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71

        7141.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흑미의 가공부산물인 흑미강으로부터 기능성 polyphenol 및 flavonoid가 새로운 추출방법인 아임계 추출법을 통해 추출되었고, 열수(80oC), 에탄올, 설탕용액을 이용한 기존 추출법과의 추출효율이 비교 분석되었다. 건조된 흑미강 시료로부터 polyphenols(35.06±1.28 mg QE/g dried material) 및 flavonoids(7.08±0.31 mg QE/g dried material)에 대한 최대 수율이 아임계 추출법(190oC, 1300 psi, 10 min)을 통해 획득되었으며, 이것은 기존 추출법 가운데 가장 높은 수율을 보인 에탄올 추출법을 통한 polyphenols(2.98±0.74mg QE/g dried material) 및 flavonoids(0.58±0.21mg QE/g dried material) 수율 대비 11.77배와 12.21배 이상 더 높은 것이었다. 추출방법에 따른 흑미강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흑미강 시료 1 g 당 획득된 추출물의 건조중량 차이 비교를 통해서 얻어진 건조 흑미강 1 g 당 함유된 항산화 성분의 상대수율(relative yield, %)은 최적조건(190oC, 1,300 psi, 10 min)의 아임계 추출법을 통해 획득된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것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상대수율에 비해 대략 11.53배 이상 더 높은 것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아임계 추출법이 흑미강으로부터 기능성 polyphenols 및 flavonoids를 추출하는데 매우 적합한 방법임을 설명하고 있으며, 유기용매 추출법을 포함한 기존의 전통적 추출법에 대한 매우 효과적인 대안임을 제시하고 있다.
        4,000원
        7142.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전통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서 우리 나라 고유의 술인 막걸리 소비가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해외 수출량도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막걸리의 유통 및 저장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는 미생물 제어 기술로서 냉장 유통과 가온 살균에 제한되어 표준화된 기술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 유통기간 연장 방법의 하나로 막걸리를 급속동결(Quick Freezing, QF) 및 완만동결(Slow Freezing, SF)을 하였으며 이에 따른 품질 변화를 실험하였다. 즉, 동결 방법에 따라서 40일간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10일 간격으로 시료를 취하여 10oC에서 24시간 해동시킨 후 이화학 분석 및 미생물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시료군에 대해서 환원당은 저장 10일째 급격히 증가한 후 저장기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증가폭은 크지 않았다. 산도 및 색도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미생물의 경우 젖산균 및 효모 모두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젖산균의 경우 초기 젖산균이 4.1×107 CFU/mL에서 저장 20일째 QF는 3.6×106 CFU/mL, SF는1.8×104 CFU/mL로 나타나 QF 경우보다 SF경우 저장 중 젖산균에 대한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효모의 경우에서도 동일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 냉동 방법과 기간에 따라 막걸리 내 미생물의 생육을 제어하는 가능성을 알아볼 수 있었다.
        4,000원
        7143.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쌀가루제품은 밀가루 제품에 비하여 알레르기 유발율이 낮으므로, 영유아용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특히, 영유아용 식품은 치아발달이 미숙한 영유아에 적합하도록 침에 의해서 쉽게 녹여 삼킬 수 있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 개발된 팽화쌀과자는 이러한 특성을 모두 만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쌀가루로부터 쌀압출물을 제조한 후 팽화시켜 다공질이 많은 구조를 갖는 쌀과자를 제조하였다. 팽화쌀과자의 팽화율은 1.8배이었으며, 경도는 대조군으로 연구된 Graduates 및 Little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팽화쌀과자의 수분흡수량은 상대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수분 흡수속도는 상대습도 30-40% 구간에서 0.0024 mg/hr로 가장 낮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팽화쌀과자는 기존 쌀가공품이 보이는 딱딱한 물성을 다공성의 구조의 형성을 통하여 개선하였으며, 이는 영유아의 씹힘과 삼킴에 부담을 줄이며 저작운동을 유도하여 치아발달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팽화쌀과자와 같은 팽화쌀제품의 개발을 통하여 기존에 밥, 떡, 주류 중심의 쌀제품에서 탈피하여 쌀가공품의 다양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
        4,000원
        7144.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들은 식품시료와 교차오염 원인의 지표가 될 수 있는 도마에 접종한 후 오존수와 일반 수돗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미생물의 변화와 세척방법에 따른미생물의 변화를 각각 비교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일반 수돗물보다 오존수가 살균효과가 더 높았고, 같은 세척수로 세척 시에도 접종 방법, 실험시료 및 시료의 표면, 균질화에 따라 살균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척방법으로는 침수보다 주수 에서 살균효과가 더 컸으며 오존수의 농도는 0.2 ppm에서 유의적인 살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오존수 농도가 0.4, 0.6, 1.0 ppm으로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살균효과 또한 증가하였다. 위의 결과들을 통해 0.2 ppm 이상의 오존수가 부패 미생물 제어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식품의 제조 가공 시 여러 안전성 면에 있어서 오존수를 이용한 세척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4,000원
        7145.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홍삼음료의 다양화 및 기능성 강화와 여러 기능성을 가진 황기의 식품으로의 활용에 역점을 두고, 기존의 증점제를 대신하여 동결건조 천년초열매를 첨가한 새로운 기능성 홍삼음료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높은 항산화활성을 지닌 황기추출물을 얻고자 추출용매의 지용성정도를 달리하면서(100(증류수) : 0(95% 에탄올), 75 : 25, 50 : 50, 25 : 75) 80oC에서 추출한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ABTS 및 DPPH radical 소거능 실험에서 증류수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추출물의 항산화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용매의 온도에 의한 황기추출물의 항산화활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추출용액의 온도를 달리하면서(60, 80oC) 추출한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비교해 본 결과, 80oC에서의 추출물이 증류수와 에탄올혼합비율과는 상관없이 대부분 60oC 추출물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기존의 점증제를 대신하여 다양한 기능성을 함유한 천연물 소재인 천년초분말을 선택하였으며, 구아검용액과 농도별 점도를 비교해 본 결과, 구아검 0.1%(w/v) 용액과 비슷한 점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천년초분말의 경우 1-2%(w/v)의 농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황기와 천년초 첨가가 홍삼용액의 저장성(35oC)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들 용액의 pH와 총미생물수를 7일 동안 측정하였다. 홍삼용액에 황기와 천년초를 첨가한 경우, 저장 1일째부터 pH가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저장 3일째에는 pH가 약 3.6까지 떨어진 다음, 저장 6일 이후에는 다소 pH가 증가하였으며, 천년초분말을 첨가한 용액에서는 황기의 농도증가에 의한 유의적 pH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다. 천년초를 첨가한 홍삼용액의 경우 황기의 농도와는 상관없이 저장 7일째 미생물의 성장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천년초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에 비해 6 log cycle 이상의 큰 살균효과를 나타내었다. 황기(3, 5%, w/v), 천년초(1.2%, w/v)를 함유한 홍삼용액(5%, w/v)이 대장암 및 뇌종양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0.5 mg/mL과 1 mg/mL의 농도에서 살펴본 결과, 종양세포에 대한 의미 있는 증식억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7146.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세포외 β-glucosidase를 생산하는 효모 37개 균주와 Lactobacillus 젖산균 5개 균주 중에서 세포외 β-glucosidase 효소활성이 우수한 Lactobacillus zeae와 Pichia pijperi을 선발하였고, 2-MBQ와 2,6-DMBQ 생산을 위한 밀배아 발효의 스타터로 사용하였다. P. pijperi 균주만을 이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한 경우 2-MBQ는 거의 생성되지 않았으며, 2,6-DMBQ는 발효 개시 후 36시간과 48시간이 경과한 후 각각 0.02±0.01 mg/g 및 0.02±0.001 mg/g의 농도로 생성되었고 Lb. zeae 균주만을 이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한 경우에는 발효개시 후 36시간과 48시간이 경과한 후 2-MBQ는 0.21±0.02 mg/g에서 0.28±0.06 mg/g으로 증가하였고 2,6-DMBQ 생성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효모와 젖산균을 동시에 사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했을 때에는 발효 개시 후 36시간이 경과한 후 2,6-DMBQ의 생성량은 효모 및 젖산균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2-MBQ의 농도는 0.39±0.06 mg/g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48시간이 경과하면 더욱 증가하여 0.46± 0.07 mg/g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젖산균인 Lb. zeae 균주가 효모인 P. pjperi보다 상대적으로 2-MBQ 및 2,6-DMBQ를 생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두 균주를 동시에 사용하면 각 균주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2-MBQ 및 2,6-DMBQ를 생산하는데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7147.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rrently, nanotechnology is widely appli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is rapidly emerging as a promising future technology. In food industries, nanotechnology is used to enhance food quality and safety. Numerous cutting-edge studies on the advantages of nanotechnology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s of food processing, food ingredients and additives, food packaging, and food engineering for optimal health. The market for these areas of research has grown steadily, a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do so. Because of this, R&D for nanotechnology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in food industries is being performed by several companies, as well as in academic research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This review describes the recent global R&D trends that have been in progress for two key areas: food processing and food packaging.
        4,000원
        7148.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 정부의 직업교육정책이방향이 특성화고교 연계 확대 방향(교육부,2007)으로 됨에 따라 정부부처 협약학교로 국토해양부 해사고, 농림수산식품부 공립전문계고(3개교),프로그램지원 운영(6개교)학교가 지정되었다. 미래 어업인 양성 중심의 수산계 고교 특 성화 사업의 효율적 시행을 위하여 수산고교 자체에서 추진하기 어려운 과정은 공통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전문기관에 위탁하여 실시하 고 있다. 이 공통프로그램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발전하기 위하여 일본 수산계 고교의 실습현장 제도와 비교하면서 우리나라 수산고 특성화 사업인 공통프로그램의 개선방향으로 현장실습훈련을 동해,남해,서해권의 권역별 실시와 실습업체 개발과 인센티브 제공, 종합 승선실습의 기간 연장 운영을 제시하고자 한다.
        4,000원
        7149.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umers are highly interested in processed fishery products that are healthy and superior in terms of convenience, nourishment, and taste. However, current domestic research on processed fishery products is marginal. We systematically analyzed consumer consumption patterns and the relationship to pursuit benefits, selection attributes, satisfaction levels, and reasons for purchase. Consumers considered product information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attribute, whereas convenience scored highest for pursuit benefits. Furthermore, the influences of selection attributes and pursuit benefits on satisfaction level and the reason for purchasing an item were analyzed using demographic properties as control variables. The variables that affected satisfaction level were residential district (region: B= -0.268, p<0.05.), recipe (B=0.098, p<0.05), nutrients (B=0.124, p<0.05), convenience (B=0.283, p<0.001), and economics (B=0.138, p<0.05). The variables affecting the reason for purchasing were nutrients (B=0.173, p<0.001), convenience (B=0.277, p<0.001) and satisfaction level (B=0.163, p<0.001). Pursuit inten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however, selection attribute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consum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s result showed that if consumers were satisfied, they intended to repurchase. Attempts to increase repurchases by consumer are needed by fulfilling consumer satisfaction. These data can be utilized as a fundamental reference for sales promotions.
        4,000원
        7150.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내에서 유통되는 식품과 식품접객업소(집단급식소 포함)의 조리식품을 대상으로 식중독 원인균 분석 및 위생미생물 검사를 실시한 결과, 분리된 대장균의 항생제 감수성 시험을 통하여 이들의 내성 정도를 파악하고, 내성 유전자와 병원성유전자의 분포도 알아보았다. 모두 1313건 의 샘플 중 50건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어 3.8%의 검출률을 보였다. 이중 육회 1건에서 장출혈성대장균 O26 1건, 김밥 에서 장병원성대장균 1건이 각각 검출되었다. 50건의 대장 균중 50%가 16종의 항생제에 모두 감수성을 보였으며 내성이 높게 나타난 항생제는 ampicillin(36%), amoxicillin/ clavulanic acid(32%) 그리고 tetracycline(22%)의 순이었다. 이들의 내성유전자 분포는 TEM이 1건, tetB 4건이 각각 검출되었다.
        4,000원
        7151.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1종류의 폴리스티렌 용기를 대상으로 용출조건에 따른 용기내 증류수로 용출되는 5종의 VOCs(톨루엔, 스티렌, 에틸벤젠, 이소프로필벤젠 및 n-프로필벤젠)를 Purge&Trap 장치를 연결하여GC-FID로 분석하였다. 각 표준물질은 1~50 ng/ mL의 농도범위에서 직선성(r2 =0.9976~0.9995)을 나타냈으며, 검출한계는 0.041~0.092 ng/mL, 정량한계는 0.135~0.304 ng/mL 이었다. 용출조건은 첫째, 60oC에서 30분, 둘째, 95oC에서 30분, 셋째, 실생활에서 컵라면 섭취시를 고려하여 끓은 물을 부은 후 뚜껑을 덮고 3분간 유지한 다음 뚜껑을 열고 5분 동안 개방하여 용출시키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톨루엔, 에틸벤젠, 이소프로필벤젠 및 n-프로필벤젠은 평균용출량이 모든 조건에서 5 ng/mL 이하로 검출되었으며 스티렌의 경우는 60oC에서 평균용출량이 4.02 ng/mL, 95oC에서는 52.71 ng/mL, 컵라면 섭취시의 조건에서는 17.23 ng/mL로 검출되었다.
        4,000원
        715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mato were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10℃, 20℃, room temperature and 30℃) for 5 days. During the storage period, Brix, pH, color, texture, vitamin C, lycopene were analyzed. Brix and pH had a little change. Texture force of tomato decreased with storage time and we could see a softening for tomato stored at 30℃ for 1 day. Addtional, the L*(lightness) and b*(yellowness) decreased and a*(redness) increased with storage time. Addtionally, content of vitamin C increased up to 9.08㎎/100g~17.82㎎/100g after 5 days storage according storage temperature, whereas content of lycopene increased up to 3.81㎎/㎏~34.56㎎/㎏ after 5 days storage according storage temperature. Optimal mature temperature for tomato was room temperature.
        4,000원
        7153.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ocus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 corn starch-sponge matrix prepared at a low concentration below gel forming by freeze-drying. The effect of variables(starch concentration, heating temperature, and heating hold tim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amples was analyzed by response-surface methodology. Regression models on the properties of samples such as hardness, springiness, and water solubility index(WSI) show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r>0.95) and significant F values, but regression models for the other properties(swelling power, apparent viscosity, reducing sugar content, and digestibility) showed them to have relatively low significance. Sample hardness of sample showed the highest value at condition of 90℃ and 5%, whereas springiness was at a maximum at 130℃ and 5%. Also, at 1% of starch concentration, mechanical properties were greatly decreased as the relative humidit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3% and 5%, especially in the hardness of samples. The WSI showed an increasing trend with heating temperature regardless of starch concentration. Overall,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eeze-dried corn starch-sponge matrix were influenced much more by starch concentration and heating temperature than by heating hold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basic properties of freeze-dried corn starch-sponge matrix can be used for the specific food applications or as a functional material for its stability.
        4,000원
        7154.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non-offered meal on waste reduction in foodservice. To this end, the quantity of non-offered meal before and after Quality Improvement(QI) activity was analyzed, and employee satisfaction with foodservice was investigated. Statistical data analy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daily quantity of non-offered meal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QI(p<0.001)(27.80±3.14㎏ before QI and 7.22±4.17㎏ after QI). Among 7 items related to employee satisfaction, kindness of meal service staffs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QI(p<0.05)(4.05±0.74 before QI and 4.21±0.17 after QI).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variety of menus, or cooking/seasoning of food, and there seemed to be greater satisfaction with taste of food after QI.
        4,000원
        7155.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Korean ginseng was studied by measuring the changes in moisture, crude lipid, crude ash, crude protein, total dietary fiber and saponin contents, as well as changes in density, color and microstructure. Korean ginseng was treated with 100 or 200 watts of microwaves for 1 or 3 hrs, respectively, followed by drying using an oven at 60℃ for 96 hrs. The moisture contents decreased to 13.12~10.77% from an initial 76.26%. The amounts of lipid and ash were reduced in proportion to the time of microwave treatment and level of microwave power. The amount of protein in ginseng after microwave treatment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amount of total dietary fiber increased after microwave treatment and the color of dried ginseng became dark. The amounts ofginsenoside-Rb1, Rb2+Rb3, Rc, Rd, Re, Rf, Rg1, Rg2+Rh1 and Rg3 were reduced after treatment with 100 watts of microwave radiation for 1 and 3. The amounts ofginsenoside-Rb1, Rd, Re, Rf, Rg1, Rg2+Rh1 and Rg3 after treatment with 200 watts of microwave radiation for 1 and 3 hr also reduced. On the other hand, the amounts ofginsenoside-Rb2+Rb3 and Rc after treatment of ginseng with 200 watts of microwave radiation for 1 and 3 hrs were increased.
        4,000원
        715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culture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time, water content, koji-thickness, and agitation on the production of protease by Rhizopus sp. ZB9, isolated from Korean Nuruk, during the preparation of rice koji, which is used in brewing the Korean rice wines, Takju and Yakju. Rice koji was made under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and the proteolytic activity of each koji was tested. The temperature rang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was 28~32℃. Based on the protease and color, 60 hours of cultivation at 28℃ was shown to produce optimum results.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water content of steamed rice from 25% to 35%. An increase in koji-thickness induced no adverse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protease, and agitation during cultivation showed beneficial effects.
        4,000원
        7157.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improvements caused by silk sericin extract in blood glucose and lipid concentrations in the sera of streptozotocin(STZ, 55㎎/㎏B.W., I.P. injection)-induced diabetic rats fed on experimental diets for 5 weeks. Serum concentrations of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atherosclerotic index, LDL, LDL-cholesterol, free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 ratio, triglyceride(TG) and phospholipids(PL) were remarkably higher in the diabetic group(group BSW) and STZ(I.P.)-plus-silk sericin extract group(group ESS) than in the control group(group CG, basal diet-plus-water). However, the serum concentrations of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atherosclerotic index, LDL, LDL-cholesterol, free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 ratio, TG and PL were lower in the ESS group than in the BSW group, whereas the ratio of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to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in the ESS group were higher than in the BSW group. The activities of alkaline phosphatase(ALP) and aminotransferase(AST, ALT) in serum were lower in the ESS group than in the diabetic BSW group. The results shown above suggested that silk sericin extract effectively improves blood glucose and lipid concentrations in the sera of STZ-induced diabetic rats.
        4,000원
        7158.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lgidduk samples containing control, 0.5, 1, 1.5 and 2% Black ginseng extracts and a control were examined for moisture content, color,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ies to determine the optimal ratio of Black ginseng extracts in the formulation. The moisture content of sulgidduk added with Black ginseng extracts was 37~40%. Additionally, the lightness decreased and the redness and the yellowness increased as the Black ginseng extracts content increased.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chewiness increase with the addition of Black ginseng extracts. however, adhesivenes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groups. Sulgidduk containing 1% Black ginseng extracts received the highest scores for color, flav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sensory and texture analyses, sulgidduk containing 1% Black ginseng extracts had the highest quality for commercialization.
        4,000원
        7159.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ve types of determination methods including the Soxhlet method as well as 3 kinds of extraction solvents, were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ccurate crude fat contents in wheat flour and 5 kinds of dry noodles. According to the results, crude fat contents were 0.09~1.37% in the wheat flour and 0.07~1.36% in the dry noodle samples. This variation resulted from the types of lipids in the wheat flour and various kinds of dry noodles. Nutrition facts labels showing crude fat contents in the 5 kinds of domestic dry noodle samples indicated levels of 0~1.5%. Lipid composition and content were determin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se differences. The results indicated free lipid at 1.02% and bound lipids at 0.21% in the wheat flour, and free lipids at 0.95~1.01% and bound lipid at 0.21~0.25% in the wheat flour. Polar and nonpolar lipid contents were also measured in all samples. Neutral lipid, glycolipid and phospholipid contents in the free lipid were 58.5%, 33.6%, and 8.6% in the wheat flour, and 49.2~58.2%, 33.3~41.6%, and 8.5~9.3% in the dry noodle samples, respectively. For bound lipids, amounts were 16.7%, 33.5%, and 49.5% in the wheat flour, and 13.2~15.3%, 35.6~45.7%, and 41.6~49.4% in the dry noodle samples,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an acid hydrolysis methods should be used to determine accurate crude fat contents in wheat flour and dry noodles.
        4,000원
        7160.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shrooms(Pleurotus ostreatus, Agaricus bisporus and Flammulina velutipes) are popular food sources in Korea, and have been reported as therapeutic foods, useful for preventing various diseases. In this study we researched HPLC conditions for the determination of nucleic acids in extracts of the three type of mushrooms. The method for nucleic acids analysis of mushrooms was developed using HPLC with UV detection. To determine the nucleic acids, mushroom extracts were extracted in hot water at 90℃ by reflux extraction for 1 hr. Then, the extracts were hydrolyzed by enzymes RP-1G and 50000G. The HPLC conditions were simple, rapid, and sensitive, and were applicable for the analysis of 4 nucleosides (cytidine, uridine, guanosine and inosine) and 3 mono-nucleotides(5`-CMP, 5`-UMP, and 5`-IMP) in the mushrooms. The nucleic acids in the mushrooms were cytidine, guanosine, inosine, uridine, 5`-CMP, 5`-IMP, and 5`-UMP. The analysis results for total nucleic acids in the mushroom extracts(Pleurotus ostreatus, Agaricus bisporus, and Flammulina velutipes) indicated levels of 25.28, 27.75, and 19.87㎎/g,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method can be used successfully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nucleic acids in Pleurotus ostreatus, Agaricus bisporus, and Flammulina velutipe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