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20

        2543.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간척지에 조기에 벼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내염성 품종개발을 필요로 한다. 내염성 벼 개발을 위해 애기장대로부터 클로닝한 NHX1(Na+/H+ antiporter) 유전자를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하여 벼에 형질전환하였다. BNHX1 형질전환체 T3 23계통, NHX1 형질전환체 T6 64계통을 선발하고 내염성 유묘검정을 수행하였다. 이 검정을 토대로 염에 대한 저항성을 5개 그룹으로 나누어 염에 대한 생육변화와 무기이온 함유량을 비교분석하였다. 내염성 벼인 인디카 계열의 Pokkali와 형질전환 계통일수록 초기 생육이 좋았고, 특히 염스트레스 초기에 뿌리생장이 염에 약한 계통보다 3~4배 큰 생장변화를 나타냈다. 또한 줄기부위의 양이온(Ca2+, K+, Mg2+ ) 함유량의 변화폭이 크며, Pokkali와 염에 강한 계통의 경우 염처리 시기동안 줄기부위의 Na+ 함유량이 염에 약한 계통보다 2~3배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선발된 내염성 계통은 간척지 적응성 내염성 벼 개발을 위한 중간모본으로 이용하고자 한다.
        2545.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역의 수문현상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형자료와 수문 시계열자료가 필요하다. 최근 들어 DEM(Digital Elevation Model)과 수자원 주제도와 같은 지형자료 뿐만 아니라 수치예보자료 및 강우레이더의 관측자료와 같은 수문 시계열자료 또한 격자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수문분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격자형 자료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단기간의 강우-유출 현상을 모의하기 위한 물리적 기반의
        2547.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nmi” is a new japonica rice variety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in 2007. This variety was developed from a across between Samcheonbyeo with lodging and cold tolerance and HR17870 derived from the cross of Iksan435 (Sobibyeo) and Sangju17 with resistance to diseases and good quality. This variety has about 110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northern plain, northern and southern mid-mountainous areas of South Korea. It is about 68 cm in culm length and tolerant to lodging. In reaction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it shows moderate resistance to blast, and to bacterial blight pathogen races from K1 to K3, but susceptible to other major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rice of “Unmi” is translucent and has relatively clear non-glutinous endosperm and medium short grain. It has about 17.3% amylose content, 6.3% of protein and simila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Odaebyeo. The milled rice yield performance of this variety is about 5.16 MT/ha under the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the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Unmi” 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in the northern plain, northern and southern mid-mountainous area of South Korea.
        2548.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wangeumnodeul 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Milyang165 and HR15151-B-21-3 at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7. This cultivar has short grains and about 139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direct seeding to harvesting in the southern plain areas. Culm length of this cultivar is 78 cm and the number of spikelet per panicle is similar to that of the check cultivar, Nampyeongbyeo, while filled grain rate is lower than the check variety. This cultivar is moderately resistant to leaf blast, bacterial blight pathogens of K1, K2 and K3 and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major virus diseases and insect pests. Milled kernel of Hwanggeumnodeul 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This cultivar has about 5.7% and 18.6% of protein and amylose contents, respectively. Palatability of cooked rice of Hwanggeumnodeul is similar to Nampyeongbyeo. Its milling recovery and head rice were 75.6% and 90.0%, respectively. Hwanggeumnodeul yielded 5.69 and 5.61 MT/ha in milled rice at the under wet-direct and dry-direct seeding conditions, respectively which are 17% and 12% higher than the check variety, Juanbyeo. It yielded 5.86 MT/ha, 8% higher than Nampyeongbyeo at the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the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wanggeumnodeul”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as well as direct seeding in the southern plain including Chungcheong province.
        2549.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5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파종기에 따른 녹두 생육과 수량 변이 및 vitexin과 isovitexin 함량 변화 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 파종기가 늦을수록 개화일수, 성숙까지 일수와 재배기간이 짧았다. 반면에1차 성숙 후1차 수확까지(소요)일수, 각 수확기 간 소요일수는 길었다. 2. 수량은 1차 수확기 개체당 협수가 15.3개로 많은 6월 하순 파종이 가장 많았고, 표준 파종기 6월 상순보다 14%가 많았다. 반면에1차 수확기 협당 립수와 천립중은 7월 중순 파종이 가장 높았다. 3. 녹두 파종기별 수확횟수는 6월 하순과 7월 중순 파종이 2회로 가장 적었다. 4. 녹두 종실의 vitexin과 isovitexin 평균 함량은 7월 중순, 6월 하순, 5월 중순 파종 순으로 많았고, 특히 2차 수확 종실에서 이들 함량이 가장 높았다. 5. 이상의 재배기간, 수량, 수확횟수 및 vitexin, isovitexin 함량 등을 감안할 때 남부지역 녹두 파종적기는 6월 하순에서 7월 중순으로 보아진다.
        2550.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장품 분야에서 펄 안료는 다양하게 적용되어져 왔다. 지금까지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된 펄 안료는 마이카 기재에 산화철이 코팅된 것이었지만, 최종 제품에 이와 같은 펄을 사용하게 될 경우 천연 마이카에 함유된 불순물로 인해 약간의 불투명한 노란 색상이 띄게 된다[1,2]. 본 연구는 눈과 같은 반짝임을 제공하는 펄 안료 개발에 초점을 맞췄고, 눈과 같은 효과는 펄 안료의 구조와 순도 등의 영향 때문인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이번 펄 안료 개발은 유리 기재와 산화철을 코팅시켜 눈의 광학적인 값(refractive index)과 입자 크기(particle size)를 눈과 유사하게 개발하였고 이는 눈과 같이 화려한 반짝임(glittering)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메이크업 제품에 본 펄 안료를 적용하여 화려한 제품을 개발하게 되었다.
        2551.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추 형질전환체 T1 및 T2세대의 유묘에 역병균을 접종한 결과 유주포자 103개/mL에서 접종 5일후 역병 발병율은 T1-1계통 4.0%, T1-2 10.0%이었으며, 접종 12일후는 T1-1 계통 52.0%, T1-2 계통 64.0%로 대비종인 '금탑'과 '수비초' 100%에 비해 발병율이 떨어져 유주포자 103개/mL에서는 형질전환체의 저항성 계통선발이 가능하였다. 획득된 역병 저항성 형질전환체를 영양고추시험장의 역병 상습포장에서 재배한 결과 생육, 개화소요일수, 과특성 등은 계통간에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과실모양은 수비초와 매우 유사하였다. 포장에서의 역병의 발생은 계통간에 차이가 많았으며, T2-1-6 계통과 T2-4-9 계통은 시판종인 금탑에 비해 약 30%정도 적었다. 포장에서 선발된 형질전환체는 세대의 진전을 통한 저항성의 고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에서 확립된 형질전환 시스템으로 고추의 역병저항성 형질전환체의 육성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2552.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의 미토콘드리아에서 eukaryotic 유전자 발현하는 양상을 관찰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게 알여져 왔다. 본 실험에서는 식물의 미토콘드리아에서 발현하는 유전자와 GFP가 미토콘드리아에 발현하는지를 구명하였다. 미토콘드리아(mt)에서 발현 하는 AtBI-1 유전자와 GFP 유전자를 35S promoter를 가진 pBin vector에 재조합한 후, 유전자총을 이용한 형질전환법으로 담배의 잎과 cotyledon에 형질전환하여 재분화 된 shoot를 얻었다. mt에서 그 유전자가 발현 되는 것을 현미경하에서 GFP가 발광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PCR분석과 Southern분석에서도 미토콘드리아에서 AtBI-1 유전자가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mt에 관련된 유전자를 식물의 조직에 형질전환 하여 1개 이상의 유전자가 식물의 mt에 삽입되어 그 유전자의 특성이 발현되는데 이용되어 질수 있을것이라 생각된다.
        2553.
        200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자료동화 기법의 가장 간단한 방법이라 할 수 있는 연속수정법(successive correction method)을 이용한 레이더 강우자료와 지상 강우자료의 합성방법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우선 연속수정법의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인 반복계산 횟수 및 영향 반경의 규모를 민감도 분석을 통해 결정하였다. 또한 자료 합성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밀도 있는 지상 강우자료를 공간분포시켜 실제 강우장을 가정하였다. 최근 자료 합성에 많
        2554.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그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고, 여러 가지 효능이 확인되고 있는 한약재 중의 하나인 어성초를 10 kGy로 조사하여 휘발성 유기성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n-Pentane과 diethylether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연속증류추출장치로 추출하고 이를 GC/MS로 사용하여 분석.확인하였다. 비 조사 시료와 10 kGy의 선량으로 방사선 조사한 시료에서 확인된 휘발성 유기성분은 각각 83종과 85종이 확인되었다.
        2555.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80% ethanol extracts and various solvent fractions of dandelion (Taraxacmn officinale) leaves and roots, Total phenolics and phenolic acid contents were also examined. The total phenol content of leaves and roots were and respectively. Eight phenolic acids were separated by GC, among which caffeic acid (113.7 mg%)and m-coumaric acid (152.6 mg) were the dominant phenolic acids in leaves and roots, respectively. Amongst solvent functions of leaves and roots,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 strong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otal phenol content and electron-donating abil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a similar trend as electron-donating ability. Hydroxyl-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than other factions. In particular, the SOD-like activity was highest (43.6%)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dandelion leaves, and was higher than that of trolox. Thus,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dandelion leaves exhibited significant phenol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free-radical-scavenging effects.
        2556.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주요 조생종 콩의 생육과 종실품질 및 수량을 비교하여 남부지방 다모작 재배농가의 조생종 콩 품종선택에 활용하고자 전남 나주(위도 35˚04'N, 경도 126˚54'E)에서 6월 15일에 파종하여 수행하였다. 큰올콩과 화성풋콩은 성숙기가 9월 12일로 빨라 작부체계 도입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종실품질과 수량이 양호하였다. 그리고 새올콩과 신록콩은 성숙기가 9월 20일 전.후로 조금 늦으나 종실품질이 좋고 수량이 많았다. 따라서 콩 후작물을 9월 중순에 파종하고자 할 때는 큰올콩과 화성풋콩이, 9월 하순에 파종하고자 할 때는 새올콩과 신록콩이 유리하였다. 그리고 주요 조생종 콩의 조기수확에 따른 종실품질과 수량성 등을 검토하여 조기수확 한계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큰올콩은 수확적기(9월 12일)보다 6일전(9월 6일)에 수확할 때 입중, 수량, 종실품질 등이 적기수확과 차이가 없었다. 한편 새올콩은 수확적기(9월 24일)보다 6일전(9월 18일)에 수확할 때 입중, 수량, 종실품질 등이 적기수확과 차이가 없다. 따라서 큰올콩과 새올콩의 안정적인 조기수확 한계기는 수확적기 6일 전이다.
        2557.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선초 추출물 및 그의 분획물의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16 멜라노마와 정상 사람 표피 세포를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70 % ethanol 용매로 추출한 신선초 추출물을 연속적으로 분획하여 hexane, ethyl acetate, n-butanol, 물 분획물을 얻었다. 버섯 티로시나제 활성 실험에서 신선초 추출물 및 그의 분획물은 저해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B16 멜라노마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실험에서는 hexane 분획물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억제 효과를 보였다. 세포내 멜라닌 생성의 초기 단계에 작용하는 티로시나제 단백질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hexane 분획(IC50 < 25 g/mL)과 ethyl acetate분획(IC50 < 5 g/mL)은 알부틴(IC50 250 g/mL)과 비교 시 더 낮은 농도에서 현저하게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시켰다. 따라서 신선초 추출물의 미백 작용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멜라노사이트의 mitogen으로 작용하는 endothelin-1 (ET-1)과 UVB에 의해 생성되어 염증을 매개하는 interleukin-1α (IL-1α)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Hexane 및 ethyl acetate 분획물은 IL-1α의 생성에 영향을 끼치지 못했으나, 표피세포에서 UVB에 의해 생성된 ET-1을 농도에 따라 감소시킴으로써 멜라노사이트의 melanogenesis를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신선초 추출물은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써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2558.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뇌발달 연구모임을 통한 영아반 교사의 역할 수행 변화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뇌발달 연구모임을 구성하여 운영하였다. 뇌발달 연구모임의 구성원은 본 연구자와 뇌발달 연구모임 참여에 동의한 행복한 어린이집의 영아반 교사 6명이다. 뇌발달 연구모임의 운영기간은 2007년 1월 12일부터 2007년 10월 1일까지 총 10개월이다. 모임이 운영되는 기간 동안 협의 자료, 교사 면담 자료, 연구자의 약기, 교사의 기록, 기타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전사 및 자료의 통합, 영역 분석, 자료 분류 및 분석, 분류된 내용의 해석 단계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뇌발달 연구모임 초기 영아반 교사들은 영아를 모르는 영아반 교사였다. 영아를 미숙하고 미흡한 존재로서 교육이 불가능한 존재로 바라보고 단지 크기가 작은 유아로서 영아로 바라보고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뇌발달 연구모임이 운영되면서 영아를 ‘미흡하고 미숙한 존재’가 아닌 ‘무한한 가능성의 존재’로 바라보게 되었고 영아에게 환경이자 환경제공자로서 자신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인식하고 영아에게 적합한 가르침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민하고 노력해 나갔다. 또한 영아의 무한한 가능성 발휘를 위하여 정서적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영아와 영아의 정서를 존중하는 정서적 보살핌을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해 나갔다. 영아반 교사들은 영아교사로서 역할 수행의 초석이 되는 바람직한 교육관을 형성하게 되었다.
        2559.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active oxygen species(ROS)에 의한 산화적 손상은 냉동보존 과정과 체외 배양과정 중 세포 생존률 감소의 주된 요인 중 하나이며, 특히 줄기세포의 경우 냉동보존 후 쉽게 분화하거나 사멸하는 경향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외 배양된 인간 조혈모 줄기세포의 냉동보존 시 선별된 항산화제를 처리하여 항산화제가 줄기세포의 생존 및 자동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해동 후 세포의 생존률은 -tocophe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