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미용 종사자의 그릿이 자기효능감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관계 에서 자기관리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서울·경기 스킨케어 샵과 병원 종사자 34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와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구조방정식모델, bootstrapping기법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련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 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미용 종사자의 그릿은 자기관리, 자기효능감,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의(+)영향 관계를 나타내 었다. 둘째, 피부미용 종사자의 자기관리는 자기효능감과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 관계를 나 타내었다. 셋째, 피부미용 종사자의 그릿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자기관는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뷰티 산업 종사자들의 그릿 함양을 통해 자기관리, 자기효능감 및 직무성과를 높일 수 있는 인적관리와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8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 서비스 종사자들의 행동 루틴이 서비스수행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 향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경기 소재 뷰티 소비자 311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확인적 요 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델 및 bootstrapping 기법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 련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행동 루틴은 자기효능 감, 서비스수행, 업무성과에 모두 통계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 서 비스 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은 서비스수행 및 업무성과에 통계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행동 루틴과 서비스수행 및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4,300원
        3.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헤어미용전문가의 자기관리가 직무성과 및 미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서 자기효능감의 매개검증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지역 헤어미용전문가로 재직하고 있는 미용전문가를 대상으로256명 설문조사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SPSS 28.0, AMOS 2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정규성 검증을 실시하여 평균, 표준편차, 첨도, 왜도 의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매개효과 분석은 부트스트레핑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헤어미용전문가의 자기관리가 자기효능감, 직무성과, 미용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영향을 미쳤다. 헤어미용전문가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성과, 미용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 쳤다. 헤어미용전문가의 자기관리와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 었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수준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4,600원
        4.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 전문가의 자기관리가 자기효능감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관계를 살펴보고, 향후 뷰티 전문가들의 자기 관리를 통한 자기 효능감과 경영성과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위함이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하였고, 그 결과 자기관리와 자기조절감, 도전감 간 상호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자기관리가 경영성과, 환경성과, 고객성과, 시장성과에 통계적 유의하게 정(+)의 영향이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이 직무성과, 환경성과, 고객성과, 시장성과에 통계적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기관리에 대한 질적 향상을 통해 자기효능감과 경영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4,900원
        5.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병원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업무수행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3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은 5점 만점에 평균 3.24점, 업무수행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2.74점, 직무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10점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업무수행능력, 직무만족도과의 관계는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기효능감(β=.39, p<.001), 30∼34세의 연령(β=-.27, p=.001), 근무부서 중 수술실(β=-.17, p=.029), 내과병동(β=-.17, p=.025), 미혼(β=-.20, p=.012)순이었고, 모형의 설명력은 30.4%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병원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연령, 근무부서 등을 고려한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기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4,200원
        6.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ver the last several years, the growing accessibility of VR has shifted its application from military and aviation to education as it provides the capability to create immersive learning experiences (Buń et al., 2017). However, VR simulations have mostly been used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hard sciences” or the STEM disciplines (for a review, see Merchant et al., 2014). Most notabl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VR have been used in medicine and science (e.g., Arora et al., 2014; Lindgren et al., 2016). This study develops and tests a VR marketing simulation designed for a second-year marketing unit at an Australian university. Within their respective tutorials, 150 students will experience the simulations and tutorial presentation on a pre-assigned topic in their marketing curriculum. A within-subject experimental design will be adopt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simulation, which is measured by : (1) immersion; (2) e-learning enjoyment; (3) learning self-efficacy; (4) learning attitude; (5) intention to use; (6) student engagement; and (7) knowledge-based learning performance.
        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 problem-based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efficacy, and clinical performance skills. Methods: This study examined a group of nursing students using the pretest-posttest test design. Second year pediatric nursing students studying the practical subject Integrated Simulation at S University in K region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using a problem-based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o using SPSS/WIN 21.0 for descriptive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Results: After completing the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 = -5.795, p < .001) and clinical performance skills (t = -3.835, p = <.001) than befor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efficacy score(t=-.217, p=.829).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lessons with various methods and content should be developed to –evaluate both theoretical knowledge and clinical performance skill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tandard evaluation.
        4,200원
        8.
        201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how students’ L2 writing self-efficacy and interest contribute to strategy use and writing performance.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212 Korean college students’ self-reported motivation scores revealed three underlying constructs of self-efficacy, communicative interest, and instrumental interest. Subsequ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the five types of strategy use. Communicative interest appeared to positively contribute to use of planning,monitoring, and compensatory strategies. Instrumental interest was a predictor of retrieval and compensatory strategies. L2 writing strategy us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minor contributor to L2 writing performance. The current study also suggests that students’ instrumental interest and communicative interest should be balance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mitigating effects of L2writing strategy use for motivation and performance development.
        5,800원
        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nclud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innovation, proactiveness, risk-taking) and firm performance(non-financial performance,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firm performance.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 data were collected from 368 individuals in employe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t Gyeongnam region to test theoretical model and its hypotheses. All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with SPSS 18.0. This study reports findings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except innovation) and the employee's self-efficacy is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ployee's self-efficacy and firm performance.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is positively re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except innovation) and the financial performance is positively related. Finally, the employee's self-efficacy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taking and firm performance. The employee's self-efficacy played as a fully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ness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e employee's self-efficacy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ness and financial performance. However, there was no empirical evidence for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s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including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4,300원
        10.
        2009.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 information system introduction and the application which use the computer are increasing. The efficient operation of information system helps corporations to improve productivity, customer service and corporate competitive power. SaaS(Software as a Service), which is the developed type of outsourcing in the area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to use standardized and packaged application by hosting from the outside of enterprise. SaaS is not developed yet as much as people's interest about that in the initial stage, but its related technology and service capacity are accumulated after repeated trial and error, and it's ready to activate the industry. In the area of information system, studies on the measurement of service quality were followed. But there is little study on service quality measurement in the field of SaaS(Software as a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vides the SaaS with e-SERVQUAL and it consider the relationship with the perceived recognition and the usage intention. According to this, variables of traditional research were rejected because SaaS is not developed yet in Korea. But information had a strong effect on perceived recognition. Therefore, business related with in SaaS must have provided a correct information about various applications.
        4,600원
        11.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ver the fast few years, web-based e-Learning have made remarkable progress. According to advance of e-Learning, the evaluation of e-Learning effectiveness and success model become more important. This study had a focus on the effect of system characteristic of e-Learning systems and self-efficacy on learning performance.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192 person experienced in e-Learning.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adopted to collect the data for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SPSS 12.0 and AMOS 4.0. The research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of all, system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 of e-Learning system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usefulness. Second, information quality was related positively to user satisfaction. Third, perceived usefulness was positively connected with user satisfaction. Fourth, user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had relation to learning performance.
        4,200원
        1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지 연속선 이론(Cognitive Continuum Theory)을 대학 교육 환경에 적용하여 학생들이 대학 내에서 개설된 각 과목을 수강할 때, 그에 요구되는 인지 모드를 사용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또한 대학 교육이 전반적으로 요구하는 인지 모드와 학생들의 전반적인 인지 모드를 비교해 보았다. 실험 결과, 학생들은 실제 자신들의 평상시 인지 양식과 관계없이 각 과목에서 요구하는 인지 모드를 수업 중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상황에 맞는 적응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한편, 대학에서 전반적으로 학생들에게 분석적인 인지 모드를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교육이 학생들의 적응력과 융통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을 담당한 교수진들이 다양한 인지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학생들이 각 과목에서 요구되는 인지 모드를 사용하였을 때 높은 수행력을 보일 것이라는 예측은 이 실험을 통해 증명할 수 없었다.
        4,000원
        13.
        202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L), procedural justice (PJ), and training (T) on employee performance (EP) mediated by self-efficacy (S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Rumah Sakit Umum Daerah (RSUD) M.Th. Djaman, a hospital in Sanggau Regency, while the subjects are the institution’s staff. Data collection search uses purposive sampling with a total of 120 samples. Data are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distributed directly to respondents using the Google Form application. Data analysis techniques used in this study include standard error of mean (SEM) with AMOS software version 24.00. Methods use to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ata includ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Construct Reliability (CR) and V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only train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performance. Also, self-efficacy is proven to mediate the role of training on employee performance; the other hypotheses are not significant. Training is the most prominent positive factor affecting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performance at RSUD M.Th. Djama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by management in determining what policy priorities should take precedence.
        14.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에서는 사회인지이론에 근거하여 경쟁상황과 수행력수준의 상호작용에 따라 관찰학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방법: 대학부 운동선수 211명을 중압감(고), 중압감(저), 일반상황 3개 집단으로 무선 할당 한 후, 수행력 수준에 따라 관찰학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수행력이 높은 선수는 그렇지 않은 선수보다 중압감이 높은 시합상황에서 관찰학습이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압감이 낮은 상황에서는 수행력 수준에 상관없이 관찰학습이 자기-효능감을 높여주었고, 이런 정적 영향력은 수행력이 낮은 선수가 높은 선수보다 높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사회인지이론에서 제시한 인간행동에 대한 인지과정이 스포츠 영역에서 증명되었고, 경쟁상황에 따라 관 찰학습이 자기-효능감을 예측하는 정도는 달라졌다. 따라서 자기-효능감 측정 시, 스포츠에 존재하는 다양한 경쟁 상황을 함께 고려하는 것은 이론적으로나 실증적으로도 중요하다.
        1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을 플레이하는 동안 경험한 몰입의 경험은 플레이어의 어떤 심리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게임 기획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플레이어의 역할 설정과 관련된 자아존중감, 미션디자인과 관련된 인지적 성과, 레벨디자인과 관련된 자아효능감을 주요 심리요인으로 분석하고, 이 3가지 심리요인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설 검증하였다. 먼저 플레이어의 역할 설정이 잘 진행되어 플레이어가 자아존중감을 높게 경험한 경우, 미션설계가 잘 되어 플레이어가 자신에게 주어진 목표를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도록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인지적 성과가 높은 경우, 마지막으로 레벨 디자인을 통해 제시된 과제의 난이도에 대해 플레이어가 충분히 게임 플레이를 할 수 있다는 자아존중감이 높을 경우 플레이어는 게임 플레이 과정에서 몰입을 높게 경험한다는 점을 설문조사를 통해 밝혀냈다.
        16.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작인식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헬스게임이 대중화에 성공하면서 체감형 헬스게임의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이론 및 실용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체감형 헬스게임의 성과를 예측하기 위해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와 설문조사를 결합한 플레이테스트 방법을 이용하여 몰입, 실재감과 사회인지 요인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째 사회인지요인인 자기효능감은 헬스게임의 기능적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몰입경험은 가설에서 설정된 방향대로 기능적 만족도와 오락적 만족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로 실재감경험은 헬스게임의 기능적 만족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오락적 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로 기능적 만족도는 오락적 만족도와 미래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락적 만족도 역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디지털게임의 사용자경험과 자기효능감이 게임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이론적 명제들이 체감형 헬스게임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개념과 이론의 확장성에 기여하고 있다.
        17.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고교축구팀의 집단 응집력과 집단 효능감 및 대회 성적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을 설정하고, 이 모형의 적합성과 각 변인간 관계를 세부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고교축구연맹전에 참가한 18개 팀을 대상으로 집단 응집력과 집단 효능감을 측정하였고 팀 성적에 대한 자료는 팀별로 참가한 게임 수가 동일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총 승점을 경기 수로 나눈 게임 당 승점으로 처리한 후, 고교축구연맹전 이전까지의 팀 성적을 사전 성적, 고교축구연맹전 팀 성적을 사후 성적으로 구분하였다. 빈도 분석, 상관 분석 및 공분산 구조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팀의 집단 응집력과 집단 효능감 및 사전사후 성적 간 구조적 관계 모형의 적합도는 통계적 수준에서는 양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관계 모형의 각 변인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적과 사회 응집력간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 영향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 응집력은 사후성적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집단의 성공적 수행과 관련한 집단 응집력 및 집단 효능감 연구에서 과제 응집력과 사회 응집력 차원의 분리 적용에 대한 필요성이 확인되었고 아울러 집단 응집력과 집단 효능감의 수행에 대한 상호 매개역할이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18.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심상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심상훈련에 따른 농구 자유투 자기 효능감의 변화와 수행력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부천시 S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 140명을 무작위로 뽑은 80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였다. 각 피험자들은 다시 제비뽑기를 통해 심상훈련집단에 20명, 신체훈련집단에 20명, 신체·심상병행집단에 20명, 그리고 통제집단에 20명으로 각각 무선 할당하였다. 먼저 각 집단은 농구 자유투 자기 효능감 질문지에 답하고, 농구자유투 수행력을 검사한 후 8주간의 실험처치를 하였다. 심상훈련집단은 신체적 긴장이완, 선명도 조절력 연습, 농구 자유투 시각화 훈련을 30분씩 주 3회 실시하였고, 신체훈련집단은 실제 농구 자유투 훈련을 30분씩 주 3회 실시하였다. 그리고, 신체·심상 병행훈련집단은 심상훈련 15분, 실제 농구 자유투훈련 15분을 주 3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심상훈련과 관련이 없다고 판단되는 위인전을 읽도록 하였다. 사후검사(post-test)는 사전검사(pre-test)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집단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차가 발생시 Tukey의 사후검사(Post-hoc Test)를 실시한 결과, 심상훈련과 신체훈련을 병행한 집단은 농구 자유투 자기 효능감과 수행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19.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농구경기에서 자기효능감과 팀효능감의 개인 수행 및 팀 수행에 대한 설명력을 검증해 보려는 시도이다. Bandura(1997)의 자기효능감 이론에 근거하여 (1) 자기효능감과 팀효능감이 높은 선수가 개인적 수행이 높고, (2) 성원의 자기효능감과 팀효능감이 높으면 팀 수행 또한 높을 것이며, (3) 팀효능감이 자기효능감보다 팀수행을 더 잘 설명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2000년 가을 전국체육대회 남자 고등부 농구경기에 참가한 14개 팀, 주전 선수 84명이 예선경기에 참가하기 전에 자기효능감과 팀효능감 측정척에 응답하였다. 얻어진 자료를 개인 성적과 팀성적에 따라 상관관계, ANOVA, 그리고 희귀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은 개인득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였다. 둘째, 예선 통과 팀의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 점수는 예선 탈락 팀보다 높았고, 준경승 진출 팀은 탈락 팀보다 팀 효능감 점수에서만 높았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은 팀의 최종 성적보다는 예선 성적에 대한 설명력이 높았고, 자기효능감은 독립적으로 팀성적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