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medical use of hemp, many medicinal cultivars were bred worldwide. Propagating cultivar using seed has a high cost. On the other hand, vegetatively propagating cultivar has various merits including short breeding period and uniformity.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optimal conditions for propagating hemp after cutting, including sterilizing of rooting media, rooting hormone, and mixing ratio of growing media and sand of rooting media. Korean landrace strain of hemp plant was grown in Wagner pot (size: 1/2,000 a) for 60 days. Its branches were cut to 70∼80 mm in length and used for cutting slips. The rooting medium, a horticultural nursery medium, was autoclaved for 3 hours at 120 ℃. The mixing ratio of sand and nursery media was 9:1, 7:3, 5:5, or 3:7 in weight. Cutting slips were coated with rooting hormone (1-naphthylacetamide 0.4%) just before planting. Cutting materials were planted in a tray pot of 72 cells and grown in a walk-in-chamber for 28 days with a temperature of 25 ℃ and an intensity of radiation of 800 μmol/㎡/sec. Seedling rates were 61.1%, 77.8%, and 63.0% for mixing ratios of 1:9, 3:7, and 5:5 of sand mixed with horticultural nursery medium. These seedling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a seedling rate of 31.5 % for a mixing ratio of 7:3. Root lengths were 97 mm, 91 mm, and 81 mm for mixing ratios of 1:9, 3:7, and 5:5 of sand mixed with horticultural nursery medium. These root lengths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a root length of 37 mm for a mixing ratio of 7:3. Rooting rates were 81.1 % and 91.2 % for slips coated with rooting hormone and sterilized rooting media, respectively. They were 40.0 % and 18.3 % for slips not coated with rooting hormone or sterilized rooting media, respectively. Thus, for vegetative propagating (cutting) of medicinal hemp, sterilizing of rooting media and coating slips with rooting hormone will be essential to conducting the propagation process.
본 연구는 국내육성 수국 ‘Morning Star’와 ‘Pink Ari’에 있어서 삽목배지 및 삽목시기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 기 위해 수행하였다. 삽목배지 실험에서 코코피트, 펄라이트, 피트모스 단용과 코코피트+코코칩을 혼용 처리하였으며, 7월 15일에 ‘Morning Star’의 정아에서 삽수를 채취하여 삽목하 였다. 삽목시기 실험은 4월, 6월, 8월에 정아를 채취하여 삽 목하였다. 삽목배지로써 코코피트와 코코칩의 혼용 배지는 발 근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른 배지들은 발근율과 뿌리길이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펄라이트와 피트모 스보다 코코피트에서 뿌리수가 더 많았다. 따라서 국내육성 수국 ‘Morning Star’의 삽목은 코코피트를 배지로 사용하는 것이 발근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삽목시기에 관 한 실험에서, ‘Morning Star’의 발근율은 삽목시기와 상관없 이 83~90%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나, 뿌리수와 생체 중은 4월과 8월보다 6월에 삽목했을 때, 가장 증가하였다. 그 리고, 신초의 길이, 엽수 등의 줄기의 생육도 6월에 삽목한 처 리에서 가장 좋았다. ‘Pink Ari’의 삽목시기 실험에서 발근율 은 4월 삽목보다 6월과 8월 삽목 처리에서 높았고, 뿌리수와 뿌리 생체중은 6월 삽목처리에서 각각 61.4개와 0.31g으로 가장 양호하였다. 또한 엽수와 신초의 길이 등 지상부 생육도 전반적으로 4월과 8월 삽목보다 6월 삽목처리에서 가장 좋았 다. 따라서, 국내육성 수국 ‘Morning Star’와 ‘Pink Ari’는 4 월과 8월보다 6월에 삽목하는 것이 발근과 지상부 생육에 효 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배지에 따른 국화 두 품종의 발근과 정식 후 생 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스트가 5분마다 200초씩 분무되고 차광된 유리온실 벤치에서 국화 ‘Gaya Wine’과 ‘Gaya Yellow’ 삽수를 암면큐브, phenolic foam LC, phenolic foam RC, 토실이상토에 삽목하였다. 삽목 21일 후 재배실험 을 위해 발근된 삽목묘의 절반을 상업용 배지가 채워진 화분 에 정식하였다. 발근율은 두 품종 모두 모든 배지에서 100%였다. 최대근장은 ‘Gaya Wine’이 토실이상토에서 6.0cm였으며 ‘Gaya Yellow’는 phenolic foam RC에서 6.3cm였다. 발근수는 두 품종 모두 다른 처리에 비해 토실이상토에서 가장 많았다. 발근단계에서는 ‘Gaya Wine’의 경우 토실이상토에서 가장 생 육이 좋았으나, ‘Gaya Yellow’는 처리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재배단계에서 두 품종 모두 phenolic foam 배지에서 토실이 상토에 비해 초장이 감소하거나 비슷하였고 생장량이 다소 감 소하였다. 또한 재배단계에서 화수는 두 품종 모두 토실이상 토에서 가장 많았으나, 암면과 phenolic foam RC에서는 유사 하였다. 따라서 새로 개발된 phenolic foam RC배지는 국화의 번식에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암면큐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절화용 수국에 있어서 IBA농도 및 삽목용토 종류가 녹지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Hydrangea macrophylla ‘Magical Diamond’,‘Magical Emerald’, ‘Magical Brilliant’ 그리고 ‘MagicalTopaz’ 등의 4품종을 실험재료로 사용하였고, IBA 처리농도는 0, 500, 1,000, 1,500mg•L−1로 30분간 침지하였다.삽목용토는 perlite 단용, peatmoss 단용, perlite:peatmoss(1:1,v/v) 혼용배지로 하였다. 삽목 6주 후 모든 처리에서 95%이상의 생존율과 100%의 발근율을 보였으며 다른 용토보다 perlite:peatmoss(1:1, v/v) 혼용배지에서 가장 먼저발근되었다. ‘Magical Diamond’와 ‘Magical Emerald’의경우 IBA 500mg•L−1의 perlite 단용배지에서 근수, 뿌리생체중 및 건물중은 가장 높게 나타났고, peatmoss 단용배지에서 근장과 근폭은 가장 양호하였다. 특히 ‘MagicalEmerald’에서 농도가 높아질수록 perlite:peatmoss(1:1, v/v)혼용배지에서 뿌리생육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agicalBrilliant’의 경우 IBA 1,000mg•L−1의 perlite 단용배지에서근수, 뿌리 생체중, 뿌리 건물중이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IBA 1,500mg•L−1의 perlite:peatmoss (1:1, v/v) 혼용배지에서는 근장과 근폭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MagicalTopaz’의 경우, IBA 1,000mg•L−1의 perlite:peatmoss (1:1,v/v) 혼용배지에서 근수, 근장, 근폭이, IBA 1,000mg•L−1의 perlite 단용배지에서 뿌리 생체중과 건물중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 사용된 모든 수국 품종의 삽목 발근에 있어서 IBA 처리농도와 용토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처녀치마는 백합과에 속하는 숙근성 다년초로서 4월부터 아름다운 적자색의 꽃이 피기 시작하고 개화기간이 길며, 잎이 상록성이기 때 문에 분화용, 정원용 및 조경용 식물로서 유망한 특산식물이다. 따 라서 자생 처녀치마의 엽삽번식을 위한 실용적인 자료를 얻고자 잎 부위, 삽목용토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잎을 상 • 하로 1/2 절단하여 윗부분(Upper half)과 아랫부분(Lower half)을 이용 하였고, 전체 잎을 이용한 처리구(Vertical), 잎을 세로방향으로 1/2 절단하여 이용한 처리구(Half horizontal), 그리고 자르지 않고 전체 잎을 그대로 옆으로 식재한 처리구(Horizontal)로 구분하였다. 삽목용토 실험을 위해 원예용상토(Horticultural Media), 마사토(Decomposed gra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피트모스(Peatmoss) 및 펄 라이트(Perlite)를 단용 처리하여 실험하였다. 삽수조제 방법에 따른 잎 부위별 실험에서, 전체 잎을 기부만 절단하여 이용한 처리구 (Vertical)와 잎을 자르지 않고 그대로 옆으로 눕혀서 식재한 처리구 (Horizontal)에서 각각 69%, 66%의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이는 잎의 선단부위와 기부가 포함되었을 때 발근이 잘 된다는 것을 의 미한다. 삽목용토에 따른 발근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버미큘라이트, 마사토 단용 처리구에서 각각 94%, 87%의 높은 발근율 을 보였고 뿌리생육도 좋았다. 또한 발근이 잘 된 처리구는 잎의 기부에서 신초가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의 잎무늬종 맑은대쑥 (Artemisia keiskeana)을 원예 및 조경용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삽목 시 삽수부위, 용토의 종류 및 오옥신류의 처리가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삽수부위별 처리에 있어서 신초의 정단부보다 중간부와 기부를 삽수로 이용하는 것이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에 좋았으며 특히 중간부의 경우, 발근율이 68.3%로 가장 높았다. 삽목용토에 있어서 피트모스는 발근시작일이 가장 늦었고,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 발근율과 생존율 모두 낮았던 반면, 버미큘라이트에서는 발근시작일이 가장 빨랐고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도 가장 효과적이 었으며, 발근율 88.3%, 생존율 99.2%로 용토처리 중 가장 좋았다. 오옥신 처리를 한 경우, 대조구에 비해 발근 율과 생육이 우수했다. 대조구는 발근율이 41%로 낮았으 나 처리를 한 경우 발근율이 80%이상으로 현저히 높 았다. NAA를 처리한 경우가 IBA를 처리한 것에 비해 근장과 근수를 포함한 지하부의 생육이 좋았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존율과 발근율이 높았으며 지하부의 생 육도 좋았다.
Background: Planting vigorous cuttings that quickly develop shoots and roots is essential to the biological and economic success of producing medicinal flower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duration on seedling capacity in the propagation of Chrysanthemum indicum L.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oting media on the growth of C. indicum L. after cutting.Methods and Results:Returning cuttings to supplemental cold storage (2.0 ± 1.0°C) may extend duration of cutting viability 6 weeks, returning cuttings to supplemental warm storage (25.0 ± 1.0°C) is not recommended. The treatment of the growing media experiments, which were conducted in the 2014 planting seasons, included sawdust, river sand, topsoil + sawdust, topsoil + poultry manure, sawdust + river sand, river sand + poultry manure, topsoil + river sand + poultry manure, topsoil + poultry manure + river sand + sawdust. Result indicated that the topsoil + poultry manure media performed best and supported the highest number of branches (3.47), branch length (26.39), and number of leaves (88.63).Conclusions: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old storage and the topsoil + poultry manure growth media was superior in supporting the early establishment of C. indicum cutting, this result will have a tremendous influence on propagation of this spec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ading degree and rooting media on the growth of Caragana sinica and Sedum middendorffianum after cutting. In C. sinica, the highest rooting rate was obtained in cuttings planted in horticultural soil (Sunshine Mix #1) and peat moss mixture (peat moss : perlite = 1 : 1, v/v) under one layer of 35% shading and in cuttings planted in kanumatsuchi soil mixture (kanumatsuchi soil : decomposition of granite = 1 : 1, v/v) under non-shading. Whereas, regardless of shading degree, most cuttings of S. middendorffianum rooted in both horticultural soil and peat moss mixture. Cuttings of C. sinica showed the highest root length, 10.4㎝ in kanumatsuchi soil mixture under one layer of 35% shading but the highest fresh and dry weight of roots in kanumatsuchi soil mixture under non-shading. In S. middendorffianum, the highest root length, fresh and dry weight of root were obtained in cuttings planted in horticultural soil under non-shading. With these results, we recommended that cuttings of C. sinica should be propagated in kanumatsuchi soil mixture under non-shading and cuttings of S. middendorffianum in horticultural soil under non-shading.
클레마티스의 번식은 종자 및 삽목번식으로 하는데, 삽목 성공 률이 낮아 번식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효과적인 번식법으로 삽목 번식 방법을 구명하고자 클레마티스 삽수를 채취하여 유리온실에 서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삽수길이는 1마디와 2마디 길이로 하였 으며, 배지는 단용배지로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발근 제는 IBA 4000mg·L-1 3초 침지, IBA 500mg·L-1 30분 침지와 루 톤을 처리하였다. 클레마티스의 발근기간은 약 10주가 소요되었 다. 클레마티스의 삽수 마디길이를 2마디보다 1마디로 하였을 경 우 발근율이 약 43% 증가하였다. 1마디 삽수의 경우 발근제 루톤 분의 처리 시 발근율은 대조구보다 약 7% 더 향상되었다. 따라서, 삽수 양이나 삽목 후 관리를 고려할 때, 1마디 삽수를 이용하는 것 이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배지와 발근제에 따른 발근율은 버미 큘라이트와 IBA 4,000mg·L-1 처리에서 96%로 가장 높았으며, 뿌 리수와 뿌리 길이도 IBA 4,000mg·L-1 및 루톤 처리에서 우수하였 다. 즉, 1마디 삽수를 버미큘라이트 배지에 삽목한 경우 발근율은 평균 약 80-83%로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보다 약 25-29%, 13-39% 더 높았으며, 버미큘라이트 배지에 IBA 4,000mg·L-1 침지처리 시 발근율이 89-96%로 9-13%가 더 증가되어 가장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배지, Rooton 및 삽수경화정도가 6품종의 라벤더삽수의 발근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발근율은 `프린지드`와 `마리노`에서 각각 88%와 100%로 가장 높았으며, `피나타`와 `빅토리오`의 발근율은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Rooton 분말처리는 대부분의 품종에서 발근율 뿐만아니라 뿌리생장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특히 `빅토리오`의 경우 Rooton 처리에 의해 발근율이 0%에서 82%로 크게 증가하였다. 한편 Rooton 처리가 지상부생장에 미치는 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잉글리쉬와 프린지드는 펄라이트에 비해 피트모스배지에서 발근율과 뿌리생장이 뛰어난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녹지삽과 반숙지삽에 의한 발근 및 뿌리생장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라벤다를 이용한 원예치료 삽목프로그램시 적합한 품종으로는 ‘프린지드’와 ‘마리노’를 추천한다. 또한, 라벤다 삽수에 Rooton 분말을 묻힌 후 피트모스배지에 삽목하는 것이 발근율을 높힐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병꽃나무의 화훼작목화를 목적으로 적정 삽목번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병꽃나무의 삽목에 적합한 삽목용토를 개발하기 위하여, 모래, 펄 라이트, 질석 단용과 질석 : 펄라이트(1:1) 혼용처리한 용토에 삽목한 결과 숙지삽, 녹지삽, 반숙지삽 공히 펄라이트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특히 녹지삽은 모든 처리구에서 70.0~76.7%의 발근율을 보여, 숙지삽에 비해 약2.8배 정도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병꽃나무의 삽목발근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숙지삽의 경우에는 생장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구에 비해 발근이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특히 NAA 500mg. L-1처리구에서 80.0%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나타냈다. 녹지삽의 경우에는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80%이상의 발근율을 보였으며, 특히 NAA 100, 500mg.L-1와 IAA 1000mg.L-1처리구에서 96.7%의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반숙지삽의 발근율 또한 생장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농도가높을수록 발근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던 반면 고농도인 1000mg.L-1처리구에서는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A 농도 및 침지시간에 따른 발근율은 숙지삽의 경우 농도가 높을수록, 침지시간이 길수록 양호한 경향이었다 녹지삽은 침지 시간이 길수록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500mg.L-1, 30분 침지처리구에서 100%의 발근을 보였다. 반숙지삽의 경우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또한 침지시간이 길수록 발근율이 양호하였으나, 녹지 및 숙지를 삽수로 했던 것에 비해 그 정도는 낮았다.
생열귀나무의 번식에 관한 연구로 숙지, 녹지, 반녹지삽 및 근삽등의 삽목번식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실시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열귀나무의 숙지, 녹지, 반녹지삽으로 삽목실험을 한 결과 숙지삽에 대한 결과는 각각의 생장 조절물질 및 상토조건에서 발근이 전혀되지 않았으며 반녹지삽, 녹지삽, 근삽의 순으로 양호한 발근율을 나타내어 생열귀 삽목시 숙지삽이나 반녹지삽을 이용하는 것보다 녹지삽을 채취하거나 근삽을 이용하여 삽목하는 것이 양호하였다. 2.녹지삽의 경우 무처리 식물체가 전혀 발근이 되지 않은 반면 rooton-F를 처리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발근율을 나타내었으며 NAA 처리시는 저농도에서 발근율 및 캘러스형성율이 증가하였고 IAA를 처리한 경우는 고농도일수록 발근율 및 캘러스형성율이 양호하였다. IBA는 IAA, NAA보다는 저조한 결과를 나타냈었다. 3. 녹지삽에서는 vermiculite와 perlite의 혼합토양에 삽목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발근율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점토, 사토 순으로 나타났다. 녹지삽에 rooton-F를 처리하였을 때 근장에 있어서는 사토가 더 우수한 반면 근수는 점토에서 더 우수하여 점토와 사토에서 근수와 근장이 서로 상반된 차이를 보였다. 4. 반녹지삽에 rooton-F를 분의처리한 경우 녹지삽에서 결과가 좋았던 vermiculite+perlite에서는 10%정도만 유기되고 점토에서 양호한 발근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