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15

        110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위 33˚15'~38˚11' 사이에 위치한 한반도 남부의 19개 지역(포천, 고성, 평창, 강화, 금산, 서천, 진천. 단양, 통영, 산청, 금능, 월성, 울릉, 완도, 나주, 고창, 장수, 제주 및 북제주)에서 수집된 콩의 지역개체군들을 대상으로 종자 내에 함유된 mannose와 galactose의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지역별 mannose의 함량은 최저 6.648mg/g (금산)에서 최고 12.207mg/g(고창)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Galactose의 지역별 함량 역시, 최고 16.949mg/g(북제주)에서 최저 9.967mg/g(단양)에 이르는 다양한 수치를 보였다. 환경적응과 관련한 생태지표로서 종자의 경실도(硬實度, seed hardness)를 의미하는 mannose/galactose 함량비를 산출한 결과, 지역에 따라 0.63~0.78의 값을 나타내었다. mannose/galactose 함량비와 지리적 기후구분에 대응하여 콩의 19개 지역개체군 들은 크게 내륙 I형(월성, 장수, 단양), 해안 I형(고창, 나주, 제주, 고성, 울릉, 북제주, 강화, 서천, 통영), 내륙 II형(금산, 포천, 평창) 및 해안 II형(완도, 진천) 등 4가지 변이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이질적인 2개 지역개체군(금릉과 산청)은 유형구분에서 배제하였다. 이러한 형질분화의 요인으로는 육종이나 기타 다양한 인위적 도태압에 크게 의존하는 재배식물에 있어서도 기후요인과 같은 재배지의 특수한 자연환경조건에 대한 보편적인 적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콩 종자에서 나타나는 mannose/galactose 함량비의 다양성 및 기후형에 대응적인 함량비 서열상의 변이유형 분화는 자연도태와 관련한 재배식물의 미진화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의 하나로서 종생태학적인 의의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10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마늘 개체군 자생지의 소산 식물상을 밝히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총 4차례의 현지조사를 통하여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3문 2강 32목 64과 142속 181종 2아종 30변종 1품종으로 총 214분류군 (taxa)으로 파악되었다. 특정식물종 중 I 등급 식물이 15과 16속 15종 2변종 17분류, II 등급 식물이 13과 15속 14종 2변종 16분류군, III 등급 식물이 16과 19속 18종 2변종 20분류군, IV 등급 식물이 20과 23속 19종 4변종 23분류군, V 등급 식물이 2과 2속 2종 2분류군으로 총 78분류군이었다. 희귀식물은 9과 11속 10종 2변종 12분류군이었으며, 특산식물은 17과 19속 18종 3변종의 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역 내 멸종위기식물은 출현하지 않았고, 귀화식물과 생태계교란식물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생태계가 안정되고, 생태적 위해성의 우려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산마늘 개체군 자생지에는 개다래, 층층나무, 만병초, 마가목 등 계곡성 및 고산성식물종이 주를 이루는 생육환경을 나타내고 있었다.
        4,200원
        110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내장산국립공원지역에서 확인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은 진노랑상사화, 노랑붓꽃, 대흥란 및 백운란 4분류군이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159분류군으로 I 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옥녀꽃대, 가는갈퀴나물 및 말오줌때등으로 91분류군, II 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참개별꽃, 퍼진고사리 및 토끼고사리 등으로 17분류군, III 등급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고려엉겅퀴, 어리병풍 및 솜분취 등으로 32분류군, IV 등급에 꼬리말발도리, 갈사초 및 측백나무 등으로 9분류군, V 등급에 백양더부살이, 진노랑상사화 및 백양꽃 등으로 1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고유생물종은 애기닥나무, 참개별꽃 및 가는장구채 등으로 총 4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굴거리나무림(제 91호)와 비자나무림(제 153호)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털여뀌 및 소리쟁이 등으로 30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나타나지 않았다.
        5,100원
        110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관산의 관속식물은 89과 221속 270종 47변종 6품종의 총 323분류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기할 식물로는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인 히어리 1종이 분포하였고, 한국특산식물은 6과 6속 5종 1품종 총 6분류군이 생육하며,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등급 29종, II등급 2종, III등급 6종, IV등급 2종, V등급 1종으로 총 40종의 식물이 분포하였다. 귀화율은 3.72%, 도시화지수는 4.14%로 확인되어 비교적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4,600원
        1105.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thritis is a common disease in aged people, and is clinically divided into rheumatoid arthritis (RA) and osteoarthritis (OA). Although common symptoms such as pain are present, the underlying pathological mechanisms are slightly different.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compare joint damage induced by RA and OA by analyzing the major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ifferences, and to propose a suitable therapeutic intervention based on the pathophysiological conditions of bones and joints. For the RA animal model, 8-week-old DBA1/J mice were immunized with bovine type II collagen emulsified in complete Freund’s adjuvant (CFA). Normal C57BL/6 mice (over 2 years of age) were used for OA. The clinical arthritis score was calculated using a subjective scoring system, and paw thicknesses were measured using calipers. The serum TNFα level was analyzed using an ELISA kit. Micro- CT was used to identify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ical changes. In collagen-induced RA mice, there were increased ankle joint volumes and clinical scores (p<0.01). The concentration of TNFα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3 to 7 weeks after immunization. Micro-CT images showed trabecular bone destruction, pannus formation, and subchondral region destruction in RA mice. OA among aged mice showed narrowed joint spaces and breakdown of articular cartilage. This study suggests that a careful therapeutic intervention between RA and OA is required, and it should be based on morphological alteration of bone and joint.
        4,000원
        1106.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dverse effects of sound treatment on physiological processes of the American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during several developmental stages. Larval feeding activity was analyzed by measuring feeding tunnel length. It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sound treatment (5,000 Hz, 95 dB). Sound treatment delayed the pupal period at 315 - 5,000 Hz and prevented adult emergence at 1,000 - 5,000 Hz. Female oviposition was also inhibited by the stress sound treatments. However, phototactic adult movement was not affected by sound treatment. Pupae treated with 5,000 Hz showed marked changes in protein pattems analyzed by two dimensional electrophoresis. MALDI-TOF analysis of specific protein spots indicated that trafficking protein particle complex I, triosephosphate isomerase, hypothetical protein TcasGA2_TC013388, polycystin-2, paraneoplastic neuronal antigen MAl, and tropomyosin I (isoform M) were predicted in the control insects and disappeared in the insects treated with sound. By contrast, DOCK9, cytoskeletal keratin II, and F0F1-ATP synthase beta subunit were predicted only in the sound-treated insects. Furthermore, stress sou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usceptibility of L. trifolii to insecticid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ysiological processes of L. trifolii are altered by sound stress, which may be exploited to develop a novel physical control tactic against L. trifolii.
        4,000원
        1107.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금강 중류역의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는 일반적으로 가락동유형으로 대표되어왔다. 이 지역에서 가락동유형은 둔산식 주거지와 가락동식토기를 표지로 한다. 둔산식 주거지는 과거 둔산식-용암Ⅰ식-용암Ⅱ식으로 분류하였으나 최근의 조사 자료를 재검토하여 세분된 분류안을 제시할 수 있다. 가락동식 토기와 기타 공반된 토기의 문양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락동식토기 고유의 문양요소는 출현과 소멸의 과정이 진행되는데, 주거지의 변화상과 연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최근 이 지역에서 기존의 가락동유형과는 다른 양상의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유적이 조사되었다. 대평리유적은 충적지에서 취락이 조사되었는데 미사리유형의 취락으로 판단된다. 대율리유적은 환호취락으로서 그 성격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 외에 일부 유적에서도 가락동유형과 다른 성격의 주거지가 조사되어 금강 중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는 이제 다양한 양상으로 접어들고 있다 가락동유형의 취락은 지형적으로 구릉의 평탄면에 입지하며. 하천과의 관계속에서 볼 때 주로 2차 하천의 주변에 위치한다. 취락의 형태는 취락지리학의 성과를 참조하여 (단독·분산)점상취락-면상취락으로 구분한 후 각 유적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금강 중류역의 가락동유형 취락은 세대공동체 중심의 소취락을 기본구조로 조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지역별 변천상을 통해 중대형 취락을 중심으로 주변으로 확산되고 시간에 따라 취락의 분포상도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형태는 점상취락에서 면상취락으로 변화된다.
        8,000원
        1108.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로 운영시 강우로 인하여 발생하는 배수 취약구간에 대하여 현장 조사를 통하여 도로 배수 취약구간의 발생 원인을 과학적이고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로 배수 취약구간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배수취약구간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 및 현황 자료를 검토하였으며, 도로 노면 배수시설과 도로 인접지 배수시설에 대한 취약구간을 조사 및 분석한 결과, 시공 및 기타의 원인으로 발생한 배수 취약구간이 45.7%, 도로의 기하구조가 원인이 된 배수 취약구간은 32.3%, 도로의 수리 수문의 원인은 22.0%로 분석되었으며, 분석된 원인 별 개선 방안으로서 i)시공 및 기타 부분에서는 토사측구의 재료 변경, 단면의 크기 상향 및 수리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용량의 산정을, ii)도로의 기하구조 측면에서는 편경사 및 종단선형을 고려한 합성경사의 도출 및 범위 산정과 종단 오목부 구간의 배수구조물 적정 간격의 제시를, iii)도로의 수리 수문 측면에서는 1분단위 강우강도식의 사용과 노면 강우의 부등류 흐름 해석 기법의 적용과 선형 배수방식에 따른 도로 노면 강우의 신속배제를 개선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4,000원
        1109.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한문과의 교육 내용을 영역과 내용으로, 영역 은 다시 ‘한문’과 ‘한문 지식’으로 나누었다. 한문과의 특성과 교육 내용을 간명하 게 제시하기 위해 영역 구분이 필요하다. 그러나 교실 한문 수업 장면에서 학습자 의 한문 학습 과정에 비추어 보면, 영역이나 내용이 分節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통합적으로 작용한다. 바로 이점이 연구의 출발점이다. 敎科에서 통합이란, 일차적으로 교육과정에서 區劃된 영역 및 내용의 통합을 말한다. 통합의 層位와 範圍는 크게 교과 외적 통합과 교과 내적 통합으로 나눌 수 있다. 한문과의 경우, 교과 외적 통합은 한문 교과와 타 교과 예컨대 국어과, 역사과, 철학과 사이 등 교과 간 통합을 말하고, 교과 내적 통합은 한문과 내용 체계의 영역과 영역, 영역과 기능, 기능과 기능, 그리고 텍스트와 텍스트 등의 통합을 일컫는다. 이 연구에서는 한문 교과 내 통합에 注目한다.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따르면 한문 교과 내 통합 층위는 영역 간 통합, 영역 내 통합을 들 수 있다. 영역 간 통합은 일차적으로 ‘한문’ 영역 과 ‘한문 지식’ 영역의 통합을 말하는데, 한문 영역 가운데 읽기, 이해 영역은 언어 기능이기 때문에 이들 언어 기능과 한문 지식 영역 사이의 통합을 설정할 수 있다. 영역 내 통합은 한문 영역의 하위 영역으로 설정된 읽기, 이해, 문화 사이의 통합 과 한문 지식 영역의 하위 영역으로 설정된 한자, 어휘, 문장 사이의 통합을 말한 다. 한편, 읽기와 이해의 경우, 이들 기능 사이의 통합도 고려할 수 있고, 특정 기 능 예컨대 읽기 기능 안에서 소리 내어 읽기, 끊어 읽기 그리고 풀이하기 등을 통 합하는 기능 내 통합도 구안할 수 있다. 영역 간이나 기능 사이의 통합 차원과 달리, 학습 내용 및 학습 목표(성취 기준) 의 통합을 꾀할 수 있다. 한문, 한문 지식으로 나뉘어 있는 40 여 개의 학습 내용 을 서로 관련 있는 것끼리 묶어 단원 단위로 학습 내용이나 학습 목표(성취 기준) 의 통합을 지향할 수 있다. 또한 한문과에서 설계 가능한 통합 대상으로 텍스트나 주제 및 소재 차원에서 의 통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한문과의 주요 텍 스트를 크게 短文, 散文, 漢詩로 범주화했다. 텍스트 통합을 예로 들면, 내용과 주 제 이해하기의 경우, 단문, 산문, 그리고 한시를 다차시 층위에서 각각 분리해서 지도하는 것이 아니라, 주제 및 목표 중심 대단원 구성 방식에서 이들 텍스트를 통합해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短文에서 내용과 주제를 파악하는 原理를 익 힌 뒤, 散文에서 이를 적용, 발전시키고 漢詩를 통해 주제 이해하기를 심화, 확대 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주제 및 소재 차원의 통합은 대단원 구성 방식과 연 계하여 통합을 설계할 수 있다. 후속 과제와 관련하여, 한문과 통합은 위에서 제시한 영역, 내용, 기능, 그리고 텍스트의 통합 이외에 지식, 기능, 태도의 통합, 개별 전략이나 기법의 통합, 낮은 수준의 기능과 고등 수준의 기능 사이의 통합도 가능하고 필요하다.
        6,900원
        1110.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정상 콩과 이에 혼입되는 이물질을 판별하기 위해 900 nm에서 1800 nm의 파장대역에서 단색화장치가 장착된 근적외선 분광장치를 이용하여 획득된 콩과 이물질의 반사 스펙트럼의 세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판별예측모델을 개발하고 그 성능과 판별정확도를 검증해보았다. 정상 콩 60 립과 이물질 60 점을 각각 2 회 반복하여 측정한 총 240 개의 반사스펙트럼에 대해서 모델 개발용인 calibration group으로 168 개를, 나머지 72 개는 개발된 모델을 예측하는 prediction group으로 나누어 사용하였다. 획득된 스펙트럼은 광원의 불안정함, 시료의 크기와 형태에서 기인되는 여러 변이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수학적인 전처리를 적용하였으며 판별예측모델의 개발을 위해 PLS-DA와 SIMCA 방법을 사용하여 모델의 예측 성능과 판별율을 검토하였다. PLS-DA에서 모델 개발에 사용된 84 개의 정상 콩 스펙트럼 CLASS I은 적용된 모든 전처리에서 100%의 판별율을 보여주었으며 이물질 스펙트럼 CLASS II에서도 SNV 전처리를 제외하고는 모두 100% 이물질로 판별하여 분류하였다. 개발된 PLS-DA의 모델에 대한 prediction group의 검증에 있어서는 평균값 정규화 전처리 방법이 정상 콩과 이물질에서 100% 판별율을 보여주었다. SIMCA를 이용한 이물질 판별예측모델 개발은 PLS-DA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저조한 판별율 결과를 나타냈으며 최대값 정규화와 일정 범위값 정규화의 전처리 방법을 적용한 모델이 평균 판별율 94.4%로 다소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콩에 혼입되어 있는 이물질을 판별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근적외선 분광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반사도 스펙트럼은 PLS-DA로 판별예측모델을 개발하고 최적의 전처리 방법을 적용한다면 콩과 이물질의 선별시에 보다 나은 판별율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111.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산화탄소는 버섯의 발이를 촉진하고 갓의 생성을 억제해서, 담자포자를 가지는 주름(gill)의 발달을 억제하여 버섯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본 실험에서는 새송이버섯의 생육에 가장 적합한 이산화탄소농도를 구명하려고 1,600, 2,400, 3,200ppm 이하의 농도에서 버섯생육 실험하였다. 방임처리구에서 수확율은 방임조건 1,600, 2,400, 3,200ppm에서 각각 98.6, 99.3, 93.8%로 2,400ppm이 가장 우수하였고, 병당 무게에서도 2,400ppm이 가장 우수한 102.5g이 수확되었다. 품질은 2,400ppm이 6.1, 1,600ppm에서 5.5로 111% 우수하였다. 솎음처리구에서 품질은 1,600, 2,400, 3,200ppm에서 9.4, 9.5, 8.0로 2,400ppm이 가장 높았다. 병당 수확량은 1,600, 2,400, 3,200ppm에서 각각 90.7, 98.2, 77.3g 이어서 방임처리구와 마찬가지로 2,400ppm에서 많은 수확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놓고 볼 때 방임과 솎음처리구의 최적 이산화탄소 농도는 2,400ppm으로 사료된다. 상대습도에서의 자실체 생육특성 중 품질은 I, II, III 처리구에서 각각 8.5, 7.6, 8.2 이었다. 무게는 84.6, 82.5. 90.1g 여서 III 처리가 가장 우수하였다. 생육시기별 변온이 자실체 생육특성에 미치는 효과는 품질은 I, II, III 처리구에서 각각 7.5, 8.3, 8.0 이어서 II 처리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애린이3의 길이는 94mm로 기존품종인 새송이2호의 103.8보다 9.4mm 적었으나. 무게는 75.4g으로 기존품종의 73.8g보다 많았다. 애린이3의 품질은 6.2로 기존품종의 5.5보다 높았고, 대두께도 37.8mm로 비교 품종중 가장 두꺼웠다. 신품종에 대한 버섯형태는 매우 양호 5, 우수 5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갓과 대의 색택에 대한 의견도 매우양호 7, 우수 1, 양호 3으로 평가되어 품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신품종 애린이3에 맞는 최적배지조합을 구명하기 위하여 9개의 배지를 혼합하여 30개의 조합을 구성하여 재배실험을 수행하였다. 농가에서 원하는 조기수확성과 품질, 수확량을 주요한 평가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수확소요일에 있어서 애린이 3은 조합2에서 13.3일에 수확하여 가장 빠른 수확일을 기록하였다. 다른 조합에서도 애린이3이 기존의 큰느타리2 호에 비해 1일 이상 빠른 수확일을 보였다. 배지종류에 따라 애린이3에 좋은 것과 큰느타리2호에 유리한 조합도 있었다. 조합 16에서 애린이3이 수확소요일이 큰느타리2호에 비해 2일 가량 빨랐고 수확량에 있어서도 85g으로 큰느타리2호의 66g보다 29% 높았다.
        1112.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범부전나비(Rapala caerulea)와 울릉범부전나비(Rapala arata)는 형태적 유사 성이 높은 종들로 일반적으로 날개 윗면의 색으로 구분되어 왔다. 또한, 지리적 분 포 특성으로 볼 때 범부전나비는 중국 중부, 북동부에서 한반도(울릉도, 제주도 제 외)까지 서식하는 반면, 울릉범부전나비는 극동러시아, 중국 동북부, 한국의 울릉 도와 제주도, 일본까지 출현한다. 두 종의 분포가 겹치는 한국에서는 날개의 체색 만으로는 두 종의 진단이 모호하므로 뒷날개 밑면 후연의 점무늬로 구분한다. 즉, 2개의 흑점무늬를 갖는 종은 범부전나비, 4개의 흑점무늬를 띤 종은 울릉범부전나 비로 구분하고 있다. 하지만, 두 종 각각의 일부 개체에서는 흑점무늬의 배열에서 중간형이 지속적으로 출현하는 것이 확인되어왔다. 이처럼 두 종간의 형태적 진단 형질의 부분적 중복으로 인한 모호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COI유전자를 이용하여 두 종의 지역집단(한국 3개 집단, 일본 1개 집단) 26개체에 대한 DNA 바코딩 분 석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그 결과로 분석된 26개체에 대한 COI 서열 차이는 0.0-0.3%로 극히 작았을 뿐 이었다. 특히, 0.2-0.3%의 서열변이를 나타낸 범부전 나비의 경상북도 울진산 2개체의 경우도 1개의 염기만이 차이가 있었을 뿐 나머지 서열은 모두 똑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종 간에 barcoding gap을 형성할 만 큼의 차이는 전혀 없었으며, 두 종은 동일종의 집단으로서 집단 간 변이도 크지 않 았던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에 따라서 향후 형태형질의 추가적 분석을 통해 종합 분류를 수행하면서 동물이명 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1113.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Oberea belongs to the tribe Saperdini (Coleoptera: Cerambycidae) and contains about 270 described species in the world. The genus can be def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characters: body elongate, cylindrical; legs very short, apex of hind femur not reaching beyond abdominal sternite II. O. vittata Blessig was reconfirmed its distribution in South Korea during the study. Two species are newly reported here: O. heyrovskyi Pic and O. tsuyukii Takashi & Ohbayashi. We provide a revised checklist of 12 species and a pictorial key to species for the identification, with diagnostic characters of O. heyrovskyi and O. tsuyukii.
        1114.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reared box tree pyralid, Glyphodes perspectalis, with artificial diet and identified sex pheromone. Insect F-II and leaf of box tree were used to make artificial diet. Box tree pyralid, Glyphodes perspectalis, is the most serious pest of box tree in Korea, and was recently introduced into Europe. The pheromone components of this moth have been identified as (Z)-11-hexadecenal (Z11-16:Ald), (E)-11-hexadecenal (E11-16:Ald), and (Z)-11-hexadecenol (Z-11- 16:OH) in Japa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pheromone components of this species by using GC and GC-MS. Three same components, such as (Z)-11- hexadecenal (Z11-16:Ald), (E)-11-hexdecenal (E11-16:Ald), and (Z)-11-hexadecenol (Z-11-16:OH) were also indentified in Korean population, but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ratios. The ratios of these three compounds of Japanese population and Korean population were 5:1.25:1, and 5:0.96:0.2, respectively. The ratios of Z and E-11-hexadecenal were similar, but the ratio of (Z)-11-hexadecenol was lower compared to Japanese population. In field bioassay, (Z)-11-hexadecenal or (E)-11-hexadecenal alone was not attractive to males, but the mixture of Z11-16:Ald and E11-16:Ald was attractive to males. The most effective ratios of Z11-16:Ald and E11-16:Ald was 5:1. Other ratios such as 1:1 and 1:5 (Z:E) was not attractive to males. The attractiveness of Z:11-16:OH will be tested in near future.
        1115.
        2011.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iwan is an island located in the south-east of China (20°30"N, 121°00"E), and the Tropic of Cancer runs through the middle of the island. Total area of Taiwan is about 36,000 sq. km with 394 km long and 144 km wide at its broadest point. The mountain ranges occupy almost half of the island, more than 200 peaks elevate over 3000 m, and the tallest peak is Yu-Shan (Jade Mountain) with 3952 m. In general, Taiwan has a marine climate and varies widely by season in the Northern part and the mountain areas however, in the South, it belongs to the tropical belt and is warm and humid all year. These diverse climate patterns create the extreme diversity of insects in Taiwan, of course including all kinds of insect pests. Here, I try to make a brief introduction to how we study and control in insect pests in Taiwan. Entomological research related government organizations Mainly, two government departments, i.e., the Bureau of Animal and Plant Health Inspection and Quarantine (BAPHIQ) and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CDC), are in charge of insect pest-relatedstudy and control in Taiwan. Both are the major providers of research funding to support study on all aspects of applied entomology; however, the former is responsible for control of animal and plant diseases and pests and plant health inspection and quarantine (agriculture entomology); however, the latter is responsible for prevention, control, survey and research of various communicable diseases that are mostly related with the public health (medical entomology).Besides, the National Science Council (NSC) provides funding mainly for basic research. Entomology study i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ere are only two “Department of Entomology” in Taiwan, one is at the National Taiwan University, and the other is at the National Chung University. In addition, there are two plant protection related departments as well, i.e., “Department of Plant Medical Science, National Pingtu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Pingtung County and “Department of Biological Resources, National Chiayi University” in Chiayi County. Besides teaching, all aspects of entomology-related research projects are held as well. Additionally, there are many entomologists scattered in different university, especially in medical schools for medical entomological research. Under the Council of Agriculture (COA), there are several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s are responsible for agriculture research including insect pest control (applied entomology), such as (1) Taiwan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ARI) and its experimental branches: the key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in Taiwan, (2) Taiwan Agricultural Chemicals and Toxic Substance Research Institute (TACTRI): the institute is responsible for developing pesticides and plant protection technologies, monitoring pesticide residues and toxic substances in agricultural products, providing technical services, and establishing evaluation methods and guidelines to control pesticides, and (3) seven “District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tations” located in Taoyuan, Miaoli, Taichung, Tainan, Kaohsiung, Hualien and Taitung Districts, respectively. These Stations are responsible for the research and extension works which are according to the regional difference, as well as (4) Endemic Species Research Institute and (5) Taiwan Forestry Research Institute. Current status and future of applied entomology in Taiwan All aspects of the entomological research are going in Taiwan, and there is no way to clearly introduce all of them; therefore, only main directions are highlighted as the following: (1) In agriculture a. Key targeted species- oriental fruit fly (Bactrocera dorsalis (Hendel)), melon fly (B. cucurbitae Coquillett), common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and……..etc. b. Control methods i. Chemical control- it still is the key method currently. ii. Nonchemical control- attractants (pheromones), natural enemy, microbial control,……..etc. c. Insect vectors on transmission of plant diseases. d. New technique- use of wireless sensor network (WSN) technology to monitor the insect population. (2) In public health- medical insects a. Key targeted species- Aedes aegypti, Ae. albopictus, Culex quinquefasciatus, and…..etc. b. Important issues i. Insect-borne diseases- e.g. Dengue fever ii. Zoonotic diseases- e.g. Japanese encephalitis iii. Nuisance insects- e.g. biting midge (Forcipomyia taiwana) c. Control methods: similar to (1) b. (3) Prevention, invasion and control of exotic insect pests a. Plant quarantine inspection- application of molecular biotechnology, such as PCR and microarray, to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insect species. b. Invasion and control of the imported fire ant, Solenopsis invicta, and the erythrina gall wasp, Quadrastichus erythrinae. (4) Insect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a. Conservation species of insects in Taiwan b. Firefly restoration (5) Application of biotechnology on insects a. Use of insect as bioreactors to produce useful proteins. b. Use of transgenic insect to control insect pests.
        3,000원
        1117.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내장산국립공원 금선계곡을 중심으로 식생구조를 파악하여 굴거리나무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자 37개의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분석 중 TWINSPAN기법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군락 I과 군락 II는 서어나무군락, 군락 III은 낙엽활엽수군락, 군락 IV는 느티나무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내장산국립공원 내의 금선계곡지역의 굴거리나무는 교목층에서는 출현하지 않은 반면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추후에는 굴거리나무가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아교목층 및 관목층에서 주요종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임령분석결과 금선계곡부에서 서어나무와 느티나무가 우점종인 산림은 약 50여년 내외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굴거리나무는 20여년의 수령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4,600원
        1118.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08년에 걸쳐 강원도 자연환경연구공원 내 산림 및 주변 산림지역을 대상(조사구역 I: 호수 및 주변 수변생태계, 조사구역II: 인가 및 주변 산림생태계, 조사구역Ⅲ: 산림생태계)으로 육상 포유동물의 종다양성과 분포현황 및 변화양상을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 동안 멸종위기종인 하늘다람쥐, 수달, 삵 등이 연구지역 내에 서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포유동물의 종다양성은 인가 접경 산림인 조사구역II보다는 수변지역인 조사구역I과 산림지역인 조사구역III에서 다양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종다양성의 변화는 2006년에 다소 증가했으나 2007년부터 미세하게 감소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종수의 미세한 감소와는 달리 개체수는 2007년부터 매우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연구지역 내 산림에서 포유류의 종다양성과 개체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4,200원
        1119.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국은 제2공화국시대를 제외하고 건국 이래 계속 단원제를 유지했다. 최근 헌법개정논의과정에서 단원제에서 양원제로 변경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한편 이웃나라인 일본은 메이지(明治)헌법시대부터 계속 양원제를 채택해왔다. 메이지 헌법 시대의 제국의회는 '貴族院'과 '衆議院'이라는 두 가지 의회로 구성되었다. 메이지 헌법 시대에는 국민으로부터 선출된 중의원의 독주를 견제하고 天皇制를 유지하기 위해 皇族이나 귀족으로 구성된 귀족원을 두는 양원제를 채택하였다.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GHQ(General Headquarters: 聯合國軍 最高司令官 總司令部)의 주도하에 새로운 헌법을 작성함에 있어서 단원제로 변경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일본정부가 양원제 유지를 희망하였기 때문에 양원 모두 국민에 의해 선출되는 것을 조건으로 양원제가 계속되었다. 현재 일본 국회는 메이지 헌법 시대부터 존속하는 '衆議院'과 귀족원 대신에 새롭게 생긴 '參議院'의 두 가지 의원으로 구성된다. 현재 일본에서는 참의원이 실질적으로 중의원과 거의 구별이 없어졌음을 이유로 '參議院 不要論'이나 '參議院 改革論'이라는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건전한 양원제 운용을 위하여 참의원의 존재의의에 대해서 진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1120.
        2011.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report the results of our high resolution optical spectroscopic monitoring campaign (⋋ = 3800 ~ 8800 Å, R = 30000 - 45000) of the new FU Orionis-type object HBC 722. We observed HBC 722 with the BOES 1.8-m telescope between November 26 and December 29, 2010, and FU Orionis itself on January 26, 2011. We detect a number of previously unreported high-resolution K I and Ca II lines beyond 7500 Å. We resolve the Hα and Ca II line profiles into three velocity components, which we attribute to both disk and outflow. The increased accretion during outburst can heat the disk to produce the relatively narrow absorption feature and launch outflows appearing as high velocity blue and red-shifted broad feature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