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are many pollutants emitted into the air. Some of these pollutants have a malodor. Unlike other pollutants, people are able to detect and feel discomfort when this type of pollutant becomes high peak concentration instantaneously. In this sense, the peak concentra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odor management and modeling. In previous odor modeling, the peak concentration was calculated by correcting the one-hour average concentration using the correlation equ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appropriate method to predict the peak concentration using meteorological input data of high time resolution in the odor modeling. It show that the peak concentration could be directly calculated from the dispersion modeling without using the correction equation when fine time scales such as 1 min or less time intervals are used as the meteorological input.
Because a smart isolation system cannot be used as a base isolation system for tall buildings, top-story or mid-story isolation systems are required. In this study, adaptability of a smart top-story isolation system for reduction of seismic responses of tall buildings in regions of low-to-moderate seismicity has been investigated. To this end, 20-story example building structure was selected and an MR damper and low damping elastomeric bearings were used to compose a smart base isolation system. Artificial earthquakes generated based on design spectrum of low-to-moderate seismicity regions are used for structural analyses. Based on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it has been shown that a smart top-story isolation system can effectively reduce both structural responses and isolation story drifts of the building structure in low-to-moderate seismicity regions in comparison with a passive top-story isolation system.
본 연구는 다른 유형의 공원녹지와 구별되는 수변공원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공원관리 및 수변공원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대구광역시의 수변공원인 봉무공원과 수성유원지를 대상으로 공원 이용행태및 만족도 조사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첫째, 수변공원의 조성은 시민들의 공원이용을 활성화 시킬 수 있으며 공원 이용객들의 공원 이용만족도증대에 효과적이다.둘째, 도시 내 접근이 용이한 지역의 수변공간 개발을 통한 공원 조성이 필요하다.셋째, 수변공원 조성 시 휴게공간 및 산책로의 조성 및 관리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 이다.넷째, 수변공원 내 수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휴식 ‧ 여가 공간의 개발이 필요하다.위의 결과와 같이 도시공간에서의 수변공간의 개발을 통하여 도시민들의 공원이용을 활성화 시킬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Involved in a research for the application of seismic isolation to the nuclear industry, this study evaluates firstly the responses of seismic isolation system considering general ranges of structural period and damping ratio by using preliminary design formula. Secondly, coupling effects of input motions were evaluated to find out appropriate conditions of excitations and effect of the iteration for calculating yield displacement of lead core was also assessed in terms of response of a seismically isolated structure. Finally, the results of preliminary design calcul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dynamic analysis and the propriety of the formula was evaluated and appropriate ranges of reduction factor were also suggested from the results.
해양경찰 경비함정에서 근무하는 경찰관, 전경 등 승조원이 바다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CCTV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경보를 발령하고 즉시 구조할 수 있는「함정 승조원 추락 경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길게는 7박 8일의 출동 임무를 수행하는 함정요원들은 수시로 급변하는 해상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함상생활 중 불의의 추락사고를 당할 위험에 노출 돼 있는 것이 사실이다.
회전익항공기의 연료셀 내부는 연료보관 및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관과 구성품들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기 동헬기는 전장에서 사용되는 헬기로써, 수 km 고도에서 비행하는 고정익기보다 비행고도가 낮기 때문에 피탄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항공기의 생존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피탄시 유체내부 상승압력에 의한 내부 구성품들이 받는 영향성을 검토하여 설계되어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내탄시험은 연료셀 자체의 제작비용 및 준비기간이 상당히 소요되고, 실탄 사용에 따른 시험수행의 제약 때문에 수치모사를 통한 관련 데이터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 체-구조 수치모사 프로그램인 Autodyn을 이용하여 회전익항공기 연료셀의 내탄 수치모사를 수행하여, 피탄 후 연료셀 내 부에서의 탄 거동을 분석하고 유체내부의 압력과 연료 셀 자체의 등가응력을 평가하였다.
Whereas calcium deposition in soft tissues is not uncommon, highly-structured, identified as mature cancellous bone within soft tissues is not frequent. Here, we report an usual case of mature cancellous bone in cheek subcutaneous tissue in 15-year-old Korean male. Microscopically the cancellous bone was encompassed by epithelial cells, which was confirm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cytokeratin AE1/3. The present mature cancellous bone in subcutaneous tissue could be originated from oral epithelium.
구제역은 우제류에 감염되는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2010년에 발병하여 우리나라에 많은 피해를 주었다. 구제역 발병초기에 효과적으로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그 피해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구제역 발생지역, 발병증상, 구제역 속보 등의 메뉴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축산농가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시를 통해 축산 농장주들이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농장주들이 구제역에 대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게 하였으며, 농장 지역 부근에서 구제역이 발생했을 경우 빠르고 신속하게 구제역 발병에 대응할 수 있게 되어 구제역의 확산 방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