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1

        61.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는 배우체 자가 불화합성을 보이며, 이것은 단일 유전자좌의 복대립 유전자에 의하여 제어된다. '원교 나-자수정 2호'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고품질 조생종 '원황'에 '92-18-79' (오사이십세기 자식계통, S4smS4sm)를 2001년에 교배하여 얻은 계통 중에 자가 결실성이며 품질이 우수하여 중간모본으로 선발되었다. 만개기는 '오사이십세기'보다 1일 정도 빠르고 '원황'과는 유사하다. 수세는 중, 수자는 반개장형이다. 검은별무늬병(V
        62.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초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중 flavonoid 지표물질인 liquiritin이 들어있는 분획 (GUE6)에 살구 및 복숭아 종자로부터 얻은 조효소액 (PDE, PAE, PPE)을 법제 처리하였다. 각 조효소액에서 β-glucosidase 활성도는 아몬드 (P. dulcis) 259.6 U/g 살구 (P. persica), 복숭아 (P. persica) 조효소액의 β-glucosidase 활성도가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PDE, PAE, PPE를 이용한 발효 법제 후 liquiritigenin의 함량 비교 결과, 효소중의 β-glucosidase에 의해 liquiritin이 대사되어 항산화, 향군, 세포 독성 억제, 항치매, 항피부암 등 많은 약리효능을 가진 활성 물질인 liquiritigenin이 생산됨이 확인되었으며, 세효수 모두 liquiritin에 1.2배의 효소 처리 시 가장 대사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 변환을 위한 최적 농도로 결정되었다 세효소 중 특히 PPE 처리 시 liquiritin이 모두 liquiritigenin으로 변환됨으로써 liquiritin의 변환에 복숭아 종자 유래 효소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63.
        200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혼잣말(self-talk)의 심리적 기능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 심리기술의 습득에 적용할 수 있는 혼잣말 전략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스포츠 참여자의 혼잣말 사용과 지각된 심리기능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인천, 대전, 광주지역의 3개월 이상 13개 개인종목과 8개 단체종목에 참여중인 587명을 대상으로 체계적 유층 무선 표집에 의하여 선정하였다. 주요결과로서 첫째, 스포츠참여자중 73.5%가 혼잣말을 사용하였고, 동작 직전이나 직후에 무의식적으로 혹은 의도적으로 긍정적 혹은 부정적, 동기적 내용으로 혼잣말이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혼잣말 사용에 따른 지각된 심리적 기능은 성별, 연령, 운동수준에 따라 정신적 준비, 정서안정, 자신감, 동기강화에서 차이를 보였고, 셋째, 혼잣말 사용자의 지각된 자신감과 정신적 준비, 주의집중, 동기강화, 정서안정, 불안감소간에 각각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넷째, 혼잣말의 사용의도에 따라 자신감, 동기강화, 정서안정에 차이가 있었고, 혼잣말 내용에 따라 정신적인 준비, 정서안정에 차이가 있었으며, 혼잣말 사용 시기에 따라 정신적인 준비에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스포츠장면에서 혼잣말은 스포츠 참여자들의 대부분이 사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용방법에 따라 지각된 심리기능은 차이가 있으며 혼잣말 사용과 지각된 심리기능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보다 세부적인 논의가 제시되었다.
        65.
        200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금의 천연항균제 개발을 위하여 황금의 일반성분 및 미량물질들을 분석하였으며 항균활성물질의 검색을 위하여 LC-MS를 이용하였고 검색되어진 성분들에 대해서는 항균력 비교시험을 하였으며 항균활성물질들에 대해서는 HPLC를 이용하여 그 양을 정량하였다. 황금의 일반성분으로는 수분 , 탄수화물 , 조회분 , 조단백질 및 조지방 이었고 미량성분에 있어서는 칼륨 12,050mg/kg과 마그네슘4,296 mg/kg의 함량이 현저하게 높았다. LC-MS
        66.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원도 정선군의 동남광산에서 란시아이트(rancieite)의 Zn­단종인 신종광물이 발견되어 이 광물에 대하여 '치무석'(Chimooite)으로 명명하고 그 광물학적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치무석은 캄브리아기의 풍촌석회암층을 남북 내지는 북동 방향으로 관입한 능망간석과 황화광물로 형성된 열수광맥의 표층산화대의 산화망간 광물 중에서 발견되었다. 주로 미립의 판상 또는 침상 결정의 집합체로 산출되며, 큰 것은 약 0.2 mm까지 달하나 대부분 0.05 mm이하의 미세 결정체로 산출된다. 한 입자 내에서 중심부의 치무석에서 외각부의 란시아이트로 화학조성이 점이적으로 변한다. 치무석은 푸른빛을 띠는 흑색의 구상 또는 괴상의 집합체로 무광이며 흑갈색의 조흔색을 보인다. 한 방향의 뚜렷한 벽개를 가지며, 경도는 2.5∼4이다. 반사현미경 하에서 치무석은 이방성이며 복굴절을 보여 적갈색의 내부반사색을 보인다. 치무석의 전자현미분석 시 분석위치에 따라 다양한 CaO와 ZnO의 분석값을 보이는데 이로 미루어 치무석과 란시아이트는 양이온 치환에 의한 완전고용체임을 알 수 있다. 치무석의 실험식은 7 a 층상구조형 산화망간광물의 일반식인 R2x Mn4+ 9­x O18 .nH2O(x=0.81∼1.28, 평균 1.0)에 따라 계산하면(Z n0.78Na0.15C a0.08M g0.01 K0.01)(Mn4+ 3.98F e3+ 0.02)4.00 O9 .3.85H2O가 되며, 이상적으로는(Zn,Ca)Mn4+ 4 O9 .3.85H2O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통상적인 스토이키오메트리 조성식인 Mn44+ O9 .4H2O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치무석은 육방정계이고 단위포는 a=2.840 a, c=7.486 a이며 a:c = 1:2.636이다. 시차열분석에 의하면 65, 180, 690 and 1020℃에서 흡열반응을 보인다. 적외선 흡수분광분석에 의하면 445, 500, 1630 and 3400 cm1의 파장에서 흡수대가 나타난다.다.서 흡수대가 나타난다.다.다.
        67.
        199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lant water status during growth is directly and indirectly associated with seed yield.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genotypic differences in leaf water characteristics at an early growth stage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plants through the pressure-bomb technique. Measurements of water potential as well as relative water content (RWC) were made at the third leaf from the fully-expanded top leaf of eight different soybean genotypes grown for 31 to 35 days after field emergence. On the basis of the modified exponential model, pressure-volume (PV) curves were fitted well (R2 =0.92** to 0.99** for the curvi-linear region and R=0.67** to 0.96** for the linear region), indicating that a segmented model using PROC NLIN of SAS could be used effectively to estimate the leaf water characteristics. Th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pressure-volume (PV) curve revealed genotypic variation in the solute potential at saturation (Ψs,sat :-10.7 to -14.8 bar), solute potential at incipient plasmolysis (Ψs,ip : -14.3 to -18.3 bar), RWC at incipient plasmolysis (RW Cip : 83.3 to 91.7%), high integrated turgor pressure from saturation to plasmolysis ( 1 b : 0.39 to 0.81), and maximum volumetric modulus of elasticity (~varepsilon max : 150 to 445 bar).).
        68.
        199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imple on-line measurement system consisting of a conventional peristaltic pump, a HPLC-type heater, and a flow-through spectrophotometer is introduced for the determination of chemical oxygen demand(COD). The system was configured such that the reaction mixture in the highly concentrated sulfuric acid medium flowing through the PTFE reaction tubing was heated at 150℃ and the absorbance of dichromate was continuously monitored at 445 nm. The same oxidation principle as in the standard procedure was employed except the use of CoSO_4 as a new effective catalyst. To test the system, potassium hydrogen phthalate was selected as a COD standard material. With suitably optimized reaction condition, the applicable concentration range depends on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potassium dichromate in the oxidizing reagent. With 2.0×10-3 M and 5.0×10-4 M dichromate, the linear dynamic range was observed up to 400 ppm and 100 ppm, respectively. The standards in the linear ranges were shown to be completely oxidized, which was confirmed with sodium oxalate or Mohr`s salt. In all cases, the typical reproducibility for between-runs was 2% or less. The proposed measurement system provides th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automated analysis system based on the present standard procedure.
        69.
        199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development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 one of the serious problems is the dissolution of cathode material.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alternative cathode which is stable in molten carbonate is needed. In this research, the LiCoO2 was chosen as alternative cathode material. LiCoO2 powder was synthesized by high temperature calcination method and by citrate sol-gel method. And its structur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XRD, IR TGA and porosimeter. The conductivity and solubility of LiCoO2 electrode were also measured Homogeneous LiCoO2 powder was obtained by citrate sol-gel method at 445℃, however, obtained above 750℃ by high temperature calcination method. Homogeneous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fine powder were obtained by the citrate sol-gel method. LiCoO2 electrode showed higher electric conductivity (1.7 Ω^-1 ㎝^1) than NiO (0.1 Ω^-1 ㎝^-1) at 650℃. The solubilities of LiCoO2 electrode in electrolyte were varies 0.6 to 1.0 ppm during 200 hours. So, the solubilities of LiCoO2 were much lower than that of NiO.
        70.
        199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rowing condition and the point at issue were investigated for utilization as a fundamental data of the Boxthorn research in the growing farm household, which was chief producing district of Box-thorn in Chongyang, Chungmam provinc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Lycium fruit wasproduced 445M/. in the 170.4ha. In practical cultivation, major numbers of decapitation were threetimes,, and planting distance was dense planting, and also amount of applied fertilizer was beyondbasic-fertilizer level and number of split application was abundant.Numbers of harvesting were six-ten times, and many labor was requiremented.The issues in cultivation were development of processing technique, supplement of varieties whichhave disease tolerance, superior quality and high yielding, improving of cultivation methods for laborsaving and magnification of demand.
        71.
        199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의 전통적 식생활과 관계가 깊은 나물용, 밥밑용 대두품종들의 수?성과 증수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재식밀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나물용품종으로 단엽콩, 밥밑용품종으로 검정콩과 장려품종인 팔달콩을 m2 당 10본에서 80본까지 5가지 재식밀도에서 시험하였다 1 재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품종 모두 단위면적당 지상부 건물중은 늘어났으며 LAI는 협비대 중기에서 종실비대기 사이에서 최대에 달하였고 밀도에 따라 단엽콩은 6-10, 검정콩은 5-9, 팔달콩은 5-8을 나타내었다. 한계 LAI는 품종에 따라 5.4-6.2로 추정되었고 엽적밀도에 따라 군락내 지표광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종실수량은 단엽에서 m2 당 40본에 이를 때까지 계속 증가하여 444.5kg/10a으로 최고수량을 나타내었고 그이상의 고밀도에서는 감소하였다. 반면 검정콩은 밀도에 따른 수량차이가 인정되지 않았고 팔달콩은 최고밀도인 80본까지 증가하여 405.7kg/10a의 최고수량을 나타내었다. 개체당 래수와 입수는 밀도증가에 반비례하여 감소되었고 100입중은 검정콩에서 약간 감소하였을 뿐 큰영향은 없었다. 3 엽면적 source와 종실 sink의 증가는 단엽콩과 팔달콩에서 수량증가로 나타날수 있었으나 대입종인 검정콩에서는 증수에 기여하지 못하여 수량성이 낮은 품종으로 결론지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