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2015년 4월) 238

포스터 발표

101.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생물학에서 마르코브 프로세스 (Markov processes)는 DNA 서열, 생태계 천이 등 복잡하며 연속된 서열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어져 왔다. 특히 은닉마르코프모델(Hidden Markov Model; HMM)은 관찰 가능한 시계열 자료(observable event)가 가진 상태(hidden state)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 5월부터 12월까지 영등포구 일대 토지 피복/이용(주거지역, 상업지역, 문화체육, 공공시설, 초지, 내륙습지, 나지, 내륙수, 공업지역, 교통지역) 정도가 다른 12 지점에서 관측된 모기 발생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HMM을 사용하였다. 추가적으로 3개의 기상 관측소에서 측정된 기상요인(온도, 습도, 풍속, 강수량, 일사량, 일조량)이 관찰 자료로 사용되었다. 모기 발생의 정도를 HMM의 상태(state)로 지정하고 동일한 값의 시작 전이확률(transition probability matrix; TPM)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앞서 제시된 기상요인과 출현 정도의 관계인 출력 전이확률 (emission probability matrix; EPM)을 지정하여 HMM(100 iteration)에 적용하였다. 모델을 통해 예측된 전이확률을 통해 각 기상요인에 따른 모기 발생 확률의 측정이 가능했다. 또한 발생단계에 따라 기상요인이 가지는 예측 확률이 계산되었다. 또한 토지 피복 상태에 따라 높은 예측 확률을 보이는 기상인자의 추출이 가능하였다.
102.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Drepanepteryx Leach, 1815 and Drepanepteryx phalaenoides (Linné), 1758 (Neuroptera:Hemerobiidae) are newly reported to Korea. Only one species, Neuronema albostigma have been reported in Korea as a species of Drepanepteryginae. In this study we report another species, Drepanepteryx phalaenoides and provide photos of adult and male genitalia based the specimen examined.
103.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hyparini is one of the tribes of well-known termitophilous scarabs included in Aphodiinae Leach, 1815. Several species of the tribe are known to live in association with termites, with both organisms occurring together in relatively large numbers. In extant numbers of this tribe, the larvae live inside termite nests. The tribe Rhyparini can be distinguished by the following combination of characters: clypeus usually bidentate though sometime feebly so, inflexed edge medially obtusely angulate; frons and vertex with tufts of setae or longitudinal tubercles; pronotum with six longitudinal costae equally spaced in at least posterior half of disc, lateral pronotal edge at least feebly bilobed in anterior half; elytra costae, costae varying on height, number and spacing, elytral apices frequently bulbous, epipleura narrow; posterior prosternal process hastate; antenna 9th segmented, club 3th segmented, segments of club short and compact. The tribe includes 77 species of 12 genera worldwide, and Pittino (2006) published a key to world genera in the subfamily Rhyparinae (tribe Rhyparini). In total, nine species of two genera in the tribe Rhyparini have been recorded in the Palaearctic region up to date: Rhyparus Westwood with eight species and Sybacodes Fairmaire one species, In Japan three species are known, China with one and Taiwan five. However, up to date, any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In the present study we report on the tribe Rhyparini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based on Rhyparus azumaiazumai Nakane, 1956. Diagnosis and illustrations of detailed diagnostic characters, including male genitalia are provided.
104.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parasitoid complex and the degree of parasitism by each species were analyzed for Ivela auripes Butler (Lepidoptera, Lymantridae) populations in the increasing phase. Total of 2,177 eggs, larvae and pupae were collected and reared from the Gwangneung forest Pocheon-si, Korea. The most abundant parasitoids from each developmental stage were: a trichogrammatid wasp (Trichogramma kurosuae) from eggs, a braconid wasp (Cotesia melanoscela) from larvae, an ichneumonid wasp (Pimpla disparis) and a tachinid fly (Tachinidae sp.1), each from pupae. 19 other parasitoids, mostly hyperparasitoids, also occurred including Tachinidae sp.2, Pteromalidae sp.1, Ichneumonidae sp.3, and Apechthis capulifera. Illustrations and a list of the species parasitizing of I. auripes are provided.
105.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insect faunal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sect community structure along the vegetation community to monitor insect species in forest ecosystem. We performed day and night collections from June to August along three vegetation communities of Is. Nam-hae in 2014: the first stand with Pinus thunbergii, the second P. thunbergii with Quercus serrata and the third P. thunbergii with various Quercus species. In total 2,259 individuals of 532 species, 99 families, 13 orders are identified. Cluster Analyses (CA) showed that all three vegetation communities were relatively similar between vegetation community types. According to indicator species analysis (ISA) result, nine significant indicator species were identified (p < 0.05); five species were found to be affected by the vegetation cluster and four species the month cluster.
106.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ree Cyamophila species are recognized from Korea, including a new species: Cyamophila hexastigma (Horváth, 1899), Cyamophila willieti (Wu, 1932), Cyamophila sp. nov. The new species differs from other allied species in the paramere bearing a characteristic innerly protruding apex. Cyamophila dalbergiae Li, 2011, in particular, it differs also in the wing venation with the vertically narrow rectangular cell cu1 and long and sinuous vein Rs whereas in Cyamophila dalbergiae cell cu1 is broad and vein Rs relatively short and straight. In Cyamophila sp. nov. the female circumanal ring is longer than in Cyamophila dalbergiae. All three species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a key to the Korean species.
107.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pecies diversity of ant fauna inhabiting the university campus in the Seoul Metropolitan city, Hanyang University is documented in this investigation. Totally, 14 species of 8 genera belong to 3 subfamilies discovered in study area. Our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works on ant fauna in the forest and urban habitats based on species number difference. In study area, site 12 and 13 contain wide forest area and diverse environmental elements such as rotten wood, leaf mold and group of living tree. Site 7 has small forest area, but show wide variety of environments like site 12 and 13. Urbanized region like site 8, 10 or area in construction like site 1 show the most lowest diversity. Aside from diversity, Four ant species, Paratrechina flavipes, Lasius spp., Camponotus japonicas, Tetramorium caespitum, appear at almost all habitat, seems to have strong tolerance to environmental change.
108.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genus Omosita Erichson, 1843 which belongs to the sap beetle, Nitidulidae, is reviewed from Korea. Two species Omosita colon (Linnaeus, 1758) and O. japonica Reitter, 1874 are previously known from Korea, one species O. discoidea (Fabricius, 1775) is first recorded from Korea. A key to species, re-descriptions, biology, illustrations of both male and female of the genus Omosita are provided.
109.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곡식좀나방과는 곡식좀나방상과(Tineoidea)에 속하며 전 세계적 으로 약 3,600여종이 광범위 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곡식좀나방과의 유충은 매우 광범위한 먹이원을 섭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나비목의 유충이 섭식하는 식물성 먹이원을 섭식하는 종류부터 부식된 낙엽이나 썩은 나무, 버섯과 같은 균류를 섭취하는 종류, 동물성의 키틴이나 케라틴 조직을 섭취하는 종류까지 생태계에 있는 광범위한 종류의 유기물질을 섭식한다. 국내의 곡식좀나방과는 30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형태학적인 분류체계를 따르는 속단위의 분류군에서 비슷한 먹이원을 공유 하는 경우가 대다수 이기 때문에 파악한 먹이원의 종류를 연구에 적용한다면 다수의 국내 미기록 종 및 신종의 추가가 기대된다. 조사는 해외의 문헌을 기초로 하였으며 문헌조사결과에 따라 먹이원의 수집 및 먹이원을 활용한 트랩을 이용하였고, 곡식좀나방과의 옷좀나방아과 2종과 버섯좀나방아과 1종의 유충 및 성충의 사진을 첨부하였다.
110.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ymantria dispar (Linne), gypsy moth, is known as euryphagous insect and one of forest pests having wide range of host. Female of European Gypsy Moth (EGM) are flightless whereas those of the Asian Gypsy Moth (AGM) are strong fliers. So, we studied flight ability of female AGM by using flight mill device. The flight measurements of female AGM are recorded for an hour using 1- and 2-day-old mated and unmated individuals. As a results, mated females were observed more active the unmated. But, flight speed of unmated females are faster than mated. Flight frequency wasn't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ted and unmated females.
111.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는 주로 진딧물을 포식하는 진딧물의 주요 천적으로 알려져 있으나, 무당벌레에 관한 유전자 정보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RNAi(RNA interference)를 이용하여 무당벌레 임의의 유전자들을 선발하기 위해 gateway system을 이용한 무당벌레 cDNA library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RNAi에 적합한 200bp~400bp의 insert를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2.58×106 titer의 무당벌레 cDNA를 완성하였다. 이러한 cDNA library의 임의의 유전자들은 transcription vector인 LITMUS 28i vector에 무작위적으로 클로닝 하여 dsRNA를 합성한 후 무당벌레에 주입하여 무당벌레 체내에서 나타나는 표현형의 변이를 확인하였다. 무당벌레 cDNA library를 제작함으로서, 임의의 유전자들을 스크리닝하여 표현형의 변이가 나타나는 유전자를 확인하고, race를 통해 유전자의 전체 시퀀스를 알아내 유전자 정보를 확인함으로서 무당벌레 내에 유전자 기능 분석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12.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ynegetis impunctata (Linnaeus, 1767), a phytophagous lady beetle, was recorded in South Korea for the first time recently. Previously, only the adult form of this species had been described. In this study, we provide a redescription of the adult and the first descriptions of the larva and pupa. Diagnostic characters for this species are given, and intraspecific color variation in Cynegetis impunctata adults is discussed.
113.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레이더 탐색 시스템은 동물의 이동을 탐지할 수 있는 최신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말벌류는 양봉장을 방문하여 꿀벌의 대량 폐사를 야기하는 문제 해충으로, 사냥한 먹이를 둥지로 가져가고 동료를 불러와 더 큰 피해를 입힌다. 따라서 말벌 행동 연구에서 이동 거리와 방향은 물론 말벌 둥지를 찾아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말벌 행동 연구를 위한 레이다 기술의 적용을 위한 예비 실험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레이더 탐색 시스템은 발신기, 전파 탐지기 그리고 수신기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0.19g 발신기와 야기안테나, IC-R20 수신기를 활용하였다. 발신기를 곤충 등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5종 테스트 한 결과 순간접착제류는 충격에 의한 이탈이 쉽게 이루어졌고, 전용접착제의 경우 30회 충돌실험에서 온전하게 부착됨을 확인하였다. 신호 수신역은 평지에 비해 산지 등 복잡 지형에서 짧았으며, 발신기의 높이가 높을수록 수신역은 증가하고, 지면아래 깊이가 깊을수록 감소하였다. 예를 들어 말벌집이 지하 50cm 깊이에 존재할 경우, 그 안에서 발신되는 전파는 30m 내외에서만 감지되었다. 블라인드테스르틀 통한 발신기 위치 확인은 통상적으로 수신역 내에서 10분 내외로 찾을 수 있었다. 이상을 바탕으로 야외 적용 연구가 이루어 진다면 곤충의 행동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114.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기후변화로 돌발해충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국제 교역의 증가, 발달된 교통수단 등으로 외래곤충의 유입 및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다. 북미에서 유입된 외래곤충 해바라기방패벌레의 효율적인 방재 및 관리를 위해서 전국 단위의 분포를 파악하고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주식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3~2014년 2년 동안 전국 143개 시군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2013년에는 인천, 경기, 충남, 충북, 경남 등 총 27개 시군에서 확인되었고, 2014년에는 강원, 전남 등 28개 시군에서 추가로 확인되어 총 55개 시군에서 발생이 확인되었다. 현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고 있으며, 발생빈도가 높지 않은 강원도와 전라도 지역에서 잠재적으로 빈도 및 밀도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주식물은 2013년 24종, 2014년 8종이 추가되어 총 9과 32종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기주식물은 쑥, 물쑥, 미국쑥부쟁이, 망초, 해바라기, 삼잎국화, 양미역취 등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국화과에서 나타났으며, 꿀풀, 가지과, 백합과 등에서 확인되었고, 외래식물은 15종으로 나타났다. 해바라기방패벌레는 주요 고속도로와 인근 국도에서 높게 관찰된 것으로 보아 차량에 묻어 장거리를 쉽게 이동한 것으로 추측되며 국화과 외래식물을 번식원으로 확산될 것으로 보여 확산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연 2회 발생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지역별 연간 세대수에 관한 상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115.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국내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갈색날개매미충은 2010년 충남 공주, 예산 일원의 산지 및 과수에서 처음 발견된 후 서쪽에서 동쪽으로 발생이 확산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종 분포 모형 Maxent version 3.3.3k를 사용하여 잠재서식지를 예측하였다. 모델에 사용된 종속변수는 2014년 현지조사에서 확인된 43개 지점을 사용하였다. 독립변수인 환경변수는 기후, 피복, 거리 3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변수를 작성하였다. 모형의 정확도는 AUC(Area Under Cover) 0.884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사용된 전체 환경변수 중 여름철 강수량, 여름철 평균온도, 임상현황, 토지피복현황의 순으로 모형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기여도를 바탕으로 출현자료와 환경변수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여름철 강수량이 800~1,000 m 인 지역, 여름철 평균 기온이 25℃ 이상인 지역, 활엽수인공림에서 출현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토지피복유형은 공업지역과 교통지역, 나지에서 분포확률이 높게 나타났으면 특히, 내륙습지에서 출현확률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잠재서식지 예측을 통해 갈색날개매미충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16.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중국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외래곤충 갈색날개매미충의 효율적인 방재 및 관리를 위해서 2014년 형태 및 전국 단위의 분포를 파악하고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주식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형태적 특징으로 성충의 머리부터 생식기 끝까지 길이는 암컷 7.944±0.395 mm, 수컷 7.528±0.459 mm, 머리부터 등판까지 길이는 암컷 4.105±0.289 mm, 수컷 3.706±0.171 mm, 앞날개 면적은 암컷 83.579±10.099 ㎟, 수컷 64.749±5.488 ㎟, 앞날개 2/3지점에 마름모꼴의 흰색 점의 면적은 암컷 1.279±0.214 ㎟, 수컷 0.975±0.189 ㎟ 이었다. 전국 143개 시군을 대상으로 43개 시군에서 발생이 확인되었고, 강원도, 제주도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서울, 청양, 공주, 전주, 괴산, 완주, 진안, 구례 등에서 피해가 심각하였다. 서식지 유형별 피해양상은 산지가 34.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산지 계곡부 32.5%, 산지 경작지 16.3%, 도로변 9.3%, 고속도로 휴게소 7.0%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기주식물은 총 53과 114종으로 나타났으며, 선행연구를 포함한 갈색날개매미충의 기주식물은 62과 138종으로 조사되었다. 기주식물 연구에서 침엽수인 주목(Taxus cuspidata)에서 피해가 확인되어 서식하는데 필요한 환경조건이 형성된다면 기주식물의 범위는 더 확대될 것으로 판단되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117.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낙동강 상류에 설치된 수중보 2곳(St.1, St.2)과 본류에 설치된 낙단보(St.3) 및 상주보(St.4)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와 군집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는 2014년 봄, 여름, 가을 총 3회 수질조사와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분류군별 출현현황은 소형 수중보(St.1, St.2)와 대형 보(St.3, St.4)에서 각각 총 11목 32종, 14목 52종, 13목 34종, 9목 18종이 출현하였다. 군집지수 분석결과, 평균 다양도지수(Hˊ)와 풍부도지수(Rˊ)는 St.2에서 각각 2.65와 2.54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 우점도지수(DI)는 St.4(0.8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섭식기능군(FFG) 분석결과, P(Predator)와 GC(Gathering Collector)의 종수 점유율은 대형보에서 88.0%~90.0%, 수중보에서 64.3%~83.3%로 나타났다. 서식기능군(FHG) 분석결과, 비교적 유수역을 선호하는 종으로 구성된 CL(Clinger)의 점유율이 소형 수중보에서는 32.3%~48.4%로 대형보의 9.7%~25.8%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군집안정성 분석결과, 대형 보에서 I 그룹(저항력↑, 회복력↑)과 III 그룹(저항력↓, 회복력↓)에 속하는 종들이 수중보에 비해 각각 더 높은 점유율(75.0% > 70.0%, 16.7% > 14.0%)을 나타냈다. 이화학적 수질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종수 및 개체수는 물리적 환경요인인 pebble입자와 양의 상관성(p<0.05)을 나타냈다. 또한 전기전도도, COD가 종수, 그리고 DO가 개체수와 음의 상관성(p<0.05)을 나타냈다.
118.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반딧불이 성충의 개체군 조사방법은 크게 Mark-recapture method (MR)와 Flash counting method (FC)로 구분된다. 그러나 MR법은 오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어 대부분의 조사는 FC법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두 조사방법의 차이와 상관성을 분석하여 각 조사방법의 효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애반딧불이 성충의 조사는 경북 안동시 남선면 일대에서 2012년 6월부터 2013년 7월까지 총 33회 실시하였다. MR법을 이용한 결과 총 3,051개체가 조사되었으며, 비행하는 개체수의 암·수 비율은 약 1:9, 휴식하는 개체수의 암수 비율은 약 3:7로 나타났다. 비행 및 휴식하는 암·수 개체수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2012년 조사 시 휴식하는 개체의 상관관계는 0.809, 비행하는 개체는 0.677로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FC법으로 조사한 결과 비행시 관찰된 개체는 총 903개체, 휴식시 관찰된 개체는 총 1,166개체가 조사되었다. MR법 및 FC법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2012년과 2013년 조사시 휴식하는 개체수의 상관관계는 각각 0.904, 0.831, 비행하는 개체수는 0.942, 0.960으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P<0.01). 조사방법에 따른 휴식 및 비행하는 개체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2012년 및 2013년 휴식하는 개체는 결정계수(r2)가 각각 0.8180, 0.6910, 비행하는 개체는 각각 0.8882, 0.9221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따라서 약 2~3년간 MR법과 FC법을 병행하여 실시한 후 FC법으로 전환한다면, 애반딧불이 개체군 유지에 필요한 기본 정보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19.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리산둘레길 주변의 딱정벌레류의 분포 및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2014년 5월부터 10월 초순 까지 조사된 딱정벌레종수는 13과 38종이다. 가장 많이 채집된 종은 Harpalidae로 12종이며 다음으로 Carabidae가 10종으로 조사되었다. 개체수가 가장 많이 발견된 종은 Brachinidae로 1,059개체였다. 월별 개체수는 5월이 332개체, 6월이 560개체, 7월이 501개체, 8월에는 955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9~10월에는 736개체로 채집되었다. 고도별은 300m 에서 474개체, 400m 에서 975개체, 500m 에서 657개체, 600m 이상에서는 978개체로 채집되었다. 사면별 분포는 남서사면에서 9과 26종 1530개체, 북동사면에서는 11과 33종 1554개체가 채집되었다. 남서 사면 다양도 지수 2.224(0.966) 균재도 0.683 우점도 0.156이며 북동 사면 다양도 지수 2.079(0.903) 균재도 0.595 우점도 0.240이었다. 남서 사면에서 월별 다양도 지수는 6월 2.141(0.930), 균재도 6월 0.791 우점도 는 8월 0.324로 가장 높다 북동 사면에서 월별 다양도 지수는 5월 2.098(0.911), 균재도 5월 0.818 우점도는 7월 0.451로 가장 높았다. 숲가꾸기 지역에서 400m, 600m 이상 지역의 대조구가 각각 368, 342개체로 많이 채집되었다.
120.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생물다양성의 감소는 금세기 최대 화두 중 하나이다. 이런 생물다양성의 변화를 평가할 때 생물지표종을 많이 이용하며 곤충은 유용한 지표종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 중 지표성 딱정벌레는 생태 및 분류학적 연구가 잘 되어 있고, 산림관리, 벌채, 산불, 도시화 등과 같은 환경변화를 평가할 때 자주 이용된다. 국내에서도 지표성 딱정벌레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지만, 조사기간과 조사방법이 다르고 특정 지역만을 연구했기 때문에 전국단위의 분석 및 평가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지표성 딱정벌레의 종수와 종다양도의 전국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 위도 0.5도와 경도 0.5도의 격자 안에 8개의 조사지를 임의로 배치하고 함정트랩법을 이용하여 2006년부터 2009년까지 4년간 5월 중순부터 9월 중순 사이에 조사를 실시했다. 전국 산림 359개 조사지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종수와 종다양도의 분포를 예측하였다. 종수의 범위는 0~16, 종다양도의 범위는 0~2.432이였다. 딱정벌레 종수와 종다양도의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공간내삽(Interpolation)인 역거리가중법(Inverse Distance Weighted : IDW)를 이용하였다. 359여개 지점에서 취득한 자료를 이용하여 공간해상도 0.5㎞ × 0.5㎞의 래스터를 구축하여 지역별 종수와 종다양도를 ArcGIS Zonal Statistic 기능을 이용하여 도출하여 비교 및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