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82

        1281.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회과부도는 문자 중심의 교과서가 갖는 단점을 보충해 줄 수 있는 시각적 자료로 구성된 또 하나의 중요한 지리 교재이다. 교재로 서의 사회과부도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료에 대한 학습자 학습에의 적합성을 무엇보다 고려해야 하는 교재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사회과부도 지리 부문에서 중부지방을 구성하고 있는 자료를 사례로 그 적합성을 살펴보았다. 구성 자료의 적합성은 구성 자료에 대한 학습자의 도해력과 시각적 해독 능력의 문제, 교과서 자료와의 중복 문제 그리고 주제도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등의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관행적으로 구성되고 있는 자료들을 선택적, 질적으로 구분해서 선정하고, 학습자의 학습에 적합성을 가지고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자료로 구성해야 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앞으로 사회과부도는 별도의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적합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질적 자료로 구성될 때 지리 교재로서 그 의미와 가치를 계속 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282.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 학교 과학 실험 수업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업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을 세 범주로 분석하도록 개발된 분석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분석 도구는 실험의 목적, 상호 작용, 탐구 과정 세 가지 영역에 20가지 평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명의 과학 교육 전문가로부터 0.89의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수업 분석을 위하여 21차시의 실험 수업이 녹화되고 전사되었다. 전사된 프로토콜과 동영상을 바탕으로 실험 수업을 분석한 결과, 중등 학교 실험 수업은 실험 목적 측면에서 선언적 지식의 습득과 과학에 대한 태도의 향상에 집중되어 있었다. 상호 작용 측면은 교사의 발문이 학생들의 발산적 사고를 유도하지 못하고 있고 학생들에 의한 주도적인 실험 기회가 주어지는 대신 교사의 직접적 지도에 의해 실험 수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학생들의 토의 과정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등 상호 작용 I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탐구 과정은 학습 주제에 대한 현상 제시 및 문제 제기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학생들의 가설 설정 활동이나 예상 활동도 대부분의 수업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실험 설계 부분은 활동지나 교사의 지시에 의해 주어지고 있었고, 학생들은 실험 결과 기록에만 집중되어 있어 탐구 과정 수준도 I 수준으로 나타났다.
        4,300원
        1283.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치매환자 치료를 위한 전문팀에서의 작업치료사 역할정립과 전문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고령자치매를 위한 전문작업치료사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함이다.연구방법 : 2005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한국치매협회와 대한작업치료사협회가 공동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위하여, 정규대학의 작업치료전공 교육과정과 치매관련 문헌고찰을 통하여 치료활동 프로그램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작업치료활동 프로그램은 대학병원 2곳과 노인요양시설 5곳에서 고령자치매환자를 대상으로 1주일에 1번, 하루에 2시간씩 실시하여 그 결과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결과 : 교육과정은 44주 동안 한 주에 8시간씩 격주로 이론 100시간, 실습 100시간이며, 교육 자료집은 강의와 실습을 위하여 평가집, 치료활동프로그램, 실습지침서를 개발하였다.결론 : 작업치료의 전문영역을 확대하고, 궁극적으로는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건복지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4,500원
        1284.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의 현행 지구과학 교사 양성 교육 과정을 크게 교직 이론, 교육 실습, 교과 교육학, 교과 내용학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교직이론의 경우는 교육학 이론 학습에 치중하고 있어 실제성이 떨어지며, 교과 교육학 선수 학습 교과로서 이수 시기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과목간 연계성 유지를 위해 교직 이론을 교과 교육학 이전에 이수하도록 하며, 되도록이면 현장성이 강한 교직 이론 과목을 이수하도록 권장하여야 할 것이다. 교육 실습의 경우는 교육실습 기간이 외국에 비해 짧으며, 신규 교사를 위한 별도의 업무 외 연수과정이 없고 인턴제도나 직무 연수 프로그램이 미흡한 현재의 교사 양성 교육과정 체제에서는 교육 실습이 이런 역할을 대신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학교 시스템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 교육 실습 기간을 최소3∼6개월 이상으로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 교과 교육학의 경우는 우선 교과 내용학에 비해 할당된 과목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 그러므로 교과 교육학 과목의 양적인 증가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지구과학 교과 교육 전공 교수의 확보가 필요하다. 교과 내용학의 경우, 다루는 내용이 중등학교 교육 과정과 동떨어진 면이 있으며 대학별로 개설 강좌의 영역별비율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교과 교육학 강좌와 교과 내용학 강좌를 연계시켜 개설하고, 각 영역별 기본 이수 학점을 적정 비율로 할당하는 방법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4,200원
        1285.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중고 과학 교육에서는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그 학습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학생들은 과학자들이 어떻게 과학적 지식을 정립해 가는지를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학교에서의 과학 탐구는 오로지 경험을 중시하는 실험 위주의 과학 탐구를 실행, 어떻게 자신들이 수집한 자료가 세운 이론에 합당한지를 밝히는 논증활동이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고찰 논문은 학교에서의 과학 탐구가 과학자들의 그것과 다르며, 실질적 과학 탐구의 실현을 위해서는 교사들이 탐구 자체의 정의, 목표 및 요소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과학적 논증기회를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교수 전략을 개발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4,800원
        1286.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지구계 교육을 통하여 과학을 공부하는 10학년의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지구계 교육은 과학 교과 간 구분을 완화하고 조화로운 교수-학습을 이루어감으로써 올바른 자연관과 인간관 육성에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구계 교육 프로그램 중 '화산 폭발과 기후 변화(Volcanic Eruptions and Global Climate Change)'라는 주제를 선정하고 이를 7차 교육 과정의 '과학' 교과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점검해 보았다. 그 결과 과학에 대한 인식(p=0.003), 과학에 대한 흥미(p〈0.001), 과학적 태도(p〈0.001) 등의 과학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있어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거의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학업 성취도면에서는 지구계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집단이 전통적 수업을 진행한 통제 집단보다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였다(p=0.038). 실험 집단의 학생들은 적극적이고 진지한 태도로 수업에 임했으며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학 교과에 지구계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학생들의 과학적 흥미와 호기심 고양 및 과학적 소질과 올바른 자연관 신장에 좋은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4,000원
        1288.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aims to design a web-based syllabus for teaching college English. The theoretical premises underlying the study are drawn from recent developments in relevant fields including web-based instruction, classroom observation and supervision, in-service teacher development, and program evaluation. The model is characterized by its learner-centeredness, teacher observation and supervis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rocess-oriented program evaluation. Data for the program evaluation are gathered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questionnaire responses, observation records, supervisory notes, teacher diary entries, and assessment. The information from the evaluation is then fed back to improve the course in a cyclical process. Through a small-scale application of the model some suggestions for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are made in terms of institutional support, copyright, student autonomy, teacher roles, and e-learning course evaluation.
        6,000원
        1289.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한국 辭賦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그 서술 방식과 내용 속에 나타나는 寓言的 성격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고에서는 寓言에 대한 정의를 ‘작자가 자신의 뜻을 제시하고자 할 때 主題 전달상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꾸며 내는 이야기 방식’이라고 규정한다. 이러한 寓言의 목적은 동물식물이나 무생물 등 題材가 되는 대상의 속성과 행위를 빌어 諷刺와 敎訓의 효과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같은 寓言에는 寄託을 위한 虛構的 장치가 동원되며, 象徵과 擬人化 그리고 比喩가 修辭的 용도로 활용된다. 본고에서 寓言的 성격에 주목한 이유는 이처럼 寓言을 運用하여 얻게 되는 효과와 그것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활용되는 修辭法을 통해 辭賦 작품의 문학성을 검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寓言을 활용하는 辭賦 작품 속에서 題材는 주로 작자가 否定的으로 간주하는 인물 또는 理想的으로 생각하는 人間像을 寄託하는 대상이 된다. 諷刺의 對象이 되는 否定的인 인물은 주로 탐욕스런 속성과 행태를 보이는 부류이다. 반면 理想的인 人間像으로 제시되는 대상은 주로 고고한 자태를 지니고 無慾의 삶을 추구하거나 직분에 충실한 부류이다. 작자는 이처럼 題材에 寄託된 인간상의 속성과 행위를 통해 현실에서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없는 世態에 대한 批判과 풍자, 그리고 處世에 대한 敎訓을 寓意한다. 修辭的 특징으로는 敍事와 議論의 혼용, 세밀하고 생동적인 묘사, 韻文과 散文의 자유로운 運用 등을 들 수 있다. 이 외에 논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적절한 故事의 인용, 논지를 강조하기 위한 敷衍, 擬人化, 比喩 등의 修辭를 통해 주제를 형상화하고 있다.
        8,300원
        1290.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한문교육은 한자한자어 학습과 한문의 문장구조를 이해하여 독해하는 학습에 전념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시대적인 입장의 반영이긴 하지만 옛날처럼 한문으로 글을 짓거나 작품을 이루기 위한 창작활동 같은 교육은 하지 않는다. 교육인적자원부의 제 7차 한문교육과정안에서 제시한 한문교육의 목표처럼(물론 중등과정에 해당하지만) “한자, 한자어, 한문을 익혀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읽고 쓰며, 한문을 독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한문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니고,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증진에 기여한다”는 것이 오늘날 한문교육의 현주소라 할 수 있다. 교육부가 제시한 것 중에서 “한문을 독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일”은 한문학습 중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사항이다. 왜냐하면 한문을 독해할 수 있으려면 필히 한자 한자어를 알아야 하고 독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면 한문에 담긴 내용을 이해하고 배워서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으며, 전통문화 계승발전은 물론 대외적인 교류증진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독해능력의 배양은 오늘날 대학교의 전공과정에서도 가장 치중하고 있는 사항인데 한문학을 위한 기본 요건이기 때문이다. 한문의 문장 내용을 이해하려면 다양한 수사적 기교가 동원되는 문장 구성원리를 파악할 수 있어야 가능하다. 한문 문장의 수사법 중에 생략법은 너절한 자구를 줄이는 일로 말을 추가하여 삽입하는 일과는 상대적이다. 이는 불필요한 어휘나 반복적인 언급을 피하여 더욱 간결하고 보기 좋은 문장을 이루려는 한문 문장구성의 필수적인 수사기교이다. 한문의 문장은 지극히 생략법을 강구하여 간결함을 추구하기 때문에 독해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른다. 문장의 생략된 구조를 살필 수 있으면 문장의 뜻을 파악하는 일이 쉽고도 분명해진다. 지금까지 어법연구서나 어법에 관한 논고가 다소 나왔지만 생략에 관한 분야에는 관심이 없었는지 연구 결과가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한문을 독해할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문법을 소홀히 할 수 없다. 문장을 구성하는 수사기교와 다양한 형식을 파악해야 독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생략의 기법에 대해서 지금까지 관심에서 외면되었고, 또한 이는 한문의 문장구조를 이해하고 독해력을 증진하는 데에 중요한 사항이기 때문에 생략에 의한 수사기법에 대해 여러 유형을 제시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6,000원
        1291.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학생의 정의적 태도는 지적 성취에 의미있는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정의적 영역에 대한 성취 그 자체도 학교교육의 중요한 목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에 대한 국내 외의 선행 연구 자료 분석과 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설문 조사를 통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올라가면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고찰하였다.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1)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2) 과학에서 도구적 동기유발, (3) 과학(학습)에서의 긴장감, (4) 과학에서 자아 개념 등의 측면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교과목에 대한 태도 측면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내적 동기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도구적 동기 유발 및 과학에 대한 가치 인식, 과학에 대한 자신감 등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결국 이공계 기피 현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또는 작년보다는 올해 수업이 더 재미없는 이유로 내용이 어려우며, 실험이나 활동을 하지 않고, 교사가 설명위주로 진도를 나가기 위한 지루한 수업을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상 생활과 관련된 교육과정 내용 구성, 교수학습 방법 개선, 최소한의 과학 수업 시수 확보 등의 측면에서 정의적 영역 교육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4,000원
        1292.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2년 한문 교과가 독립 교과로 부활되면서 체계적인 교육이 실시되었다. 한문문법의 경우, 통일안이라 할 수 있는 교육부의 해설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설서 자체에도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한문 교과 과정의 한문 문법에 대한 인식이나 체계적인 분류정리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동일한 문장을 여러 가지 다른 문장 형식으로 분류하고 있는가 하면, 마땅히 구별되어 사용해야 할 문법적 범주들이 뒤섞여 처리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文章 形式에 대한 기존의 분류 기준과 내용을 검토하고 문형의 문법적 범주와 내용을 새롭게 정립하고자 하였다.1. 다양한 기준에 의해 분류될 수 있는 문장의 형식을 정리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서술어의 성질’에 따라 判斷文, 敍述文, 描寫文으로, 둘째, ‘행위의 주체’에 따라 使動文, 被動文으로, 셋째, ‘화자의 청자에 대한 의향’에 따라 平敍文, 疑問文, 命令文, 感歎文으로, ‘화자의 심리적 태도’에 따라 推測文, 假定文, 願望文으로 분류하였으며, ‘명제 또는 동작의 진위’에 따라 긍정문, 否定文으로 분류하였으며, 그밖에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수 없는 것들로 限定文, 反語文, 比較文, 漸層文 등도 살펴보았다. 2. 용어의 문제에 있어서 나름대로 타당성을 제시하였는데, 다음과 같다.의미를 기준으로 분류한 문장의 종류와 구조를 기준으로 분류한 문장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하여 ‘文形’이라는 용어를 제안하였으며, 문형 종류에서 정보 전달에 중점을 둔 문장 형식에 대하여 ‘平敍文’을, 문장의 주어가 제삼자로 하여금 어떠한 행위 동작을 하도록 시키는 문장 형식에 대하여 ‘使動文’을, 주어가 행위 동작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도리어 행위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형식에 대하여 ‘被動文’을, 화자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둔 문장 형식에 대하여 ‘感歎文’을 타당한 용어로 제시하였다.3. 문장 형식과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첫째, 현재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한문 문장 분류의 기준이 다양하다는 것을 인식시켜야 한다. 현행 교육 과정에서는 동일한 문법 범주에서 취급될 수 없는 다양한 문장 형식들을 하나의 기준으로 적용시킴으로 해서 문장 형식이 혼동되어 있다. 이러한 문장 분류 방식은 학술적인 것이 아니라 초학자들에게 독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실용적인 측면에서 설정된 것이라 하더라도, 분류 기준의 다양성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학교 교육 뿐만 아니라 각종 시험에서도 혼란과 시비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시급히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둘째, 혼용되어 있는 용어를 통일시키고, 각 문장 형식에 대한 정의를 엄밀하게 규정해야 한다. 특히 일본 학자나 중국학자들의 용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국어 문법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를 우선적으로 채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만약 국어 문법에 없는 용어라면 영문법 등을 통해 먼저 들어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를 사용하여 통일성을 꾀할 필요가 있다. 정확한 용어와 정의를 통하여 각 문장 형식의 개념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전달할 수가 있다. 학교문법이 아무리 실용성을 중시한다 하더라도 문법적 체계성이 결여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고는 기존의 문장 형식을 해체하고 재편성하는 과정에서 아직까지 한문 문법에서 적용된 적이 없는 분류 기준을 적용한 경우가 있는데, 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11,600원
        1293.
        200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연사 박물관을 비형식교육기관으로 정의하게 될 경우,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형식교육기관과 어떤 형식으로 보조를 맞추고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가 이다. 이는 전시의 내용과 전시의 형태에서 과학교육과정을 어느 정도로 또한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를 통해 알아볼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자연사 박물관인 스미소니안 자연사 박물관과 뉴욕의 아메리칸 자연사 박물관의 전시물 중에서 지구과학관련 전시물 461점을 선별하였다. 선발된 전시물의 다양한 측면을 개발된 도구를 이용해 조사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분석틀은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National Science Curriculum Standard; NRC, 1996)과 TIMSS(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Robitaille et al., 1993)의 과학교육과정 프레임을 근거로 구성하였다. 고려되었던 전시의 특징은 우선 전시의 활동 유형, 전시 기술, 전시 매체, 전시 표현 등이고 아울러 과학의 본성이 어떻게 전시물에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비형식 교육기관으로서의 자연사 박물관의 역할에 대한 잠재력을 본 연구를 통해 재검토하였다.
        4,000원
        1294.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지질 시대 관련 개념들에 대한 이해 정도를 알아보고, 교사들의 개념 이해 정도와 원인이 교과서의 서술 내용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 지역 고등학교 과학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현행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중등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지질시대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많은 교사들은 단순히 지구의 나이를 방사성 동위 원소로 측정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자세한 측정 방법을 알지 못하고 있었다. 50% 이상의 교사들은 지사학의 5대 법칙을 동일 과정설, 지층 누중의 법칙, 생물군 천이의 법칙, 부정합 관계 그리고 관입 관계라고 생각하였다. 중등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지구의 나이, 가장 오래된 암석의 연령, 지질 시대의 정의 및 기간, 지구의 나이 측정 방법 그리고 지사학의 법칙 등과 같은 지질 시대 관련 내용은 상당 부분이 올바른 개념을 제시하고 있지 않으며, 제시된 유형도 다양하다. 설문에 응답한 상당수의 교사들은 지질 시대에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잘못 이해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사들의 이해는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기술된 내용과 상당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지질 시대 관련 내용에 대한 논의와 수정이 필요하다.
        5,100원
        1295.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지구과학 부문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질문을 분석하였다. 주요 질문의 대상이 된 교과 내용은 교과서 단원별로 쪽 당 평균 질문수의 3배 이상이 나온 교과서 쪽의 내용(주요 질문 교과 내용1)과 2배 이상 3배 미만의 질문수가 나온 내용(주요 질문 교과 내용2)으로 구별하고, 각 교과 내용별로 질문 속에 나타나는 주요 용어들 간 상호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질문 교과 내용1은 ‘구름관찰’, 지층의 생성 과정‘ 등이 발견되었고, 주요 질문 교과 내용2는 ’강수량 측정‘, ’하룻밤 동안 달의 이동‘ 등으로 4-2학기를 제외한 모든 학기에서 발견되었다. 둘째, 각 교과 내용 당 질문용어의 상호관련성을 보이는 경우는 질문수가 많은 주요 질문 교과내용에서 증가하고 있지만, 4개 용어 유형은 오히려 교과 내용2에서 다수 발견되었다. 셋째, 상호관련성이 큰 질문 용어 묶음은 교과내용1에서 ’석탄과 석유-생성‘, ’변성-열과 압력‘, ’변성-열과 압력-변성암‘, ’행성-태양-혜성-공전‘ 등이며, 교과내용2에서는 ’별자리판-사용‘, ’건습구습도계-원리‘, ’건습구습도계-원리-습도‘, ’지진계-원리-습도‘, ’지진계-원리-지진‘, ’지구자전축-기울어짐-발생‘, ’별자리판-별자리-관찰-사용‘ 등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 자료로 사용된 질문의 원천은 대체로 교과서의 구체적인 구성체제로부터 비롯된 것이거나 지구과학내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일반적인 의문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전자의 경우라면 교과서의 집필과정에서 문장의 서술방법이나 관련 삽화 등의 문제점에서 유발된 것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교과서 집필상의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서 해결 가능하지만, 후자는 소양교육 내용과 기초 지구과학개념으로서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4,300원
        1296.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의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학생들에 인식과 그 운영실태의 문제점을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은 고등학교 3개교의 10, 11학년(485명)이며 결과는 다음과 갔다. 첫째, 학생이 장래 직업에 대한 확고한 결정이 없이(29%),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하여 충분히 교육을 받지 못하거나(45%)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정확한 내용을 인지하지 못한(25%) 상태에서 교과 선택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학생들은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필요성에 긍정적(65%)이거나, 수업에 대한 참여도가 높아졌다(96%)고 생각하고 있어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택 중심교육과정에 대한 실현 가능성에는 39%의 학생들만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대학 진학의 필요성에 따라 교과를 선택하고(48%), 대학에 진학하기 위하여 자신이 원하는 교과를 모두 선택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41%). 넷째, 과학 과목의 선택은 화학 40%, 생물 25%, 물리 22%, 지구과학 13%순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이 선택한 교과목을 바꿀 수도 있다고 생각한 학생이 74%이다. 위의 결과는 학생들이 7차 교육과정의 취지는 인식하고 있으나 과학과목의 선택에서는 자신의 장래나 적성이 고려되지 않고 대학 진학에 따른 해당 대학의 요구와 학교 헌장의 과학교사 분포에 좌우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4,000원
        1297.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분석(우리나라, 미국 캘리포리아주, 영국, 일본), 우리나라와 일본 교과서의 지구과학 내용 분석과 초 중등학생, 교사, 교수, 교과서 저자에 대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내용은 과학과 4개 영역의 균등 분배, 단원의 세분화로 인한 내용구성과 연계성 부족, 그리고 나선형 교육과정의 과도한 적용, 지나친 탐구활동 중심의 교과서 내용구성으로 인한 학습량 증가와 체계적 개념 지도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적정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 지구과학 영역 내용 적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내용 구성 및 연계 측면에서 볼 때, 각 학년에서 다루게 되는 내용을 과학 4개 영역으로 균등하게 분배하지 말고, 단원의 크기를 다양화해야 한다. 둘째, 학습량 측면에서는 나선형 교육과정의 구성 방식을 탈피하여 학년 수준에 맞는 내용은 해당 학년에서 종료되도록 하여 학년간에 중복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고, 필수 탐구활동의 수를 줄이고 질을 높여야 한다. 셋째, 내용의 수준과 흥미 측면에서, 학생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흥미를 제고할 수 있도록 자연재해, 안전, 우주 관련 분야, 자원 등을 강조해야 한다. 아울러 교육 내용 적정성의 평가 준거 중의 하나가 실현 가능성임을 고려할 때,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목표가 학교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주변 여건에 대한 지원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4,300원
        1298.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English education experts’ current general views on the college English curriculum at Korean provincial universities and elicit their consensus of opinion on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For that purpose, two rounds of the delphi survey were presented to forty experts, with thirty one experts’ responses in the first round and nineteen in the second. Based on their response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llege English curriculum for provincial universities were deduced as a consensus of opinion: the curriculum is supposed to be more intensive, practical, proficiency-based, and university-specific than the curriculum for the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it is supposed to be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ESP) rather than English for General Purposes (EGP) in order to promote the future career of the individual provincial university students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vincial universities themselves.
        6,300원
        1299.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中國의 한자교육방법에 대한 고찰과 그것에 대한 비판 및 활용을 통해, 우리나라 한자교육에의 새로운 방법론 탐색에 일조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중국 한자교육의 현황과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특히 중국의 『語文』교육과정인 語文課程標準 및 字根을 이용한 한자교육방법에 대한 검토를 위주로 하였다.현재 중국에서는 기존의 어문교학대강을 대체하고 이를 수정발전시킨 어문과정표준을 2001년부터 시행하여, 『어문』및 한자교육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어문과정표준은 2001년 6월 7일에 발표된 基礎敎育課程改革綱要(試行)에 의거하여 새롭게 마련한 교육과정으로, 현재 중국 『어문』과정의 성질, 목표, 내용, 방법을 담고 있으며, 『어문』과정에 대한 관리, 교재의 편찬, 교육의 실시와 평가 등의 기준이 되고 있다. 중국의 한자교육방법으로는 현재까지 약 20여종이 보고되어 있는데, 이는 교과서 및 각종 보조 교재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한자교육방법 가운데 ‘字根을 이용한 방법’으로는 字根識字法, 成群分級識字法, 基本字帶字, 字族文識字法 등이 있다. 이것은 각각 사용하는 개념과 방법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자근을 이용한 방법이라는 점은 동일하다고 하겠다. 이 방법은 한자를 字根과 그 외의 부분으로 분석하고, 가장 기본적인 자근에 대한 학습을 통해 자근으로 이루어진 여러 한자를 학습하는 것이다. 이는 한자의 구조를 이해하고 특히 한자의 形을 익히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6,700원
        1300.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한자교육에 관한 사회적 관심은 가히 폭발적이라 할 수 있다. 한자 교육의 붐은 유아단계에까지 확대되어 여러 학습지 회사들이 경쟁적으로 유아 한자 교재를 제작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유아기 한자 교육의 성격 목표 원리를 시론적(試論的)으로 규정하여 유아 한자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유아 한자 교재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현행 유아 한자 교육의 문제점을 적시(摘示)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유아는 한자 교육을 통해 어휘력과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고 성인이 될 때까지 한자를 사용하는 과정을 즐겁게 여기게 되며, 지능 계발과 인성 함양 및 인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다양한 기초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유아 한자 교육의 원리는 학습자, 교수 학습 내용, 교수 학습 방법과 한자 읽기 쓰기 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학습자에 관하여는 동기 유발의 원리, 개인차 고려의 원리, 자발학습의 원리를 들 수 있다. 교수 학습 내용으로는 자종 선정의 원리와 학습한자 배열의 원리를 살펴 볼 수 있으며 교수 학습 방법으로는 구체성의 원리, 계속성의 원리, 다감각 기관 사용의 원리, 통합적 활동의 원리, 친한자 환경 조성의 원리가 강조된다. 마지막으로 한자 읽기 지도의 원리와 쓰기 지도의 원리를 살펴보았다. 유아 한자 교재 중 9종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 대상자의 연령을 폭넓게 설정하고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교재의 단순 반복이나 학습량으로 개인차를 조정하였으며 25주에서 많게는 84주의 기간에 약 50개~200개의 한자를 학습하도록 하였다. 학습한자는 한자능력검정시험에 출제되는 한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교수 방법으로는 주로 시각적 기법을 사용하였으나, 노래나 챈트 등의 청각적 기법과 미술, 놀이 활동을 활용하기도 하였다. 한자 읽기 학습은 대부분의 교재가 동화나 짧은 글을 통해 한자를 제시하였고, 쓰기는 대체로 약 3~4회 정도 제시하였으나 20회 이상 제시한 교재도 있었다. 유아 한자 교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를 지적할 수 있다. 학습자 면에서는 학습 대상자의 설정이 모호하고 개인차를 고려한 다양한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교수학습 내용 면에서는 학습 한자 선정 시 한자능력검정시험의 출제 한자를 적극 수용하였고 한자어를 지도하는 방법이 유아의 발달단계에 맞지 않거나 학습량이 과도한 교재도 있었다. 교수학습 방법 면에서는 외우고 쓰기의 기계적 반복 학습에 치우치고 있으며 교재 구성체제가 정형화되어 있으며 입체적이고 통합적인 다양한 활동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유아 한자 교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수용해야 한다. 학습자 면에서는 획일화된 프로그램을 지양하고, 아동의 흥미와 개인차를 고려하여 교재와 학습 프로그램을 세분화하여야 한다. 교수학습 내용 면에서는 유아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한자를 선정배열하여야 하며 한자어 지도는 한자어가 사용되는 생활 속의 문장 제시를 통해 의미 있는 한자어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고 유아가 학습에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학습량을 조절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습 방법 면에서는 읽고 쓰기의 기계적 반복학습을 지양하고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자기 의사 표현활동이 이루어지는 한자 읽기쓰기 지도가 되어야 한다. 유아 한자 교재는 유아의 발달단계나 개인차를 고려하여 다양한 학습 방법을 사용하고 입체적 통합적 활동으로 구성해야 한다.
        11,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