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made a pyramidal horn antenna system for 21cm cosmic radio wave. The antenna system has a rectangular waveguide with TE10 TE10 mode and a copper probe to detect the electromagnetic wave in waveguide. The parameters of the probe are obtained by experiments using two waveguides. Pyramidal horn antenna is designed to get a gain of 20dB. The size of the aperture of this horn is 94cm×74cm 94cm×74cm . The beam width of half power is about 14.7∘ 14.7∘ for the frequency of 1.4GHz. The horn is made of aluminum plate with a thickness of 2mm. The signal from horn and waveguide is amplified in a receiver system and is converted into DC in the detecter. The intensity of the signal is recorded on a chart recorder. We observed the sun using this simple radio telescope and obtained the brightness temperature of 2.2×105K 2.2×105K , which indicates that the sun is quiet at 21cm.
시중에 유통중인 과일 통조림 25시료에 대하여 Pb와 Sn의 함량변화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중에 유통중인 과실 통조림 25시료의 Pb와 Sn함량은 우리나라 식품위생법규에 규제된 양보다 미달되었다. Pb 와 Sn의 용출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과육과 nectar의 비교에서 necta가 용출량의 적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농가에서 시설내 환경이 불량한 아치형 파이프하우스를 간이시설로 이용하고 있어 시설내 환경이 개선된 간이시설을 개발하여 작물생장반응을 구명코자 톱날형과 개량아치형, 관행아치형의 시설형태와 노지로 구분, 시험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량아치형은 관행아치형에 비해 최고 4℃의 온도가 낮아졌고, 톱날형은 1℃이상 낮아 시설내 환경이 개선되었다. 2. 지하부 환경에서 관행아치형에 비해 잠열냉각+배수개선 처리는 1.3℃가 낮고, 배수개선 처리는 0.9℃가 낮게 나타나 잠열효과를 1℃이상 보았다. 3. 톱날형은 하우스파이프를 지주겸용으로 설치하여 성력화면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환기를 위한 인력이 필요치 않아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시설로 개발되어졌고, 개량아치형은 환기를 위한 노동력은 필요하였으나 하우스파이프를 지주겸용으로 설치하였으므로 관행아치형에 비해 성력화되었다. 4. 토마토 상품과율은 개량아치형이 4,897kg/10a로 가장 많았고 관행아치형이 그 다음 순이었으며 광합성과 직접적인 관계가 되는 엽면적은 톱날형이 다른 형태보다 가장 넓었다. 5. 수량 및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기면적이 넓은 개량아치형이 간이시설로써 적당하였고, 지하부 환경개선 효과는 톱날형의 잠열냉각+배수개선 방법이 좋았으며, 개량아치형과 관행아치형은 배수개선이 효과적이었다. 6. 톱날형, 개량아치형 간이시설은 성력화되고 시설내 환경이 개선되어졌으며, 관행아치형 시설형태를 좀더 발전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추장을 직립성 용기에 담아 숙성보관시 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햇빛을 쪼여 표면을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경우 표면층 고추장이 건조되고, 적색이 흑변되고, 유동성이 상실되며, 과염도 및 이물질 오염 등으로 인하여 많은 양이 비가식화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숙성 보관중 표층 고추장의 악변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숙성 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표면을 3가지 방법(무처리, 소금뿌림, PE-film덮기)으로 처리한 후 각각 햇빛을 쪼이면서 숙성한 경우(A, B, C)와 A, B, C와 같이 처리한 후 뚜껑을 덮어 숙성(A', B', C')시키면서 15일 간격으로 수분, 염도, pH, 점도, 퍼짐성(찍음성), 색도, 곱의 발생유무를 조사 비교하였다. 2일에 1회 햇빛을 쪼이면서 120일간 숙성시킨 경우(A, B, C)곱은 발생되지 않았으나 수분함량 감소(59%→21-29%), 적색도 감소 내지는 흑색화(21→0-1), 퍼짐성 감소, 굳기 증가(20 g→380 g) 및 과염도화(8-18%→18-30%) 등으로 많은 양이 비가식화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반면 뚜껑을 덮어 숙성시킨 경우 적색도, 염도, 퍼짐성, 굳기는 양호하게 유지되었으나 PE-film을 사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곱이 많이 발생되어 PE-film을 덮어 숙성시키는 것이 고추장 표면을 건전하게 관리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온도가 담배나방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8~ 사이의 7개 온도조건에서 인공사료를 이용하여 광주기 14:10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알, 유충, 용의 발육기간은 전체 발육기간에 대해서 각각 10, 48, 42% 정도를 점유하였다. 발육영점온도는 알, 유충, 용, 전체발육기간(알에서 성충까지)에 따라 각각 8.62, 12.65, 11.64, 였다. 평균발육속도를 Sharpe와 Demichele(1977)이 제시한 비선형모델에 적용한 결과 온도에 따른 발육특성을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0.993~0.996), 발육기간분포의 특성을 알기 위하여 정규화한 누적발유기간분포를 Weibull분포에 적용한 결과 높은 적합성을 나타내었다(=0.987~0.999).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mported 0.25 ml straw frozen semen on fertilizing capacity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A total of 57 ewes of Corriedale were inseminated at the Namwon Branch, National Anirnal Breeding Institute. Lambing percentage and twinning percentage were 12.3% and 114. 3%, resepectively. Average weight at birth and weaning of 120 days old were 4.5kg and 21.9 kg, respectively. Gestation period was 152.6 days.
김치는 용기에 담아 보관하면서 위에서부터 꺼내 먹고 있어서 실제 김치 맛은 표층김치 맛과 직결된다. 따라서 표층부 김치의 변질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표면마감을 4가지 방법 즉 김치표층에 재래식 누름돌을 놓아 저장한 경우(A), 김치를 PE백에 넣어 봉한 후 표본병에 담아서 저장한 경우(B), 누름돌을 PE-film으로 싼 누름돌을 사용한 경우(C)와 그리고 김치를 표본병에 담고 그 위에 우거지(약 4cm)로 표면을 덮어 마감(D)한 후 각각을 10±5℃에서 60일 동안 저장하면서 표층김치(2~5cm)의 pH값, 금속이온함량, 산막효모의 발생유무, 김치국물의 적색도, 신선미와 씹힘성에 대한 관능검사 및 경도를 조사 비교하였다. 김치국물의 pH값은 저장 직전에 약 6.0이었는데 A, C, D는 저장기간 중 낮아졌다가 높아진 반면 B는 좋은 김치의 최적 pH인 4.0~4.2가 유지되었다. 재래식 누름돌 사용(A)은 Fe함량을 크게 증가(6배 이상)시켰으며, Mn과 Cu가 검출되었다. 김치표면에서의 산막효모는 B를 제외하고 A, C, D 모두에서 번식되었고, 적색도도 B의 경우만 전 저장기간 동안 선명한 적색이 유지되었으며 A 경우는 진한 흑색을, C와 D의 경우는 낮은 적색도를 나타냈다. 기계적 경도 역시 B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심히 감소하였고 신선미와 씹힘성에 대한 관능평가에서도 B의 경우와 A와 C 및 D의 표면마감 방법보다 훨씬 우수(p〈0.01)하게 평가되었다.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attitude on the nutrition knowledge, food habits and the intake of instant food, convenience food and fast food between two groups of college women, a nutrition major group and nutrition non-major one. Questionaires were completed by 214 nutrition majors and also by 145 non-majors. Nutrition majors showed better average in meal time regularities per week than nutrition non-majors. And nutrition non-majors had a higher frequency rate in taking of instant food and fast food than nutrition majors. In the case of both college women, those who take a meal regularly at each meal times have a higher score in food habits. The women who ate instant foods more frequently got a lower score in food habits, but the frequency of the intake of instant foods did not affect th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he women who had fast foods more frequently got a higher score in food habits and lower score in nutrition knowledge. When college women have a little of nutrition knowlege, they have a tendency to keep their meal time regularity and right dietary attitude pattern. In the dining -out pattern, the college women liked to eat flour foods and they preferred western foods than Korean foods. The motivation of food selection was for convenience and for time saving which were the reason for satisfaction to the products of food service industry. The products of food service industry were found to be unsatisfactory in nutrition and sanitation. Therefore, we must be more aware of preventing the disappeara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for developing dietary culture successively, the products of food service industry which are more suitable for Korean should be developed.