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h kill incidents are not rare in the upstream region of the Han River where overall water quality is suitable for supporting a fish community. However, the causes of fish kills are often not identifi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ause of a fish kill in an upstream tributary of the North Han River (Seo Stream, Yanggu County). In the field survey at the time when the fish kill occurred, the results did not indicate any harmful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or toxic pesticides. Instead several tons of gingko (Ginkgo biloba) seed coat wastes were found in the water along the reach of fish kill site. Because gingko is known to be toxic, it was suspected as a cause of the fish kill. Recently gingko production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and it is common practice for farmers to wash the seed coats of seeds in streams because the seed coats are toxic and emit an offensive odor. Toxicity of gingko fruit to humans is well known, but the toxicity to aquatic biota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We investigated the toxicity of gingko seed coat extract to an invertebrate (Daphnia magna) and a fish (Oryzias latipes). After 48 hours exposure to seed coat extract the EC50 of Daphnia immobilization was 0.35% of a mixture corresponding to a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concentration of 413 mgC L−1. In the fish experiment, the LC50 after 96 hours exposure was 0.4% of the extract mixture corresponding to a DOC of 440 mgC L−1. Thus gingko seed coat is toxic to aquatic animals and gingko washing was the likely cause of the fish kill incident. Our results suggest that gingko seed coat waste should be treated properly and not disposed of in streams.
약리반응속도론(Pharmacokinetics) 모델을 적용하여 최근 개발되고 있는 항바 이러스성 생화학 작물보호제의 정량적 약효 검정 및 작용기전 탐색 기술을 개발하 고자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약리반응속도론적 파라미터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 고 사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약제를 식물체 또는 바이러스 매개충에 분무처리 하고 (매개충의 보독화 직후 약제처리 하고 시험 유묘에 충 접종) 경과 시간에 따 라 시험 유묘에서 바이러스의 발병율을 검정하면 약효에 따른 발병율을 무처리와 비교 가능하다. 이 때 시간에 따른 발병율의 회귀 곡선식에서 MVIT50 (바이러스 전달 후 감염율 50%에 도달하는 시간), MAT (Mean Antiviral Time = |MVITtreated- MVITcontrol|), AUG (Area Under Graph), 약효의 정량적 값인 F value (=AUGtreated/ AUGcontrol)를 얻을 수 있다. 애멸구에 의해 영속전염하는 벼줄무늬잎마름병바이러 스(Rice Stripe Virus, RSV)에 대하여 신규 개발된 2종의 항바이러스성 생화학 작 물보호제로 상기와 같이 약효 검정 시험을 수행한 결과, f(x)=a(1-exp(-bx))c의 회 귀곡선식이 얻어졌으며 무처리구에서 MVIT50이 1시간, MAT는 0, F value가 1.00으로 계산되었다. 이에 비해 시험 약제인 KNF2016은 MVIT50 5.75, MAT 4.75, F value 0.71, KNF2022는 MVIT50 5.55, MAT 4.55, F value 0.70으로 확인 되었다. 즉, 본 시험 약제는 무처리와 비교하여 각각 F value로 0.29, 0.30의 항바이 러스 약효가 있었다. 1회 처리에 따른 약효 지속기간도 KNF2016이 13.4일, KNF2022가 14일 이상으로 검정되었다. 애멸구 보독충에는 약제처리를 안하고 시 험 유묘에만 경엽처리 후 보독충을 접종할 때, 보독충에서 바이러스는 검정되면서 항바이러스 효과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본 시험 약제들을 처리한 벼를 애멸구가 흡즙하더라도 보독충 체내 바이러스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 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약리반응속도론 모델을 사용하면 항바이러스 작물 보호제의 정량적 약효 평가가 가능함과 동시에 약제의 작용기전 탐색에도 유용한 기술로 평가되었다.
The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is an automatic identification method, relying on storing and remotely retrieving data using devices called RFID tags or transponders. Some RFID tags have been used in severe environment of temperature ranged from to for a long time and may cause serious problems such as signal error, short life cycle and explosion. Conventionally, the RFID tags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consisted of Fe-alloy housing part, ceramic powder and RFID sensor. However, it has disadvantage of heavy weight, signal noise and heat shield capability. In this study, we newly applied the aluminum porous materials fabricated by polymer leaching process into RFID tags in order to improve heat shielding ability, and compared the properties of RFID tag inserted by aluminum porous with the conventional one.
탄소막은 고분자막에 비해 높은 선택성과 투과성, 열적,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기체 분리,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분리막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활성탄소중공사막은 기공 표면(pore wall)에 형성된 흡착성 미세기공에 의해 선택적으로 응축성 성분이 흡착, 확산되는 흡착-확산 기구에 의해 흡착성-비흡착성 물질이 분리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알루미나 중공사막 지지체에 phenolic resin (novolac type)을 코팅한 후 산화, 탄화 및 활성화 등의 열분해 과정을 통해 막 표면과 기공 표변에 흡착성 미세기공이 형성된 활성탄소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또한 열분해 조건에 따른 phenol/alumina 복합 활성탄소중공사막의 물리적 특성과 기체 투과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제조된 phenol/alumina 복합 활성탄소중공사막이 휘발성 유기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탄화수소를 선택적으로 분리 회수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특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phenol/alumina 복합 활성탄소중공 사막은 VOCs의 분리, 농축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Epithelioid hemangioma is an unusual, which was at first described as angiolymphoid hyperplasia with eosinophilia (ALHE) in 1969 and misinterpreted as the same disease with Kimura’s disease. But now it represents a distinctive vascular tumor, a different entity with those inflammatory conditions. Here, we present a case of epithelioid hemangioma appearing as a diffuse gingival nodular mass in 33‐year‐old male who had suffered from the idiopathic sharp pain of left mandible area previously and later extended to left maxillary region, therefore the gingival lesion was clinically estimated as malignancy associated with neural invasion. CT images revealed the soft tissue mass restricted to left maxillary gingiva without infiltration to underlying maxillary alveolar bone. Histologically, the circumscribed soft tissue mass consist of solid sheets of epithelioid to spindled cells, expressing reactivity for neither cytokeratin AE1/3 nor HMB‐45, but for CD31, endothelial cell marker. Therefore, the lesion was pathologically diagnosed as epithelioid hemangioma. Diagnostic evaluation for the neurologic symptoms of the patient revealed the trigeminal neuralgia, accompanying with the present epithelioid hemangioma incidentally. Awareness of epithelioid hemangioma should be emphasized not to be misdiagnosed as malignant disease like an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malignant melanoma, or angiosarcoma. Proper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for neural symptom may lead to the correct differential diagnosis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각기 다른 특성을 갖는 지지체에 따른 정삼투막의 성능을 비교 빛 평가하는 것이다. 계변 중합을 통하여 소수성 지지체인 폴리술폰(PSf)과 상대적으로 친수성 지지체인 폴리에테르술폰(PES)의 표변에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갖는 정삼투막을 제조하여 투과유량과 역확산을 비교하였다. PSf 정삼투막과 PES 정삼투막의 투과유량은 4.36 L/m2hr와 17.8 L/m2hr으로 PES를 지지체로 하는 정삼투막이 투과성능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지지체의 친수성과 정삼투 공정에서의 투과성능 간에 관련성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막의 두께가 앓아질수록 정삼투 공정에서 막의 투과유량은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셀룰로오스 계 고분자를 이용한 정삼투(FO) 막을 제조하고 각각의 고분자 및 첨가제에 따른 성능의 차이를 평가하는 것이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와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TA)를 기반으로 상전환법을 통하여 정삼투막을 제조하고 가압조건과 정삼투 조건하에서 투과유량 및 염제거율을 비교하였다. CA 정삼투막은 용매의 증발 및 annealing 수행 시간에 따라 막의 성능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CTA 정삼투막의 경우에는 annealing보다는 첨가제를 활용하여 성능의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또한 CTA 정삼투막의 정삼투 투과유량은 4.46 L/m2hr였으나 CA/CTA 정삼투막의 경우에는 8.89 L/m2hr로, 단일 고분자를 사용하기 보다는 CTA에 CA를 혼합하여 막을 제조하는 것이 정삼투 투과유량 증가에 보다 효율적이었다.
Sialodochitis is an inflammatory disease on salivary gland duct. Although most of sialoadenitis includes inflammatory status of ductal system, an unusual behavior such as localized inflammation only in the duct is rarely observed. Sialodochitis is a very rare disease that was first reported by Kussmaul in 1879.1) Common symptoms of chronic sialodochitis are an excretion of mucous plugs and a swelling of the cheek. Sialodochitis may be associated with a type I hypersensitivity in the salivary duct and parotid gland, because of the large amount of eosinophils in saliva, and the common allergic history such as bronchial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The management of sialodochitis depends on the severity of disease. The surgical procedure such as drainage operation, sialodochoplasty, or superficial parotidectomy can be selected. We report the case of chronic sialodochitis with literature review.
Myoepithelioma is a rare tumor that seldom occur in the parapharyngeal space region. And an accurate diagnosis of myoepithelioma is very difficult due to its unusual location and cellular variation. Therefore, misdiagnosis of this neoplasm as more aggressive tumor can lead to unnecessary treatment. We experienced extremely rare case of myoepithelioma arising in the deep lobe of parotid gland that is extended in the parapharyngeal space and reported it to a literature review.
The effect of light scattering layers (400 nm, TiO particle) of 4 m thickness on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has been investigated with a 12 m thickness of photo-anode (20 nm, TiO particle). Two different structures of scattering layers (separated and back)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light transmitting behaviors and solar cell properties. The light transmittance and cell efficiency significantly improved with inserting scattering layers. The back scattering layer structure had more effective transmitting behavior, but separated scattering layer (center: 2 m, back: 2 m) structure (9.83% of efficiency) showing higher efficiency (0.6%),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0.26 mA/cm) and fill factor (0.02). The inserting separating two scattering layers improved the light harvesting, and relatively thin back scattering layer (2 m of thickness) minimized interruption of ion diffusion in liquid electrolyte.
어류개체군에 대한 탁수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2004년부터 2005년까지 탁수하천(대기, 자운천)과 비탁수하천(봉산천, 계방천)에 분포하는 금강모치 개체군의 체장-체중 관계와 비만도지수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탁수하천과 비탁수하천간의 금강모치 평균전장을 비교해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강에서 체장-체중 관계에 따른 회귀계수 b값은 봉산천에서 3.21, 그리고 대기천에서 3.07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북한강에 위치한 탁수하천의 회귀계수 b값은 비탁수하천의 값보다 약간 높았다. 그 값은 계방천에서 3.20, 자운천에서 3.23으로 각각 나타났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금강모치 개체군 단계에서 만성 탁수의 영향이 적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