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

        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총체 사료용 벼의 초기 신장성과 입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원 소재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 조건에서 파종시기를 조절하고, 인공기상연구동 정밀유리실에서 입모기간 중 평균기온을 조절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포장조건에서 총체 사료용 벼 품종 및 계통의 m2당 입모수는 파종시기별로 4월 30일 파종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5월 10일~ 6월 9일 파종에서는 비슷하였고, 품종별로는 녹양에 비해 목우와 수원560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평균기온 18 ~ 24oC 범위의 실내시험에서는 총체 사료용 벼의 입모율은 처리온도간 차이가 없었으며, 모든 온도 처리에서 일반형 품종인 일품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2. 파종 후 30일의 초장은 포장시험에서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실내시험에서 처리온도가 높을수록 길어졌다. 목우와 수원 560은 녹양보다 입모기간 중 기온 상승에 따른 초장 신장 정도가 컸으며, 특히 목우는 초장 신장 효과가 다른 품종에 비해 고온인 24oC에서 높았다. 3. 파종 후 30일의 건물중은 입모기간 중 평균기온 24oC까지는 기온이 높아질수록 모든 품종에서 증가하였다. 반면 기온이 24oC에서 27oC로 상승했을 때의 건물중은 녹양에서는 비슷하였고 목우와 수원560에서는 감소하였는데 특히, 수원 560의 감소 정도가 컸다. 4. 모든 품종에서 묘 충실도는 입모기간 중 평균기온 24oC까지는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반면 24oC에서 27oC로 상승한 경우 묘 충실도가 모든 품종에서 감소하였는데, 특히 수원560에서 감소 정도가 컸다. 5. 결과적으로, 담수표면산파에서 초기 신장 촉진과 건전한 입모에 가장 효과적인 입모기간 중의 평균기온은 녹양에서 21oC, 목우와 수원560에서 24oC였으며, 수원560의 경우 24oC 이상의 고온에서는 묘가 연약해졌다.
        4,000원
        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남평야지(미사질양토)에서 무논점파재배시 입모향상을 위한 적정 논굳힘 일수를 알아보고자 호품벼를 공시하여 논굳힘일수을 로타리후 1, 2, 3, 4일(로타리후 담수 1일)로 처리하였으며, 파종 후 물관리 방법을 알아보고자 파종 후 물관리는무담수, 간헐담수(파종후 2, 4, 6일)로 처리하였고 그리고 제초제 적정 처리시기를 알아보고자 제초제 처리시기를 파종 후10, 12, 14, 16로 하여 입모수 및 초기생육을 조사하였다.무논점파재배시 논굳힘 일수에 따른 입모수는 2, 3일 논굳힘에서 m2당 117, 114개로 많았으나 1일 및 4일 논굳힘에서는 m2당 88개 및 83개로 적었으며, 초장 및 근장은 논굳힘 3일 까지는 논굳힘 일수가 증가할수록 길었으나 논굳힘 4일에서는 짧아졌다.무논점파 재배시 파종후 간헐담수에 따른 입모수는 파종후2일 및 4일에서는 m2당 117개 및 113개였으나 파종후 6일에서는 92개, 무담수 처리에서는 84개로 적었으며, 파종후 간헐 담수에 따른 파종후 13일 초장은 파종후 2일 및 4일 간헐담수 처리에서는 각각 3.3 및 2.5cm였고 파종후 6일 및 무담수시에는 1.7cm 및 1.0cm로 파종후 파종 후 간헐담수 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초장이 짧아졌으며 근장 역시 같은 경향이었다.무논점파 재배시 파종후 담수 및 제초제 처리시 파종후 10일에서는 초장은 2.0cm였으나 파종후 12일에서는 3.2cm, 14일 및 16일에서는 각각 4.5 및 7.7cm로 길어졌으며 근장 역시 같은 경향이었으며, 무논점파 재배시 파종후 담수 및 제초제 처리에 따른 잡초발생정도는 파종후 12일 까지는 발생하지않았으나 파종후 14일부터 약간 발생하였다.이상의 결과로 보아 호남평야지(미사질양토)에서 무논점파재배시 적정 논굳힘 일수는 토양 상태, 입모수 및 초기생육을고려하여 볼 때 로타리 후 3일(담수 1일, 낙수 2일), 파종 후물관리 방법은 파종 후 2일에 1일 간 간헐담수 처리가 그리고적정 제초제 처리시기는 초기생육을 고려하여 볼 때 파종 후12일이 알맞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6.
        199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파종량과 파종상 처리방법이 겉뿌림한 목초 유식물의 정착과 목초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화성군의 구릉산지에서 2년간에 걸쳐 수행되었다. 얻어진 결과에 따르면 orchardgrass의 정착은 ha 당 30-40kg 파종시보다 20kg 파종시에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ladino clover의 정착은 파종량간에 차이가 없었다. 파종상 처리방법으로서 레이키질과 화인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목초의 정착률을 유의적으로 향상시켰다. Or
        4,000원
        7.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rmination characteristics, seedling emergence, and early seedling growth of iron-coated rice seeds, cultivars Daebo and Samdeokbyeo, under different water depth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on-coated seeds (control) and the results evalua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stable seedlings in direct water seeding. The total germination percentage of the two seed treatments was similar, but iron-coated seeds had slightly faster germination and shorter mean germination time than non-coated seeds. Water absorption rates of iron-coated seeds were lower than that of non-coated seeds during seed germination. The germination percentage of the two iron-coated rice seed cultivars showed a significant decline of 15-22% after one year of storage under natural conditions. The seedling emergence percentage and uniformity of the two rice cultiva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ron-coated seeds at 1-13 cm water depths but the percentage of floating seedlings was lower in iron-coated seeds than in non-coated seeds. The iron-coated seeds had a high seedling emergence percentage of 91.3-93.3% at all flooding depths whereas the non-coated seeds had a significantly low seedling emergence percentage of 57.7-71.7% at a water depth of 13 cm. Moreover, the shoot dry weight and seedling health score of iron-coated see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n-coated seeds, while root dry weights were similar in iron-coated and non-coated seeds, regardless of water dep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iron-coated seeds are more appropriate for stable seedling establishment in direct water seeding than are non-coated seeds.
        8.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eedling establishment and yield of direct-sown Platycodon grandiflorus seeds cultured by three ridge width, 0.4, 0.8, and 1.2 m and four mulching materials, rice straw, rice bran, black plastic film, and no mulching in upland. Seedling establishment rate (70%) was the highest in rice straw mulched plot of 500 seeds/m2 sowed and root yield after one year was also the highest in rice straw mulched treatment and followed by rice bran, no mulching, and black plastic film treatment. In this result, ridge width 120cm and rice straw mulching combined treatment was best for getting the highest seedling establishment ratio and seedling numbers per area. However, ridge width and mulching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soil moisture content and weed population for saving labor cost.
        9.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운영 재배농가에 자운영 안정적 입모확보에 기초자료를 얻고자 자운영 지속재배와 매년파종시 입모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운영 지속재배포장에서 가을철 토양 속 자운영 종자는 이앙전 로타리는 토양표면에서 15 cm깊이까지 고루 분포한 반면, 부분경운 이앙시는 주로 10 cm깊이 이하에서 대부분 분포하였다. 2. 자운영 지속재배시 출아깊이는 부분경운 이앙시 1~3 cm. 로터리경운 이앙시 1~5 cm에서 출아가 되었다. 3. 자운영 지속재배는 표면에서 출아하는 매년파종 자운영보다 월동전 뿌리 길이가 깊어 월동율이 높고 논 정지 작업시 종자가 토양과 고루 혼합이 되어 입모균일도가 10.6~11.7% 가량 높아 입모수 확보가 유리하였다. 4. 자운영 지속재배시 건물생산성은 수분부족 및 저온 등기상환경이 불량 할 경우 매년파종보다 건물생산성은 높았으나 환경조건이 양호할 경우는 크게 차이가 없었다.
        10.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운영 안전입모수 확보를 위한 벼 낙수시기를 기준 자운영 파종적기를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 낙수 전 5일~ 낙수 후 5일 사이에 파종시 자운영 종자가 발아를 할 수 있는 충분한 토양수분이 있어 월동후 평균 입모수 및 월동율은 각각 530~670 개/m2 , 79.1~82.8% 로 높아 낙수 10일 이후 파종 보다 입모수 확보에 유리하였다. 2. 월동후 전생육기간 파종시기별 자운영 건물중도 낙수 전 5일~ 낙수후 5일에서 573~746kg /10a으로 높아 17.0~20.5kg /10a 질소를 생산할 수 있었다. 3. 자운영 종자를 너무 늦은 10월초나 낙수 10일이후에 뿌리면 자운영 종자가 출아를 하는데 온도가 낮고 수분이 부족하여 생육부진으로 월동율이 낮아 자운영 입모수가 부족하였다. 4. 낙수 10일전에 너무 일찍 파종해도 출아를 한 자운영이 습해를 받아 입모가 불량하였다. 5. 종자수량도 낙수 전 5일~ 낙수후 5일에 파종시 24.2~30.8kg /10a으로 높았으나 낙수후 10일 이후 파종은 종자 생산량도 19.4 kg/10a으로 낮았다. 따라서 자운영 안전 입모수 확보, 월동율, 건물생산성을 고려한 자운영 파종적기는 낙수전 5일(9월 20일)~ 낙수후 5일(9월 30일)이었다.
        12.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내염성 유묘검정에서 실용성, 경제성, 정밀성이 우수한 검정체계를 확립하고벼 자포니카 내염성 중간모본 및 품종개발을 위한 내염성 유전자원 및 품종을 선발 이용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1. 증류수 이용 Yoshida 양액에 NaCl를 첨가한 염처리는 0.3%, 0.5%, 0.7%로 희석한 바닷물로 Yoshida 양액을 제조한 염처리 보다 유묘 내염성 계통을 선발하는데 효율적이었다. 2. 수돗물로 양액 제조 처리는 증류수로 양액 제조 처리와 유묘 내
        13.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edling establishment, winter survival rate and dry mater production of chinese milk vetch(Astragalus sinicus L.) in natural reseeding practice was compared with annual seeding during the period of 2006-2007. Generally, practicing natural reseeding technology gives higher seedling stand than the annual seeding because of high seeding survival rate. The high seedling survival rate in naturally reseeded plant is related to the longer root length than that of the annual-seeded plant. In annual seeding, most of seeds stayed on the soil surface and root can not easily penetrate the soil. However, in natural reseeding technology, the seeds are incorporated into the soil during land preparation and they emerged from the soil at 0 to 5cm depths, thereby it has longer root length. This long root length contributes to greater ability to survive even low temperature and low soil moisture condition during winter. The dry matter production in natural seeding was higher than the annual seeding at the early growth stage but the later it was similar in both natural reseeding and annual seeding.
        14.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ims to (1) estimate the biomass yield potential, (2) characterize the biomass and digestible dry matter production, and (3) reveal the characteristic seedling establishment of a whole crop rice variety, Nogyangbyeo, in dry- and wet-seeded rice. Maximum aboveground total biomass of Nogyangbyeo was 18 t ha-1 in dry-seeded rice and 20 t ha-1 in wet-seeded rice. Biomass yield potential of Nogyangbyeo was lower than that of Dasanbyeo. Comparatively, Nogyangbyeo was straw-dependent and Dasanbyeo was grain-dependent for biomass accumulation. Percentage of digestible dry matter (DDM) was higher in panicles than straw. Digestible dry matter yield was determined mainly by biomass yield rather than DDM percentage. Number of seedling establishment in Nogyangbyeo was 73m-2 in dry-seeded rice and 109m-2 in wet-seeded rice. Poor seedling establishment of dry-seeded Nogyangbyeo in the field condition was the result of low seed germination under low temperature and poor seedling emergence by deep sowing. Low seedling emergence rate of Nogyangbyeo was attributed mainly to slow elongation growth by slow leaf development and partly to mesocotyl and 1st internode lengths, not to genetically defined leaf length. The slow elongation growth of Nogyangbyeo was the same even in the high daily mean temperature of 24~circC . Results suggest DDM yield in rice can be improved simply by increasing biomass and whole crop rice varieties should be adaptable to direct-seeding.
        15.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품종의 직파적응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입모율이 높은 ASD1 품종과 비교적 낮은 IR72품종에 대한 종자의 발아기간 중 공기와 질소 충진상태에 따른 sugar와 starch 함량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1. 공기 충진상태와 질소 충진상태에서 직파적응성이 높은 ASD1 품종은 비교적 낮은 IR72 품종보다 발아기간 중 starch 함량이 높았으며 두 품종간 starch 감소 패턴이 상이하였다. 2. 공기 충진상태와 질소 충진상태에서 직파적응성이 높은 ASD1 품종은 비교적 낮은 IR72 품종보다 발아기간 중 sugar 함량이 높았으며 두 품종간 sugar 증가 패턴은 같은 경향이었다. 3. ASD1 품종은 IR72 품종보다 공기와 질소를 계속 충진하거나 주기적으로 주입 또는 질소 충진후 공기를 보충하는 조건 등의 어떠한 충진조건에서도 발아경과에 따른 sugar 함량이 높았다.
        16.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제미작연구소(IRRI)의 IRGC와 INGER유전자원에 대한 직파적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직파조건으로 처리된 20개 시험에서 공통으로 공시된 대비품종군(8개 품종) 직파조건에 대한 입모반응을 검토하여 품종들의 유전적 특성으로 평가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1. 직파조건에 따른 입모율의 품종, 파종시기, 이들의 상호작용 및 모든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직파양식, 복토깊이, 파종기 등의 직파조건별 대비품종군의 품종간 입모반응은 거의 같은 경향으로 나타나서 품종의 특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3. 직파조건에 따른 평균 입모율의 품종간 차이는 ASD1 > IR50 > IR72 > Taothabi > Uplri5 > CO25 > Dula > Moroberakan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건답직파(파종깊이 25mm, 50mm)에서 파종시기에 따른 입모율의 품종 간 차이는 ASD1과 Moroberakan 품종 간에는 모든 직파조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다른 품종들은 직파조건에 따라서 유의성 정도가 다소 상이하여 평균 입모율의 순서와 같은 경향이었다.
        17.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spite of simple and cheap cultivation method, water broadcast-seeded rice demonstrates uneven and unstable seedling establishment per unit land area and requires more herbicide and labor-input for weed control.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phytotron at 18~circC to evaluate the adaptability of seed-mat mulching cultivation technologies in water seeded rice for the uniform seedling establishment and the inhibition of weed occurrence without herbicide application. Five different kinds of mat with different mesh sizes and fabric properties were tested. The emergence of rice was the highest in Lawn-mat treatment, being comparable with the control, in which seeds were sown without mat. The Lawn-mat also exhibited the lowest mat tension. Mat tension may influence the emergence of rice. And once it was soaked in water, it didn't maintain its original shape any more. The emergence rate of rice was the lowest in Safer-mat treatment. In Lawn-mat treatment, which was the most effective for rice emergence in the first study, the differences of emergence and seedling establishment of rice depending on the seeding position (upper, beneath, and between mats) treatments were negligible, while they were higher in dry seeds than in pre-germinated seeds treatment. The emergence as affected by the kinds of mat also showed the same trend when tested using barnyard grass. Depending on the kinds of mat, the inhibition effect of weeds was the greatest in Safer-mat and the poorest in Lawn-mat.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uniform seedling establishment and weed management without chemical could be achieved simultaneously by seed-mat mulching through the combination of effective mat for the emergence of rice and another efficient mat for the inhibition of weed occurrence. This possibility was also tested in the field.
        18.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xamine the seedling stand and growth as affected by early seeding dates of dry direct seeded rice in the Honam plain area of Korea, Dongjinbyeo was seeded at six seeding dates from early March to late April in rice fields of silty loam soil(Jeonbuk series) at the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NHAES) for two years, 1996 and 1998. Seedling stand decreased slightly. with an early seeding date, but it produced more than the optimum seedling number except for the seeding of 25 March in 1996. Days to emergence was significantly longer, as seeding date was earlier, and days to emergence by early seeding was shortened only by 8 days because the mean air temperature was lower in 1996 than average, while in 1998, the reduction effect was nine to twenty five days because the mean air temperature was higher than average. In early seeding, various weeds occurred at the emergence date of rice and dominant weeds were Alopecurus aequailis, Ludwigia prostata and Rorippa islandica. NH4 + -N content in the soil at the 5th leaf stage and maximum tillering stage were lower, as the seeding date was earlier when nitrogen was split applied as basal and top dressed in 1996, while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eeding dates when nitrogen was intensively applied as a top dressing in 1998. Tiller number at the maximum tillering stage and panicle number/m2 were more, as seeding date was earlier in 1996, while it was not different in 1998. Filled grain rate and 1,000 grain weight was not different among the seeding dates. Milled rice yiel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eeding before the middle of March, but in the seeding after late March, it was not varied when compared with the normal seeding date in 1996, while in 1998,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seeding dates. From the above results, in consideration of seedling stand, weed occurance, rice growth and milled rice yield, the critical optimum early seeding time in the southern plain area may lie in early April. But it was suggested that when soil moisture is proper for seeding practices, seeding amount is increased and nitrogen is applied after plumule emergence of rice, milled rice yield may not be reduced in the seeding of middle or late March, compared with the seeding in April.l.
        19.
        199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priming effects of rice seeds, Oryza sativa L. (cv. Ilpumbyeo) on. the seedling establishment and early emergence under excess soil moisture conditions. Seeds were primed by soaking in -0.6 MPa polyethylene glycol (PEG) solution at 25~circC for 4 days. The primed seeds were sown in soils with various soil moistures (60, 80, 100, 120, and 140% field capacity) at 17 and 25~circC , respectively. Germination and emergence rates, plumule height, and radicle length of primed seeds were higher than those of untreated seeds at any soil moisture and temperature examined. The time from planting to 50% germination (T50 ) of primed seeds was less than that of untreated seeds by 0.9~3.7 days. Germination rate, emergence rate, plumule height, and radicle length were highest at the soil moisture of 80% field capacity among the soil moistures. Priming effects of rice seeds on germination and emergence rates were more prominent under the unfavorable soil moistures (60, 100, 120, and 140% field capacity) than those under the optimum soil moisture condition (80% field capacity). However, priming effects on seedling growth were greater at near optimum soil moisture compared with too lower or higher soil moistures.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iming of rice seeds may be a useful way for better seedling establishment under the adverse soil conditions.
        20.
        199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무논골뿌림재배에 알맞는 파종 전 논 굳힘정도와 파종골깊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3년에 전 북통(미사질토양)에서 동진벼를 공시하고 논 굳힘 일수와 파종골깊이를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율은 논 굳힘 일수가 길수록 골깊이가 얕을수록 높았으며, 원추 관입심은 논 굳힘일수가 길수록 낮아졌는데 무논골뿌림재배에 알맞는 굳힘 일수는 4일로 이때 토양의 경도는 원추 관입심으로 6∼7cm 정도이었다. 2. 줄기 매몰심도는 논 굳힘일수가 짧을수록, 골이 깊을수록 깊어졌는데 줄기 매몰정도가 낮았던 4일 또는 6일 굳히고 골깊이를 2cm로 한 처리에서는 도복이 발생하였다. 3. 출수기는 입모수가 적었던 골깊이 6cm처리에서 4cm처리보다 1∼2일이 지연되었다. 4. 쌀 수량은 2일 굳힘에서는 골깊이 2cm에서, 4일 굳힘에서는 골깊이 4cm에서, 6일 굳힘에서는 골깊이 6cm에서 가장 많았다. 5. 이상에서와 같이 미사질토양에서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 입모율, 도복, 및 수량을 고려한 파종 전 논 굳힘 일수는 4일로써 토양경도는 원추 관입심으로 6∼7cm이며 이때 파종골의 깊이는 4cm로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