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리응애과의 많은 종들은 잎응애, 총채벌레 및 가루이와 같은 미소 해충의 생물학적 방제원으로 이용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칠레이리응애와 같은 포식활동이 왕성한 일부 종은 현재 농업에서 전세계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정 지역이나 생태계 또는 작물에 서식하는 이리응애과의 다양성 조사는 포식성 이리응애의 활용을 위한 좋은 기초자료가 된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와 관련된 자료는 90년대에 1건에 그쳐 자생 이리응애의 활용을 위한 후속 연구를 도모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부지역의 6개도 17개 시군에서 2018년 7월부터 10월까지 자생 이리응애의 발생상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29과 57종의 식물종에 서식하는 20종의 이리응애를 확인하였다. 다양한 이리응애가 서식하는 식물종은 벚나무로 긴꼬리이리응애를 포함한 6종이 출현하였다. 서식 식물종이 가장 많은 이리응애는 긴꼬리이리응애로 17종이 식물에서 출현했고, 두 번째는 긴털이리응애로 16종의 식물에서 발견되었다.
Statistical modeling to predict community change for large geographical scale is difficult when community responses to similar climate changes differ among regions.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solution for this problem by predicting species responses to local environment. Our model for predicting community change consisted of species response models to local environmet parameters, in which the estimated abundance of each species was used to reconstruct the community composition. Our method was verified by data from continuous surveys at Hyangrobong, Odaessan and Taebaeksan in Gangwon-do, in which environmental factors and ground beetle community at each site were continuously recorded. We show our method performes better than an ordinary model that predicts directly a change in the community.
최근 기후변화와 더불어 사과원 병해충 방제 횟수, 주변 식생 등의 변화로 인해 노린재류의 발생 밀도가 증가하고 피해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사과원 노린재류의 방제는 주로 살충제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들의 강한 이동성과 농약 잔류, 작업자에 대한 농약 노출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단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해충 방제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과원의 주요 노린재 중 썩덩나무노린재와 갈색날개노린재의 알을 이용하여 사과원 주변의 알 기생봉을 탐색하고 이들에 대한 야외 기생률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저온 저장된 두 종의 알을 사과원에 배치하고 이후 수거하여 알에서 채집된 기생봉을 동정한 결과 썩덩큰검정알벌(Trissolcus japonicus Ashmead)로 확인되었다. 야외 기생률은 썩덩나무노린재의 경우 약 27%, 갈색날개노린재는 21%로 나타났다. 추후 이 기생봉에 대한 생태 특성, 인공 사육, 야외 방사 기술 등의 생물적 방제제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Nysius is one of the most common and widely distributed species in the world. It is one of the emerging pests of perilla crop in the field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oviposition preference and development of Nysius plebeius and N. hidakai. on five crops seed (Perilla, Sesame, Proso-millet, Sorghum, and Fox-tail millet) using both multiple choice and no-choice tests. Both results found perilla seeds to be the most suitable seeds for oviposition and development. Total developmental period was shortest on perilla seed, and the longest was on rest of crops seeds. The highest of adult emergence, longevity, and adult weight were occurred on the perilla seed.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preference and performance of Nysius spp on the perilla seed. The information may facilitate the exploration of resistant genetic materials chemical associated with seeds for successful breeding program in Korea.
국화를 가해하는 총채벌레류로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미나리총채벌레, 파총채벌레, 오이총채벌레, 고사 리그물총채벌레(Hercinothrips femoralis)가 보고되었다. 특히 꽃노랑총채벌레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와 국화줄기괴저바이러스(CSNV)를 매개, 확산시켜 국화 품질저하, 생산성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한편 고사리그 물총채벌레는 국화과, 장미과, 백합과, 사초과, 앵초과, 협죽도과, 후추과, 두릅나무과, 쐐기풀과, 천남성과, 꿀풀과, 선인장과 등 여러 식물을 가해하는 하는 것으로 국외에서는 이미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연구되고 있지 않다. 2018년 전북 완주군 이서면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국화 시험온실(무농약)에서 꽃노랑총채벌레와 고사리그물총 채벌레가 발견되었다. 해충이 없는 국화에 꽃노랑총채벌레와 고사리그물총채벌레를 각각 정착시켜 피해 증상을 비교한 결과, 2종의 총채벌레가 가해한 국화 잎에서 각각 다른 피해 양상이 나타났다.
황색점착트랩의 설치각도에 따른 고설재배 딸기의 주요 해충종들의 부착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직, 수평 앞면 및 뒷면, 45도 앞면 및 뒷면 등으로 달리 트랩을 설치하여 점착트랩내의 부착위치를 조사하고, 각 트랩에 포획된 곤충종의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설치각도에 따른 점착트랩 내의 포획 위치는 진딧물류와 총채벌레류가 유사하게 모든 각도에서 상부에서 유살수가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직, 45도 윗면 트랩에서 종수와 총포획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각 처리별 Shannon 지수의 차이는 없었다. 45도 윗면 트랩에서만 Shimpson 지수가 높게 나타나 소수 종에 집중된 포획양상을 보였으며 모든 트랩에서 공통적으로 초파리와 총채벌레류가 우점하여 포획되었으나 총포획수가 적은 45도 아랫면 트랩의 경우 이들 우점종의 검출도가 낮았다.
Three ambrosia beetle species, Xyleborus glabratus, Monarthrum mali, and Euwallacea fornicatus belong to subfamily, Scolytinae, showing similar morphology and body size, but their flight capability and patterns showed species-specific. Body length of Xyleborus glabratus and Monarthrum mal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light capabilities; shorter beetles performed longer average flights, longer single flights, total flight distance, and total flight time. Elytral length also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light distance in X. glabratus and M. mali. Conversely, only average flight time of E. fornicatu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dy length, pronotal width, and elytral length. Body length had no effect on the flight velocity of any of the three beetle species examined. Therefore, our results indicate that body size characteristics of ambrosia beetles differentially influence on their dispersal by species.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Say, 1830)]는 북미 원산 해충으로 2009년 3개 시군에서 공식적으로 확인된 후, 2016년 60개 시군으로 급격히 분포지역이 확대된 침입 해충이다. 이들은 기주범위가 넓고, 산림지 방제의 어려움 등으로 발생밀도가 증가하여 단감원을 비롯한 농작물 재배지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단감 포장에서 미국선녀벌레의 발생 시기와 밀도 및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포장내 30개 지점에 끈끈이트랩을 설치하였고, 유입 및 유출 패턴을 조사하기 위해 포장주위에 약 15~20m 간격으로 끈끈이트랩을 설치하여 10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단감포장 내에서 5월 중순부터 약충이, 7월부터 성충이 발생하였으며 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8월 중순이었다. 유출입 패턴은 5월 하순에 유입이 가장 많았고, 8월 중순이후 성충의 유출이 관찰되었고, 포장내로 산란을 위해 유입되는 개체도 관찰할 수 있었다.
It was available to store both nymphs and adults of Geocoris pallidipennis at 5℃ for 3 weeks without negative effects on their survival, fecundity, and Bamisia tabaci nymph predation. Up to 140 days, it was also possible to store Micromus angulatus adults at low temperature, showing approximately 50% cumulative survival rate, but over 2 week cold storage was not suitable for their fecundity. With the increase of cold storage duration, the aphid predation by M. angulatus decreased, but it could be possible to cold store until 5 weeks without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phid predation. Thus, short term cold storage of G. pallidipennis and M. angulatus could be useful for inundative biological control.
The study conducted to understand the annual phenology of hemipteran insect pests including Halyomorpha halys, Nezara antennata, Plautia stali, and Riptortus pedestris in Jeju, Korea, 2017 and 2018. We investigated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m at three locations for two years. The commercial and fish trap were used for monitoring. We compare the seasonal occurrence among species and sampling locations. The repeated measured ANOVA was used to explain the difference of seasonal occurrence among locations and sampling time. There was difference the first adult catch and the peak occurrence of species among sampling sites.
Riptortus pedestris is a polyphagous species and an economically important insect pest of soybean.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time, survivorship, longevity and fecundity of R. pedestris at five different temperatures. Life table analysis is the prime tool in population dynamics and pest management. We applied the computer programs – TWOSEX-MSChart and TIMING-MSChart - to analyze our data. We obtained the population parameters – adult preoviposition period (APOP), total preoviposition period (TPOP), oviposition days, eggs per reproductive female, first age of survival rate <50%, proportion of male and female individuals and life table parameters (net reproductive rate, intrinsic rate of increase, finite rate of increase, and mean generation time) - and population projection using two computer programs.
The oriental fruit fly is a major polyphagous insect pest with a worldwide distribution.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time, survivorship, longevity and fecundity of B. dorsalis at six different temperatures. We applied the computer programs – TWOSEX-MSChart and TIMING-MSChart - to analyze our data. We obtained the population parameters – adult preoviposition period (APOP), total preoviposition period (TPOP), oviposition days, eggs per reproductive female, first age of survival rate <50%, proportion of male and female individuals, propoortion of N-type individual, and life table parameters (net reproductive rate, intrinsic rate of increase, finite rate of increase, and mean generation time) - and population projection using two computer programs.
The Shine Muscat grape(Vitis vinifera L.) have high quality and the cultivation area is increasing recentely in Republic of Korea. The total cultivation area of the country('18) is 963ha, and the cultivation area of Gyeongbuk area is 81%, which is 780ha. But the research on pests causing damage in cultivation is insufficient. Recently, the damage caused by Bark beetles is increasing due to the abnormal weather and the increase of the cultivation area of shine muskets. The Bark beetles that occur in the Grape Shine Muskete plantation are Xyleborinus saxesen, which pierce tree trunks and cause the whole tree to die. Xyleborinus saxesen occurred continuously from April to August, and it occurs in Shine Muscat stem damaged by the frostbite. Shine muskets are weak to frostbite, so it is necessary to keep the trees free from frostbite in winter and early spring.
경북 영양지역 고추 비가림하우스 재배지에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주요 해충의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발생조사는 영양읍, 청기면, 일월면을 중심으로 임의 10개 포장을 선정하여 4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총채벌레류는 5월 중순, 6월 중순, 7월 상순∼중순, 9월 중순∼9월 하순에 걸쳐 총 4회의 발생최성기를 보였고 꽃노랑총채벌레가 84.8%로 우점하였다. 총채벌레 피해과율은 조사연도에 따라 0.8~7.3%로 조사되었다. 담배나방 유충에 의한 과실피해 는 7월 상순, 8월 중순, 9월 중순~9월 하순에 많이 발생하였다. 진딧물류는 5월 중순~5월 하순, 7월 중순∼8월 하순에 걸쳐 연 2회의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가루이류는 8월 중순~8월 하순, 9월 하순~10월 상순에 걸쳐 연 2회의 발생최성기를 나타냈으며, 담배가루이가 98.1%, 온실가루이가 1.9%로 담배가루이가 우점종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흰등멸구는 매년 해외로부터 비래, 정착한 후 2~3세대를 경과하며 벼의 생육 및 품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벼의 중요 해충 중 하나이며, 비래해충의 경우 비래 후 세대에 따른 변화 양상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방제시기와 방제수단을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공시충은 2018년 사육실에서(25±2 ℃, 60±5% RH, L:D=16:8) 누대사육하여 사용하였다. 흰등멸구가 국내에 비래 후 3세대까지 세대증식하면서 피해를 주는 것으로 가정하여 1세대와 3세대 간의 발육과 산란 등을 조사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생명표를 작성하였다. 약충기간은 1세대와 3세대에서 각각 14.5일, 13.6일, 암컷 성충기간은 각각 17.2일, 11.8일로 나타났으며, 우화율은 98.3%, 85.0%로 조사되었 다. 산란기간은 각각 6.8일, 6.0일이었으며 산란수는 47.5마리, 122.6마리로 세대가 늘어나면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표 분석 결과, 순증가율, 내적자연증가율이 각각 5배, 1.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Honey bees are affected by a variety of factors, so they have to be thoroughly managed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The activity of the honey bee foragers represent an important parameter of the hive state. Here, the real-time and automatic monitoring system using dual infrared sensors was applied for counting the foraging activity of honey bees based on ICT. According to this study, this system is very accurate with a relative error of 3.98% / 4.43% compared to manual counting through video analysis. This system showed the scalability of the system through the internal and external temperature sensors connected through the main board and BLE module. Furthermore, the data measured through this system for one month were analyzed, the monthly average foraging activity and the number of lost foragers were measured (1.88% of outgoing bees), and at the same time, the foraging pattern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emperature and time were analyze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apicultural, scientific and educational materials with more powerful real-time monitoring tools through expansion of a complex monitoring system and big data accumulation.
루비깍지벌레 Ceroplastes rubens는 감귤에 피해를 주는 주요 깍지벌레 중 하나로 연 1회 발생하며 수액을 흡즙하는 직접적인 피해와 분비된 감로로 인한 그을음병 유발의 간접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제주지역에서 루비깍지벌레 천적으로는 루비붉은깡충좀벌 Anicetus beneficus와 애홍점박이무당벌레 Chilocorus kuwanae 2종이 확인되었다. 1975년 일본에서 도입 방사한 천적인 루비붉은깡충좀벌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루비깍지벌레 발생 억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2018년 4월부터 12월까지 도내 유기재배 감귤원 (2개소)에서 황색끈끈이트랩을 이용 루비붉은깡충좀벌 성충의 시기별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월동세대 성충은 5월 중순, 제1세대와 제2세대 성충은 각각 7월 중순과 8월 하순에 발생 정점을 나타내었다. 조사 포장에서 루비깍지벌레의 기생률은 9월 중순에 9.6%와 19.6%이었다.
파밤나방은 배추과 채소 등 여러 농작물에 피해를 주고 있는 중요한 나방류 중의 하나이며, 돌발적으로 다발생한 경우 큰 피해를 주기도 한다. 제주지역에서 배추과 채소 주요 재배지역인 제주시 한림읍에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파밤나방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시기별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트랩에 최초 유인 시기는 4월 상순이었으나 3월 온도가 높은 해에는 3월 상순에 유인되기도 하였다. Karimi-Malati et al.(2014)의 발육온도 모델을 이용하여 제주지역에서의 연간 발생세대수를 추정한 결과 4∼5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성페로몬 트랩의 발생 절정기별 다음 세대 성충 발생시기와 트랩 유인밀도와의 관련성을 2009년과 2010년 조사 자료에 대해 검토한 결과 연관성이 낮은 시기가 나타났다. 이 시기 NOAA의 HYSPLIT 모델(Rolph et al., 2017)을 이용하여 기류의 역방향과 순방향 궤적선을 추적한 결과 중국으로부터 장거리 이동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장거리 이동에 관여하는 기상요인과 비래원은 6∼7월에는 장마전선 등에 의한 중국의 남중부지역이, 8∼9월에는 중국의 북동부지역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북방농업지대에서 발생하는 6종 벼 주요해충들의 발생 시기를 곤충 발육모델에 근간하여 추정하였다. 대상 해충들의 발생 시기를 유효적산온도를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월동 해충들의 발생 시기는 지역 간 차이가 뚜렷하였고, 한반도 북부지역 동북쪽 지역 및 동해안 북부 지역으로 갈수록 발생시기가 늦어졌다. 6-8월 사이 해충 발생 시기는 비래해충 1세대 성충의 발생시기와 같이 지역 간 차이가 적었고, 8-9월에는 지역 간 해충 발생 시기에 있어 차이가 뚜렷한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한반도 북방농업지대에서 동북지역, 동해안북부, 북부내륙, 북부고산 지역에서의 벼 해충 발생은 적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평강 및 양덕을 제외한 북방지역 동해안남부, 수양산이남·이북지 역은 국내 경기·강원 북부지역에서 발생하는 벼 해충들의 특징과 유사할 것으로 추정된다.
The periodic occurrence of biological population is affected by several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ancient literature survey offers insight into ecological process related to the cyclicity. The periodic occurrence of a Lepidopteran species, the pine caterpillar (Dendrolimus spectabilis), was estimated based on ancient literature survey. The pine caterpillar was one of the most injurious defoliators of pine trees in northeast Asia, especially Korea during 1960s and 1970s. Outbreaks of this species have long history in Korea. Since about 900 years ago, damages of pine forest by this species and its control were recorded both in History of Corea dynasty which cover 475 years (918-1392) of the history of the Corea Dynasty and i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Joseon Wangjo Shillok) which cover 472 years (1392-1863) of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respectively. At least over 20 and 30 occurrences of pine caterpillar were recorded during Corea dynasty and Joseon Dynasty,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ine caterpillar had been one of the most severe forest pests during Corea and Joseon Dynasty. Our result showed that the ancient literature survey is useful to understand the long-term periodic occurrence of the pine caterpil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