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시에서 주거지와 상업지 간 공간적 분리는 다양한 부정적 외부효과를 파생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즉, 주상 토지이용 분리로 인하여 잠재적 통행발생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교통체증, 대기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로부터 형성된 자동차 위주의 생활방식은 보행활동의 빈도를 감소시켜서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 및 관련 질환 발생의 간접적 요인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도시가 보이는 외연적 확장 과정의 핵심적 특징, 즉 주거와 상업이 공간적으로 분리된 토지이용의 결과로 파생된 공간구조 형성과정을 살펴볼 수 있도록 주상 분리지수를 제안하고 이를 실증자료에 적용하여 활용성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미국 뉴욕 주의 이리 카운티를 대상으로 1900년부터 1995년까지 1년 단위로 주거와 상업적 토지이용의 공간적 분리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리 카운티의 경우 1920년대를 기점으로 주거와 상업이 뚜렷하게 분리된 공간구조를 형성해 왔으며, 카운티 내 교외와 도심 지역에서 각각 주거와 상업적 토지이용이 우세하게 이루어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교외 지역의 고밀도 주거지를 중심으로 외연적 도시 확장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절감을 목적으로 혼합적 토지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도구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Magnetostrictive thin films can be applied in transmission system for the enhancement of energy efficiency. In this study, four kinds of substrates (Si, glass, Fe, polyimide) with the magnetostrictive thin film layers are prepared and investigated to characterize the magnetic and mechanical behaviors due to the substrates effects. The fabricated substrates have thicknesses of 50, 150 and 500um with cantilever shape. TbDyFe films are deposited by DC magnetron sputtering with 1~10m thick. The deposited film thicknesses are verified using X-ray diffraction. The magnetization of each sample is examined using VSM(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and magnetostriction is also measured using capacitance method to characterize magneto-mechanical behaviors. The magnetostriction results as deflections are compared and the results are discussed for micro actuator applications.
Silicon based magnetostrictive structures were fabricated for micro-wireless actuators, and finite element models were developed to predict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actuated structures. These structures can be used to design wireless automotive parts and multi-function packaged micro automotive devices. In the fabrication process, amorphous magnetostrictive films of the optimized binary compound Tb0.4Fe0.6 and Sm0.47Fe0.53 were deposited with various thicknesses on the silicon membrane by DC magnetron sputtering using cast composite targets. Magnetic fields lower than 2KOe (0.2T) were applied for micro-system applications. These films have been tested in a simple cantilever arrangement and the predicted magnetostrictions of the actuated membranes through the developed FE models have been calcula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wear properties of CVD ceramic coatings, wear process was evaluated using the coated pin of Falex Tribosystem. Also,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ating material on wear process, TiC,N of thickness 5m∼6m coated by Thermal CVD method were applied. The wear property of TiC,N film, the higher the deposition temperature was, the closer the lattice parameter was to the amount of the standard power, and the grain size increased. According to the wear formation, under the control that there is on specific wear rate wear parameter and coating delamination, decrease with increasing sliding friction and when the coating delamination happened.
In this research, the flow and forced convective heat transfer analysis of HEV battery pack were investigated numerically regarding the different shapes of the inlet, outlet, and battery case. The velocity ,pressure,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fluid at the inlet part of the battery module were numerically calculated for the optimum design of the battery pack for three different inlet shapes of the battery module. In addition, the local battery temperature for height and width and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air inside the battery pack were numerically obtained. Ultimately, the circle shape of the inlet and outlet were determined for the energy-effective shape of the battery pack.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lay declaration of the traffic insurance accident which is focused on a business truck causing the traffic insurance accident. The type of the delay declaration is classified as 15 types and it differs in level of payment of insurance money. It is most important that the support policy of government and the self-help of related business to reduce the delay declaration and pursue progressive solution. Moreover, it is essential not only introducing the strict regulation system but also adapting the various victim protection system.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의 목적은 공급사슬에서 발생하는 재고 및 운송에 관련한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여기서 발생하는 비용은 여러 변수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공급망 전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고 모델링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여러 구성요소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분석하기 위해 수학적 접근방법을 사용하는 것 보다 시뮬레이션 방법을 사용해 모델링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H자동차의 조달물류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방법을 활용하여 조달물류의 최적 배송주기를 도출하고, 재고관리의 문제점을 개선 하고자 한다.
현대 도시는 고밀도의 토지이용, 불투수 포장면의 증가, 자동차 사용의 증가, 각종 개발 등으로 인하여 녹지가 훼손 되고, 파편화되었으며, 거주환경은 날로 악화되고 있다. 최 근 시민들의 만족과 도시의 쾌적성을 높이고자 많은 양과 질의 공원녹지를 확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개 별사업에 의한 독립적인 조성으로 녹지간 연계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가운데 현대인들은 경제적 풍요와 여가 시간의 증가 등으로 도시민의 건강, 도시 환경, 인간적 교류 를 추구하는 커뮤니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 서 기존의 녹지 공간과 지역 내 커뮤니티 시설을 연계한 그린웨이 조성으로 도시의 부족한 녹지 확보 및 지역 커뮤 니티 활성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대상지인 인천광역시 남구는 주민생활과 밀접한 시 가지 내 녹피율이 10% 미만으로 생활권 주변 녹화를 통한 녹지 확충 및 기존녹지와의 연결을 위한 그린웨이의 필요성 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민 생활과 밀접 한 생활권 주변 지역과 커뮤니티 공간을 활용한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노선을 도출함으로써 부족한 녹지공간 확충, 기존 녹지의 연결 및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장기적으 로 지역 주민들이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자신이 살고 있 는 곳을 더욱 아끼고 사랑할 수 있는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그린웨이 조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천광역시 남구의 도시생태계 및 커뮤니티시설 현황 파 악을 위해 도시 연혁, 도시계획을 검토하였고, 토지이용, 물 순환, 생물다양성 현황 등의 환경생태 현황을 조사 분석하 여 녹지 확보 및 연결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거주지 주변 커뮤니티시설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커뮤니티형 그 린웨이 노선 선정은 남구를 생활권별로 구분하여 생활권 내 주민의 주 이용 노선과 커뮤니티 형성 가능 지역을 연계 하는 노선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노선별 특성을 분석하였고 유형을 구분한 후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유형별 녹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천광역시 남구는 시가지 87.7%,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가 12.3%로 녹지가 매우 부족하였다. 남구의 녹지 면적은 전체면적의 12.0%이었고, 녹피율은 17.51%이었다. 남구의 전체 녹지용적은 10,438,866㎥이었고, 1인당 녹지용적은 25.0㎥로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35.8㎥에 비하여 낮아 녹지 용적이 부족하였다. 물순환 특성에서 옥상녹화가 가능한 건 물 면적은 8,132,566㎡로 남구 전체의 32.7%를 차지하였 고, 불투수면적은 17,457,665㎡로 남구 전체의 70.2%를 차 지하여 빗물이 땅으로 흡수될 수 있는 면적이 협소하였다. 생물다양성 특성으로 현존식생은 문학산, 수봉산, 승학산 등을 중심으로 한 산림지역에서 아까시나무림이 가장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였고, 자생종 보다 외래종의 비율이 두 배 이상 높아 생태적 식생관리가 필요하였다. 야생조류는 총 49종 1,615개체가 산림지역을 중심으로 관찰되었고, 거점 녹지를 이동하는 딱따구리가 관찰되어 야생조류 이동 및 서식처 확대를 위한 녹지연결이 필요하였다. 인천광역시 남구의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시설은 총 12 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남구 전체 면적의 21.4%를 차지하 였다. 초·중·고·대학교 등 교육시설은 98개소가 분포하여 남 구 전체의 7.7%의 면적을 차지하였고, 산림은 문학산, 수봉 산, 승학산 3개소로 6.6%의 면적이었다. 녹지시설은 134개 소로 1.9%의 면적이 분포하였고, 공원시설은 114개소로 1.7%이었다. 복지시설(5개소)과 광장(3개소), 철도역사(3 개소) 등은 0.1% 이하의 작은 면적으로 소수가 분포하였다. 커뮤니티 시설은 주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적 성격의 공간으 로 주민간의 교류 장소이며, 공적 녹지의 조성이 가능한 장 소이었다. 인천광역시 남구의 생활권 구획은 행정동 차원과 주요 큰 간선도로 및 철도, 도시개발예정지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총 31개 블록으로 구분하였다. 생활권별 녹피율을 분석한 결과 녹피율 5% 미만 생활권이 16개, 녹피율 5∼10% 생활 권은 5개, 녹피율 10∼20% 생활권은 7개, 녹피율 20% 이상 생활권은 3개로 평균 녹피율 5% 미만인 블록이 전체 생활 권 블록의 51.6%이었다. 생활권 구획 결과 문학산, 수봉산, 승학산, 인천대학교, 인하대학교가 위치한 블록에 생활권 녹지가 집중적으로 분포하였다. 특히 승학산이 포함된 생활 권 블록은 녹피율이 32.3%로 가장 높았다. 문학경기장을 포함한 생활권 블록은 문학정보고등학교, 인천여자신학교, 문학동 주민센터 등이 위치하여 녹피율이 23.5%로 높았다. 수봉산이 포함된 생활권 블록은 도화초등학교, 인천남중학 교, 용정초등학교 등 많은 교육시설과 근린공원이 위치하여 녹피율이 20.6%이었다. 인천광역시 남구의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노선은 생활권 구획 내 지역주민이 주로 이용하는 이면도로를 대상으로, 학교, 주민센터, 시장, 공원 등 지역주민의 커뮤니티가 형성 될 수 있는 가능 지역을 경유하도록 선정하여 커뮤니티 블 록 단위에서 총 20개 노선, 18.2㎞를 선정하였다. 커뮤니티 형 그린웨이 노선별 특성은 토지이용 및 가로환경과 커뮤니 티 시설 측면으로 종합적으로 분석 평가하였다. 그린웨이 노선기능은 이동/교통, 여가, 생태/심미 목적으로 구분하였 고, 토지이용으로 주거지역과 상업업무지역으로 구분하였 다. 주요 커뮤니티 시설 유형은 이용목적별로 교육형, 근린 생활형, 종교형, 레크레이션형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주민이 주로 이용하는 주민센터, 복지시설, 기타 공공기관 등은 근린생활형, 학교시설 등 교육시설은 교육형, 교회, 성 당 등의 종교시설은 종교형, 공원 및 녹지, 운동시설 등은 레크리에이션형으로 구분하였다.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유형은 노선의 특징을 그린웨이 계 획의 기능과 목적, 기존 토지이용현황, 커뮤니티 시설 유형 에 따른 기준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실제 노선 조사를 바탕 으로 상호연관성 정도를 파악하여 6가지의 그린웨이 유형 을 제안하였으며, 다양한 목적과 기능들이 긍정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복합적으로 계획하였다. Type 1은 이동/ 교통, 주거지역, 근린생활형의 유형으로 3개 노선이 해당되 었고, Type 2는 이동/교통, 주거지역, 교육형과 종교형의 유형으로 2개 노선이 해당되었으며, Type 3은 이동/교통, 주거지역, 교육형과 레크리에이션형의 유형으로 3개 노선 이 해당되었다. Type 4는 이동/교통, 상업지역, 종교형 유형 으로 3개 노선이 해당되었고, Type 5는 여가, 주거지역, 교 육형과 레크리에이션형 유형으로 3개 노선이 해당되었다. Type 6은 생태/심미, 주거지역, 레크리에이션형 유형으로 6개 노선이 해당되었다.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조성방안은 그린웨이 기능과 목적 별, 토지이용 유형별, 커뮤니티 시설 유형별 조성방안을 제 안하였다. 그린웨이 기능과 목적별 조성방안으로 이동/교통 유형은 도로구조 개선 및 수목식재 등을 통한 보행자 위주 의 숲길과 담장녹화, 벽면녹화, 골목길녹화 등 쾌적한 환경 제공, 이동에 편리한 보행자전용도로 확보를 제시하였고, 여가 유형은 산책과 운동의 장소 제공과 휴게공간 확충, 거 주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공간에 여가, 체육활동을 가능 하게 하는 공원, 쉼터 확충을 제시하였으며, 생태/심미 유형 은 동식물의 이동통로 등 생태적 기능이 가능하도록 인접녹 지와 연계하며 산림내 사람의 접근을 최대한 통제하여 숲과 나무들로 이루어진 자연환경을 접함으로써 정신적 건강도 모를 제시하였다. 토지이용 유형별 조성방안으로 주거지역은 담장허물기 등을 통한 도로구조와 차량통행방식 개선으로 무질서한 주 차공간을 정비하여 커뮤니티 공간으로 전환하며, 화목류 위 주의 식재로 사계절 볼거리를 제공하고, 아교목층과 관목층 등 다층식재로 주변 녹지와 연결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단독 주거지를 중심으로 텃밭조성, 골목길 녹화, 대문 위 녹화 등 녹지확충을 통한 풍부한 녹음으로 주변 공동주택 단지와 연계되어야 하며 공동주택 단지 내 베란다녹화, 화분걸이, 계단녹화, 옹벽녹화, 휀스 녹화 등 자투리 공간 녹화와 상자 텃밭 활용을 제시하였다. 상업업무지역에는 상가 앞 포트를 활용한 거리 특화 및 주차공간 녹화, 상가 이미지를 부각시 킬 수 있는 화목류나 단풍식재 등 품위 있고 아름다운 수종 의 녹화로 건물의 외관을 살릴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가로 변 화단 및 이벤트 화분 등으로 업무종사자의 출퇴근 및 이동에 쾌적한 보행환경을 제공하여야 하며 도로구조 개선 및 수목식재 등을 통해 차량보다는 보행자 위주의 숲길 조 성을 제시하였다. 시설 유형별 조성방안으로 근린생활형 유형은 관공서 및 공공시설, 마트 등에 옥상녹화, 벽면녹화, 담장허물기, 화분 녹화, 소규모화단 조성 등 녹지와 주민 휴게공간을 조성하 여 지역주민들에게 개방함으로써 공원으로 기능하도록 하 였다. 교육형은 학교 담장을 허물고 녹지를 확충하여 주민 들에게 개방하고 담장녹화, 옥상비오톱, 옥상텃밭 조성, 다 양한 종류의 꽃과 나무 식재로 볼거리 제공 및 학습의 효과 를 제공하도로 하였다. 종교형은 내부 녹지대개방, 담장허 물기, 담장녹화, 벽면녹화 등을 통해 휴식처를 제공하고, 잔 디주차장 녹화로 녹량을 증진하도록 하며, 레크리에이션형 은 공원, 산림 등 주변 녹지와 연계되게 조성하여 생태통로 및 서식처로 기능하며, 유휴지나 공지 등에 공원 및 쉼터를 조성하여 휴식 및 만남과 화합을 위한 지역공동체 공간조성 을 제시하였다.
In the trend toward globalization, cross-cultural teams in organizations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mmon.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China and Western Europe on the global economy is getting increased. With this tre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cross-cultural characteristics for group decision making in managerial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cross-cultural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Western Europe in light of the effect of group discussion in group decision making. An experiment simulating a decision of a car purchase was conducted. A total of 48 subjects (24 Chinese and 24 Western Europeans) assigned in decision groups were asked to judge relative importance ratios of nine factors affecting their purchase decisions using the AHP program developed for the experiment. Three dependent variables (consistency, satisfaction, and consensus) were measured. Chinese were slightly more consistent than Western Europeans in discussion-involved group decision making. In terms of decision satisfaction, Western Europeans were more satisfied with discussion-included decisions than discussion-excluded decisions. Chinese, on the contrar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cultures in decision consensus.
Warehouse Management System was a helper of business in past, but it is perceived as a core competitive power and a tool for generating new business. It have been come out some new prospects for WMS due to generalization of global outsourcing and extension of the range of supply chain. In China, H automobile company construct the new WMS for providing the production extension and increment of part demand for A/S. This paper deals with the location management in warehouse, warehouse management, delivery management of goods from a warehouse, inventory management organizing WMS for construction of A/S warehouse in H motor in China. Then we identified the several problems of existing warehouse and constructed the driving organization and methods for overcoming these problems. We continually gather data for analysing the effects of new A/S warehouse and WMS construction.
Since the basic built-in-test, prognostic health management (PHM) has evolved into more sophisticated and complex systems with advanced warning and failure detection devices. Aerospace and military systems, manufacturing equipment, structural monitor- ing, automotive electronic systems and telecommunication systems are examples of fields in which PHM has been fully utilized. Nowadays, the automotive electronic system has become more sophisticated and increasingly dependent on accurate sensors and reliable microprocessors to perform vehicle control functions which help to detect faults and to predict the remaining useful life of automotive parts. As the complication of automotive system increases, the need for intelligent PHM becomes more significant. Given enormous potential to be developed lays ahead, this paper presents findings and discussions on the trends of automotive PHM research with the expectation to offer opportunity for further improving the current technologies and methods to be applied into more advanced applications.
In modern systems design and development, one of the key issues is considered to be related with how to reflect faithfully the stakeholder requirements including customer requirements therein, thereby successfully implementing the system functions derived from the requirements. On the other hand, the issue of safety management is also becoming greatly important these days, particularly in the operational phase of the systems under development. An approach to safety management can be based on the use of the failure mode effect and analysis (FMEA), which has been a core method adopted in automotive industry to reduce the potential failure. The fact that a successful development of cars needs to consider both the complexity and failure throughout the whole life cycle calls for the necessity of applying the systems engineering (SE) process. To meet such a need, in this paper a method of FMEA is developed based on the SE concept. To do so, a process model is derived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required activities that must be satisfied in automotive design while reducing the possibility of failure. Specifically, the stakeholder requirements were analyzed first to derive a set of functions, which subsequentially leads to the task of identifying necessary HW/SW components. Then the derived functions were allocated to appropriate HW/SW components. During this design process, the traceability between the functions and HW/SW components were generated. The traceability can play a key role when FMEA is performed to predict the potential failure that can be described with the routes from the components through the linked functions. As a case study, the developed process model has been applied in a project carried out in practice. The results turned out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the approach.
A computational fluid flow analysis of a car has been accomplished to explain the lif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wiper angle and car speed. The present study established the process to get the lift coefficient distribution on the whole range of a wiper operating angle. From the result of the present research, it could be seen that the lift coefficient of a wiper with the lower wiper angle had relatively smaller magnitude. On the other hand, the lift coefficient with the wiper angle near 45° wa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with the other wiper angles. The present study also verified the usefulness of the lift coefficient that the lift distributions of various car speeds could be derived from the result of a lift coefficient distribution for only a car speed.
This study analyzes lifes and damages at automotive tie rod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es with fatigue. The structural result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with the design of automotive tie rod by investigating prevention and durability against its damage.
Electrical Moving system(EMS)은 제조업(주로 자동차 생산공장 및 전자제품 생산공장, 식품공장 등) 생산공장에서 사용되는 무인 자동화 운반설비를 말한다. 지금으로부터 200년전 James Ford가 개발했던 공장자동화의 역사는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발전을 거듭하였으며 최근에는 작업자의 안전 및 돌발적 사고로 인한 생산성 급감이 생산공장에서는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존 시스템의 운반설비 시스템에 더욱 스마트한 기능을 더한 자동화설비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생산중인 제어부 전차반의 크기를 기존 대비 30 % 정도 compact하게 재설계하여 소형화함으로써 사고를 줄이며 스마트한 기능은 더욱 증대시킨 제어부 표준전차반 제작을 실시하고자 한다.
자동차 생산공장 내에서 생산되어진 여러 제품들을 이송시키는 경우 생산라인에 인원배치가 되어있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생산라인 부분 혹은 CCTV 등으로 확인이 가능한 지역이 있는 반면 확인 불가능한 지역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사고처리가 비교적 편하지만 만약 육안으로 확인 불가능한 곳에서 사고가 일어난다면 사고 발생 후 라인이 정지된 상태에서 비로소 확인이 가능하고 원인분석 등의 대응에 도입이 가능하다. 금강오토텍에서는 이번 현장맞춤형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자동차 생산공장 내 자동화 운반물 이송 시스템의 돌발적인 충돌 및 적재물 추락 사고에 대한 자체 기록이 가능하고, 실시간 무선 송신으로 관리자가 상황을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자동이송 전차를 개발 계획 중이다. 이를 위해 이송전차에 탑재 가능한 소리 및 충격 센서와 실시간 영상기록장치, 영상을 보내주는 무선 송신기를 개발, 설치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려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application and effects of MES for H automobile plant in China. There existed the production planning and the different work order in PL painting plant, but we can simultaneously prepare the painting parts and parts delivery and assembly according to painting color by introducing MES. We can respond the change of production planning and operate integratively the PL painting, parts storage and parts delivery and then we can results in reasonable logistics. We obtained the exact production information, correct work order, precise delivery order. We obtained not only the improvement of logistics but also the reduction of inventory.
Automobile market was grown up by 1.7% at the first half of 2012 comparison with 2011 in China and this growth trend will be continued for a while. Under this market environment the China automobile companies expand the production capacity and result in heightening the intense competition for companies. This paper deals with the more efficient production line and production logistics through SPS(Synchronized Production System) with construction of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in H automobile company in China. In plastic painting line we can simultaneously prepare the production quantity and delivery time according to assembly production plan by introducing MES. We can reduce the excess production and result in extreme reduction of inventory.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은 그린 카(Green car)기술 획득을 위한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따라서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을 평가하고 그 동향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특허성과 평가를 위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특허지표 중 일부만을 활용하였으며, 특히 이들 지표들을 포괄적으로 고려한 종합적인 분석에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허 평가를 위한 요소들에 대한 중요도를 반영하여 전체적인 특허성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에서는 네트워크 분석절차(Analytic Network Process)을 통해 특허지표들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된 후, 이 정보를 활용한 가중치 범위 제한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Assurance Region, DEA-AR)을 수행한다. 이때, DEA-AR모형의 투입요소로는 기업규모, 연구개발비, 직원 수를, 산출요소로는 특허 수, 특허 피인용수, 특허 청구항수를 고려하였다. 이 방법을 활용하여 글로벌 자동차기업의 기술혁신 효율성을 평가한 결과, 그린 카 시장의 동향과 추세를 파악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