정상적 상황과 이들 중 하나의 계기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비정상 상황이 연출되었다. 또한 상황을 지각하기 위한 시간의 차이가 전문성에 따라 다른 효과를 가져오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계기판 상황이 오랫동안 제시되는 긴 제시 조건과 상대적으로 짧게 제시되는 조건으로 조작되었다. 실험 결과,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초보자와 전문가 집단 사이의 상황 인식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전문가 집단의 상황인식이 초보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행 상황의 제시 시간이 짧아졌을 때 조종사들의 전반적인 상황인식 정확도가 떨어졌지만, 전문가와 초보자의 수행차이는 변함없이 초보자 집단에 비해 전문가 집단의 높은 수행이 유지되었다. 비행 상황의 특수성과 제시 시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초보자와 전문가의 상황인식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았을 때, 비행 상황의 제시 시간이 길고 짧음에 관계없이 정상적 상황에서는 초보자와 전문가 집단의 상황인식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정상적 상황에서는 전문가 집단의 상황인식 정확도가 초보자 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볼 때, 비정상적 상황은 전문가 집단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는 큰 영향을 미치니 못하나 초보자 집단의 수행에는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5.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신규교사들에게 교직 생애 처음으로 접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경험기를 평가 실시 전과 후로 나누어 그들의 솔직한 생각과 느낌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앞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9학년도에 초임 발령을 받은 경상북도 시 지역의 신규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내용을 모아 Spradely의 주제분류 방법을 통해 정리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실시하기 전, 이 제도에 대해 사전 지식을 가진 교사는 거의 없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들은 선배교사들의 이야기는 모두 부정적이었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사전 지식은 없었지만 전문성 신장이라는 제도의 목적은 어느 정도 알고 있었으며, 수업 능력과 학급 경영에 관해 평가받을 수 있는 시간이 될 것 같다며 기대 반, 걱정 반의 이야기를 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 이후, 신규교사들은 받은 결과를 읽고 평가를 받고나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음을 언급하였으나 동료 교원 평가에 관해서는 전체적으로 매우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또한,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전문성 신장이라는 목적과는 크게 맞지 않는 것 같다고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답변 내용을 토대로 향후 초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습 내용 추가, 신규교사 대상 임용연수에서 제도에 대한 연수 확대, 동료 교원 평가는 축소하되 학생 평가는 확대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평가의 목적을 살릴 수 있도록 문항을 구체화하고 교육활동 소개자료 및 능력개발계획서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를 통해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순기능을 살리고 학교의 부정적인 분위기를 줄일 수 있도록 나아갈 필요가 있다.
        16.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유아교육 강사가 한 학기 동안 강의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교수자의 어려움과 성장 과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초임 유아교육 강사 3명이며,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가 같은 셀프내러티브탐구 방법을 활용했다. 연구기간은 2018년 9월부터 2019년 1월까지이며, 자료는 개별 성찰일지와 모임 대화 내용 녹음 및 전사본, 수업 촬영을 통해 수집했다. 연구 결과로 세 초임 강사의 강의 경험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세 강사들은 학사 운영과정에서 교수학습 기술 및 평가, 새로운 인간관계와 관련해 어려움을 경험했다. 또한 세 강사는 자신의 강의를 ‘소통을 강조한 현장 중심의 강의’,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고 경험을 공유한 강의’,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 학습자 참여 강의’로 발전시켰다. 끝으로,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내 초임 강사를 위한 역량 강화 연수 개설, 학과 구성원과 소통 할 기회의 필요성, 교수학습 공동체 구성을 위한 재정적 지원을 제언하는 바이다.
        17.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숙련자와 초보자를 비교하여 집단 간에 예측능력과 시각탐색 전략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피험자에게 태권도 동영상을 제시하고 제시된 동영상에 반응하도록 하였다. 피험자는 숙련자·초보자 각각 5명을 선정하여 총 10명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예측 능력으로는 선택반응정확성과 반응시간을 측정하였고, 시각탐색 전략은 시선고정시간 비율, 시선고정 빈도, 시선이동 수, 신체의 영역별 시선고정위치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련자 집단과 초보자 집단 간에 선택반응 정확성과 반응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시각탐색 전략에 있어서는 숙련자집단이 적은 시선고정 빈도와 시선이동 수를 나타내었고, 시선고정시간 비율에 있어서는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영역별 시선고정 위치는 숙련자 집단은 허리, 얼굴, 어깨 순서로 주요 시각 단서를 사용하였고, 다리에는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반면에 초보자 집단은 허리, 어깨, 다리, 얼굴 순서로 시각단서를 사용하였고, 계속적으로 시선을 이동시켰다.
        18.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fMRI를 사용하여 선택반응 시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뇌 활성화 차이를 연구하였다. 피험자는 대학야구선수 15명과 남자대학생 16명으로 구성하였다. 과제는 스크린을 통해 제시되는 3가지 구질(직구, 커브, 슬라이더)을 관찰 후 해당 버튼을 빠르게 누르는 것이다. 실험설계는 집단(2)×구질(3)에 대한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FWER(family-wise error rate : p<0.01)에서 voxel 수준을 설정하였다. 모든 활성화 크기는 16 voxel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전문가 집단이 비전문가 집단보다 운동영역과 중전두엽 그리고 1차 체감각영역과 시각영역에서 활성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정보 입력-정보통합-운동계획-의사결정으로 이루어지는 신경네트워크가 전문가 집단이 비전문가 집단보다 잘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비전문가 집단의 경우 자극의 생소함과 정보의 부족으로 기억저장과 관련된 방추상회와 측두영역에서 활성화가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가 집단에서 직구와 같이 자주 접하는 자극일수록 정보처리과정이 간결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19.
        2007.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발음 교육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두 개의 중국어권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한 집단은 교사의 발음을 단순히 듣고 따라하는 직접교수법으로, 다른 집단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 등의 음성학적 정보를 제시하고 발음 을 교육하는 청각구두식 방법으로 동일 시간 동안 교육을 하고, 같은 문항으로 “받아쓰기”를 하여, 각 집단의 음소 인지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발음 교육방법은 단순 반복을 통한 직접교수법이 라는 것을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