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한국발생생물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2012년 9월) 52

포스터 발표 목차

21.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정소 내 생식세포 분화가 이루어지는 세정관과 혈관 사이에 존재하는 blood-testis barrier (BTB)는 다양한 밀착결합(tight junction)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Claudin-11은 이러한 밀착결합을 구성하는 단백질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끼(domestic rabbit; Oryctolagus cuniculus domesticus), 꿩(pheasant; Phasianus colchicus), 자라(soft shelled turtle; Pelodiscus sinensis)의 정소에서 claudin-11의 발현을 관찰하고, 성적 성숙 또는 번식기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동물의 claudin-11 partial cDNA 염기서열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RT-PCR을 수행하였다. 또한 정소 조직 내에서 claudin-11 발현 부위를 확인하기 위해 면역염색을 시행하였으며, western bolt을 통해 단백질발현을 확인하였다. 토끼와 꿩의 정소에서 claudin-11은 성적으로 성숙한 이후에, 자라의 경우 생식세포의 분화가 활발히 일어나는 비번식기에 mRNA 발현량의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이는 단백질의 발현량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성적 성숙이 일어나지 않은 토끼와 꿩 및 번식기 자라의 정소내에서 claudin-11 발현은 주로 Sertoli cells 및 그 사이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생식세포 분화가 활발한 시기의 세정관 내에서 claudin-11은 Sertoli cells 및 그 사이 뿐만 아니라 Sertoli cell이 spermatogonia와 접하는 바닥면에 물결형태로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포유류뿐만 아니라 조류에서도 claudin-11이 생식세포 분화를 진행하는 세정관 내에서 BTB를 구성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계절에 따라 생식세포 군집의 변화를 보이는 자라의 정소에서 생식세포 분화가 활발한 시기에 claudin-11이 BTB 구성에 참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꿩의 정소 및 정소(organ culture)에서 분리해 낸 Sertoli cells(primary culture)를 이용한 실험에서 testosterone 처리에 따라 claudin-11 mRNA가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자라의 호르몬을 분석한 결과, 세정관내 생식세포 분화가 활발한 시기에 testosterone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claudin-11이 남성호르몬의 조절을 받으며, 생식세포의 분화가 활발한 시기의 높은 농도의 남성호르몬은 세정관내부 환경을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claudin-11이 포함된 BTB를 발달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조류와 파충류 정소에서의 claudin-11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정소 내 고유환경 조성에 참여하는 것은 claudin-11이 진화선상에서 갖는 공통된 기능임을 확인하였다.
22.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당개구리(B. orientalis)의 수정란은 수정 후 약 24h에 원구입술을 형성하며, 이 원구의 고리를 통해 이동하는 세포가 중배엽을 형성하고, 중배엽의 수렴확장에는 noggin, chordin, follistatin이 큰 영향을 미친다. Mercuric chloride는 높은 독성, 생물 농축적 특성을 갖는 가장 위험한 중금속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양서류 초기배아의 중배엽 형성과정에서 수은 이온에 의해 유발되는 중배엽 발생저해 효과를 DMZ explants를 이용하여 체외분석 및 유전자 발현 분석하였다. 무당개구리 배아는 hCG를 주사하여 획득하였으며, 획득한 배아는 22℃에서 발생시켰다. 동물극 유도 시에는 후기 포배의 배아 동물극 정중앙을 1~2 mm 크기로 절개하여 이용하였고, DMZ 분리는 원구입술의 크기가 배아 둘레 기준으로 약 1/8 정도 확장된 배아가 되었을 때 절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4-well tissue culture plate에 1X MR로 조제한 1.5% agarose 고체배지 500μl에 1X MR, penicillin(1μl/ml), streptomycin(10μl/ml), BSA(0.25μl/ml)로 조제한 액체 배양액 500μl를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동물극의 중배엽 유도를 위한 실험군에는 추가적으로 Activin-A를 2.0 ng/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Mercuric Chloride는 3차 증류수에 녹인 후 0(vehicle control group), 0.1, 1, 10 μM의 농도로 배양액에 처리하여 20℃에서 배양하며, 12시간 경과 후 DMZ explant의 수렴확장 정도를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을 통해 수치화 하였다. 배양된 explants는 RT-PCR을 이용하여 cDNA로 합성하고, noggin, chordin, follistatin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동물극의 중배엽 유도 실험에서는 확장 정도를 의미하는 길이신장은 10μM(2.715 mg/L)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수렴 정도를 의미하는 동물극 신장 부위의 두께는 10μM(2.715 mg/L)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종합적인 수렴확장 정도의 비교를 위한 길이/폭 비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DMZ explant의 확장 정도를 의미하는 길이신장은 10μM(2.715 mg/L)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수렴 정도를 의미하는 DMZ explant 두께는 수은이온처리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종합적인 수렴확장 정도의 비교를 위한 길이/폭 비율은 10μM(2.715 mg/L)의 수은이온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유전자 발현량 측정 결과, 동물극의 중배엽 유도 실험에서는 noggin의 경우 1, 10μM에서, chordin의 경우 0.1, 1, 10μM에서, follistatin의 경우 1, 10μM에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DMZ explant 배양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렴확장저해가 확인되지 않았다. 무당개구리 배아를 이용한 Mercuric Chloride의 중배엽 형성저해 분석 결과, 10μM(2.715 mg/L) 이상의 농도는 DMZ의 길이 성장, 길이/폭 비율을 저해시키며, 동물극의 중배엽 형성 유도에서는 길이 성장, 폭 성장을 저해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물극의 중배엽 유도군에서 수렴 확장 정도에서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길이와 폭의 성장이 모두 저해되었기 때문에 비율의 변화값이 고정되었음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유전자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길이 측정결과에서 보였던 결과와 마찬가지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므로 수은이 중배엽 형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가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DMZ explant 군에서의 변화양상이 없는 것으로 보아, 차후 중배엽 형성 저해 실험을 관찰할 때에는 동물극 유도 실험군을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23.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lycan epitopes of cellular glycoconjugates act as versatile biochemical signals, and this sugar cod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cell-to-cell recognition processes. In the present study, our aims were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sperm receptors with activity for fucosyl- and galactosyl glycans and to address whether mono sugar neoglycoproteins functionally mimic the binding between zona pellucida (ZP) glycoproteins and sperm. In mouse epididymal spermatozoa with intact acrosomes, fucopyranosyl bovine serum albumin (BSA-Fuc) bound to the segment of the acrosome, the equatorial segment, and the postacrosome region of the sperm head. Galactosyl BSA (BSA-Gal) binding activity was similar to that of BSA-Fuc, but was weaker. In acrosome-reacted spermatozoa treated with the Ca2+ ionophore A23187, BSA-Fuc binding was lost in the apical segment of the acrosome but remained in the equatorial segment and postacrosome regions. BSA-Gal binding to the equatorial region was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2.5 μg/ml BSA-Fuc, in vitro sperm - ZP bind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dicating that fucosyl-BSA functionally mimics ZP glycoproteins during sperm-egg ZP interactions. At the same concentration, BSA-Gal was not effective. Fucosyl BSA which efficiently inhibited the sperm-ZP binding can mimic the ZP glycoconjugate and has potential for use as a sperm fertility control agent in mouse.
24.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quaporin 5 (AQP5) implicated in the generation of saliva, tears, and pulmonary secretions functions as a water-specific channel. Epididymal epithelial cells actively reabsorb water, ions and proteins. Large quantity of testicular fluid movement across the epididymal tubules generates high osmotic milieu which is important for sperm maturation.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fluid homeostasis and its regulation by sex steroids in male reproductive tract, the expression of AQP5 was examined in different regions of mouse epididymis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The effect of androgen on the expression of epididymal AQP5 was examined in ORX model. AQP5 mRNA levels were the highest in corpus region in which drastic increase was noted during sexual maturation. Epididymal AQP5 immunoreactivity was largely found in apical as well as basal region of luminal epithelia. Moderate immunoreactivity for AQP5 was found in in smooth muscle cells in both immature and mature mice. Epididymal lumen of ORX mice showed shrinkage together with decrease in AQP5 expression. Alteration of AQP5 expression in ORX epididymis was partially recovered by androgen injection. AQP5 mRNA was induced at 10uM 5α-DHT in organ cultured epididymis. Chromatin immunoprecipitatin (ChIP) showed that 5α-DHT induced recruitment of androgen receptor (AR) to the -4635 to -4453 bp region of the AQP5 gene promoter in adult epididymis. Taken together, axial regulatory mechanism may control transcription of AQP5 along the length of epididymal tubule. Water transport through AQP5 is important for late sperm maturation and storage in epididymis. Androgen may directly induce AQP5 gene transcription via activation of AR in epididymis.
25.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혈액 정소 장벽은 정소내에 있는 세정관과 Sertoli cell 사이에 존재하는 물리적 장벽이고, 혈액 부정소 장벽은 부정소 내의 상피세포간의 밀착결합에 의한 장벽이다. 이러한 혈액 정소 장벽과 혈액 부정소 장벽은 내강과 외부 사이의 물질수송에 관여하는 역할을 한다. 정소와 부정소에서는 정자의 형성과 성숙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장벽을 통한 물질수송의 조절은 정자의 형성과 성숙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Lipopolysaccharide(LPS)를 투여하여 전신성 염증반응을 일으킴으로서 염증반응에 의한 혈액정소장벽과 혈액부정소장벽의 분자적인 변화와 확산장벽기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후 8주령 생쥐에 LPS와 식염수를 각각 투여 후 24시간 뒤 정소 및 부정소를 적출하여 무게측정 뒤 정량적 realtime RT-PCR 방법을 통해 혈액정소장벽과 혈액부정소 장벽 현성에 관여하는 밀착결합 유전자(CAR, Claudins, JAMs, Occludin, Tricellulin, ZO-1) mRNA와 단백질 발현을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적출한 정소와 부정소의 무게를 측정하여 평균을 낸 결과,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염증반응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TNF-α, IL-1β, IL-5, IL-18의 mRNA를 realtime RT-PCR로 분석한 결과, TNF-α와 IL-5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정소에서 밀착결합 유전자의 realtime RT-PCR 결과, Cldn 1, 2, 4 mRNA의 발현은 대조군보다 LPS를 복강주사한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JAM3 mRNA 발현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Occludin과 ZO-1 mRNA 발현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AR의 경우, isoform 중 Exon 7번이 마지막인 long form의 mRNA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Tricellulin의 경우, isoform 중 long form과 mid form의 mRNA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부정소에서는 Claudin 유전자와 JAM 유전자중 대부분이 증가하는 양상을 띄었고, 그 중 Cldn5와 JAM2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부위별로 나눠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 차이를 나타내는 유전자도 있었다. Cldn5 mRNA의 발현은 전체적으로는 유의적으로 증가했으나 부정소 미부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LPS투여군이 대조군보다 밀착결합 유전자 대부분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일부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염색한 결과, Cldn1, 4, JAM3, Tricellulin의 경우 발색정도가 증가하였고, CAR의 경우 감소하였다. Biotin tracer를 통해 BTB의 투과성을 확인해본 결과, 대조군에서는 BTB에 막혀서 Sertoli cell 사이로 통과하지 못하였으나, LPS를 투여한 군에서는 BTB를 통과하여 감수분열 중인 정모세포 부근까지 확산되었다. 따라서 정소와 부정소에서 염증반응이 일어나게 되면 혈액정소장벽과 혈액부정 소장벽을 형성하는 밀착결합의 분자적 구조 변화를 초래하고, 이는 확산장벽의 변화시킴으로서 정자 형성과 성숙에 영향을 주어 남성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26.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mnionless-cubulin complex(cubam)과 megalin은 신장 및 소장 등에서 주로 발현되며, 세포 외부에서 내부로 물질을 이동시키는 ligand-mediated endocytosis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다. Ligand로 작용하는 물질은 vitamine B12, D, albunin, steroid hormone 등 다양한 물질과 결합가능한 multi-ligand receptor로 알려져 있다. Female pituitary는 estrous cycle에 따라 세포의 사멸 및 생성, 호르몬의 생성이 조절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strous cycle에 따라 세포 내로의 물질 수송의 변화 가능성을 amnionless, cubulin, megalin의 발현 패턴 변화 및 성호르몬에 의한 발현 조절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Estrous cycle을 virgina smear를 통해 시기 별로 구분하여 pituitary 내 amnionless, cubulin, megalin의 mRNA 발현 패턴을 real-time PCR로 분석하였으며, pituitary 내 단백질의 분포는 immunohistochemistry로 분석하였다. 또한 estrogen에 의한 protein 발현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OVX를 시행하여 estrogen을 10일 간 투여하였으며, 비투여군에는 동일 시기 동안 seasame oil을 투여하였으며, ER α KO mouse model을 이용하여 동일 계통의 female mouse diestrus, estrus 시기의 target gene의 발현 패턴을 위와 같은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Amnionless mRNA 발현은 estrus 시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OVX 시행 시 Sham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estrogen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ER α KO mouse는 diestrus 시기 대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estrus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cubulin 및 megalin은 estrus 시기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OVX 시행 시 Sham 대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estrogen 투여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ituitary에서 amnioless의 단백질 발현 패턴은 estrus cycle에서는 estrus 시기 단백질 발현량이 증가하였으나, cubulin과 megalin은 단백질 발현의 변화를 구분할 수 없었다. 반면, OVX model의 경우 단백질 발현의 차이는 구분할 수 없었다. 뇌하수체 조직내 Amnionless 및 cubulin의 발현 분포는 OVX control군의 경우 세포질 내에서만 발현하였으나, esrogen 투여군은 이들 단백질이 세포막으로 발현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ER α KO mouse의 경우 amnionless의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emale mouse의 pituitary에서 Amnionless-cubulin complex(cubam)과 megalin의 발현 및 단백질의 분포는 estrogen에 의해 조절된다. 이들 복합체 변동에 따른 pituitary 세포에 필요한 물질수송의 변화는 estrous cycle에 따른 pituitary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27.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croRNAs (miRNAs) are single-stranded, small non-coding RNAs which are critical for gene regulatory networks by directing the translational repression or degradation of complementary target mRNAs. They can be divided into two subclasses: canonical and non-canonical miRNAs. Canonical miRNAs are produced from long primary transcripts by sequential complex events in which RNA III enzymes such as Drosha and Dicer and accessory factors such as DGCR8 and Argonautes work cooperatively. DGCR8 is a RNA-binding protein that assists Drosha to process canonical miRNAs in the nucleus. To understand function of canonical miRNAs in uterine physiology, we have characterized uterine phenotypes of uterine-specific DGCR8 knock-out mice (uDGCR8 KO, DGCR8flox/flox; PRcre/+), and hormonal regulation of expression profiles of major factors working for miRNA biogenesis in the uterus. Gross morphological and histological analyses, immunohistochemistry, PCR and realtime RT-PCR were performed. While DGCR8 and Drosha do not seem to be regulated by ovarian steroid hormones, expression of Dicer, Exportin 5 and Argonaute 2 was transiently increased by E2 but not by P4. Combination of E2+P4 did not have any additional effects on their expression profiles. Genomic DNA PCR analyses showed that while DGCR8 gene is not completely deleted in the uterus, DGCR8 is specifically deleted in the uterus where PR is strongly expressed. uDGCR8 KO females bred with fertile males did not produce any offspring, suggesting that these mice are infertile. Vaginal smear analyses provided evidence that these mice do not undergo estrous cycle. Whereas gross morphology and histological analyses of uteri of 3-week-old uDGCR8 KO mice is similar to that of DGCR8flox/flox mice (control), uteri of 5- and 8-week-old mice are extremely thinner and shorter than those of control mice. These results were supported by significant decrease in uterine weight/body weight of uDGCR8 KO mice at 5-week-old age onward. Interestingly, this phenotype is reflected by significant increase of PR expression in the uteri of 4-week-old mice. Expression of DGCR8 and Dicer i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birth. BrdU incorporation experiments showed that cell proliferation governed by ovarian steroid hormones does not normally occur in these mutant mice. Furthermore, artificial decidualization does not occur in these mice. Collectively, these results conclude that canonical miRNAs plays critical roles in normal uterine development and steroid hormone-dependent uterine function.
28.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arly growth response 1 (Egr1) belongs to the Egr family of zinc finger transcription factors that regulates cell growth,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Egr1(-/-) female mice are infertile due to anovulation resulting from luteinizing hormone β subunit (LHβ) deficiency. While it is clear that Egr1 is a critical factor to regulate transcription of LHβ in the pituitary gland, function of Egr1 and mechanisms by which estrogen (E2) and/or progesterone (P4) regulates Egr1 in uterus still remain unexplored. Using multiple approaches, here we have characterized regulatory mechanism of Egr1 induction in the uterus and uterine phenotypes of Egr1(-/-) mice. Eight-week-old female mice were ovariectomized (OVX) and rested for a week. Uteri of OVX mic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E2 and/or other hormones were collected at 2h after hormone treatment unless otherwise indicated. Collected uteri were utilized for mRNA microarrays, realtime-RT-PCR, Western blotting, and histological analyses for immunofluorescence and BrdU staining. Egr1 mRNA was rapidly induced with the highest level at 2h after E2 treatment and gradually decreased to basal levels at 12 h. E2-induced phosphorylation of ERK1/2 and AKT, and Egr1 transcription were effectively inhibited by pretreatment of ICI 182,780. Pharmacological inhibition of ERK1/2, but not AKT significantly blocked E2-induced Egr1 expression in the uterus. P4 effectively dampened E2-dependent Egr1 transcription and its antagonistic effects were partially interfered with RU486 pretreatment. Interestingly, BrdU incorporation experiments provided evidence that epithelial cells undergo hyperproliferation in Egr1(-/-) mice. This is consistent with microarray data that several key factors for cell cycle progression such as cyclin Ds and E2F1 are overexpressed in these mice. Furthermore, in the uteri of OVX Egr1(-/-) mice treated with E2+P4, stromal cell proliferation is severely impaired and epithelial cells persistently proliferating. While ovulation,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normally occur in Egr1(-/-) mice treated with a superovulation regime to rescue LH deficiency, embryo implantation is severely impaired. Blastocysts were not able to implant even on day 6 of pregnancy in Egr1(-/-) mice. In addition to embryo implantation, uterine response to artificial decidualization in hormone-primed Egr1(-/-) OVX mice was relatively less than that of wildtype mice. Collectively, our results show that Egr1, which is rapidly induced by E2-ER-ERK1/2 pathways, is a critical factor to control E2-dependent cell proliferation via regulation of a spectrum of genes for embryo implantation in the uterus.
29.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arly growth response 1 (Egr1) is an immediate early response gene which is induced by various external stimuli and acts as transcription factor to direct second-wave gene expression leading to cell growth, differentiation and/or apoptosis. It is well known that Egr1 regulates transcription of a cluster of genes in cancers and luteinizing hormone (LH) beta subunit in the pituitary. In addition to function of Egr1 in cancers and pituitary, we recently showed that Egr1 acts as a local master regulator to mediate estrogenic actions in the uterus. However, regulatory mechanism by which Egr1 directs transcription of its downstream target genes in the uterus remains to be yet explored. Thus, we have tried to identify direct target genes of Egr1 in the uterus by analyzing mRNA microarray data sets followed by in silico promoter analyses with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mRNA expression profiles of Egr1(-/-) uteri and Egr1(-/-) ovaries were compared to those of wildtype mice to provide a potential list of direct target genes of Egr1 in the uterus. Whereas Egr1 is rapidly and transiently induced in the ovary and the uterus by external stimuli, LH and estrogen, respectively with a similar manner, a list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etween Egr1(+/+) and Egr1(-/-) mice were barely overlapped between these two dataset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transcriptional network of Egr1 in the uterus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in the ovary. The list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Egr1(-/-) uterus was enriched by RT-PCR. In silico analyses with MatInspector provided evidence that Egr1 binding sites are relatively enriched in -500 bp promoter regions of genes in the list. CHIP assays for Egr1 antibody with uterine tissues 2 h after estrogen treatment reinforced the possibility that genes identified in this study such as Gadd45g and Lbh could be directly regulated by Egr1 in uterine context. Collectively, we show that bioinformatic analyses of expression profiles with in silico analyses could be a useful tool to enrich potential candidates of direct target genes of transcription factors.
30.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망간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는 금속으로써 체내 대사와 효소 활성조절에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장기간 또는 과량 노출 시 면역, 신경, 발생 등 다방면에 독성작용을 나타냄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성숙한 암컷 흰쥐의 생식기관에 미치는 망간의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실험군은 이유한 암컷 흰쥐(PND 22; S.D. strain)에 망간(․O; Sigma Aldrich)을 1, 3.3, 10 mg/kg/day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은 0.9%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하였다. 대조군 동물이 질구 개방(vagina opening) 된 생후 35일째에 전체 동물들을 일괄 희생하여 생식조직 무게를 측정하였다. 망간을 투여한 흰쥐의 체중은 대조군에 대비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난소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1 mg/kg/day 투여군과 3.3 mg/kg/day 투여군(각각 P<0.05, P<0.0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자궁은 3.3 mg/kg/day 투여군(P<0.01)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수란관의 경우 1 mg/kg/day 투여군(P<0.05)에서만 무게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10 mg/kg/day 투여군의 생식조직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비장의 경우 무게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반면, 부신과 신장의 경우 망간 투여에 의한 무게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는 이유 후 사춘기 개시까지의 비교적 단기간 동안 망간을 투여할 경우, 암컷 흰쥐의 생식기관 발달을 교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망간이 생식조직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과 기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31.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고장성(20%) 생리식염수를 흰쥐 정소에 직접 주사할 경우, 혈중 테스토스테론 수준이 최저 수준에 도달하고 정소 조직이 완전히 파괴됨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능적 ‘거세’ 효과를 유발하는 생리식염수 주사 모델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생식기관의 무게와 해부학적 변화, 그리고 생식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발현을 정소절제모델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생후 5개월된 수컷 흰쥐(S.D. strain)를 무처리군(intact; control), 정소절제군(orchidectomy), 식염수 주사군(saline-injection)으로 나누어 식염수 주사군에는 정소 당 750 ㎕의 멸균한 20% 식염수를 직접 주사하였고, 정소절제 수술은 식염수 주사가 행해진 날에 시행하였다. 주사 후 1, 2, 4주 및 3개월 경과 후에 동물을 희생하여 생식조직들을 채취하였다. 체중의 경우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식염수 주사군의 정소 무게는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부정소와 저정낭 그리고 전립선의 무게의 경우 무처리군에 비해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조직학적 조사에서 식염수 주사군의 정소 대부분에서 괴사가 발견되었으며, 세정관내 정자를 확인할 수 없었다.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의 부정소, 저정낭 그리고 전립선 모두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내강이 수축하여 면적이 크게 감소함이 관찰되었다. 시상하부에서 Kisspeptin의 mRNA 수준은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뇌하수체 호르몬 발현(Common alpha, LH-beta 그리고 FSH-beta subunit)은 대조군 대비 식염수 주사군에서 대체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정소 내 고장성 식염수 직접 주사모델이 정소절제와 유사한 테스토스테론 제거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안정성과 효용성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고장성 식염수 주사모델은 외과적 거세를 대체하면서 동시에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실험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2.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inclozolin(3-(3,5-dichlorophenyl)-5-methyl-5-vinyl-1,3-oxazolidine-2,4-dione; VCZ)은 dicarboximide계 살균제로서 전세계적으로 식용식물 재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VCZ은 항안드로겐으로 작용하여 내분비계 교란효과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설치류 수컷의 사춘기 개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암컷에서의 사춘기 개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연구된 바가 없으므로 본 연구는 VCZ 노출이 암컷 사춘기 개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갓 이유한 암컷흰쥐(PND 21; S.D. strain)에 VCZ을 0(대조군), 0.01, 0.1, 1, 10 mg/kg/day의 농도별로 5개 실험군으로 나누어 매일 경구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에서 질구 개방이 일어나는 날 일괄적으로 희생하였다. 생식기관의 성숙상태를 각 조직의 무게 및 조직학적 연구로 조사하였다. 또한 사춘기 개시와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 발현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뇌하수체, 시상하부, 자궁, 난소에서 ER-α, ER-β, PR의 mRNA 수준을 조사하였으며,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 호르몬 축 상에서 발현되는 생식호르몬 관련 유전자들의 활성에 미치는 VCZ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상하부에서의 GnRH, Kiss-1, GPR54와 뇌하수체에서의 Cα, LH-β, FSH-β의 mRNA 수준을 조사하였다. 난소와 자궁의 무게는 VCZ의 투여 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RNA의 조사 결과, 고농도의 VCZ 투여 모델(1 mg 투여군과 10 mg 투여군)에서 시상하부의 GnRH, Kiss-1, GPR54의 mRNA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뇌하수체의 Cα, LH-β, FSH-β의 mRNA 수준 역시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자궁과 난소에서 ER-α, ER-β, PR의 mRNA 수준도 감소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서 ER-α, ER-β, PR의 mRNA 수준은 대체로 감소하는 듯한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조직학적 조사 결과, VCZ의 투여 농도에 따라 난소와 수란관, 자궁, 질의 성숙이 지연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사춘기 개시 이전의 시기에 VCZ의 지속적인 노출은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의 생식호르몬 축의 활성을 저하시키고, 그 결과 암컷의 사춘기 개시가 비정상적으로 조절되어 난소-자궁의 발달이 지연됨을 보여준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항안드로겐 노출에 의해 암컷 사춘기 전후 에스트로겐 작용이 교란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33.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야행성 설치류의 섭식행동은 주로 밤 시간대에 일어난다. 본 연구는 섭식행동을 매개로 하는 일주기 패턴과 생식계의 상관관계 유무를 조사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컷 생쥐를 대상으로 하여 섭식패턴을 강제로 역전시킨 뒤 각 4, 8, 12주 후 생식조직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용한 생후 4주인 수컷 생쥐(ICV strain)는 light:dark cycle을 12시간:12시간으로 설정한 사육실에서 식수의 접근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사육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은 암기(19:00시부터 익일 08:00시)에만 먹이를 제공하고, 실험군은 명기(08:00시부터 19:00시)에만 먹이를 제공하였다. 4, 8, 12주 후 동물들을 희생시킨 후 생식조직과 장기들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섭식패턴역전을 시행한 결과, 체중은 4주 실험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8주 실험군(p<0.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12주 실험군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식기관인 정소와 부정소에서는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저정낭은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4주차(p<0.01)에서 특히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전립선은 4주, 8주 실험군에서는 대조군보다 높은 양상을 보였지만 점차 감소하여 12주차에서는 유의하지는 않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뇌하수체의 무게는 모든 실험군에서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신장과 비장의 경우 4주차 실험군(각각 p<0.001, p<0.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신의 경우 4주차(p<0.01)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8주, 12주 실험군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하게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빛/어둠 조절이 아닌 섭식행동 패턴을 역전시키는 간접적인 일주기 교란에 의해 수컷 생쥐의 생식계에 나타나는 변화를 확인하였다. 체중과 전반적인 장기 무게가 4주차에서 변화가 일어난 경우에도 12주차에는 상당 부분 정상으로 회복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새로운 생체 리듬과 항상성에 대한 적응으로 사료된다. 부속생식기관인 저정낭과 전립선에서 전반적인 무게 감소 효과는 일주기 교란이 수컷 생쥐의 생식기능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34.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주기 리듬(circadian rhythm)을 교란할 경우, 면역기능저하, 종양 발생률 상승, 각종 내분비기능교란 등 다양한 생리적인 문제가 발생함이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일주기 리듬 교란이 수컷 흰쥐의 생식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미성숙한 수컷 흰쥐의 섭식 패턴을 강제로 역전시켜 일주기 리듬을 간접적으로 교란시킨 뒤 각 4주, 6주, 8주 후 생식조직의 무게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후 4주의 미성숙한 수컷 흰쥐(S.D. strain)는 light:dark cycle을 12시간:12시간으로 설정한 사육실에서 식수의 접근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사육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은 암기(19:00시부터 익일 08:00시)에만 먹이를 제공하고 실험군은 명기(08:00시부터 19:00시)에만 먹이를 제공하여 섭식에 제한을 주었다. 4, 6, 8주 후 동물들을 희생시킨 후 생식 및 비생식장기들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섭식 패턴 역전을 시행한 결과, 체중은 각 실험군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생식기관인 정소는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부정소는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6주차 실험군(p<0.05)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부속생식기관인 저정낭의 경우, 4주차 실험군에서는 변화가 보이지 않았으나, 6주차 실험군(p<0.01)과 8주차 실험군(p<0.0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전립선 역시 4주차 실험군은 무게 변화가 없으나 6주차 실험군에서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8주차 실험군(p<0.001)은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뇌하수체의 무게는 모든 실험군에서 감소하는 듯 보이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신장 무게는 4주차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6주차 실험군(p<0.001)에서 크게 감소하였으며 8주차 실험군은 다시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부신은 신장과 마찬가지로 4주차 실험군에서 무게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6주차 실험군(p<0.00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가 8주차 실험군에서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비장의 무게는 4, 8주차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듯 하나, 8주차 실험군에서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다. 본 연구에서 섭식행동 패턴을 역전을 통한 간접적인 일주기 교란이 수컷 흰쥐의 생식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안드로겐 의존적으로 조절되는 부속생식기관인 저정낭과 전립선에서 유의한 무게 감소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일주기 교란에 의해 수컷생식기관의 정상적인 성숙이 지연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35.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부분 경골어류의 성은 자웅동체이며, 생식소 분화시기에 결정된 형태학적 성이 일생동안 지속된다. 하지만 형태학적 성이 완성된 이후에도 외부환경요인 등에 의하여 자웅동체 또는 성의 교란이 나타나기도 한다. 경골어류의 성과 생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EDCs(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는 생물의 내분비계 작용기작에 비정상적으로 작용하여 호르몬 생산, 분비, 이동, 대사, 결합작용 및 배설을 간섭하는 외인성 물질이다. 많은 연구자들은 EDCs가 androgenic effector나 estrogenic effector로서 각각 다른 기작에 의해 수서동물의 생식관련 내분비계를 교란시켜 성의 표현이나 기능을 변화시키는데, 이에 대한 가장 대표적인 biomarcker는 intersex라고 하였다(Ackermann et al., 2002; Metrio et al., 2003; Quinn et al., 200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임해 공단지역에서 채집된 숭어, Mugil cephalus와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의 생식이상 및 체내 EDCs 축적도를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에서 이용된 숭어와 주둥치는 각각 2009년 7월 동해안 울산 온산 인근해역과 남해안 광양만 인근 해역에서 채집되었다. 채집된 개체들은 생식소를 적출하여 조직표본을 제작하고 Mayer's hematoxylin-eosin(H-E) 염색하였다. 성비와 intersex는 생식소표본 관찰을 통하여 구분하였으며, intersex는 반대 성의 생식세포가 관찰되는 경우만을 포함하였다. 어류 중 EDCs의 축적도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공성시험법 (환경부고시, 제2007-165호)」 및 「내분비계장애물질측정분석방법 (국립환경연구원, 2002, 5)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PBDEs의 경우 고분해능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HRGC/HRMS)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숭어와 주둥치의 성비와 intersexuality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1과 같으며, 체내 EDCs 6종류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36.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illed oil into marine environments are known to induce disturbance not only hepatodetoxification system but also immune function in fish. However, toxic mechanisms on immune system and complex toxicity of crude oil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Innate immune response considered on the attractive effect-based monitoring tools due to their capacities to predict population disturbances by modification of disease susceptibility. In the study, to clarify the toxic effects of Hebei sprit spilled crude oil on fish immune system, multiple hepatodetoxific enzymes (Cytochrome P4501A and GST) and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1beta (IL-1β),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 were evaluated in juvenile Rockfish fed individually the gelatin-capsulated Iranian Heavy Crude Oil (IHCO). At 12 h after treatment, the oil-fed groups were shown higher concentrations of biliary 1-OH pyrene fluorescence metabolite and CYP1A ex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Cat. L and G-CSF mRNA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at initial stage of exposure (from 12 h to 48 h after exposure) but decreased to the level of control group or less. 72 h post-oil injection, fish were intraperitoneallyadministered an LD50 dose of Streptococcus iniae (FP.5228; Korea Fish Diseases Information Center). Host survival was monitored for 7 days and cumulative mortality rate was calculated. Host mortality rat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oil exposure group compared to sham group.
37.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환경요인의 위해성 평가방법은 기본적인 위해성 평가의 접근방법 결정에 필요한 위험성 확인(hazard identification), 노출평가(exposure assessment), 용량-반응 평가(dose-response assessment) 및 위해도 결정(risk characterization)의 주요 4단계이다(Huggett et al., 1992). 이러한 위해성 평가에 이용되는 biomarker는 생물체에 미치는 외인성 요인들의 영향을 측정할 수 있는 세포 또는 개체수준의 생리, 생화학 및 구조 등의 지표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생리학적 biomarker 가운데 생색생물학적 지표들은 독성물질에 의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평가하는데 중요하게 이용되는 항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서생태계 가운데 내분비계장애물질(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의 오염우려가 높은 시화호의 수서생태영향 모니터링 과정에서 가숭어의 intersex 현상이 확인되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된 가숭어는 시화호 7개 지점에서 채집하였다. 채집한 시료는 생식소를 적출하여 10% 중성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고, 파라핀 절편법으로 4~6 ㎛ 두께로 연속 절편하여 조직표본을 제작한 후 Mayer’s hematoxylin-eosin(H-E) 염색을 실시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성호르몬 분석은 조사지점 중 3개 지역에서 채집된 가숭어 혈액 내 estradiol과 testosterone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체내 EDCs 분석은 「잔류성유기오염물질공정시험방법(환경부고시, 제2007-165호)」 및 「내분비계장애물질 측정분석방법(국립환경연구원, 2002. 5)」에 준하여 분석하였으며, PBDEs의 경우 고분해능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HRGC/HRMS)법을 적용하였다. 성비(♀:♂)는 1:1.05(n=130:136)으로 조사되었다. Intersexuality는 20.30%(n=54/266)이며, 암컷(12.31%)보다 수컷(27.94%)에서 높게 나타났다. 혈액 내 성호르몬 농도는 성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없었으며, intersex현상을 나타내는 개체들에서 성 호르몬과의 연관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내 EDCs 축적도는 alkylphenol은 21.6 ㎍/㎏, phthalate는 82.0 ㎍/㎏, PBEDs는 505.0 ㎍/㎏, PFCs는 51.5 ㎍/㎏, bisphenol A는 0.3 ㎍/㎏, PAHs는 2.2 ㎍/㎏로 조사되었다.
38.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examined the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and fluctuating asymmetry of diploid and triploid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We used morphometric parameters the truss and classical dimension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classical and truss dimensions of the diploid and triploid fish. All the dimensions of the triploid fish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diploid fish. The triploid marine medaka shows sexual dimorphism in these characters, and the sexual dimorphism of the triploid marine medaka is similar to that of the diploid marine medaka. Thus, the growth of triploid marine medaka is faster than that of the diploid fish, and it displays clear sexual dimorphism, with male fish having longer dorsal and anal fins than female fish. we examined fluctuating asymmetry of eye diameter, maxilla length, operculum length, number of pectoral fin ray and number of pelvic fin ray. In all experimental groups, Eye diameter and maxilla lengt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ft side and right side (P>0.05). Trends of operculum length in triploid male group and pectoral fin ray's number in diploid male group showed similar trend with trends of operculum length in triploid female group and pectoral fin ray’s number in diploid female group. However, trends of operculum length in diploid male group and pectoral fin ray's number in triploid male group showed opposite trend with trends of operculum length in diploid female group and pectoral fin ray’s number in triploid female group. Trend of pelvic fin ray's number in all groups showed similar trend with trend of pectoral fin ray’s number in all groups.
39.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iss/GPR 54 system은 포유류에서 성 성숙 및 번식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어류의 성 성숙 및 번식 과정에서도 Kiss/GPR 54 system이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어류에서는 포유류와 달리 Kiss1 뿐만 아니라 Kiss2 유전자도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어류에서 Kiss2는 대부분 아미노산 서열 FNFNPFGLRF를 갖는 decapeptide를 생성하는 유전자이다. Kiss2 유전자는 시상하부에서 GnRH neuron을 자극하여 GTH 분비를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뇌하수체에서 kisspeptin의 직접적인 영향은 아직 불명확하거나 결과가 상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나일 틸라피아(O. niloticus)를 대상으로 나일 틸라피아 Kiss2 유전자의 kisspeptin-10(Kp-10, FNYNPLSLRF) 투여가 뇌하수체에서 직접적으로 번식관련 유전자를 조절할 수 있는지 in vitro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사용된 실험어는 나일 틸라피아로 체장과 체중은 각각 13.06±0.76 cm, 39.88±9.48 g이였다(n=16). 멸균조건에서 뇌하수체를 적출하여 96-multiwell plate에 80%(v/v) Leibovitz L15 medium(Gibco), pH 7.4, 10% fetal bovine serum, 100 IU/ml penicillin, 그리고 100 μg/ml streptomycin이 첨가된 배양액에 각각 수용하였다. 뇌하수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암조건에서 27℃로 3시간 배양한 후 나일 틸라피아 Kiss2 유전자의 Kp-10을 첨가한 배양액(0, 0.01, 1, 100 μM)으로 교환해 주었다(n=4 per treatment). 새로운 배양액에서 16시간 배양 후 각각의 뇌하수체로부터 TRI Reagent (MRC, Inc.)를 이용해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total RNA(1 μg)을 이용해 cDNA를 합성 한 후 Kp-10 투여 농도 별로 GTH subunits(LHβ와 FSHβ)의 발현량을 qRT-PCR로 비교하였고, 참조유전자는 β-actin을 이용하였다. 뇌하수체에서 LHβ, FSHβ mRNA 발현은 Kp-10 투여농도에 의존하여 영향을 받았다. LHβ, FSHβ 모두 Kp-10 1 μM 투여구에서 가장 높은 발현량을 나타냈으며, Kp-10 100 μM 투여구에서 다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100 μM의 농도가 mRNA 발현을 촉진시키는데 적정한 농도 수준을 벗어난 과도한 농도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뇌하수체에서 Kisspeptin이 직접적으로 GTH subunits을 조절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Kisspeptin을 이용한 최적의 투여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Kp-10 농도범위와 배양시간을 좀 더 세분화하여 실험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40.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환경요인의 위해성 평가에 이용되는 biomarker 가운데 생식 및 조직학적 지표들은 독성물질에 의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평가하는데 중요하게 이용되는 항목이다(Huggett et al., 1992). 수질 오염원으로 확인되는 화학물질은 중금속, 난분해성 화학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내분비계장애물질(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등이 있으며, 이매패류는 해양 저질과 수질의 오염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지표종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남해안 여자만에 서식하고 있는 우점종 이매패류를 이용하여 생태 건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이매패류는 여수 인근 여자만에 서식하는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지중해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와 진주담치, M. edulis이다. 바지락은 여자만 인근 여수 이목리와 송여자도에서, 지중해담치와 진주 담치는 여수 이목리, 송여자도, 적금도와 고흥 백일도에서 2012년 5월부터 7월까지 채집하였다. 채집한 시료는 조직표본을 제작한 후 Mayer's hematoxylin-eosin(H-E) 염색, AB-PAS(pH 2.5) 반응과 Long Ziehl-Neelsen 염색을 실시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Lipofuscin의 분포비율은 화상분석장치(IMT, Virsus,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체내 중금속 분석은 ICP-MS(Perkin Elmer, ELAN 6000)로 측정하였다. 바지락의 성비(♀:♂)는 여수 이목리와 송여자도에서 각각 1:1.10, 1:0.52로 나타났고, 지중해 담치와 진주담치는 여수 이목리에서 1:0.8, 1:1, 송여자도에서 1:1.25, 1:0.57, 적금도에서 1:1.67, 1:2, 고흥 백일도에서 1:0.44, 1:1.33으로 나타났다. Intersex 현상은 송여자도에 서식하는 바지락(13.8%), 지중해담치(11.1%)와 진주담치(9.1%)에서만 발견되었다. 조직학적 측면에서 intersex 현상은 반대 성의 생식세포들이 생식세포형성소낭 내부와 소낭 사이에 무리지어 나타나는 형태였다. 소화선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소화선세관을 구성하는 상피세포와 호염기성세포의 변성과 결합조직층의 변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이목리와 송여자도에서 상피세포의 위축과 파괴가 관찰되었다. 소화선에서 lipofuscin의 분포비율(%)은 여수 이목리와 송여자도에 서식하는 바지락에서 각각 0.24, 3.14로 관찰되었으며, 지중해담치와 진주담치는 송여자도 7.17, 3.14, 이목리 1.16, 1.55, 적금도에서 4.81, 8.21과 고흥 백일도에서 3.51, 3.47로 확인되었다. 여자만에 서식하는 이매패류의 체내 중금속(Ni, Cr, Co, Al, Mn, Zn, Cu, Pb, Cd, As) 농도(mg/kg)는 바지락 2.49, 3.04, 0.53, 375.09, 19.25, 46.68, 8.39, 0.57, 0.34, 9.76, 지중해담치 3.93, 4.46, 0.75, 753.75, 26.72, 81.82, 7.86, 1.57, 1.54, 7.48와 진주담치 3.03, 0.69, 700.26, 28.95, 63.14, 7.87, 1.40, 1.39, 6.83로 나타났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