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58

        2182.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asticity has been defined as a motor disorder characterised by a velocity-dependent increase in tonic stretch reflexes with exaggerated tendon jerks resulting in hyperexcitability of the stretch reflexes as one component of the upper motor neuron syndrome. Weakness and loss of dexterity, however, are considered to be more disabling to the patient than changes in muscle tone. The discussion includes the important role that alterations in the physiology of motor units, notably changes in firing rates and muscle fiber atrophy, play in the manifestation of muscle weakness. This paper considers both the neural and mechanical components of spasticity and discusses, in terms of clinical intervention, the implications arising from recent research. Investigations suggest that the resistance to passive movement in individuals with spasticity is due not only to neural mechanisms but also to changes in mechanical properties of muscle. The emphasis is on training the individual to gain control over the muscles required for different tasks, and on preventing secondary and adaptive soft tissue changes and ineffective adaptive motor behaviours.
        4,300원
        2183.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weight-transfer training on the weight bearing distribution and gait patterns of hemiplegic patients through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using a limb load monit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hemiplegic patients who had been hospitalized or were visited out-patient department of the Rehabilitation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from January 5, 1995 through March 15, 1995. Pre-and post-training changes in gait patterns were measured using ink foot prints as well as by recording weight bearing distribution using a limb load monitor.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repeated measure one-way ANOVA and paired t-test. The finding were as follows: 1. Prior to the training, 18 subjects bore more weight on the sound leg(61.6 %) than on the affected leg(38.4 %). 2. Posterior to the training, the average percentage of weight bearing on the affected leg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38.4 % prior to training; to 46.0 % immediately after training; 45.7 % after a 30 second delay; and 45.3 % after a 60 second 3. The difference in gait patterns between pre- and post- train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n increase in gait velocity to 3.65 cm/sec post-training; an increase in stride length to 5.37 cm on the affected side; 4.77 cm on the sound side; and a narrowing of the base of support to 1.19 cm. In conclusion, hemiplegic weight-transfer training using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with a limb load monitor was found to be enhancing symmetrical standing posture, and simultaneously improve gait patterns.
        4,800원
        2184.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ate constant of Nucleophilic addition of sodium thiophenoxide to nitrone were determined by UV Spectrophotometry and a rate equation which can be applied over wide pH range was obtained. Base on the rate equation, general base effect, substituent effect and final product, plausible mechanism of addition reaction have been proposed. Blow pH 3.0, the reaction was initiated of thiophenol, and in the range of pH 3.0~10.0, proceeded by the competitive addition of thiophenol and thiophenoxide anion. Above the pH 10.0, the reaction proceeded through the addition of a thiophenoxide anion.
        4,000원
        2185.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ate constant of the nucleophilic addition of 1-propanethiol to α-phenyl-N-iso-propylnitrone derivatives were determined at various pH and a rate equation which can be applied over wide pH range is obtained. Final product of the addition reaction was α-thiopropyl-p-phenylbenzylideneamine. Base on the rate equation, general base effect, substituent effect and final product, plausible mechanism of addition reaction have been proposed. Below pH 3.0, the reaction was initiated by the addition of 1-propanthiol, and in the range of pH 3.0-10.0, proceeded by the competitive addition of 1-propanethiol and propanethiolate. Above the pH 10.0, the reaction proceeded through the addition of propanethiolate.
        4,000원
        2186.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효과적인 미생물 제제로 사용할 수 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균주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경기도 일원의 72군데의 저곡창고에서 먼지를 채취하여 B. thuringiensis의 분포와 독성을 조사하였다. 총 411개의 채취된 저곡창고의 먼지에서 포자와 내독소 단백질을 생산하는 146개에 이르는 많은 수의 B. thuringiensis가 분리되었다. 저곡창고에서 분리된 146개 Bt의 독성 분포는 나비목의 누에 (Bombyx mori)유충에 독성을 띠는 균주가 84%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파리목의 빨간 집모기(Culex pipiens)유충에는 3%, 나비목과 파리목에 동시에 독성을 띠는 균주는 1%였다. 그러나 딱정벌레목의 쌀바구미(Sitophitus oryzae)에 독성을 띠는 균주는 분리되지 않았으며, 내독소 단백질은 형성하지만 독성을 띠지 않는 B. thuringiensis가 12%의 비율로 분리되어 흔히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저곡창고는 B. thuringiensis의 유리한 분리장소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187.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장의 품질향상과 전통고추장과 유사한 관능적 요인을 갖는 고추장을 제조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메주를 찹쌀 고추장으로 유명한 전라북도 순창에서 메주를 제조 0, 20, 40, 60일 숙성하여 숙성기간별로 구분된 메주의 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환원당 및 유리당의 함량은 메주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glucose의 함량은 숙성 40일 메주에서 0.119%로 가장 높았으며 비휘발성 유기산의 총함량도 속성 40일 메주에서 459.25㎎%로 가장 높았다. Lactic acid를 포함한 5가지의 유기산이 모두 40일 속성 메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속성기간에 따른 유기산의 변화는 모든 유기산이 속성40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소화합물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 역시 숙성 40일 메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 숙성 40일 메주에서 미생물의 대사가 가장 활발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2191.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ibrio vulnificus, a normal inhabitant in estuaries, is of great concern because it is a potent human pathogen causing septicemia, wound infection and gastrointestinal disease in susceptible hosts.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V. vulnificus in Kum river, sampling was undertaken in five station from March, 26, 1993 to February, 22, 1994. Samples of 54 and 49 were collected from seawater and bottom deposit. The total detection rate of V. vulnificus was 11.7%. The detection rates of V. vulniftcus in the seawater and the bottom deposit were 9.3% and 14.3% respectively. V. vulnificus was mainly detected in estuary water when temperature was above 23℃ and salinity was below 15‰. We suppose that water temperature, salinity, pH and COD affect growth of V. vulnificus.
        4,000원
        2192.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general, research in isokinetic exercise has focussed on studies of peak torque. However, peak torque is not always sufficient to assess the real amount of motion or to determine endurance.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54 healthy students who performed continuous maximal isokinetic knee flexion and extension until their total work per time reached 50% of their maximal total work. Isokinetic curves were then plotted. Total work sums, exercise durations in seconds, and the numbers of repetitions were compared with reference to subject gender, angular velocity and muscle group.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work sum, duration and number of repetition and thigh circumference plus leg length was comput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otal work per second and total work per time were calculated. Results showed the total work sums differed greatly from muscle group to muscle group and with different angular velocities. The duration in seconds and the numbers of repetition differed only at higher angular velocity. Males achieved higher levels in every category except for some duration in seconds and some numbers of repetitions. Thigh circumference and leg length were deciding fators in every case, but duration in seconds and number of repetitions were n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asures of endurance should be included along with measures of total work when isokinetic studies are done. Measures of endurance in seconds are more accurate when isokinetic exercise is performed at lower angular velocities and numbers of repetitions at higher angular velocities.
        4,200원
        2197.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쌍화탕의 제조공정중 원료 입자크기에 따른 엑기스의 수율 효과 및 성분 변화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원료입자크기에 따른 엑기스의 수율은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수율이 증가함을 보여주었으며, 원료의 입자직경 1 ㎜가 10 ㎜보다 엑기스의 수율이 2배 정도 증가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엑기스의 성분은 원료 입자크기에 따라 거의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원료의 절단정도가 제품의 생산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품공정에서 생산성을 높이려면 보다 효율적인 절단공정을 거쳐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198.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사대상자의 식습관은 서울지역의 식습관이 조금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식 정도는 지역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패스트 푸트점의 이용은 면류점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그 외에 햄버기점, 후라이드치킨점을 많이 이용하였다. 지역간의 차이는 서울지역에서 김천에 비하여 좀 더 많이 이용하였다. 패스트 푸드점의 이용 목적은 햄버거점, 피자전문점과 면류점은 한끼 식사용으로, 후라이드치킨점은 간식용과 한끼 식사용으로 이용하고 있었고, 아이스크림점은 간식용이나 음료용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패스트 푸드점의 이용 이유는 음식을 먹기 간편하고, 친구들과 어울릴 수 있는 장소로서 이용되고, 장소가 쾌적하고 용기가 위생적이며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음식이 신속히 준비되는 등의 이유가 가장 많았다. 패스트 푸드를 한번에 먹는 양은 식사가 될 정도로 많이 먹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식사 사이의 간식 정도나 약간 적다고 느껴질 정도였다. 패스트 푸드 음식 선택시 고려되는 사항은 기호와 가격이 가장 높았고 그 외에 음식이 준비되는 시간과 보기 좋은 것을 선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한달 용돈과 외식비는 서울지역이 높았다. 이것은 외식이 가능한 음식점의 지역적인 밀집도와 지역적이 식습관의 차이와 외식문화에 대 한 지역간의 식습관의 차이등을 들 수 있다.
        4,000원
        2199.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ndrace 돈 내장 척출물인 대장, 소장, 심장, 신장, 간장 및 위장관을 공시료로 하여 미량중금속 물질인 구리(Cu), 아연(Zn), 망간(Mn), 카드뮴(Cd) 및 납(Pb) 윈소를 ICP분석법으로 잔류분석하면, 중탕가 열처리, 가압가열처리 및 팬 유적가열처리에 따른 중량손실과 중금속 잔류량의 변화를 분석 고찰하였다. 가열처리 방법에 따른 중량 손실율은 중탕가열처리, 가압가열처리 및 팬 유적가열처리에 의하여 각각 23.11∼34.53%, 18.48∼28.00%, 14.20∼25.22%범위였으며, 부위별 중량손실율은 심장부위가 크고 간장부위가 낮게 나타내었다. 신선시료중 미량중금속 잔류총량은 대장, 소장, 심장, 신장, 간장 및 위장부위에서 11.298±5.302ppm, 27.325±8.179ppm, 16.756±6.334ppm, 21.107±6.057ppm, 25.369±10.164ppm, 12.611±5.513 ppm으로 검출되었다. 가열에 의한 중금속 총 잔류량 변화는 중탕가열처리구에서 4.16∼32.57%, 가압가열처리에서 12.01∼28.09%, 팬유적가열처리구에서 9.60∼25.76%수준으로 감소되었다. 납원소는 평균 21.76%, 구리, 아연, 망간, 카드뮴원소는 18.00∼18.61%범위로 감소되었다. 내장근 시료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P>0.05)가열처리방법간에 있어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4,000원
        2200.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3년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부천전문대학에 재학중이고 연령 18∼26세에 해당하는 남녀 대학생 202명 (남자 99명, 여자 103명 )를 대상으로 식습관과 혈청지질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91.6%가 자택에 거주하였고 친척집, 자취순으로 매우 높은 자택 거주형태를 나타냈다. 조사대상자의 신장은 남학생의 경우 평균 173.2㎝, 여학생의 경우 159.4㎝이었고, 체중은 남녀가 각각 63.7㎏, 50.8㎏으로 한국영양권장량 산출시에 사용한 성인의 이상적인 신장, 체중과 유사했고 남녀간의 차이가 뚜렷했다. 혈청지질 검사 결과 TC, HDL-C, LDL-C는 남자가 172.2㎎/㎗, 52.3㎎/㎗, 103.4㎎/㎗, 여자가 182.4㎎/㎗, 56.3㎎/㎗, 111.6㎎/㎗이었고, 중성지방은 남녀 각각 82.3㎎/㎗, 72.5㎎/㎗로, 성인의 다른 시기(26∼50세)와는 달리 중성지방을 제외한 TC, HDL-C, LDL-C에 있어서 남자가 여자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총 식습관 점수는 남자가 65.0점, 여자가 69.2점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매우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0.01) 각 항목별 식습관 점수는 하루 식사횟수, 식사속도, 곡류섭취의 규칙성, 채소섭취의 규칙성, 과일섭취의 규칙성, 동물성 기름섭취, 음주빈도, 운동, 흡연항목에서 남녀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위 항목중 운동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식습관 점수와 혈청지질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식습관 점수와 LDL-C, LPH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식습관 점수가 좋을수록 LDL-C, LPH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별로 구분하여 보면 여자의 경우만 식습관 점수와 LPH간에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남녀 모두 식습관 점수와 HDL-C간에 유의적은 아니나 음의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남녀 모두 식습관 점수가 좋을수록 HDL-C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혈청지질과 식습관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TC는 하루 식사횟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외 식빈도, 음주, 흡연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음주, 흡연은 확실하게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인자 중에 속함을 입증했다. LDL-C의 경우 과일류의 매일섭취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을 제외하면, TC와 같은 경향을 보였고, HDL-C는 과식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콜레스테롤 섭취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혈중 LDL-C와 HDL-C의 비율을 나타내는 LPH와 AI를 보면 항목별 같은 경향을 보였고 과일류의 매일섭취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LDL-C와 정비례함을 나타냈다. TG는 식습관 항목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없었다. 남녀별 혈청지질과 식습관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남자의 성우 규칙적인 아침식사를 할수록 HDL-C가 감소하친 따라서 LPH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의 경우 곡류음식을 매일 섭취할수록 LDL-C가 증가하고 따라서 LPH, AI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계측치와 식습관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신장과 체중은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냈다. 하루 식사횟수가 많을수록, 운동 횟수가 많을수록(매일 규칙적일수록) 신장과 체중이 증가하며, 식사속도가 빠를수록, 곡류, 채소류, 과일류, 동물성 기름을 많이 섭취할수록, 음주빈도가 많을수록, 흡연을 많이 할수록 신장과 체중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별 신체계측치와 식습관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남자의 경우 담배를 많이 피울수록 신장과 체중이 감소하며, 여자의 경우 과식할수록 신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 것은 다섯가지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할수록 남자의 경우 체중이 증가하는 반면여자의 경우 신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우 재미있는 양상을 보였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