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몇 십년동안 전 세계적으로 제조기술 분야의 급속한 성장으로 대부분의 제조 업에서 눈부실만한 품질향상과 생산성 극대화를 이루어 왔다. 하지만 현재 제조기술 분야는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실제 현장에서 관리하고자하는 품질특성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의 통계적 공정관리기술체계가 정규분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불량률 관리도로는 PPM/PPB 수준의 극소 불량률을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비정규 공정에서 극소불량관리, 미 세변동관리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비정규 공정에서 극소 불량률을 관리하기 위해서 통계량에 Burr 분포를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선박엔진에서 회전을 하면서 연료 압축 흡기 배기 밸브를 일정 간격으로 여 닫는 축을 캠샤프트라 한다. 엔진 선행 조립 작업시간을 조사해 보니 켐 샤프트 조립 공정 이 공정별 표준시간 대비 소요시간이 353.4 분 으로 표준시간 156.2 분 보다 높아 시급히 개선이 요구되어 캠 샤프트 조립 시간 항목별 파레토도 분석을 통해 샤프트 조립 시간을 중점항목으로 선정하여 개선하여 개선 후 31.1 분으로 감소하였으며 연간 4800만원 원가절감을 하였다.
최신의 방사선치료 기법 중의 하나인 체적변조회전치료의 경우 치료 시 방사선은 회전하면서 연속조사를 실시하는 반면 치료계획상에서는 1도 간격의 고정조사형태로 계획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적변조회전치료계획의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하 였다. 연속조사에 대한 치료계획이 불가능하므로 3구간에 대해 0.2도 간격, 0.5도 간격, 1.0도 간격, 2.0도 간격으로 치료계획을 실시하여 6개의 용적에 대해 처방선량의 50% 와 70% 용적에 대한 V50과 V70의 평가지표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평가지표 별 용적 에 대한 선속간격 그래프를 통해 연속조사에 대한 값을 외삽하여 추정하였다. 그리고 외삽된 연속조사의 값과 1도간격인 치료계획의 값을 비교하여 오차값을 획득하였다. 그 결과 V50에서는 최대 9.46%의 차이를 보였으며, V70의 경우 최대 25%의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체적변조회전치료계획의 경우 선량의 부정확성을 인지하면서 치료 계획을 실시하여야 하며, 치료계획 컴퓨터의 개발 시 1도 간격이 아닌 본 연구의 결과 에서 처럼 0.5도 간격으로 재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물론, 간격이 좁아지면 계산속도가 느려지므로, 2단계에 걸쳐 계산하는 시스템의 도입도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해야 할 것이다.
The private fixed device is needed for a radiation therapy about breast cancer. But this option is wrong applies to every hospital. Thereupon, we will establish standard of option for body-specific. 42 patients on 4 months were enrolled. The option of fixed device applied to divide into 6 kinds. The images were analyzed by OBI. In result, It is excellent reproducibility of position by all body-specific that It is applied head holder, shoulder holder, cotton, kneefix.
This paper introduces the Hierarchical Decomposition Mapping Diagram (HDMD) that represents the systematic architecture of axiomatic design. HDMD is composed of the contents of module symbol and the independence/dependence relationship between FRs (Functional Requirements) and DPs (Design Parameters). The examples presented in this paper show the strength of the diagrams in comparison with other studies of systematic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tools, such as hierarchical diagram, module-junction diagram and system flow di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