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2015년 10월) 278

일반곤충

61.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상 인자에 따른 우리나라의 매미 출현시기와 종 구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 도심 내에 있는 근린공원(아시아공원, 청담공원)에서 발생하는 매미 탈피각을 통해 매미 발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6월부터 8월까지 주 1회씩 총 9회에 걸쳐 선정한 21개의 방형구(20x20m; 아시아: 12개, 청담: 9개)내에서 발생하는 매미 탈피각을 수거하였으며, 수거한 탈피각은 매미 탈피각 분류 체계에 따라 종, 성별, 개수를 산출하였다. 기상 요인은 각 지역에서 관찰한 온습도 로거 자료와 기상 관측소(AWS)에서 측정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두 장소 모두 8월 첫째주와 둘째주의 매미 발생율이 전체 발생 비율의 50%를 넘었으며, 이 중 말매미와 참매미가 전체 발생 탈피각의 80%이상을 차지했다. 말매미, 참매미, 쓰름매미, 유지매미의 탈피각은 온도 및 습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매미 탈피각 발생 패턴에 있어 기상 인자와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cluster analysis를 이용하여 시기별 매미 탈피각 발생 특성의 유사성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PCA(Principle Component Analysis) 분석 결과에 적용하였다. PCA 분석 결과, 각 그룹들은 매미 탈피각 발생 시기에 따른 패턴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온도가 가장 높은 그룹 Ⅲ(8월1주-2주)에서 가장 많은 매미 탈피각이 발생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강수량과 습도를 보인 그룹 II(7월3주-4주)에서는 털매미가 다른 그룹들에 비해 높은 발생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2015년도 여름 매미의 발생 패턴은 7월 넷째주부터 강수량이 높아짐과 동시에 매미 발생이 높아지기 시작하였으며, 장마가 끝난 후인 8월 첫째주 둘째주부터 온도 상승과 함께 대발생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위 결과들을 미루어보아, 늦은 장마전선의 북상과 폭염이 매미 발생과도 관련이 깊을 것으로 사료 된다. 이러한 결과는 매미 발생 양상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폭염 및 장마와 같은 이상기상현상에 따른 매미 발생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사전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62.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reviously study of mealybug faunas of Cambodia and Laos were known to comprise 25 species and 18 species, respectively. Recently, we have collected fourteen mealybug species in Cambodia and Laos from June to July, 2015. Among them, six species are first found in these countries: Coccidohystrix insolita (Green) in Cambodia; and Antonina graminis (Maskell) in both countries; Nipaecoccus viridis (Newstead), Paracoccus marginatus (Williams & Granara de Willink) Phenacoccus solani (Firris) and Rastrococcus iceryoides (Green) in Laos.
63.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rotein and carbohydrate are the two most important macronutrients that have profound impacts on fitness and demography in most ins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protein:carbohydrate (P:C) balance and mating status on feeding behavior, longevity and fecundity in male and female mealworm beetles, Tenebrio molitor (Coleoptera: Tenebrionidae). In the first experiment, we measured the amount of protein and carbohydrate consumed by mated and unmated beetles of both sexes. Newly emerged beetles were allowed to mate for 24 h before they were simultaneously provided with two nutritional imbalanced but complementary synthetic diets (P:C =1:5 vs. 5:1) for 24 successive days. Mated females not only consumed significantly more nutrients but also exhibited a greater preference for protein than did mated males and unmated controls. In the second experiment, we determined longevity and fecundity from a total of 120 male and female beetles that were confined to feed on one of three no-choice foods differing in P:C balance (P:C=1:5,1:1 or5:1) throughout their entire lives. Fecundity was recorded as the total number of eggs laid by individual females until death. Both male and female beetles lived significantly longer and laid more eggs over the lifetime on a balanced diet (1:1) than on the two imbalance diets (1:5 and 5:1), suggesting that the Darwinian fitness was maximized when the diet was equally balanced in protein and carbohydrate. Mated male and female beetles had a shorter longevity compared to their unmated counterparts, indicating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survival cost to mating in this insect.
64.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cronutrient balance has a strong influence on fitness in insects.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altering the concentrations of yeast and sugar in the semi-synthetic diet has a profound impact on lifespan and fecundity in Drosophila melanogaster, indicating the role of dietary protein:carbohydrate (P:C) balance in determining these two key components of fitness. However, since yeast contains not only proteins but also other macro- and micronutrients, this lifespan-determining role of dietary P:C balance needs to be corroborated using a chemically defined die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dietary P:C balance on lifespan and fecundity were investigated in female D. melanogaster flies on one of eight isocaloric synthetic diets differing in P:C ratio (0:1, 1:16, 1:8, 1:4, 1:2, 1:1, 2:1 or 4:1). Lifespan and dietary P:C ratio were related in a convex manner, with lifespan increasing to a peak at the two intermediate P:C ratios (1:2 and 1:4) and falling at the imbalanced ratios (0:1 and 4:1). Ingesting nutritionally imbalanced diets caused flies to start ageing earlier and senesce faster. Egg production increased progressively as the dietary P:C ratio rose from 0:1 to 4:1. Long-lived flies at the intermediate P:C ratios(1:2 and 1:4) stored a greater amount of lipids than those short-lived ones at the two imbalanced ratios (0:1 and 4:1). These findings provide a strong support to the notion that dietary P:C balance is a critical determinant of lifespan and fecundity in D. melanogaster.
65.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mating can alter starvation resistance in female D. melanogaster,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such mating-mediated changes in starvation resistance. In the present study, we first investigated whether the effect of mating on starvation resistance is sex-specific in D. melanogaster. As indicated by a significant sex × mating status interaction, mating increased starvation resistance in females but not in males. In female D. melanogaster, post-mating increase in starvation resistance was mainly attributed to increases in food intake and in the level of lipid storage relative to lean body weight. We then performed quantitative genetic analysis to estimate the proportion of the total phenotypic variance attributable to genetic differences (i.e., heritability) for starvation resistance in mated male and female D. melanogaster. The narrow-sense heritability (h2) of starvation resistance was 0.235 and 0.155 for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Mated females were generally more resistant to starvation than males, but the degree of such sexual dimorphism varied substantially among genotypes, as indicated by a significant sex × genotype interaction for starvation resistance. Cross-sex genetic correlation was greater than 0 but less than l for starvation resistance, implying that the genetic architecture of this trait was partially shared between the two sexes. For both sexes, starvation resist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ongevity and lipid storage at genetic level.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sex differences in starvation resistance depend on mating status and have a genetic basis in D. melanogaster.
66.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umigant toxicities of 20 plant essential oils, and fumigant and contact toxicities of the components of active oils and their analogues against adzuki bean weevil, Callosobruchus chinensis (L.) were investigated. Fumigant toxicity varied with plant essential oils and concentrations. The 24-h LC50 values against adult C. chinensis were 3.14, 6.68, 8.59, 8.90 and 10.23 mg/L air concentration for Gaultheria fragrantissima, Illicium verum, Croton anisatum, Aniba roseodora, and Bursea delpechiana, respectively. To elucidat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f methyl salicylate (MS) and trans-anethole (tA), fumigant and contact toxicities of MS, methyl 3-hydroxybenzoate (M3HB), methyl 4-hydroxybenzoate (M4HB), methyl 2-methoxybenzoate (M2MB), methyl 2-acetoxysalicylate (M2AS), methyl benzoate (MB), salicylic acid (SA), trans-anethole (tA) and 1-methoxy-4-propylbenzene (PB) were investigated. The 24-h LC50 values of fumigant toxicity were 3.48, 5.36, 6.39 and 9.27 mg/L air concentration for MS, MB, tA and PB, respectively. The 24-h LD50 values (µg/beetle) of contact toxicity were 28.89, 33.27, 33.56, 44.81 56.31, 38.59 and 69.20 for MS, M2AB, M2MB, MB, SA, tA and PB, respectively. Structural differences were identified that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insecticidal activities of methyl salicylate and trans-anethole.
67.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thetis dissimilis (Hampson) (Lepidoptera: Noctuidae) [뒷흰날개담색밤나방] was attracted to pheromone traps for Euzophera batangesis (Lepidoprera Pyrimidae) [밤알락명나방], when occurrence of E. batangesis was monitored in sweet persimmon orchard with its pheromone, (Z)-9-tetradecenol (Z9-14OH), (Z9,E12)-9,12-teradecadienol (Z9,E12-14OH) and their mixture. With the components, we monitored the seasonal occurrence of A. dissimilis, tested response of the moth to single or mixed components, and compared efficacy of three different types of traps. A. dissimilis was trapped on May 14 for the first time. First occurrence peak was observed during June 4-24 and second peak during August 20 – September 10. A. dissimilis was attracted to single component of Z9-14OH and Z9,E12-14OH and to their mixture at Jinju, Sancheong, and Sacheon. In trap efficacy tests, delta traps with white color caught most number of the moths significantly at Sacheon. However, at Sancheong,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traps, although funnel trap caught most number of A. dissimilis. Pest status of A. dissimilis is not known eg. whether it is a pest of persimmon or other fruits. However, with Z9-14OH, E9,E12-14OH and their mixture, it is expected to be monitored and controlled.
68.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북방수염하늘소의 최적의 유인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Monochamus 속의 집합페로몬인 2-(1-undecyloxyl)-1-ethanol (monochamol)과 잠재적 유인물질인 에탄올, a-pinene (기주휘발성물질)과 ipsenol, ipsdienol (나무좀페로몬)의 유인 상승효과를 2년간 (2014, 2015년) 소나무 숲에서 확인하였다. 2014년과 2015년에 각기 65 마리 및 33 마리의 북방수염하늘소를 유인하였다. 에탄올 단독 혹은 에탄올 + monochamol 처리구는 대조구 (blank control)와 비교하여 유인력의 차이가 없었다. a-pinene과 ipsdienol을 에탄올+monohcamol의 유인제와 같이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유인수의 증가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에탄올 + monochamol 처리구에 ipsenol을 첨가하였을 경우 유인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 monochamol, ethanol, ipseonl을 유인제로 사용할 경우 야외에서 북방수염하늘소의 예찰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69.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매미나방은 광식성 곤충으로 다양한 기주 범위를 갖는 산림 해충으로 많은 피해를 줄 수 있다. 매미나방의 효과적인 방제약제를 선발하기 위해 안노라니릭디아미드계 1종, 세미카바존계 1종, 스피노신계 1종, 벤조일우레아계 1종, 유기인계 1종, 혼합제 2종, 기타 약제 1종에 대하여 방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곤충은 2015년 2~3월에 목포 대불항에서 채집한 난괴를 항온 조건에서 인공먹이를 공급하며 사육하였다. 약제의 처리는 영기별 용기에 유충 30마리를 넣고 희석된 약액을 에어건스프레이를 이용하여 1회 살포하였으며 관찰 기관 동안 인공먹이를 공급하였으며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약제 처리후 최초 12시간, 24시간 간격으로 사충수를 조사하였다. 영기별 유충에 대한 약제 방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다른 영기에 비해 5~6령기의 방제가(%)가 가장 낮으며 영기가 낮을수록 방제가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모든 영기에서 가장 높은 방제가를 보인 것은 스피노신계의 스피네토람 액상수화제이며 가장 빠른 방제 효과를 보인 것은 세미카바존계의 메타플루미존 유제이다.
70.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산화염소가스 처리 시 대상 해충의 치사율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50ppm의 ClO2를 화랑곡나방의 알과 4령 유충에 각각 일정시간 (0, 6, 12, 24, 48시간) 노출시킨 후 이들의 부화율, 생존율, 용화율, 우화율 등을 조사하였다. 0시간, 6시간 처리 시 평균 부화율은 각각 39%, 33.5%였으나, 24시간 처리 시 8.67%, 48시간 처리에서는 0.67%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화랑곡나방 유충에 처리 시 유충 생존율은 0시간에서 73.7%였으며, 6, 12, 24시간 처리에서도 76.6~82.5% 사이로 처리시간 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48시간 처리의 경우 68.25%로 다른 처리시간들 보다 낮게 나타났으며(F=2.29, df=4, P>0.05), 용화율의 경우 0시간 처리에서 49.4%, 6시간에서 24시간 처리에서는 39.2~48.9%로 0시간 처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48시간 처리에서는 28.82%로 다른 처리시간들 보다 낮게 나타났다(F=2.26, df=4, P>0.05). 성충 우화율의 경우도 0시간 처리에서는 29.3%,로 6, 12, 24시간 처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48시간의 6.81%와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F=5.64, df=4, P<0.05). 이러한 결과는 치사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낮은 농도의 이산화염소가스에 노출된다 할지라도 화랑곡나방의 생리적인 작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71.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랑곡나방 4령 유충, 번데기, 성충에 각각 ClO2 200ppm을 0, 1, 6, 12, 24, 36, 48시간 처리하였다. 유충 생존율은 0, 1, 6시간 처리에서 처리 후 1일째 98~100%의 생존율을 보이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24시간 처리의 경우 처리 후 1째날 매우 낮은 13.3%의 생존율을 보이다 0.57%까지 감소하였고, 36시간과 48시간 처리에서는 처리 후 1째날 모든 유충이 치사하였다. 성충 생존율은 0시간 처리에서 처리 후 1째날 100%의 생존율을 보이며 서서히 감소하다 6일 째부터 급격히 감소하여 처리 후 15일째 모든 성충 개체가 치사하였고 1시간 처리에서는 1째날 83%의 생존율을 보이다 서서히 감소하여 처리 후 14일째 모든 성충개체가 치사하였다. 나머지 처리시간에서는 처리 후 1째날 부터 화랑곡나방 성충이 100% 치사하였다. 성충 평균 우화율의 경우 0, 1, 6시간 처리에서 각각 46.91%, 41.11%, 40.21%를 나타냈으며, 12시간 처리의 경우 0, 1, 6시간 보다 매우 낮아져 19.17%를 나타냈고 24시간 처리는 5.42%, 36, 48시간 처리에서는 0%에 가까운 우화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해충의 발육단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ClO2 200ppm 처리 시 처리시간이 24시간 이상이 되어야만 적절한 살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일본곤충

72.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해충상의 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기후 온난화 모델에 따라 남방계 곤충의 서식지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 휴면 기작을 가지고 있지 않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과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은 시설재배지를 중심으로 국내에서 월동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안동과 경기도 지역에서 2년간 야외 모니터링한 자료는 이른 봄철과 가을 기간에 배추좀나방이 발생하고 여름 기간 중에는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에 파밤나방의 경우는 늦은 봄철에 나타나 가을 기간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을 나타냈다. 두 해충의 저온에 대한 내한성은 파밤나방에 비해서 배추좀나방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고온에 대한 내열성은 파밤나방이 배추좀나방에 비해서 높았다. 특히 파밤나방의 경우 비교적 낮은 고온(37℃)에 전처리하면 내열성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내열성 유기는 혈림프의 트레할로스 함량 증가와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열충격단백질의 발현도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파밤나방이 고온에 적응되어 발육하는 남방계 곤충으로 간주되는 반면, 국내에 서식하는 배추좀나방은 저온에서 발육이 양호한 전형적 북방계 곤충으로 여겨진다.

일반곤충

73.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ree species of the genus Isorhipis Lacordaire, 1835 are reviewed in Korea. Among them, I. banghaasi and I. minuta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Description of genus Isorhipis, keys for identification each species and figures of external morphology are given.
74.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ubfamily Cryptarchinae Thomson, 1859 from Korea is reviewed. This study is the first part of the revision, treating two genera. Here we record Subgenus Glischrochilus Reitter, 1873, genus Pityophagus Shuckard, 1839 for the first time in Korea. Descriptions, photograph of morphological and genital structures and a key to species are provided herein.
75.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amiine subgenus Pseudale Schwarzer, 1925 from Korean peninsula is reviewed. Along with the only recorded species Pterolophia (Pseudale) jiriensis Danilevsky, 1996, we found two additional new species based on morphological and genital difference. Descriptions, photographs of habitus and male genitalia of each species and a key to species of Korea are provided herein. Hence, genital variation of 4 different geographical populations of Pterolophia (Pseudale) jiriensis is discussed.
76.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Ypsolopha Latreille has been recorded total 22 species from Japan. Of them, Ypsolopha distinctata Moriuti had discovered in 1977, as endemic species until now. This species show a number of variation in color and markings. Also, it treated as Ypsolopha parenthesella (Linnaes) in 1964, even both species have genital similarity. Since first recording of this species, it has not any report in detail. From 2012 to 2015, we had carried project, ‘Securing of micro-moth specimen nearby Korean Peninsula’ supporting by Korea National Arboretum. All examined specimens collected from Tsushima Island, Japan. In the present study, we reviewed Ypsolopha distinctata Moriuti, and provide adult and both gender of genitalia pictures.
77.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habitat of the cockroach varies relative to species. The German cockroach (Blattella germanica) lives in human dwelling while B. nipponica lives in mountainous region. Even though, these two species have similar morphology, their habitats and walking speed were different. Underlying this fact, we hypothesized that habitats might influence on the walking speed via altering particularly nervous system including acetylcholinesterase (EC3.1.1.7, AChE). Full length ORFs were cloned from each species and sequenced. Sequence analyses showed that both genes in each species possess typical features of ace, and that Bgace1 and Bnace1. Those features are orthologous to the insect ace1 whereas Bgace2 and Bnace2 are to the insect ace2. Some SNPs were observed but Bgace1 and 2 showed high similarity (99%) with Bgace1 and 2, respectively. Multiple AChE bands were identified by native PAGE and IEF from three tissues (head, leg and other body) and their expression pattern was almost identical between two species. However, Esterase expression patter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urthermore, length as well as detailed structure of antenna, leg and tail cerci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Taken together, various factors such as sensory organ detailed morphology and esterases are responsible for habitat and walking speed difference.
78.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물거미는 1목 1과 1종만이 존재하는 세계적 희귀종으로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은대리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천연기념물 412호로 지정되어있다. 서식지는 3개 구역으로 나누어져있으며 현재 물거미의 서식지가 천이로 인해 육지화 됨에 따라 서식처 감소가 진행 중 이다. 서식처 감소는 물거미 개체의 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질, 건축, 생태, 환경 등 보호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물거미 서식습지 곤충상 조사를 통해 종 조성도를 파악하고 습지의 육지화 진행도와 향후 잠재적 분포지역 예측 및 관리방안 수립하기 위함에 있다. 채집시기는 2015년 5월, 7월, 8월 총 3회 표본추출을 실시하였다. 표본추출방법은 포충망조사와 육안조사를 병행하여 곤충을 채집, 동정하여 데이터를 작성하였다. 포충망조사는 포장 당 10m 간격으로 지점 당 10회 실시 하였고 육안조사는 3개 구역 중 1개 구역을 설정하여 설정구역내부만 실시하였으며 곤충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Breeding case를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조사결과, 포충망조사의 경우 5월 10목 47과 64종, 7월 8목 52과 138종 그리고 8월 8목 34과 86종이 조사되었으며 그 중 노린재목이 매 월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육안조사의 경우 5월 7목 11과 14종, 7월 5목 8과 15종, 8월 4목 6과 10종이 조사되었으며 5월은 딱정벌레목, 7월, 8월은 메뚜기목이 가장 많은 종수를 차지하였다.
79.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미기록종인 Ricania speculum (Walker) (팔점날개매미충: 신칭)을 확인하여 보고한다. 이 종은 유럽 및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에 분포하는 것(Mazza et al., 2014; Yang, 1989)으로 알려졌으나 국내에서는 기록된 바 없다. 약충과 성충 모두 다양한 식물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앞으로 예의주시하여야 할 경계종이다(Mazza et al., 2014). 이 종에 대한 형태적 기재(수컷 성충)와 함께, 생식기 사진과 관련 유전자 정보를 제시한다.
80.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ly, climate change has been increasingly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vector-borne diseases including West Nile Virus, avian poxvirus, bluetongue virus. These diseases, which are of medical and veterinary importance, are known to affect the health status of wildlife. In this sense, it is vital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mosquitoes and biting midges as the disease-vectors in the habitat of wildlife. In order to do this, nocturnal insects were collected using CDC Mini Night Traps (cat. no. 2836BXQ, BioQuip, CA, USA) in the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 near the ponds i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IE) on the weekdays from June to September. As a result, 920 mosquitoes belonging to 13 species of 7 genus and 5,129 biting midges belonging to 8 species of Culicoides were collected in total. For mosquitoes, Aedes vexans nipponii and Culex orientalis were the predominant species consisting about two thirds of all the mosquitoes. For biting midges, Culicoides arakawae was the prevalent species present and 97.3% of this kind appeared to have preference to feed on birds. The number of mosquitoes collected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as opposed to the number of biting midges which showed the tendency to fluctuate - the second or third week of each month had the highest number of Culicoides spp. Forest ecology had more diverse distribution of species than livestock farms and reflected the abundance of birds in NIE. In addition, further evaluation of the effect of environment, such as climatic factors, on the ecology of these disease vectors would be required.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