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6년 대한안전경영과학회 춘계학술대회 (2016년 4월) 45

7.
2016.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frastructure such as tracks, catenary, rolling stock and signaling systems, and close interface with the human factors of train drivers, shunting staff and maintenance staff are required for train operations. Safety management is the most essential part for the functioning of a train. In line with the safety management, each rail operator has a safety guidance system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perates Railway Safety Inspector system. Safety Inspector System is to train employees working in the field to be aware of rules and regulations, and to improve identified risk factors. He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atic training and inspection methods for safety guidance staff and make clear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safety inspectors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safety instructors for several inspections according to the Railroad Safety Act.
4,500원
10.
2016.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site accidents disaster a situation is finishing the direction in which most contractors are responsible. Several have way to improve the accountability of the construction participant in a construction site accident, but in particular, prices on improvements to the nakchalje, conducted at the forefront safety awareness to improve the supervision and management supervisor, maps technically allow some advice the knowledge about the technical safety of the safety officer is required and is considered to be especially made by designers and effective safety management from the design phase to improve safety awareness of the Engineer, prime Director and partner Director, hazard safety awareness to improve workers' In order to reduce the is believed necessary.
4,000원
11.
2016.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like accidents on land, marine accidents can not be supported rapidly from the outside. For this reason, The initial response and damage control system are critical. Cruise Lines International Association (CLIA) reported the necessity of the damage control system to IMO in the early 2000s. Even though the installation of these systems is not compulsory, the damage control system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about 60 cruises. The key component of damage control system is supporting the decision-making using 'KILL Card'. The purpose of study is to develop the shipboard training scenario for the foundation of 'KILL Card'. We made scenarios for fire and flooding through the analysis on existing scenarios, marine accident case and relative regulation. The suggested shipboard training scenario based on damage control system enables the crew to response with rapid decision-making to damage in emergency situations.
4,200원
13.
2016.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중대재해를 줄이기 위해서 시행되었으며 특 히 재해 발생이 두드러지는 소규모 영세사업장을 위주로 작성하게 되었다. 소규모 현장 의 사업주는 근로자에게 개인보호구를 지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개인보호구를 착용 하지 않고 작업장에서 작업을 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재해로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실질적인 개인보호구 지급 방법에 대한 방안을 제시할 것이며, 기존의 산 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의 개인보호구 지급 기준에 대한 개정을 주장하여 재해율을 줄 이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근로자는 개인보호구를 스스로 구입하여 착용을 해야 하 며, 정부는 근로자의 자발적 개인보호구 구매에 대한 보상으로 퇴직공제부금을 인상하 여 주어야 하고, 사업주에게 산재보험료를 인상하여 적용, 징수하고 이 산재보험료를 통해 근로복지공단에서 개인보호구를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4,000원
14.
2016.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의 핵의학, PET 진단 분야에서 진단 시에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 중 18F를 이용하여 납가운의 두께 별 에너지스펙트럼을 측정하고 납가운 0.3, 0.5mmPb에 대한 차폐율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에너지 스펙트럼 측정의 경우 자체 제작한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차폐율 및 선량 측정의 경우 납가운과 선원의 거리에 대 해 선원과 측정기에 대해 납 가운의 위치를 달리 하여 3가지 조건으로 나누어 각각 20회씩 측정을 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에너지 스펙트럼 상에서는 납가운을 위치하 였을 때 본래 방사성 동위원소로부터 방출되는 에너지 외의 에너지 피크영역이 측정 되었고 차폐율 및 선량측정에서는 방사성동위원소 18F은 납가운을 이용하여 차폐를 할 경우 차폐율이 매우 미비하거나 음수의 값이 측정되었다.
3,000원
19.
2016.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요즘 매일 같이 우리 주변에서는 크고 작은 재난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매일 재난현장을 다니면서 늘 걱정해 왔던 부분이기에 이제는 효율적인 재난현장대응으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재난 환경변화를 감안한 재난현장출동 을 최적화하여 현장대응을 해야 한다고 생각 한다. 재난(화재)은 발생 후 골든타임(4분~6분) 경과 시 연소가 급속히 진행돼 건물진입이 어렵게 되 고 인명구조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 긴급신호시스템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 한 긴급차량 도착 소요시간을 최소화시키고자 하는 시스템이다. 우리나라 긴급 대응체계 현황 으로 우리나라는 골든타임 도달률 32.8%(2009년)에 불과(우리나라 현장도착 평균 시간 은 8분18초(2009년 소방방재청) 소요되어 선진국에 비해 매우 미흡하며 몇 분 이내의 긴급차량 출동 시간 지연 여부가 생명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긴급차량이 교차로가 아닌 지역에서는 갓길 등을 이용해 빠른 진행이 가능하고 신호등이 있는 교차 로에 의해 차량이 멈추어 있는 지역에서는 긴급차량도 통과할 방법이 없어 대응시간 이 지연되어 생명과 안전이 위협당하고 있다. 도심지 교차로에 접근하는 긴급차량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미리 신호등을 터뜨려주어 자연스러운 일반차량의 정지를 유도, 사고 를 방지하고 긴급차량을 무정차로 통과할 수 있으며 차량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 GPS 좌표를 추적하여 접근 감지되면 신호기에서 접근방향으로 신호를 자동 전환 한 후 통과 때 까지 유지해 주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방차등 긴급차량의 접근성을 제약하는 교통상황 등의 환경적 요소로 인한 소방출동 장애요인 사례 및 설문조사분석을 통해 현행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도로상 장애요소를 극복하기 위한 법제도적인 개선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5,4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