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48

        101.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물 부족 현상의 해결책으로 저에너지 해수담수화가 가능한 정삼투 공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정삼투 공정은 가압 조건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에너지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사용되는 유도 용질은 높은 삼투압을 나타내어 높은 수투과를 발생시키고, 염의 역확산은 낮아야한다. 또한 유도용액 후처리 공정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쉬운분리가 가능해야한다. 최근에는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유도용질, 온도감응성 고분자를 이용한 유도용질, 나노재료를 이용한 나노파티클 유도용질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상용화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수투과량, 낮은 염의 역확산을 나타내고 나노여과로 쉽게 회수 가능한 카복시화된 폴리에틸렌이민 유도용질을 합성하고 정삼투 공정에서의 성능평가 및 다른 유도용액과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102.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해수담수화의 성장과 함께 붕소 제거를 위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흡착제, 이온교환수지 등 많은 방법으로 붕소가 제거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분리막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기술은 높은 선택성과 효율로 인해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는 기술 중에 하나이다. 붕소 제거는 여러 분리막 중에서 역삼투막이 많이 사용되는데, m-phenylenediamine (MPD)와 trimesoyl chloride (TMC)를 이용한 역삼투막 제조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술이다. MPD와 TMC를 이용하여 Polysulfone 지지체 위에 polyamide 활성층을 제조하는데, 이를 통해 높은 수투과량과 염제거율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olyamide 활성층에 표면개질을 이용하여 염제거율 및 보론 제거율을 증가시킬 것이다.
        103.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포토리소그래피는 웨이퍼 위에 선폭을 나노급으로 줄인 패턴을 제조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의 핵심 기술이며 선폭을 줄이고 불량을 줄이기 위하여 photo-resist 용액 제조 및 정제 기술이 중요하다. 특히 photo-resist solution 내에 함유되어 있는 soft particle의 정제가 매우 중요하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멤브레인 필터는 soft particle 정제 성능이 상당히 미흡한 수준이다. 나일론이나 폴리에틸렌 위에 아라미드 고분자를 함침하여 soft particle 정제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팔라듐 나노입자를 합성하여 투과 특성에 사용하였다.
        104.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폴리아미드 층 내에 그래핀 옥사이드를 첨가시킴으로써 피페라진 기반 나노여과막의 내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50% 황산 용액에 나노여과막을 침지시키며 주기적으로 MgSO4 염제거율을 확인한 결과, 그래핀 옥사이드 함유 나노여과막의 경우 95% 이상으로 염제거율을 유지한 기간이 대조군에 비해 4.7배로 길어졌다. 이에 반해, 산화 탄소 나노 튜브는 그래핀 옥사이드와 비슷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나노여과막에 첨가했을 때 내산성에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에 그래핀 옥사이드의 화학적 성질에서 기인하는 폴리아미드 돌출 희생층이나 폴리아미드와의 수소결합보다 형태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장벽 효과가 내산성 향상에 가장 주요한 역할을 했다고 여겨진다.
        107.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수담수화의 빠른 증가와 함께 붕소 제거에 대한 중요성이 상승하고 있다. 본 연구는 표면개질 시 친수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수투과량을 최대한 막고 붕소 제거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을 얻기 위해 M-phenylenediamine (MPD)와 trimesoyl chloride (TMC)를 Polysulfone 한외여과막에 계면중합을 시켜 polyamide 활성층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에 표면개질을 진행시켜 D-gluconic acid (DGCA)와 D-gluconic acid sodium salt (DGCA-Na)를 glutaraldehyde (GA)와 hydrochloric acid (HCl)을 이용하여 합성시켰다. 합성된 역삼투막의 표면 분석을 위해 XPS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DGCA 및 DGCA-Na 화합물과의 반응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morphology 측정을 위해 FE-SEM과 AFM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polyamide 활성층 형성 및 표면 거칠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수투과량의 경우, 표면개질을 진행한 역삼투막은 10 GFD 수준이거나 그 이하의 값을 가졌다. 하지만, DGCA 및 DGCA-Na 화합물과 표면개질을 진행한 역삼투막의 붕소 제거율은 94.38, 94.64%로,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보다 각각 12.03, 12.29 %p만큼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08.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Brain MRI 검사에서 FLAIR Image는 CSF(Cerebrospinal Fluid) 공간에 인접한 병변 진단에 유용하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Water Signal 억제가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MRI 검사 과정에서는 소아나 Claustrophobia가 있는 경우 등 다양한 원인으로 Sedation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환자의 상태에 따라 O2(Oxygen)를 Inhalation 하게 된다. 투여된 O2에 의해 뇌 혈류량이 증가하게 되면 CSF의 상자성 효과와 혈류속도의 증가 등의 원인으로 Waters Signal의 억제가 효과적으로 되지 않아 Artifact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Artifact를 최소화하기 위해 CSF의 인위적인 SI(Signal Intensity) 증가를 정상인을 대상으로 비교, 실험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2018년 1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질환이 없는 정상 성인 남녀(남60%, 여40%) 10명을 대상으로 GE 1.5T HDxt 장비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SI의 극명한 차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O2 농도 100%를 실험 조건으로 하였고 이러한 조건을 위해 O2 mask를 착용 후 O2를 Inhalation 하였다. FLAIR 영상을 O2 투여 전, O2 투여 직후, O2 투여 10분 후, O2 투여 20분 후 총 4번 획득하였다. 획득한 영상에서 Quadrigeminal Cistern, Interpeduncular Cistern과 Lateral Ventricle에서 SI와 CNR(Contrast to Noise Ratio)을 Image J를 이용해 획득하고 SPSS 대응 표본 t-test를 통해 통계적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결 과:Interpeduncular Cistern에서 SI 평균값은 O2 투여 전 212.47, O2 투여 직후 306.07, O2 투여 10분 후 359.47, O2 투여 20분 후 375.20으로 투여 직후부터 증가하여 O2 투여 20분 후는 O2 투여 전과 비교하여 76.59%증가하였고 Quadrigeminal Cistern SI 평균값은 O2 투여 전 209.91, O2 투여 직후 289.44, O2 투여 10분 후 337.10, O2 투여 20분 후 361.15로 O2 투여 20분 후는 O2 투여 전과 비교하 여 72.94%증가하였다. 통계적으로도 p값이 Interpeduncular Cistern의 SI 값은 0.00, CNR 값이 0.03 이었고 Quadrigeminal Cistern의 SI값은 0.01, CNR값이 0.01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Lateral Ventricle에서 SI 평균값은 앞선 데이터와 다르게 O2 투여 전 99.37, O2 투여 직후 96.82, O2 투여 10분 후 95.08, O2 투여 20분 후 92.55로 나타났고 통계적인 p값도 SI값이 0.46, CNR 값은 0.90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뇌혈관에 인접한 위치인 Interpeduncular Cistern과 Quadrigeminal Cistern은 O2 섭취에 따라 즉각적인 영향을 받게 되지만 비교적 인접한 뇌혈관이 적은 Lateral Ventricle에서는 Inhalation 한 O2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결 론:뇌 조직에서 O2를 소모하는 Oxidative Glucose Metabolism은 즉각적으로 증가하지 못하므로 수분 동 안은 증가된 O2를 모두 소비하지 못하는 시기이며 잉여 분의 Oxyhemoglobin은 활성화된 유출 정맥계로 흘러 들어가 이곳에서 Deoxyhemoglobin의 농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만든다. 즉, 뇌가 O2의 증가로 활성 화되면 초기에는 Oxyhemoglobin의 농도가 감소하지만 이차적으로 뇌 혈류량이 증가하여 Oxyhemoglobin의 양의 증가로 MRI 신호가 증가하며 이는 T2* 이완시간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 논문에서는 FLAIR Image에 서 O2 증가에 따라 Water가 완벽히 제거되지 못하는 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Brain MRI 검사 중 O2를 Inhalation 하는 경우에 Artifact 발생 확률을 최소화하기 위해 Inhalation 직후 T2 FLAIR를 먼저 검 사해 O2의 영향으로 생기는 Artifact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검사 과정에서 O2 Inhalation 여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을 통해 진단오류를 방지할 것을 권장한다.
        109.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16.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물 부족 현상의 해결책으로 저에너지 해수담수화가 가능한 정삼투 공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정삼투 공정은 가압 조건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에너지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사용되는 유도 용질은 높은 삼투압을 나타내어 높은 수투과를 발생시키고, 염의 역확산은 낮아야한다. 또한 유도용액 후처리 공정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쉬운분리가 가능해야한다. 최근에는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유도용질, 온도감응성 고분자를 이용한 유도용질, 나노재료를 이용한 나노파티클 유도용질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는 디치오 카복시화된 유도용질을 합성하고 정삼투 공정에서의 성능평가 및 다른 유도용액과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117.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가금속 및 희소금속의 수요가 많아짐에 따라 제련공정에서 발생하는 황산 용액 내의 유가금속 및 희소금속을 회수하여 사용하는 방향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황산용액 내의 희소금속 및 유가금속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내산성이 뛰어난 나노분리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내산성을 가진 방향족 폴리아미드 나노여과막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분리막의 나노여과 특성과 내산성 및 내열성을 평가하였다.
        118.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역삼투 공정은 에너지 효율의 증가로 해수담수화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공정이다. 보론은 해수에서 대개 4∼5 mg/L의 농도로 존재하며, pH 8.2에서 B(OH)3로 76%, B(OH)4 -로 12%, 나머지 11%는 복합체와 금속 이온을 이룬 구조로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역삼투 후에도 보론 한계기준보다 높은 수치로 남아 있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N-methyl-D-glucamine (NMDG)이 포함된 첨가제를 이용하여 역삼투막을 제조 하였으며, 제조된 막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119.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구는 이제 상극의 시대를 마감하고 상생의 시대로 접어들었고, 인류도 상생 을 위한 정화의 시대를 맞아서 몸과 마음이 모두 전이되기 위한 과도기적 진통을 겪고 있는 중이다. 그 시련의 강도와 크기는 아직 시작단계로서 정점에서는 더 많 은 천재지변과 백신이 없는 전염병, 인간성이 실종된 사건들로 더 큰 시련이 예고 되고 있다. 이에 세계의 지성들은 기술과 과학문명이 아니라 자연회귀와 인간본성을 회복 하는 깨달음만이 문제해결의 유일한 해결책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오늘 날까지 “깨달음이 이것이다”라고 하는 객관적인 정의와 수련방법이 제시되지 못 하고, 모두 깨달음이라는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이 대부분이어서, 막연한 주관 적 해석과 함께 정적 명상인 참선, 외국에서 수입된 MBSR과 같은 스트레스 감소 법이 주된 명상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영성수련 분야와 불교계에서 다루던 깨달음을 이루 기 위한 방법론의 객관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전인창조학회에서 새로운 심신영 통합정화 수련법으로 시행되고 있는 영계해방과 실체해방과의 상관성을 분석함 으로서, 영성계는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깨달음을 이루는 방법론으로서 접 근이 가능하게 하고, 학회에서는 새로운 수련법을 보편화하여 영성회복과 수련 계에 이루어지는 수련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상호보완의 전환점을 만들 수 있 도록 하기 위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며, 연구결과로서 깨달음의 전제조건과 구체 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120.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the dietary life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degree. The subject was 305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region. The questionnaire respondents are consisted of 148 male students (48.5%) and 157 female students (51.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education level, residence time, and Korean language ability according to acculturation degree (p<0.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residence pattern, purpose of coming to Korea.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ls frequency, outside frequency, and the intake of Chinese food according to acculturation degree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nake taking frequency (p>0.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rinks and computer time according to acculturation degree (p<0.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oking and exercise (p>0.05). The food intake style of Chinese students was 2.47 in noodles, 2.34 in lunches and 2.15 in breads.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degree, the food intake patter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umping kind, congee, hamburger and pizza, while meat products, smoked meat, noodle, lunch, cereal, kimbap, sandwich.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ulturation degree of Chinese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ietary habits, food intake, education level, residence period, and Korean language abilit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