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50% ethanol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n-hexane, ethyl acetate (EA), n-butanol, water). The main components of the EA fraction were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UPLC Q-ToF/MS. Additionally, a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UPLC. As a resul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113.36 mg gallic acid/g in the EA fraction, which contained the largest amount of the C. lancolata solvent fractions. Also EA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than other fractions. The IC50 of DPPH(2,2-diphenyl-1- 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0.03 mg/mL and the IC50 of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0.049 mg/mL. The EA fraction show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than other fractions and especially inhibited monophenolase oxidase reaction higher than diphenolase oxidase reaction. The monophenolase oxidase inhibited 55%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EA fraction was 0.25 mg/mL. As a result of Q-ToF/MS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angshenoside I and lobetyolin were the main components of EA fraction.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 lanceolata may be used as a potent source of cosmetic agents.
        4,000원
        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의약품 및 화장품 소재로써 흰색 느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효과를 비교하였다.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8.4±3.27 mg GAE/g과 7.3±2.85 mg GAE/g이었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8±3.81 ug/mg과 2.5±1.95 ug/mg이었으며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모두 메탄올 추출물보다 열수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양성 대조구로 사용한 2% 알부틴 (arbutin)비해 40 mg/ml의 높은 농도에서도 열수 추출물은 69.72%, 메탄올 추출물은 52.67%의 낮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DPPH에 의한 라디칼소거 활성을 측정하여 확인하였으며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40 mg/ml의 농도에서도 각 각 80%와 74%로 낮게 나타났다.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WST-1 assay (4-[3-(4-iodophenyl)-2-(4-nitrophenyl)-2H- 5-tetrazolio]-1,3-benzene disulphonate)를 이용하여 추출물의 처리농도에 따른 B16BL6 melanoma cell의 세포생존율로 확인하였으며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각각 0-40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B16BL6 melanoma cell은 9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므로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을 모두 B16BL6 melanoma cell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소득이 증가하고 건강에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단순한 미용 화장품보다 여러 가지 기능성을 가진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천연물에 대하여 항산화, 항염 및 미백 등의 활성을 검증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천연물의 활성과 더불어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는 영지버섯 균사체와의 발효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진쑥 영지균사발효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영지버섯 균사추출물과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저농도의 인진쑥 추출물 보다는 다소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인진쑥 영지균사발효 추출물의 RAW 264.7 세포의 NO 생성 억제활성을 통한 항염활성 평가에 앞서 세포 생존율을 평가한 결과, 흥미롭게도 인진쑥 추출물은 150 μg/mL의 농도부터 RAW 264.7 세포에 대한 생존율을 유의적으로 크게 감소시켰으나, 영지 균사 발효 시 세포 생존율이 크게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영지 균사 발효 시 인진쑥의 독성이 크게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인진쑥 추출물 25 μg/mL의 처리는 동일 농도의 인진쑥 영지버섯 균사발효 추출보다 오히려 유의적인 수준에서 RAW 264.7 세포의 NO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인진쑥 영지버섯 균사발효는 인진쑥 추출물 자체의 RAW 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어 이로 인해 더욱 높은 농도의 영지버섯 균사발효 추출물 처리를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지 균사 발효에 의한 미백 기능성 소재 발굴이라는 본 연구의 취지에 부합하는 결과가 인진쑥 영지균사발효 추출물 처리구에서 확인되었으며, 200 μg/mL 농도에서는 양성 대조군인 arbutin 보다 약 3.66배의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인진쑥 영지균사발효 추출물이 tyrosinase활성을 억제하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4,000원
        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써 갈색 느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갈색 느티만가닥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효과를 갓(pileus)과 대(stipes)로 분리하여 부위별로 조사하였다. 메탄올 추출물 중 갓과 대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8.7±3.27ug/mg과 5.6±2.85ug/mg이었고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8±3.81ug/mg과 1.4±1.95ug/mg이었으며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모두 대보다 갓에서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양성 대조구로 사용한 2% 알부틴(arbutin)과 비교했을 때 1200mg/ml의 고농도에서도 갓은66.9%, 대는 57.97%의 낮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항산화 활성은 DPPH에 의한 라디칼소거 활성을 측정하여 확인하였으며 갓과 대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0mg/ml의 농도에서도 각각 52.55%와 30.35%로 낮게 나타났다. 추출물이 B16BL6 mouse melanomacell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WST-1 assay (4-[3-(4-iodophenyl)-2-(4-nitrophenyl)-2H-5-tetrazolio]-1,3-benzene disulphonate)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조사하였으며 갓과 대 모두 200-2,000ug/ml의 농도로처리하였을 때 10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고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생존율도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양성대조군인 0.04%adenosine을 처리한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4,000원
        9.
        201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ushrooms have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s and food resources in many countr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tioxidant compounds and to evoluat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s from Hypsizigus marmoreus. The pileus and stipe of Hypsizigus marmoreu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nd water, separately. The methanol extract of Hypsizigus marmoreus were fractioned by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and buthanol. The concentrations of total polyphenolics and flavonoids in methanol extracts were investigated by colorimetric method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polyphenolics and flavonoids in methanol extract of the pileus was higher than methanol extract of the stipe. The DPPH re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pileus extract was also higher than stipe extract in methanol extract. The IC50 of DPPH re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pileus and stipe in methanol extract were 18 mg/ml and 1 10 mg/ml, respectively. The IC50 of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pileus and stipe in methanol extract were 500 mg/ml and 1,000 mg/ml in methanol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Hypsizigus marmoreus can be potentially used as a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agent in the cosmetic industry as well as the food, pharmaceutical and medicinal industry.
        10.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Daedalea bien-nis were investigated for its antioxidant activity, poly- phenol content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using 1, 1-diphenyl -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ssa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and 80% methanol extracts of Daedalea biennis fruiting body were 52.06%. and 92.62% at 1.5mg/ml concentration. Total polyphenol content of hot water and 80% methanol extracts were 12.26㎍ GAEs/mg and 13.69㎍ GAEs/mg.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water extract was 19.70% while 80% methanol extract was 15.75% at 1mg/ml concentration.
        1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Suillus granulatus were investigated for its antioxidant activity, polyphenol content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using 1, 1- dipheny 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ssa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and 80% methanol extracts of Suillus granulatus fruiting body were 51.49%. and 90.58% at 1.5mg/ml concentration. Total polyphenol content of hot water and 80% methanol extracts were 33.21㎍ GAEs/mg and 27.97㎍ GAEs/mg.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water extract was 7.8% while 80% methanol extract was 20.88% at 1mg/ml concentration.
        12.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커피생두의 로스팅 과정에서 쉽게 발견되는 커피 은피(coffee silver skin)의 열수와 에 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세포독성실험을 진행하였다. 커피 은피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 물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아졌으며,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력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50 μ g/mL에서 92.26%의 ABTS 라디칼을 소거시켜 양성대조군과 비슷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백효과의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효과와 DOPA 산화 저해효과를 조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주름개선효과의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elastase와 collagenase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각질형성세포(HaCaT)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및 증식실험을 진행하였다. 커피 은피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은 무처리 대조군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커피 은피는 주름개선, 미백,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화장품에 응용 가능한 기능성 소재로 평가된다.
        13.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of the root of Rumex japonicus HOUTT. Methods and Results: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the 70% eth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fraction were 168.99㎎/ g and 651.78㎎/g,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compared through the DPPH radical and nitric oxide (NO) scavenging assays.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and NO scavenging abilities, which confirmed the antioxidant activity. Specifically,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a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than ascorbic acid. These results were related to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Moreover, in the tyrosinase inhibition assay, the ethyl acetate fraction exhibited stronger inhibitory activity than arbutin, which was used as the positive control. The cell viability of L929 cells was analyzed by MTT assay after treatment with 70% ethanol extract and all fractions; no changes in viability were observed, which demonstrated the nontoxic nature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xtract from the root of R. japonicus and its ethyl acetate fraction could be a novel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a cosmetic with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14.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Kenaf (Hibiscus cannabinus L.) is a member of the malvaceae family and has been prescribed in traditional folk medicine in Africa and India. It showed broad biologicas activities such as hepatoprotective activity, antioxidative activity and haematinic activity, Recently, immunomodulatory effect of kenaf extract has been elucidated. However, depigmenting activity from kenaf extract has not been evalu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kenaf leaf extract was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subjecting the extract to together with infrared(FIR) irradiation. Methods and Results : FIR irradiation involves electromagnetic waves with wavelengths ranging from 4 to 15 μM. It has been hypothesized that FIR treatment during extraction of polyphenols from plant cells stimulates exudation of chemical components in cells without destroying the cells by radiant heat and breaks covalent bonds of polymerized polyphenols resulting in the release of active, natural antioxidants with a low molecular weigh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ot only the changes in antityrosinase activity but also the chemical transformation of kenaf extract exposed to FIR(Scheme 1). Conclusion: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kenaf xtract was evaluated after far-infrared (FIR) irradiation. The ethanol extract of kenaf was prepared and its main component was analyzed as a kaempferitrin (kaempferol-3,7-O-a-dirhamnoside). Inhibitory activity of kenaf extract was not detected in tyrosinase assay. Howeve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observed in kenaf extract treated with FIR irradiation. After 60 min of FIR irradiation onto kenaf extract at 60oC, a ethanolic extract was prepared and it showed significan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C50=3500ppm). According to HPLC analysis, kaempferol, afzelin and minor product were detected(. The inhibitory activity may be due to the existence of kaemperol, afzelin and minor product. This study showed that FIR irradiation method can be used as a convenient tool for deglycosylation of flavonoid glycoside.
        15.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antimicrobial effect,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biological composition having the Phytolacca americana, and to enhance the natural materials utilization of foods and cosmetic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different parts of P. americana were evaluated using the agar diffusion tes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 americana was relatively high in Malassezia furfur known as a skin fungi and Vibrio parahaemolyticus compared to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However,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 Vibrio parahaemolyticus did not show at all parts of P. americana. Both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ave been increased with the higher concentration of methanol extract. In particular, leaf extract of P. americana exhibited the highest activity bot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decreased when the pH was changed from pH 1.2 to pH 6.0. The highest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exhibi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fruit, followed by root, stem, and leaf at pH 1.2. However,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t pH of 6.0 was not almost detected. All plant parts of P. americana show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The highest activity was found in the stem, and followed by root, leaf, and fruit in order. Thes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progressively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is experiment on the methanol extracts of different organ from P. americana, we confirmed that the extract of P. americana showed poten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Taken together, we conjectured that the P. americana had the potent biological activities, therefore this plant having various functional components could be a good material for development into source of natural food additives and cosmetics
        16.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질 분자로서 2-[(2,6-dioxocyclohexyl)methyl]cyclohexane-1,3-dione 유도체(1-23)들의 분자 내 치환기(R1 및 R2)가 변화함에 따른 tyrosinase 수용체의 저해활성에 관한 2D-QSAR 모델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유도된 최적의 2D-QSAR 모델은 Obs.pI50=-0.295(±0.031)TDM -0.120(±0.014)DMZ+0.135(±0.050)DMX. R2+6.382(±0.17)이었으며, 예측성(q2=0.843)보다는 상관성(r2=0.905)이 큰 모델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TDM > DMX.R2≥DMZ 순으로 영향을 미치었으며, 기질분자의 소수성(ClogP > 0)이 크고, R1-치환기의 입체적 크기가 클수록 더욱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모델을 분석한 결과, 분자 내 R2-치환기 상 X-축 성분의 쌍극자능률(DMX.R2)이 클수록, 그리고 분자 전체의 쌍극자능률(TDM; Total Dipole Moment)과 Z-성분의 쌍극자능률(DMZ; Dipole Moment of Z-Component)이 작을수록 기질분자의 tyrosinase 저해활성이 높아짐을 암시하였다. 따라서 tyrosinase 저해활성은 기질분자 및 R2-치환기의 전자 친화력에 기인한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므로 저해활성을 증가시키려면 분자 내 극성 그룹을 소수성에 기여하는 비극성 작용기로 대체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17.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미성숙 복분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평가하고 이들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모든 실험은 미성숙 복분자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 분획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법을 이용한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FSC50)은 에탄올 추출물(6.56 μg/mL)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6.14 μg/mL)이 대표적인 지용성 항산화제인 (+)-α-tocopherol (8.98 μg/mL)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e3+-EDTA/H2O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소거 활성(OSC50)은 에탄올 추출물(0.83 μg/mL), 에틸아세테이트 분획(0.84 μg/mL), 아글리콘 분획(1.13 μg/mL) 세 분획 모두 대표적인 수용성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1.5 μg/mL)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ose bengal로 광증감된 1O2에 의한 적혈구 파괴에 대하여, 세 분획모두 농도 의존적(1 ~ 50 μg/mL)인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50 μg/mL 농도를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50% 에탄올 추출물의 τ50은 296.3 min으로 가장 높은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타이로시네이즈저해 활성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은 알부틴보다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미성숙 복분자 추출물은 라디칼을 포함한 활성산소종을 소거하는 항산화제로서, 알부틴을 대체하는미백 기능성 원료로서 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8.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생강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살펴봄으로써 화장품 원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모든 실험은 생강나무의 50 %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분획, 아글리콘(aglycone) 분획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소거활성은 기존에 잘 알려져 있는 항산화제인 (+)-α-tocopherol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e3+-EDTA/ 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세 분획의 소거활성(총항산화능)은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Rose-bengal로 증감된 1O2에 의한 적혈구 파괴에서, 50 %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세포보호 효과는 농도 의존적(1 ∼ 25 μg/mL)으로 증가하였다. 10 μg/mL 농도를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τ50은 361.0 min으로 가장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에서 에틸아세티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은 알부틴보다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생각나무 추출물은 활성산소종을 소거하는 항산화제로 여러 산업 분야에 응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알부틴을 대체하는 미백 기능성 소재로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9.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대황의 50 %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분획, 아글리콘(aglycone) 분획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황 추출물들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소거활성(FSC50)은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α-tocopherol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Luminol 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아글리콘 분획의 소거활성(총 항산화능, OSC50)은 0.265 μg/mL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황 추출물의 rose-bengal로 증감된 1O2에 의한 적혈구 파괴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는 모든 분획에서 농도 의존적(1∼50 μg/mL)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아글리콘 분획은 10 μg/mL 농도에서 τ50이 757.0 min으로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황 추출물 중 아글리콘 분획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IC50)은 11.20 μg/mL으로 226.88 μg/mL인 알부틴(arbutin)보다 큰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대황 추출물은 활성산소종을 소거하는 항산화제로 이용가능하며, 특히 아글리콘 분획의 현저한 항산화 작용 및 큰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로부터 이들 분획 또한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큼을 알 수 있었다.
        20.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unctional materials as skin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agent from Taraxacum officinale and Taraxacum coreanum.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in the ethanol extract of Taraxacum officinale were found to be 64.07mg/g and 32.46mg/g, respectively. In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the hot water extract of Taraxacum coreanum was higher than the other extracts. However, in nitric oxide (NO) scavenging ability, the ethanol extract of Taraxacum coreanum was higher than the other extracts. the ethanol extract of Taraxacum coreanum showed strong NO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 In the cell viability measurement by MTT assay and the lactate dehydrogenase (LDH) assay against L929 cell, the extracts were exhibited fine cell viabilities and normal LDH release levels as nontoxic result in sample concentration of 250~1000μg/ml. As a result, the ethanol extract and the hot water extract of Taraxacum coreanum could be applicable to functional materials for anti-inflammatory and skin whitening related fields, respectively.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