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3

        41.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감절점쉘요소의 개념에 근거한 새로운 4절점 곡면 쉘요소를 제시하였다. 회전장이 독립변수로 도입된 범함수에 의하여 면내회전자유도를 도입함으로써 개발된 쉘요소에서는 절점당 6자유도를 갖도록 하였다. 아울러 쉘요소의 면내거동 개선을위하여 4개의 비적합변위형에 의한 비적합변위를 면내방향의 변위성분에 추가하였으며, 면외거동 개선을 위하여 대체전단변형률장이 적용되었다. 이 연구에서의 비적합변위형의 수치적 구현에 있어서 일정한 변형률상태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비적합변위형의 직접수정법이 적용되었다. 이렇게 정식화된 쉘요소 강성행렬의 수치적분에 있어서는 부피적분을 위하여 9점 적분법이 사용되었다. 개발된쉘요소는 바람직하지 못한 영에너지모드를 갖지 않으며, 일정한 변형률 상태를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4절점 곡면 쉘 요소에 대한 다양한 수치예제를 통한 검증 결과, 전반적으로 양호한 거동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4,900원
        42.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원전구조물의 내진설계에 적용되는 인공지진파의 강진지속시간과 포락함수에 대한 현행 국내 설계기준의 개선과 보완을 위해서 필요한 기반연구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USNRC와 ASCE 4-98에서 제안한 응답스펙트럼과 강진지속시간에 대한 규정이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첫 번째로 두 기준에 대한 비교와 검토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총 209개의 암반사이트에서 실제 계측된 규모 5.0 이상인 강진기록을 ASCE 4-98의 강진지속시간기준에 적용한 결과를 통계 처리하여 지진규모에 대한 함수로 표현되는 강진지속시간의 실험적 예측모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강진지속시간이 원전구조물의 지진응답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6초에서 20초까지 약 2초 간격으로 강진지속시간을 달리하는 10가지 Case에 대한 인공지진파를 각 30개씩 작성하고, 이들을 적용하여 대만 Hualien 지진시험구조물과 국내 울진 원자력발전소 원자로 격납구조물에 대한 광범위한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4,200원
        43.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갤로핑/플러터와 웨이크 갤로핑과 같은 공력불안정현상을 이용한 에너지 수확 장치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작은 규모의 에너지 수확 장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고, 이 장치들의 효율성과 효과를 증명하기 위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시험 결과로부터 공력불안전형상(갤로핑/플로터 및 웨이크 갤로핑)을 이용한 에너지 수확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이 증명되었다.
        4,000원
        44.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akju lees extract on blood glucose levels in the db/db mice (a murine model of type 2 diabetes mellitus). We fed 40 male db/db mice a control diet (G0, AIN93G) an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1% (G1), 2% (G2), or 4% (G4) Takju lees extract for 4 weeks. We found no difference in foo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among the animal groups. In the G1 and G2 groups, plasma glucose levels decreased significantly between Days 10 and 21 compared with the G0 group. However, we found no difference in plasma glucose levels between groups G4 and G0. The change in insulin concentrations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se animal groups, and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lucose transporter 4 (GLUT4) expression in the soleus musc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akju lees extract has a beneficial effect in animals with type 2 diabetes.
        4,000원
        45.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지하철 역사 내의 사고위험을 줄이기 위해 승강장에 스크린도어(PSD; Platform Screen Door)를 설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역사와 같이 폐쇄된 공간에 있어서 유동장의 해석 및 예측은 전산유체해석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을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CFD는 실제로 열차가 주행할 때에 발생하는 비정상적(unsteady)인 유동장의 3차원적인 해석에는 승강장의 세부적인 형태의 모델링이 어렵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지하승강장을 대상으로 직통열차에 의한 스크린도어 및 승강장 천장마감재에 작용하는 풍압을 계측하였다. 계측된 풍압으로부터 스크린도어의 구조안전성을 위한 설계풍압을 결정하고, 승강장 내부의 천장마감재에 작용하는 풍압을 평가하여 승강장의 안전한 풍환경을 확보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
        4,000원
        4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가설단계의 사장교를 대상으로 spectral proper transformation(SPT)에 기초한 POD를 버페팅 응답 해석에 적용하였다. 특히, 정식화 과정에 교량 주형주위 난류의 비정상성과 공간적 변화를 고려하기 위한 공기역 학적 어드미턴스를 포함시켰고 난류장의 물리적으로 의미있는 POD 모드분해를 통해서 교량 진동모드와의 상호 연관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해석결과, 저차 난류모드에서 단순 사인파 형태로 대칭, 비대칭 모드형상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며 교량 진동모드의 대칭, 비대칭 형상과 간섭해서 버페팅응답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욱이, 고차 난류모드들이 진동모드에 대해서 거의 직교성을 가짐으로써 단지 몇몇 저차 난류모드들에 의한 진동모드의 자극이 버페팅응답에 저차 난류 모드의 기여가 지배적인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완성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동모드 형상이 단순한 형태를 가지는 가설단계 사장교의 버페팅응답 해석의 경우, 난류장에 대한 지배적 저차 난류모드만을 고려하더라도 충분히 신뢰성 있는 버페팅응답의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7.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한3차원 지반-구조계의 지진응답 해석을 수행하고 그 기법의 적용성과 타당성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구조물과 구조물 주변의 근역지반을3차원 유한요소로서 모델링하고 원역지반에 대해서는 기 개발한 3차원 동적 무한요소를 적용한다. 모든 입사 성분P, SV 그리고 SH파가 고려되었을 때, 등가 지진하중은 무한요소에 의해 구해진 무한 지반의 동적 강성과 자유장 해석을 통해 구해진 지반의 응력과 변위응답을 이용하여 구해진다. 검증 및 적용 예제는 적층 자유장의 지반응답해석과 전형적 원자로 격납건물의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한 층응답 스펙트럼을 구하는 것으로 하였다. 해석 결과는 다른 기법에 의해 구해진 값들과 비교하였으며, 본 기법의 정확성과 정밀성을 확인할 수 있다.
        4,000원
        48.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보수 보강에 많이 사용되는 7연 강연선의 공용중 긴장력 관리를 위한 새로운 방법은 제안하였다. 제안된 스마트 강연선은 기존 강연선의 중앙 킹와이어를 강제튜브로 대체하고, 강제튜브의 내부에 FBG 광섬유센서를 설치하여 강연선의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내장된 센서를 통하여 이 스마트 강연선의 변형률을 쉽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공용중 강연선의 긴장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장력 모니터링 방법의 효용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FBG센서 2개가 내장된 길이 7.0m인 스마트 강연선을 제작하고, 이를 길이 6.4m, 높이 0.6m인 RC T형 모형거더에 외장형 텐던으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이 시험거더에 대한 재하-제하시험을 실시하고 로드셀에서 계측된 긴장력과 스마트 강연선을 이용하여 예측한 긴장력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제안된 스마트 강연선은 긴장력이 작용된 강연선의 장력을 정확하게 모니터링 하는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49.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다중 적층지반상의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해석을 위한 3차원 무한요소를 소개한다. 본 무한요소는 Cartesian 좌표계에서 정식화되었으며, 수평, 수평모서리, 수직, 수직 모서리 그리고 수평 수직 모서리 무한요소로서 총 5개의 무한요소로서 구성된다 적용한 형상함수 내부의 파동함수들은 적층지반의 파동문제를 효과적으로 모사하며 다중파동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본 요소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주파수영역에서 여러 가지 예제해석을 수행하였다. 균질 및 적층지반상 강체기초와 묻힌 케이슨 기초의 무차원 동적 거동(compliance & impedance)을 구하였으며, 기연구자들의 값과 비교 검토하였다.
        4,300원
        50.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배양 각막 상피세포에 anti - F AS and anti - F AS ligand antibody를 노출시 킨 후 세포고사 메커니즘을 결정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배양각막 상피세포에 antihuman FAS(N-18) goat polyclonal IgG를 50, 200, 500, 1,000 ng/m~ 또는 anti-human FAS ligand(C• 20) goat polyclonal IgG를 500 ng/m~으로 2 일과 4 일 동안 처 리 하였다. 주어진 기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에 부유한 세포와 부착된 세포를 원심분리와 트립 신 처리 원섬분리를 이용하여 수확하였다. 각막상피세포에 대한 anti - F AS and antiF AS ligand antibody 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Hoechst 33342 staining과 TUNEL stammg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세포고사 유도를 확인하였다. 세포막 수용체인 FAS protein의 발현을 알아보기 위해 ìmmunocytochemistry 를 시행하였다. anti-FAS antìbody를 처리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시간과 농도에 비례하여 후기 세포고사 소 견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anti - F AS ligand antibody를 처리한 군에서는 대조군과 차이 가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 FAS-FAS ligand system 이 각막상피세포에 발현되었 으며 이는 정상 각막 상피 생리 즉, 세포 탈피에 중요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1.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topoisomerase inhibitors가 배양 각막 상피세포에서 세포고사를 유도하 는지를 조사기 위해 시행하였다. Topoisomerase inhibitors'{l camptothecin과 etoposide 를 제조사의 추천농도로 1-2 일 동안 배양하여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검 정하여 농도틀 정하고 세포고사를 확인하였다 세포고사의 형태적인 특징은 Hoechst 33342 staining, Annexin V - FITC/PI staining, DePsipher assay and CytoDEA TH staining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DNA fragmentation은 TUNEL파 agarose gel 전기 영동으로 확인하였다. Camptothecin 과 etoposide는 농도 의존성으로 세포고사룹 유또 하였는데 각막상피세포에서는 저l 조사의 추천농도보다 낮은 농도에서 세포고사플 유 도하여 다른 세포보다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파로 볼 때 topOlsomerase l띠1ibitor는 각막상피세포에서 홀륭한 양성 대조군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시성 약시에서 가림 치료를 대신할 수 있는 방볍으로 안경 교정만으로 약시 치 료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근시성 약시 환자 14 명을 대상으로 치료 시작 나이, 치료 전 시력, 치료 기간, 굴절이상 정도, 난시와의 관계륜 조사하였다. 모든 대상자 는 조절마비하 꿀절검사를 실시하였고, 안경교정에 의한 약시 치료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4 나타내 약시 환자에 대해서도 치료 효 l. 근시성 약시의 굴절이상 교정 후 초기 시 력 (Mean :t SD) 은 0.46 :t 0 .1 1을 였고, 최종 교정시 력 (Mean :t S D)은 0.84 士0 .1 3을 나타내었다. 2. 치료 시작 나이 (Mean :t SD) 는 6.6 :t 1.5 세였으며 치료 기간은 23.2 :t 6.57ß 월이었다. 3. 근시성 약시 모두에게서 뚜렷한 시략 변화를 보였으며 치료 전 시력이 좋으면 치료 후 시력도 좋았다 (p < 0.05). 4 안경렌즈의 도수 조정에 의한 치료는 8 세 이후의 과가 있었다 (p < 0.05)
        4,300원
        53.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에서는 포화된 2상 지반의 동적해석에서 원역을 모형화하기 위한 새로운 무한요소를 제안하였다. 무한요소법은 무한영역 또는 반무한영역을 모형화해야 하는 공학문제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2상지반의 동적해석을 위한 무한요소는 형상함수에 사용될 수 있는 파동성문이 2개(Pl파와 P2파)로 한정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제한을 없애고 임의 개수의 파동성분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는 정식화 과정을 제안하였다. 구조물을 포함하는 근역은 유한요소로 나타내며 원역은 평행층상 반무한 지반으로 가정하였다. 제안된 무한요소의 타당성은 1차원 및 2차원 파동전달문제를 해석하고 이를 이론해 및 정밀수지해석 해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4,000원
        5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대상으로 압입 세포진단법 (Impression cytology) 을 이용하여 결막 표면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자 38 명, 콘택트렌즈 착용을 한 번도 착용하지 않은 건강한 눈을 가진 대조군 35 명을 대상으로 Impres - sion cytology를 시행하여 대상자들의 결막 상피의 형태릎 조사하였다. Impression cytology는 겸체가 PAS system으로 염색이 된 후에 배상 세포의 밀도, 상피 세포의 크기와 형태, 상피 세포의 핵 : 세포질 (N: C) 비율 등의 변화룹 기초로 한 Nelson 의 등급에 따라 겸 체를 4단계로 분류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렌즈 착용 기 간에 따라 다시 3그룹으로 분류하여 Impression cytology를 시행하여 Nelson 의 Grade scale 에 따라 평가한 결파 0-12 개월 착용자에 서 정상에 해당하는 Grade 0은 53.85%, 13 - 487R 월 착용자에서는 20% 이며, 48개월 이상 착용자에서는 없었으며 Grade 1 이상이 100% 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 착용 기 간이 길수록 Snake-like chromatin changes 와 같은 세포학적 변화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안구표면에 대한 세포조직학적 조사는 Impression cytology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Impression cytology는 비침습적이며 안전하고 간단한 생겸 방볍으로 사용될 수 있 고, 건성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다양한 안구 표변 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4,000원
        55.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굴절검사시 핀홀 검사를 함으로써 결과를 예측하여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전 교정치를 검사과정에서 적절히 안배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크 다. 그리고 착용 안경의 완전교정 여부와 시력저하의 원인이 단순 굴절이상인지 안질 환 때문인지도 간단히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서 핀흘검사가 간단하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도록 이론적으로 정 립하는데 있다. 구 안경 착용 상태에서 핀흘 검사시 대상자의 96% 가 시력이 비슷하거나 향상된 결과를 보였는데, 이것은 현재 착용 안경의 저교정 상태를 의미한다. 나안 상태에서 측정한 핀홀 검사값은 굴절검사에서 측정한 완전 교정치과 비교했을 때 같거나 더 낮은 결과를 보여, 교정시력은 핀홀 시력보다 더 높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4,000원
        56.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sbyope has not clear vision with elderly changes. To introduce the essential preliminary examination for presbyope, we performed preliminary tests in 190 elderly patients with case history, slitlamp examination, pinhole test, Hirschberg test, pursuit, stereopsis, pupil reaction, Worth-4 dot test, Amsler grid test, dominant eye test. To perform an examination, the case history is clitical as it guides the whole examination. Chief complaints were epiphora, decreased visual acuity, floaters, hyperemia, eye pain, etc. From the information gained in the case history, we deduced a list of tentative diagnosis. Throughout the examination we decided whether additional tests. The 18.9% of patients didn't have improve visual acuity in pinhole test. Cause of reduced visual acuity in pinhole test was opaque of refractive media such as cataract or pterygium. In 44.7% of patients, stereoauity falls below 40s of arc. The 6.8% of patients have suppression of right or left eye. The 28.9% of patients have metamorphopsia or scotomas in Amsler chart test. Therefore, pinhole visual acuity helps to differentiate ocular pathology from lack of refractive media clarity. Amsler chart is also useful for monitoring age related maculopathy. We suggest that Jones dye test for tear drainage, pinhole test, Amsler grid test and Worth-4 dot test are essential for presbyope.
        4,000원
        57.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에서는 비선형 지반-구조물 상호작용해석을 위한 새로운 시간-주파수영역 복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등가선형 지반-구조물 상호작용해석 프로그램과 범용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동시에 사용하는 실용적인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먼저 주파수영역에서 등가선형 지반-구조물 상호작용해석을 수행하여 유한요소 영역의 경계면에서 응답을 구한 다음, 이를 범용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에 의한 비선형 동적해석의 시간의존 경계조건으로 입력한다. 제안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2차원 지하철 정거장 구조물에 대한 지진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등가선형 지반-구조물 상호작용해석 프로그램 KIESSI-2D와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 ANSYS를 사용하였다 수치적인 해석결과로부터 이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58.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오래된 원자력발전소의 내진검증과 관련한 USI A-46 문제의 해결에 사용될 수 있는 캐비닛의 내진보강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캐비닛 구조물의 동적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3종류의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ICRS(In Cabinet Reponse Spectrum)의 저감을 위하여 1) 보강프레임, 2)감쇠기 설치, 3) 동조질량감쇠기 등 세 가지 내진보강방안에 대하여 구조물의 응답을 산정하였다. 해석결과, 가새보강 및 감쇠기를 설치하는 보강방법에서는 보강전의 구조물보다 큰 ICRS가 얻어지는 경우가 발생해 보강시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동조질량감쇠기의 사용은 좋은 제진효과를 보였으나 실구조물과 정확한 진동특성을 반영한 모델의 작성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59.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중에 유통 중인 소프트콘태트렌즈 다목적용액 (multi-purpose solution, MPS) 의 습윤성올 측정 • 비교해 보았다. MPS 의 습윤액은 렌즈의 표면이 친수성올 유지하도 록 하고, 셰척효파와 보존효과룰 높이는 둥의 효파가 있으므로 특히 소수성 렌즈에서 는 더욱 중요하다. 실험방법은 습윤성올 측정하는 일반적 방법인 접촉각 측정방법에 따랐고, 렌즈 불 성에 따른 습윤성올 비교하기 위해 렌즈는 FDA분류기준의 group 1 인 비이온성 저 함수율 렌즈와 group IV 인 이온성 고함수옳 렌즈를 사용하였으며, 먼저 제조회사가 다른 각각의 MPS 에 두 종류의 렌즈를 처리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고, 대조군으로는 실험실에서 조제한 0.9% NaCl 용액과 인공누액올 사용하였다. 다옴은 렌즈에 직 접 MPS를 떨어뜨려 접촉각올 측정하였다. MPS 의 습윤 효과의 정도는 접촉각이 o。에 가까우면 친수성이며, 그 값이 커질수록 소수성에 가깝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표면 장력과 점도를 측정하여 습윤성과의 관계률 비교하였다. 표면장력은 MPS 의 분자 간 인력올 나타내는 지표인데 계면활성제의 영향으로 식 염수에 비해 현저히 저하되어 나타났으나 38"';_ 45 (mN/m)까지 다양한 차이를 나타냈 다. 점도는 4 "C와 28 "C에서 측정하였는데 온도 의존적 함수관계률 보였으나 습용성이 많이 요구되는 RGP 렌즈 MPS 의 점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값이었다. 이 실험은 MPS 의 습윤성올 명가하는 새로운 방향올 제시하고, 습용성에 영향올 주는 다른 인자들과의 관계를 고찰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6,700원
        60.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에는 수정체의 혼탁이 원인인 백내장의 경우, 초음파 유화홉입술로 혼탁된 수정체 를 적출하고 인공수정체 (intra-oc버따 lens; 10L)률 삽입하는 수술이 보편적으로 이뤄지 고 있다. 수술 후에는 수 얼 내에 혹은 수 개월 내에 굴절이상도, 전안방깊이 (anterior cham밟 depth ; ACm, 안축장, 안압, 각막의 수명 • 수직굴절력 의 변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 2개월까지 환자의 굴절이상도에 변화가 있음에 주목하여 그 원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초옴파 유화술로 백내장수술올 한 환자 23명 24안올 대상으 로 하여 수술 전, 수술 후 7 일, 수술 후 30일, 수술 후 60얼에 A-scan으로 안축장과 전 안방 깊이률 측정하였으며 자동굴절측정기로 각막굴절력과 굴철이상도롤 측정하였다. 굴 절이상도는 수술 1주일과 비교하여 2개월째 검사했을 때 평균 -1.04::tO.57D 근시방향으 로 변화하였다. 전안방 깊이의 변화는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2개월 시점에서 평균 O.55::tO.강 mm 증가하였고 수평각막굴절력은 평균 +0. 16::tO.38D 증가함올 보였고 수직각 막굴절력은 평균 +0.15土O.21D 감소하였다. 안축장의 변화<0.70土O.23mm 증가), 안압의 변 화(3.46::t3.15 mmHg 감소)는 탱ired t-test 검정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p>O.05). 수정체유화술로 백내장수술올 하여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경우 굴절이상도가 근시쪽 으로 변화하는 원인으로는 전안방 깊이의 증가, 각막굴절력의 변화와 관련된 것으로 판 단되며 정확한 원인규명올 위해 좀 더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